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9588B1 - 분로된 콘넥터어셈블리 및 그를 위한 분로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분로된 콘넥터어셈블리 및 그를 위한 분로어셈블리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9588B1
KR0139588B1 KR1019940008065A KR19940008065A KR0139588B1 KR 0139588 B1 KR0139588 B1 KR 0139588B1 KR 1019940008065 A KR1019940008065 A KR 1019940008065A KR 19940008065 A KR19940008065 A KR 19940008065A KR 0139588 B1 KR0139588 B1 KR 0139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shunt
housing
support housing
contac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8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7230A (ko
Inventor
하워드 모서 3세 벤자민
휴스톤 프란츠 로버트
로버트 사이프 린
Original Assignee
프랭크 에이. 오울플링
더 휘테이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랭크 에이. 오울플링, 더 휘테이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프랭크 에이. 오울플링
Publication of KR940027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7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9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95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1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 H01R13/7032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making use of a separate bridging element directly cooperating with the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 H01R24/64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for high frequency, e.g. RJ 4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9/00Coupling parts for selective co-operation with a counterpart in different ways to establish different circuits, e.g. for voltage selection, for series-parallel selection, programmable connector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콘넥터(12)가 간격을 가진 콘택트들(18)을 구비한 하우징(22)을 가지며, 각 콘택트들이 하우징의 측벽(30)의 개방부분을 따라 노출된 콘택트부분을 갖는 분로된 콘넥터어셈블리(14)에 관한 것이다. 쉘부재(64)는 콘넥터 하우징에 설치되며 분로콘택트지지하우징(66)은 쉘부재에 미끄러질 수 있도록 설치된다. 분로콘택트지지하우징은 제 1 및 제 2 위치들 사이에서 일반적으로 직선으로 이동가능하다. 분로콘택트지지하우징이 제 1 위치에 있을 때, 거기에 고정된 분로콘택트들(68, 70)은 콘넥터의 간격을 가진 콘택트들(18)의 쌍들에 적용된다. 분로 콘택트지지하우징이 제 2 위치에 있을 때, 분로콘택트들은 콘넥터 콘택트들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스프링(72)은 분로 콘택트지지하우징을 제 1 의 위치로 밀어서, 콘넥터가 결합 리셉터클콘넥터(36)로부터 해체될 때, 분로콘택트지지하우징이 자동적으로 콘넥터 콘택트쌍들이 전기적으로 공동접속되는 제 1 위치로 이동된다. 전기콘넥터가 리셉터클콘넥터와 결합될 때, 분로 콘택트지지하우징은 리셉터클콘넥터의 리세스(175)를 둘러싸는 구조(58)와 간섭작용을 하게 되므로 분로 콘택트지지하우징은 제 2 의 위치로 이동된다. 분로 콘택트지지하우징이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전기 콘넥터로부터 들어올려져서 분로콘택트들은 콘넥터와 마찰을 일으키지 않는다.

Description

분로된 콘넥터어셈블리 및 그를 위한 분로어셈블리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분로된 콘넥터어셈블리가 되는 콘넥터에 고정된 본 발명에 따른 분로어셈블리의 사시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분로어셈블리가 고정될 수 있는 제 1 도에 도시된 전기콘넥터의 사시도;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분로어셈블리의 사시도;
