KR0139861Y1 - 화분용 흙덮개 - Google Patents

화분용 흙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9861Y1
KR0139861Y1 KR2019960032432U KR19960032432U KR0139861Y1 KR 0139861 Y1 KR0139861 Y1 KR 0139861Y1 KR 2019960032432 U KR2019960032432 U KR 2019960032432U KR 19960032432 U KR19960032432 U KR 19960032432U KR 0139861 Y1 KR0139861 Y1 KR 01398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potted
moss
cover
col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24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9314U (ko
Inventor
최명철
Original Assignee
최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명철 filed Critical 최명철
Priority to KR20199600324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9861Y1/ko
Publication of KR199800193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93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98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98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81Protective ground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e.g. for plants in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8Covers for flower-pots, e.g. ornamental po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관상용 및 원예용 화분에 관한 것으로, 화분(1)내에 화분흙(3)을 넣고 그 화분흙(3) 속에 화분식물(4)을 식재한 다음 화분흙(3)의 상부에 흙덮개(5)를 덮어 씌워서 된 것에 있어서, 화분(1)의 흙덮개(5)로서 이끼류에 임의의 색상을 착색한 착색이끼류(6)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화분 흙덮개의 다양한 색상으로 미적 감각을 최대로 살려 미관을 개선하고 화분 운반시 화분흙이 쏟아져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며, 보습성 있어 물을 한번만 주어도 오래가며 작은 알갱이로 만든 인조석에 착색을 한 착색돌에 비하여 자연미를 손상시키지 아니하고서도 염가로 제공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화분용 흙덮개
본 고안은 관상용 및 원예용 화분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분의 흙덮개를 착색한 이끼류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흙덮개에 관한 것이다.
국민소득증가에 따른 생활수준의 향상과 여가시간이 많아짐에 따라 화분에 화초나 과실나무 또는 분재용 식물을 식재하여 관상용 또는 원예용으로 널리 사용하기에 이르렀고, 특히 고층아파트와 같은 도심의 인공적인 거주공간이나 생활공간내에서는 자연한경과 거의 격리되어 있으므로 화분의 재배가 도시민의 메마른 정서를 순화,함향시켜서 우리의 정서 문화생활을 풍부하게 만들어 줌에 따라 화분의 재배가 널리 보급되기에 이르렀다.
일반적으로 화분은 배수공이 뚫린 용기형상의 화분내에 화분흙을 담아 그 흙속에 화초류나 과실나무 또는 분재용 식물을 식재한 다음 흙의 상부에 흙덮개를 씌워서 사용하게 되는데, 이와같이 흙덮개를 사용하는 이유는 흙이 외부로 그대로 노출되면 미관상 좋지 못할 뿐만 아니라, 차량과 같은 것에 적재시키고 진동을 받은 상태에서 운반, 이동시키거나 또는 화분을 이리저리 옮겨 이동시킬 때 흙이 화분에서 유실되므로 운반 이동과정에서의 흙 유실방지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며, 또 한편으로는 화분에 물을 줄 때 흙덮개가 보습성을 지니도록 하여 화분의 물이 쉽게 마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다.
종래 이와같은 목적으로 사용되어온 화분 흙덮개로서는 톱밥류나 솜 또는 부직포류 같은 것이 주로 사용되었고, 작은 알갱이의 인조석으로된 잔돌에다 물감을 들인 착색돌을 사용한 것이나 또는 천연의 이끼류를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톱밥류는 물을 줄 때 각 입자가 작아 물위에 쉽게 떠올라 화분에서 흘러 넘처 떠내려가는 문제점이 있고 솜 또는 부직포류는 쉽게 더러워지므로 외관이 깨끗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 한편, 착색돌을 화분 흙덮개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재료비가 비교적 비싸고 인조돌에 착색한 것이므로 자연미가 없을 뿐만 아니라, 보습성이 없고 운반시 쉽게 쏟아져 내려 돌은 물론 흙까지 유실되어 소기의 덮개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천연이 이끼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보습성이나 흙의 유실을 방지하는 측면에서는 효과가 있지만, 자칫 관리를 소홀히 하면 이끼가 쉽게 말라 죽어 누렇게 색깔이 변하게 되어 보기에 흉하게 되므로 화분 본래의 조경효과를 반감시키는 또다른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전술의 종래 화분 흙덮개의 문제점 내지는 결점을 개선한 새로운 형태의 흙덮개를 사용한 화분용 흙덮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같은 목적을 가지는 본 고안은 화분 흙덮개로서 이끼류에 임의의 색깔, 예컨대 녹색이나 청색 또는 적색의 염료를 착색시킨 착색이끼류를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색상으로 미적감각을 최대로 살리고 화분 운반시 흙이 쏟아져 내리는 것을 방지하게 하며, 보습성을 지니고 있어서 물을 한번만 주어도 오래갈 수 있도록 하여 본 고안의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안출한 것인바,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사용되는 착색 이끼류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화분 2 : 배수공
3 : 화분흙 4 : 화분식물
5 : 흙덮개 6 : 착색이끼류
첨부도면 제1도 내지 제3도에서 보는바의 본 고안에 의한 화분도 저면 중앙에 배수공(2)을 뚫은 화분(1) 내부에 화분흙(3)을 넣고 그 흙(3)속에 화초류나 분재수목 또는 과실수등의 화분식물(4)을 식재하고 흙(3)의 상부에 흙덮개(5)를 덮어 씌워서 되는 것은 통상의 화분과 동일하지만, 본 고안에서 특이한 것은 화분(1)의 흙덮개(5)를 이끼류에 우레탄계나 락카계 염료로써 임의의 다양한 색상, 예컨대, 녹색이나 청색 또는 적색으로 착색한 착색이끼류(6)로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착색이끼류(6)에 대한 염료는 앞서의 설명에서는 탈색의 방지를 위해 유성계통의 염료를 사용한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탈색만 방지된다면 수성염료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착색이끼류(6)는 단색상으로 착색한 것을 사용하거나 또는 혼합색상을 착색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이, 각기 다른 단색상의 착색이끼류를 적당한 혼합비로 배합 사용함으로써 보다 화려한 색상의 화분 흙덮개(5)를 형성시킬 수도 있게 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화분(1)은 화분흙(3)의 상부가 임의의 다양한 색상으로 착색된 착색이끼류(6)로된 흙덮개(5)에 의하여 덮어 씌워져 있으므로 화분에 심어진 화분식물(4)과 미적인 감각이 잘 어우러져 화분의 미적감각을 최대로 살릴 수 있고, 화분흙덮개(5)에 의하여 화분을 운반차량의 적재함 같은 것에 싣고 운반하거나 이동취급할 때에는 흙(3)이 화분에서 쏟아져 내리는 것을 방지하여 화분흙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고, 착색이끼류(6)는 또한 보습성이 있으므로 물을 자주 주지 않아도 화분의 수분 증발을 억지하는 효과가 지속되어 화분 식물을 건강하게 관리할 수 있으며, 가격 또한 비교적 싸므로 염가로 화분을 구입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화분의 흙덮개를 다양한 색상으로 착색한 이끼류를 사용함에 따라 화분의 미적감각을 최대로 살릴 수 있고, 운반취급시 화분흙이 쏟아져 내리는 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염가로 수집할 수 있는 이끼류를 화분 흙덮개로 사용함에 따라 화분을 경제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이끼류의 보습성 유지효과로 화분에 물주는 시간 간격을 길게하여도 화분식물을 건강하게 기를 수 있어 화분을 간편하게 유지관리 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Claims (1)

