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9832Y1 - 가습기의 히터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가습기의 히터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9832Y1
KR0139832Y1 KR2019960026723U KR19960026723U KR0139832Y1 KR 0139832 Y1 KR0139832 Y1 KR 0139832Y1 KR 2019960026723 U KR2019960026723 U KR 2019960026723U KR 19960026723 U KR19960026723 U KR 19960026723U KR 0139832 Y1 KR0139832 Y1 KR 01398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heat sink
water
humidification chamber
humid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67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3126U (ko
Inventor
강완선
권오석
정웅
김인숙
임영석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20199600267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9832Y1/ko
Publication of KR199800131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31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98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98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3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to fire, excessive heat or smo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50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히터의 열을 방열하는 히트싱크(heatsink)의 기밀성이 향상되도록하고 또한 히터의 열을 감지하여 이상고온시 히터의 동작을 중지시킬 수 있도록 한 가습기의 히터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체 상부에 서로 연통된 물받이와 가습실이 형성되고 상기 물받이에 급수구를 갖는 물통이 놓이고 상기 가습실에 히터와 진동자가 각각 설치됨에 있어서, 상기 히터가 내장되는 요입부가 저면에 형성된 히트싱크가 구비되고, 상기 히트싱크가 상기 가습실 내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가습실에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히트싱크의 외주면에 상기 구멍과 접하는 패킹이 구비되고, 상기 히터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히터를 지지하는 브래킷이 구비되며, 상기 히트싱크의 일측에 온도감지판이 형성되고, 상기 온도감지판에 상기 히터의 온도를 감지하는 써미스터가 설치된 것이다.

Description

가습기의 히터고정장치
본 고안은 물을 가열하여 살균처리 또는 수증기화하는 히트싱크에 있어서, 히터의 열을 감지하는 써미스터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기밀성이 향상되도록 한 가습기의 히터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습기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에 물받이(2)가 설치된 본체(1)와 물받이(2)에 놓이는 물통(3)으로 구성된다. 물통(3)은 물받이(2)에 돌출된 돌기(2a)에 눌려 물이 간헐적으로 유출되는 급수구(3a)가 마련되고 물받이(2)의 우측에는 물통(3)의 물이 담수되는 가습실(4)이 마련된다.
또한 가습실(4)에는 담수된 물을 가열하는 히터(6)와 담수된 물을 진동으로 무화시키는 진동자(5)가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가습실(4)의 상부에 진동자(5) 및 히터(6)를 감싸는 무화관(7)이 놓이고 무화관(7)의 상부에 무화된 수증기를 실내로 토출시키는 노즐(7a)이 마련된다.
이처럼 구성된 가습기는 물통(3)의 물이 급수구(3a)를 통하여 간헐적으로 물받이(2) 내부로 급수되고 또한 급수된 물은 가습실(4)에 담수된 상태에서 히터(6) 또는 진동자(5)에 의해 수증기로 변한다. 또한 팬(8)에 의해 송풍되는 바람이 송풍관(8a)을 타고 무화관(7) 내부로 송풍되면 수증기가 무화관(7)을 따라 상단에 설치된 노즐(7a)을 통하여 실내로 강제 토출되면서 실내가 가습된다.
그러나 종래의 히터(6)는 전열선을 이용한 것이므로 어려운 단점이 있다. 히터(6)를 가열시키면 온도가 계속 상승되어 물이 필요이상으로 끓기 때문에 전력소모가 심하고 또한 전열선을 피복한 히터(6)가 물에 직접 노출됨으로 쇼트 또는 누전될 위험성이 있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고안자는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저항이 순간적으로 증가될 때 전류가 감소되고 전력과 표면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히터를 채용한 가습기를 선출원중에 있다.