제 4 도는 제 3 도의 분로어셈블리의 내부 표면의 사시도;
제 5 도는 제 4 도에 도시된 분로어셈블리의 전개 사시도;
제 6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분로어셈블리의 쉘부재의 측면도;
제 7 도는 제 6 도에 도시된 쉘부재의 부분 측단면도;
제 8 도는 상보 리셉터클콘넥터와 결합하도록 위치된 본 발명에 따른 분로된 콘넥터어셈블리의 단면도; 및
제 9 도는 리셉터클콘넥터와 결합된 분로된 콘넥터어셈블리를 도시하는 제 8 도에 유사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분로어셈블리12 : 플러그콘넥터
14 : 분로콘넥터어셈블리16 : 다중도선 케이블
18 : 콘택트20 : 도선
22 : 하우징 24 : 결합종단
26 : 배면종단 28, 30 : 측벽
34 : 랫치 아암36 : 결합 리셉터클콘넥터
38 : 케이블 수용개구42 : 스트레인 릴리프 클램프
44, 48, 50 : 리세스52 : 리셉터클콘택트
54 : 인쇄회로기판58, 60 : 차폐부
64 : 쉘부재66 : 콘택트지지하우징
68, 70 : 분로콘택트74, 76 : 채널
86, 88 : 정지부94, 96 : 모서리
100, 102 : 레그110, 112 : 횡채널
114, 116, 118, 120 : 축방향 채널122, 124, 126, 128 : 캔티레버아암
142, 144 : 플랜지150, 152 : 리세스
168, 170 : 정지부
본 발명은 분리된 전기 콘넥터의 전기 분로콘택트들에 관한 것이며, 특히 콘넥터를 상보 결합 리셉터클콘넥터로부터 분리했을 때, 분로어셈블리(shunt assembly)가 콘넥터 콘택트들의 정해진 것들을 전기적으로 공동 접속하도록 분리된 콘넥터의 콘택트들에 적용되도록 스스로 바이어스되고, 콘넥터를 상보 결합 리셉터클콘넥터에 결합할 때 분로어셈블리가 자동적으로 콘넥터 콘택트들로부터 분리되게 되는 전기 콘넥터에 사용하기 위한 분로어셈블리나 분로어셈블리를 통합한 전기 콘넥터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시스템으로 연장되는 케이블을 가진 콘넥터가 주변기기의 리셉터클콘넥터로부터 분리될 때, 분리된 케이블의 도선들의 정해진 선들은 컴퓨터 시스템에 대한 전원이 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분리되는 제한된 시간동안 전기적으로 공동접속되어야 한다. 이러한 것은 통상 주변장치로부터 분리된 때 분리된 콘넥터와 결합하기 위해 인소회로기판에 설치된 상보 리셉터클콘넥터를 제공함으로써 성취되어 왔다. 회로기판의 트레이스들은 인쇄된 회로기판 리셉터클콘넥터의 적절한 콘택트들을 따라서 대응하는 케이블 도선들을 전기적으로 공동접속시킨다. 컴퓨터들이 점점 더 빨라짐에 따라, 분리된 케이블의 도선들의 전기적 공동접속을 성취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상당히 감소시키고 있다.
케이블 콘넥터를 주변기기의 리셉터클콘넥터로부터 분리할 때 케이블의 적절한 도선들의 전기적 공동접속을 자동적으로 제공하는 분로어셈블리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미국 특허 제 4,952,170호는 콘넥터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 하우징에 분로콘택트들이 지지되는 그러한 어셈블리를 공개하고 있다. 하우징은 콘넥터가 분리되었을 때 분로콘택트들이 적당한 콘넥터 콘택트를 공동접속하는 방향으로 스프링 바이어스되어 있다. 그러나, 콘넥터를 리셉터클콘넥터와 결합할 때, 분로콘택트 하우징은 먼저 콘넥터 콘택트들로부터 회전되어야 한다. 효과적이긴 하지만, 참고 특허에 설명된 설계는 두가지 점에서 불리한 데, 첫째, 콘넥터가 결합될 때 사용자가 분로콘택트들을 비작동위치로 회전시키는 작업을 해야하며, 둘째, 분로콘택트 하우징을 회전시킬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리셉터클콘넥터들 사이에 상대적으로 큰 간격이 필요하다. 공간이 부족한 경우들이 많아서, 분로콘택트 하우징의 회전을 허용하기에는 공간이 불충하고, 또한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하우징을 조작하기 위한 공간도 불충분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분로어셈블리를 작동시키거나 작동을 중단시키는데 사용자의 조작을 요구하지 않고, 대신에 상보 결합 리셉터클콘넥터와 결합하고 분리할 때 자동적으로 기능하는 콘넥터용 분로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리셉터클콘넥터들사이의 최소공간 요건만을 가진 그러한 분로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앞서의, 그리고 추가적인 목적들이 콘넥터에 대해 미끄러질 수 있도록 설치된 하우징에 분로콘택트들이 고정되어 있는 설명된 형태의 분로어셈블리를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의 원리들에 따라 성취된다. 하우징은 제 1 위치와 제 2 위치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다. 하우징이 제 1 위치에 있을 때, 분로콘택트들은 콘넥터 콘택트들의 적절한 콘택트들을 공동접속시킨다.
