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9664Y1 - 트랜스퍼장치의 크램프 구동구조 - Google Patents

트랜스퍼장치의 크램프 구동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9664Y1
KR0139664Y1 KR2019950055054U KR19950055054U KR0139664Y1 KR 0139664 Y1 KR0139664 Y1 KR 0139664Y1 KR 2019950055054 U KR2019950055054 U KR 2019950055054U KR 19950055054 U KR19950055054 U KR 19950055054U KR 0139664 Y1 KR0139664 Y1 KR 01396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shaft
drive
box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550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7711U (ko
Inventor
김효곤
Original Assignee
김재복
주식회사기아기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복, 주식회사기아기공 filed Critical 김재복
Priority to KR20199500550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9664Y1/ko
Publication of KR9700277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77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96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96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02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incorporating rotary and rectilinear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8Wear protection or indication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트랜스퍼장치의 크램프 구동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제품 이송의 정밀도를 높이고, 구동부의 진동을 저감하며 박스와의 마찰에 의한 마모를 저감하도록 하기 위해,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되는 박스(15)가 트랜스퍼장치의 구동부에 구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크램프 동력축(1) 하부에 설치되어, 구동링크부가 상기 동력축에 요동 구동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구동링크부 하부에 제1링크작동부와 제2링크작동부가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1링크작동부와 제2링크작동부에 피이드바(13)가 설치되는 캐리어(14)가 서로 맞은편에서 축방향으로 마주향하여 구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하며, 구동링크부는 삼각형으로 형성되는 트라이앵글링크(2)의 일측 꼭지점이 힌지핀에 의해 박스(15)에 지지되어, 상기 트라이앵글링크의 상단 꼭지점이 동력축(1)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트라이앵글링크의 하단 꼭지점에 구동축(3)이 힌지 연결되도록 하여, 트랜스퍼장치의 구동부로 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크램프 동력축(1)이 왕복운동을 하게 되면, 트라이앵글링크(2)가 박스(15)에 지지되는 힌지핀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회전구동되어 구동축(3)이 상하로 움직이도록 하고, 구동축(3)이 상하 수직으로 움직임에 의해 수직링크(4)가 상하방향으로 연동되어 제1링크작동부와 제2링크작동부가 연동되도록 하므로, 피이드바(13)가 설치되는 캐리어(14)가 서로 맞은편에서 축방향으로 마주향하여 움직이도록 하는 트랜스퍼장치의 크램프 구동구조이다.