본 고안은 선출우너된 가습기를 구체화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히터의 열을 방열하는 히트싱크(heatsink)의 기밀성이 향상되도록 하고 또한 히터의 열을 감지하여 이상고온시 히터의 동작을 중지할 수 있도록 한 가습기의 히터고정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제1도는 종래 가습기의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가습기의 히터고정장치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가습기의 히터고정장치를 적용한 가습기의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가습기의 히터고정장치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물받이
13 : 가습실 14 : 진동자
20 : 물통 21 : 급수구
30 : 히터 31 : 히트싱크
34 : 온도감지판 35 : 서미스터
36 : 패킹 37 : 구멍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위하여 본체 상부에 서로 연통된 물받이와 가습실이 형성되고 상기 물받이에 급수구를 갖는 물통이 놓이고 상기 가습실에 히터와 진동자가 각각 설치됨에 있어서, 상기 히터가 내장되는 요입부가 저면에 형성된 히트싱크가 구비되고, 상기 히트싱크가 상기 가습실 내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가습실에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히트싱크의 외주면에 상기 구멍과 접하는 패킹이 구비되고, 상기 히터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히터를 지지하는 브래킷이 구비되며, 상기 히트싱크의 일측에 온도감지판이 형성되고, 상기 온도감지판에 상기 히터의 온도를 감지하는 써미스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가습기의 히터고정장치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3은 본 고안에 의한 가습기의 히터고정장치를 적용한 가습기의 단면도이다. 본체(10) 상부 일측에 돌기(12)를 갖는 물받이(11)가 구비되고 물받이(11)의 우측에 물받이(11)와 연통된 가습실(13)이 마련된다.
또한 물받이(11) 상부에 물이 담긴 물통(20)이 놓이고 물통(20) 저면에 돌기(12)에 눌려 물이 간헐적으로 유출되는 급수구(21)가 형성된다. 또한 가습실(13)에는 물을 일정수온으로 가열하여 살균처리하는 히터(30)가 설치되고 물을 초음파 진동으로 무화시키는 진동자(14)가 각각 설치된다.
또한 가습실(13)을 감싸는 무화캡(40)이 마련되고 무화캡(40)의 상부에 진동자(14)와 실내를 연통시키는 무화관(41)이 입설된다. 또한 무화관(41)의 상단에 무화된 수증기 또는 가열된 증기를 실내로 토출시키는 노즐(42)이 마련된다.
또한 무화관(41)의 상부 일측에 히터(30)에서 가열된 증기를 노즐(42) 쪽으로 안내하는 배기구(43)가 형성되고 가습실(13)의 일측에 무화캡(40) 내부로 돌출되는 송풍관(미도시)이 입설된다. 그리고 본체(10) 내부에 송풍관(미도시)쪽으로 바람을 강제 송풍시키는 팬(15)이 설치되어 무화된 수증기 또는 가열된 증기를 노즐(42)쪽으로 강제 토출시킨다.
또한 히터(30)는 브래킷(33)에 의해 히트싱크(31)에 고정된다. 히트싱크(31)는 물과 직접 접하는 것으로서, 히터(30)의 열기가 히트싱크(31)을 거쳐 물에 전열된다. 히트싱크(31)는 히터(30) 및 브래킷(33)이 내부에 설치되도록 요입부(32)가 저면에 형성되고 가습실(13)의 바닥에 히트싱크(31)가 끼워지는 구멍(37)이 형성된다. 또한 히트싱크(31)의 외주면에 내열성을 갖는 패킹(36)이 설치되어 구멍(37)과의 사이를 밀폐시킨다.
또한 히트싱크(31)의 양측에 고정부(31a)가 형성되어 가습실(13) 저면에 나사못(38)으로 체결고정되고 이때 브래킷(33)이 함께 고정된다. 또한, 히트싱크(31)의 일측 저면에 히터(30)의 온도를 감지하는 써미스터(35)가 고정되는 온도감지판(34)이 형성된다. 써미스터(35)는 히터(30)의 온도가 온도감지판(34)으로 전열될 때 이를 감지하고 설정치 이상일 때 히터(30)를 오프시킨다.
이처럼 구성된 본 고안은 정온을 유지하는 히터(30)가 히트싱크(31)내부로 끼워진 다음 브래킷(33)에 의해 고정된다. 히터(30)가 히터싱크(31)의 요입부(32)에 끼워지고 또한 브래킷(33)이 요입부(32)에 함께 끼워진 다음 나사못(38)에 의해 히트싱크(31)가 가습실(13)의 저면에 고정된다. 이때 히트싱크(31)의 외주면과 구멍(37) 사이에 패킹(36)이 설치되어 가습실(13)의 물이 외부로 누수되지 않는다. 그리고 써미스터(35)가 온도감지판(34)에 설치되면 히터(30)의 작동에 따라 히트싱크(31)가 가열되고 또한 히터(30)의 과열이 써미스터(35)에서 감지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물통(20)의 급수구(21)가 돌기(12)에 눌려 개방되면 물이 물받이(11)로 공급되고 이와 연통된 가습실(13) 내부로 흐른다. 또한 가습실(13)의 수위가 급수구(21)의 저면과 일치되면 수압에 의해 급수구(21)가 일시적으로 막히면서 물의 공급이 중지되고 또한 수위가 떨어지면 급수구(21)가 개방되면서 물이 재차 공급되는 과정이 반복된다.