하우징이 제 2 위치에 있을 때, 분로콘택트들은 콘넥터 콘택트들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바이어스수단은 하우징을 제 1 위치로 강제로 바이어스하도록 제공된다. 따라서, 전기 콘넥터가 상보 리셉터클콘넥터와 결합했을 때, 분로콘택트 하우징은 바이어스수단의 힘에 대항하여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자동적으로 움직이고, 전기 콘넥터가 상보 리셉터클콘넥터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바이어스 수단은 콘넥터 콘택트들이 적절히 공동접속되도록 분로콘택트 하우징을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분로콘택트들은 분로콘택트 하우징이 분로콘택트들과 콘넥터 하우징 사이의 마찰 결합을 제거하도록 움직이는 동안 콘넥터 하우징으로부터 횡으로 분리된다.
상기한 설명은 유사한 부품들에 대해선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 첨부도면을 참조한 다음의 보다 상세한 설명을 보면 더 분명해질 것이다.
도면들은, 통상 도면부호 14로 표시한 분로된 콘넥터어셈블리를 이루는, 통상 도면부호 12로 표시한 플러그콘넥터에 고정된 본 발명에 따른, 통상 도면부호 10으로 표시한 분로어셈블리를 도시하고 있다. 클러그 콘넥터(12)는 다중도선 케이블16을 종단접속시키며 각기 케이블(16)의 4개의 도선들(20)의 각각을 종단접속시키는 4개의 간격을 가진 콘택트들(18)을 예시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플러그콘넥터(12)는 특히 미국 특허 제4,952,170호에 기재된 일반적인 형태이며, 결합종단(24), 배면종단(26), 상부 및 하부 하우징 측벽들(28, 30) 및 서로 대향되어 마주보는 하우징 종단 벽들(34)을 가진 절연하우징(22)을 포함한다. 탄성 랫치아임들(34)은 이 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는 결합 리셉터클콘넥터(36)에 적용되도록 하우징 종단벽들(32)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케이블 수용개구(38)는 하우징(22)의 배면종단(26)으로 연장되며 그 안에 삽입된 케이블(16)을 갖는다. 케이블(16)의 도선들(20)은 개구(38)의 감소된 단면을 가진 전방부분(40)으로 연장되며, 케이블(16)은 상부 하우징 측벽(30)의 리세스(44)에 형성된 일체의 스트레인 릴리프 클램프(42)에 의해 지지수용된다. 도선들(20)은 리세스(48)에 형성된 도선 스트레인 릴리프 수단(46)에 의해 지지수용된다. 콘택트들(18)은 상부측벽(30)으로부터 내부로, 또한 결합종단(34)으로부터 내부로 연장되는 리세스들(50)에 수용된다. 예시적으로, 콘택트들(18)은 전기적으로 케이블(16)의 개개의 도선들(20)에 적용되는 절연물을 관통하는 형태이다. 플러그콘넥터(12)가 리셉터클콘넥터(36)와 결합했을 때, 콘택트들(18)은 리셉터클콘넥터(36)내의 캔티레버 스프링 리셉터클 콘택트들(52)에 적용된다. 콘택트들(52)은 판넬(56)내에서 다수의 회로들을 인쇄회로기판(54)에 접속한다.