  1. 배수공(2)을 뚫은 화분(1)내에 화분흙(3)을 넣고 그 화분흙(3) 속에 화분식물(4)을 식재한 다음 화분흙(3)의 상부에 흙덮개(5)를 덮어 씌워서된 것에 있어서, 화분(1)의 흙덮개(5)를 임의의 색상을 착색한 착색이끼류(6)로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흙덮개.
KR2019960032432U 1996-10-01 1996-10-01 화분용 흙덮개 KR01398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2432U KR0139861Y1 (ko) 1996-10-01 1996-10-01 화분용 흙덮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2432U KR0139861Y1 (ko) 1996-10-01 1996-10-01 화분용 흙덮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9314U KR19980019314U (ko) 1998-07-15
KR0139861Y1 true KR0139861Y1 (ko) 1999-03-20

Family

ID=19468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2432U KR0139861Y1 (ko) 1996-10-01 1996-10-01 화분용 흙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986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3049B1 (ko) * 2022-05-18 2023-08-02 이재관 모스와 고체 산소를 포함하는 화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3049B1 (ko) * 2022-05-18 2023-08-02 이재관 모스와 고체 산소를 포함하는 화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9314U (ko) 199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1014B1 (ko) 화분 상부면 다공성 보호커버
KR0139861Y1 (ko) 화분용 흙덮개
EP0425005A2 (en) Plant culture kit and a plant growth system and a breeding system therefor
JP2002058349A (ja) 植木鉢用内容器
CN219844207U (zh) 一种能自动浇水的景观花盆
KR200313531Y1 (ko) 풍란재배 화병
KR930000866Y1 (ko) 화분용 장식판
JPH0212845Y2 (ko)
KR20040075677A (ko) 풍란재배 화병 및 그 제조방법
CN2308245Y (zh) 多功能植花容器
JPH0212846Y2 (ko)
KR200187755Y1 (ko) 개폐식 화분커버
Holcomb et al. Myrtle as a flowering potted plant
JPH0453734Y2 (ko)
KR900001143Y1 (ko) 화분
KR890000298Y1 (ko) 화분
KR200239731Y1 (ko) 화분이 부설된 어항
KR200246685Y1 (ko) 장식용 화분
KR100367999B1 (ko) 분경용 화분
KR200381143Y1 (ko) 실용화분
CA1181949A (en) Watering wedge
KR0130529Y1 (ko) 장식용 소형화분
KR0138680Y1 (ko) 꽃꽂이용 수반 겸용 화분
JP3037163U (ja) 蘭用の磁器鉢などの植物栽培用鉢
JPS633261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