또한 가습실(13)에 물이 공급되면 진동자(14)의 초음파 진동으로 물이 가습된다. 그리고 초음파 가습하는 과정에서 히터(30)가 동작되어 물이 살균처리된다.
히터(30)가 가열되면 그 열기가 히트싱크(31)를 거쳐 물에 전열되고 이 과정에서 물이 살균처리된다.
또한 히터(30)가 동작되는 동안 그 열기가 온도감지판(34)을 거쳐 써미스터(35)쪽으로 전열되고 써미스터(35)는 히터(30)의 과열을 감지한다. 히터(30)가 설정치 이상으로 과열되면 히터(30)를 자동으로 오프시켜 과열에 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한다.
또한 히트싱크(31)는 외주면에 설치된 패킹(36)에 의해 구멍(37)에 끼워진 상태에서 물이 누수되지 않는다. 그리고 브래킷(33)이 히터(30)를 히트싱크(31)쪽으로 가압함으로 히터(30)의 전열성이 향상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히트싱크 내부에 히터 및 브래킷이 설치됨으로 히터의 열기가 히트싱크 쪽으로 전열되는 전열성이 향상되고 또한 히트싱크의 일측에 형성된 온도감지판에 써미스터가 설치됨으로 히터의 이상과열시 이를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본체(10) 상부에 서로 연통된 물받이(11)와 가습실(13)이 형성되고 상기 물받이(11)에 급수구(21)를 갖는 물통(20)이 놓이고 상기 가습실(13)에 히터(30)와 진동자(14)가 각각 설치됨에 있어서, 상기 히터(30)가 내장되는 요입부(32)가 저면에 형성된 히트싱크(31)가 구비되고, 상기 히트싱크(31)가 상기 가습실(13) 내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가습실(13)에 구멍(37)이 형성되며, 상기 히트싱크(31)의 외주면에 상기 구멍(37)과 접하는 패킹(36)이 구비되고, 상기 히터(3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히터(30)를 지지하는 브래킷(33)이 구비되며, 상기 히트싱크(31)의 일측에 온도감지판(34)이 형성되고 상기 온도감지판(34)에 상기 히터(30)의 온도를 감지하는 써미스터(35)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의 히터고정장치.
KR2019960026723U 1996-08-30 1996-08-30 가습기의 히터고정장치 KR01398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6723U KR0139832Y1 (ko) 1996-08-30 1996-08-30 가습기의 히터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6723U KR0139832Y1 (ko) 1996-08-30 1996-08-30 가습기의 히터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3126U KR19980013126U (ko) 1998-06-05
KR0139832Y1 true KR0139832Y1 (ko) 1999-05-15

Family

ID=19465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6723U KR0139832Y1 (ko) 1996-08-30 1996-08-30 가습기의 히터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983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185B1 (ko) * 2006-10-17 2008-01-10 웅진쿠첸 주식회사 초음파 가습기의 히트싱크 과열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3126U (ko) 199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76237A (en) Inhaler device
KR870003863Y1 (ko) 수증기 발생기
KR0139832Y1 (ko) 가습기의 히터고정장치
KR0132615Y1 (ko) 가습기의 히터브래킷
CN209951969U (zh) 加热型雾化器及雾化装置
JP2589922B2 (ja) 超音波加湿機
JP2579939Y2 (ja) スチ−ム加湿器
KR19980013124U (ko) 가습기의 히터
KR200410243Y1 (ko) 면상발열체를 구비한 가습기
KR0164173B1 (ko) 가습기
JP2001208382A (ja) 加熱蒸発器、およびバンド形加熱体
KR102568417B1 (ko) 가열식 가습기 장치
JPH07231938A (ja) 吸入器
JPH1073292A (ja) 加湿機
KR100277263B1 (ko) 혼합식가습기구조
JPS5824735A (ja) 恒温恒湿発生装置
JP2536469Y2 (ja) 水面加熱式加湿器
KR0182435B1 (ko) 가습기의 유로장치
KR200253604Y1 (ko) 일반 건조기를 이용한 신발 건조기
KR940007848Y1 (ko) 초음파 가습기
JPH0229362Y2 (ko)
KR100525308B1 (ko) 발열장치
WO2023123245A1 (zh) 雾化器及电子雾化装置
KR19980013127U (ko) 가습기의 유로장치
KR980009037U (ko) 가습기의 가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