Description

트랜스퍼장치의 크램프 구동구조.
제1도는 종래 크램프 구동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2도는 본 고안 크램프 구동구조의 구동링크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3도는 본 고안 크램프 구동구조의 링크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동력축 2 : 트라이앵글링크
3 : 구동축 4 : 수직링크
5 : 제1절곡링크 6 : 제2절곡링크
7 : 제1수평링크 8 : 연동축
10 : 연동링크 11 : 제2수평링크
12a : 제1작동축 12b : 제2작동축
13 : 피이드바 14 : 캐리어
15 : 박스
본 고안은 트랜스퍼장치의 크램프 구동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제품 이송의 정밀도를 높이고, 구동부의 진동을 저감하며, 박스와의 마찰에 의한 마모를 저감하도록 하는 트랜스퍼장치의 크램프 구동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트랜스퍼장치의 크램프 구동구조는 제1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양측부와 상부에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되는 박스(5)에서 상하 양단부에 피니언기어(2)가 끼워지는 회전축(4)이 상기 양측의 공간부에 각기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양단부에 캐리어(10)가 각기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된 스플라인축(6)의 양단부가 회전축(4)의 상부쪽 공간부에서 박스(5)에 지지되어, 트랜스퍼장치의 구동부에 구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크램프 동력축(1)에 하부쪽의 피니언어(2)가 구동 가능하게 맞물리고, 스플라인축(6)의 상부와 하부에 각기 래크축(3),(13)이 링크(7)와 고정핀(8)(9)에 의해 캐리어(10)에 연동 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하부의 래크축(3)은 상부쪽의 피니언기어(2)에 일단부가 구동 가능하게 맞물리고, 상부의 래크축(13)과 하부의 래크축(3)이 스플라인축(6)에 지지되는 연동기어(12)에 맞물려 서로 반대쪽으로 움직이도록 되며, 캐리어(10)의 상단부에는 피이드바(11)가 지지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종래 트랜스퍼장치의 크램프 구동구조는, 트랜스퍼장치의 구동부로 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크램프 동력축(1)이 왕복운동을 하게 되며, 동력축(1)이 왕복운동을 하게 되면, 피니언기어(2)가 회전축(4)과 함께 일체로 회전구동되어 상부의 피니언기어(2)에 의해 하부의 래크축(3)이 좌우로 움직이도록 하며, 연동기어(12)에 의해 상부의 래크축(13)이 반대쪽으로 움직이도록 한다. 한편, 상부와 하부의 래크축(3),(13)이 좌우로 움직임에 따라 링크(7)에 의해 연결된 양쪽의 캐리어(10)가 스플라인축(6)을 따라 좌우로 움직여 양쪽의 피이드바(11)가 클램프 운동을 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트랜스퍼장치의 크램프 구동구조는, 래크와 피니언기가 4군데나 장치되어 크램프 운동을 하도록 하므로, 작동중 진동과 소음이 발생되고 가공 정도에 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박스(5)에 가이드되어 왕복운동을 하므로, 래크의 직진도를 향상시키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박스(5) 내의 운동부에 장착되는 부쉬와 래크의 마찰로 과부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크램프 운동을 하는 캐리어가 링크와 축들에 의해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동력축의 구동력이 링크와 축들에 의해 전달되도록 하므로, 그 구조가 종래 구조에 비해 간단하고 제작비용이 저감되도록 하며, 마모와 과부하가 방지되도록 하는 트랜스퍼장치의 크램프 구동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인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제2도와 제3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되는 박스(15)가 트랜스퍼장치의 구동부에 구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크램프 동력축(1) 하부에 설치되어, 동력축(1)에 구동링크부가 요동 구동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구동링크부 하부에 제1링크작동부와 제2링크작동부가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1링크작동부와 제2링크작동부에 피이드바(13)가 설치되는 캐리어(14)가 서로 맞은편에서 축방향으로 마주향하여 구동 가능하게 연결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구동링크부는 삼각형으로 형성되는 트라이앵글링크(2)의 일측 꼭지점이 힌지핀에 의해 박스(15)에 지지되어, 트라이앵글링크(2)의 상단 꼭지점이 상기 크램프 동력축(1)에 힌지 연결되고, 트라이앵글링크(2)의 하단 꼭지점에 구동축(3)이 힌지 연결되며, 구동축(3)의 하단부에 수직링크(4)가 힌지 연결된다.
또한, 제1링크작동부는 일정 경사를 두고 상하방향으로 절곡 연장되고 일체로 형성되는 제1절곡링크(5)의 중간부가 힌지핀에 의해 박스(15)에 지지되어, 제1절곡링크(5)의 상단부가 수직링크(4)의 상단부에 힌지 연결되고, 제1절곡링크(5)의 하단부에 제1수평링크(7)가 힌지 연결되며, 제1수평링크(7)에 캐리어(14)가 고정되는 제1작동축(12a)이 연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한편, 제2링크작동부는 일정 경사를 두고 상하방향으로 절곡 연장되고 일체로 연결되는 제2절곡링크(6)의 중간부가 힌지핀에 의해 박스(15)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제2절곡링크(6)의 상단부가 수직링크(4)의 하단부에 힌지 연결되고, 제2절곡링크(6)의 하단부에 연동축(8)의 일단부가 힌지 연결되며, 연동축(8)의 타단부에 제2작동축(12b)을 구동하는 연동링크부가 힌지에 의해 연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연동링크부는 중간부의 힌지핀에 의해 박스(15)에 지지되는 연동링크(10)의 하단부에 연동축(8)의 타단부가 힌지 연결되고, 연동링크(10)의 상단부에 제2수평링크(11)가 힌지 연결되어, 제2수평링크(11)에 캐리어(14)가 일체로 작동되도록 하는 제2작동축(12b)이 축방향으로 구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트랜스퍼장치의 구동부로 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크램프 동력축(1)이 왕복운동을 하게 되면, 트라이앵글링크(2)가 박스(15)에 지지되는 힌지핀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회전구동되어 구동축(3)이 상하로 움직이도록 하고, 구동축(3)이 상하 수직으로 움직임에 의해 수직링크(4)가 상하방향으로 연동되어 제1링크작동부와 제2링크작동부가 연동되도록 하므로, 피이드바(13)가 설치되는 캐리어(14)가 서로 맞은편에서 축방향으로 마주향하여 움직이도록 한다.
한편, 수직링크(4)가 상하로 작동되면, 제1절곡링크(5)와 제2절곡링크(6)가 동시에 힌지핀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회전되게 되어, 제1절곡링크(5)에 의해 캐리어(14)가 장치된 제1작동축(12a)이 제1수평축(7)을 통해 축방향으로 직선 운동을 하게 되고, 제2절곡링크(6)에 의해 연동축(8)이 축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게 되며, 연동링크(10)가 연동축(8)에 의해 구동되면, 힌지핀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회전운동을 하게 되고, 연동링크(10)에 연결된 제2수평링크(11)가 축방향으로 수직이동하게 되어, 제2작동축(12b)과 캐리어(14)가 제1작동축(12a)을 마주향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9는 제3수평링크로서 연동축(8)의 중간부에 힌지 연결되고 일단부가 힌지핀에 의해 박스(15)에 지지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링크와 축들에 의해 연결되어 구동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구조로, 종래 스프라인축과 래크 및 기어를 사용하던 것에 비해 기계가공 정도가 향상되도록 하고, 마찰에 의한 마모와 과부하를 방지하도록 하며, 제작 비용이 저감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캐리어가 링크와 축들에 의해 연결되어 동력축의 구동력이 링크와 축들에 의해 전달되도록 하므로, 구조가 종래 구조에 비해 간단하고 제작비용이 저감되도록 하며, 마모와 과부하가 방지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2)

  1.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되는 박스(15)가 트랜스퍼장치의 구동부에 구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크램프 동력축(1)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동력축에 구동링크부가 요동 구동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구동링크부 하부에 절곡 연장되는 제1절곡링크(5)의 중간부가 힌지핀에 의해 박스(15)에 지지되어, 상기 제1절곡링크의 상단부가 구동링크부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제1절곡링크의 하단부에 캐리어(14)가 고정되는 제1작동축(12a)이 연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1링크작동부와 절곡 연장되는 제2절곡링크(6)의 중간부가 힌지핀에 의해 박스(15)에 지지되어, 상기 제2절곡링크의 상단부가 상기 구동링크부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제2절곡링크의 하단부에 연동축(8)의 일단부가 힌지 연결된 제2링크작동부가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연동축의 타단부에 제2작동축(12b)을 구동하는 연동링크부가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제1링크작동부와 제2링크작동부에 피이드바(13)가 설치되는 캐리어(14)가 서로 맞은편에서 축방향으로 마주향하여 구동 가능하게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퍼장치의 크램프 구동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구동링크부는 삼각형으로 형성되는 트라이앵글링크(2)의 일측 꼭지점이 힌지핀에 의해 박스(15)에 지지되어, 상기 트라이앵글링크의 상단 꼭지점이 동력축(1)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트라이앵글링크의 하단 꼭지점에 구동축(3)이 힌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퍼장치의 크램프 구동구조.
KR2019950055054U 1995-12-30 1995-12-30 트랜스퍼장치의 크램프 구동구조 KR01396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5054U KR0139664Y1 (ko) 1995-12-30 1995-12-30 트랜스퍼장치의 크램프 구동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5054U KR0139664Y1 (ko) 1995-12-30 1995-12-30 트랜스퍼장치의 크램프 구동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7711U KR970027711U (ko) 1997-07-24
KR0139664Y1 true KR0139664Y1 (ko) 1999-04-15

Family

ID=19443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55054U KR0139664Y1 (ko) 1995-12-30 1995-12-30 트랜스퍼장치의 크램프 구동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966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44344B (zh) * 2021-10-26 2023-09-29 歌尔股份有限公司 一种工装位置转移变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7711U (ko) 199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62676A (en) Two axis transfer device
CN108790201B (zh) 自动焊接机的驱动装置布置
EP0236109B1 (en) Multi-jointed robot
US7022059B2 (en) Chopper folder for rotary press
US5553565A (en) Work moving device in sewing machine
KR0139664Y1 (ko) 트랜스퍼장치의 크램프 구동구조
KR100338527B1 (ko) 원형자수기
KR100558499B1 (ko) 재봉기의 x-y이송 구동장치
US5839381A (en) Embroidering machine having first-order mass compensation
CN109654191A (zh) 一种旋转和往复平移同步进行的复合传动装置
US4563960A (en) Sewing machine having a drive for a work clamp
US6463962B2 (en) Device for guiding the knife-supporting beams in a jacquard machine
KR970006166B1 (ko) 미싱의 루우프 구동기구
EP1127684B1 (en) Slide driving apparatus of press machine
US5980192A (en) Table feeder
KR940005481B1 (ko) 전송장치
US20040261464A1 (en) Knitting machine
US5588795A (en) Handling apparatus
KR930008649Y1 (ko) 밸브의 구동장치
KR0176455B1 (ko) 직교좌표형 로보트
US4516512A (en) Modularized Cardan sewing machine
CN220743437U (zh) 一种上下驱动封箱机
CN212857539U (zh) 一种钢筋切断机
CN109896313B (zh) 一种折页机梭尾送纸驱动机构
CN109663874B (zh) 剪刀式自动对中、牵引送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