리셉터클콘넥터(36)는 그 차폐부(58)가 콘넥터 하우징(22)을 둘러싸는 차폐부(60)에 적용되어 58에서 통상적으로 차폐된다. 제 2 도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차폐부(60)에는 리세스(44)를 노출시키는 개방윈도우(6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차폐부(60)는 플러그 콘넥터(12)가 상보 리셉터클 콘넥터(36)와 결합되었을 때, 리셉터클 콘넥터들(52)이 리세스들(50)의 개방측면들로 연장되어 각각의 콘넥터 콘택트들(18)의 노출된 콘택트부분들에 적용될 수 있도록, 리세스들(50)을 노출시킨다. 제 5 도의 전개 사시도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분로어셈블리(10)는 쉘부재(64), 콘택트지지하우징(66), 분로콘택트들(68, 70) 및 헬리컬 압축 스프링(72)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쉘부재(64)는 두개의 채널들을 갖도록 금속시이트 재료로부터 스탬핑 성형된 것이지만 또한 같은 기능들을 제공하는 모울드된 플라스틱 부재일 수도 있다. 쉘부재(64)의 제 1 채널(74)은 그 안에 플러그 콘넥터(12)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제 2 채널(76)은 그 안에 콘택트지지하우징(66)과 스프링(72)을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쉘부재(64)는 쉘부재(64)가 그 위에 설치될 때 플러그 콘넥터(12)의 하우징 종단벽들(32)에 적용될 제 1 채널(74)을 위해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대향된 측벽들(78, 80)을 포함한다. 바닥벽들(82, 84)은 각기 측벽들(78, 80)로부터 연장되며, 각기 대향된 측벽을 향해 있다.
바닥벽들(82, 84)이 내부 표면들은 쉘부재(64)가 그 위에 설치될 때 플러그 콘넥터(12)의 측벽(28)에 적용된다. 바닥벽들(82, 84)의 연장부들(86, 88)은 플러그 콘넥터(12)이 후방종단(26)에 적용되는 정지부들을 제공하도록 제 1 채널(74)쪽으로 위로 굽혀져 있다. 측벽들(78, 80)의 부분들은 절단되어 굽혀져 플러그 콘넥터(12)의 측벽(30)에 적용되는 제 1 채널(74)의 상단벽들(90, 92)을 형성한다. 상단벽들(90, 92)의 모서리들(94, 96)은, 각기, 약간 구부러져서 제 1 채널(74)로 연장된다. 따라서, 쉘부재(64)를 플러그 콘넥터(12)에 설치하기 위해서, 쉘부재(64)의 전방종단(98)은 플러그 콘넥터(12)의 후방종단(26)위로 미끄러져서 플러그 콘넥터(12)의 후방종단(26)이 정지부들(86, 88)에 접할 때까지 그 위로 움직인다. 동시에, 모서리들(94, 96)은 차폐부(60)위로 올라가게 되고 상단벽들(90, 92)이 플러그 콘넥터(12)로부터 구부러지게 한다. 이 부분들은 플러그 콘넥터(12)의 후방종단(26)이 정지부(86, 88)에 도달할 때, 구부러진 모서리들(94, 96)이 차폐부(60)의 윈도우(62)로 들어가 플러그 콘넥터(12)가 제 1 채널(74)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정지부들을 제공하도록 형성된다.
콘택트 지지하우징(66)은 절연재질로 모울드되며 그 후방종단으로부터 연장하는 한쌍의 이격된 레그들(100, 102)을 가진 일반적으로 박스형의 몸체부분을 가진다. 레그들(100, 102)은 반대로 향한 측면 턱들(104, 106)로 그 거의 종단들에서 종단접속되며, 그 목적은 이하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하우징(66)의 전방종단에서, 내부 표면(108)은 콘택트들(68, 70)을 미국 특허 제 4,952,170호에 설명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수용하도록 내부표면(108)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된 횡 채널들(110, 112)과 축방향 채널들(114, 116, 118, 120)을 가진다. 축방향 채널들(114, 116, 118, 120)은 내부표면(108)을 가로질러 간격을 가져서 콘넥터 콘택트들(18)의 위치와 수에 대응한다. 축방향 채널들(114, 118)은 횡채널(110)과 교차하며 그 안에, 각기, 캔티레버 아암들(122, 124)을 구비한 분로콘택트(68)를 수용한다. 마찬가지로, 축방향 채널들(116, 120)은 횡채널(112)과 교차하며 그안에, 각기, 캔티레버아암들(126, 128)을 구비한 분로콘택트(70)를 수용한다. 분로콘택트(68, 70)는 그 각각의 캔티레버 아암들의 길이들만을 빼면 거의 동일하다. 분로콘택트들(68, 70)의 각각은 각각의 캔티레버아암들이 연장되는 연결몸체부재(130, 132)를 가진다. 연결몸체부재들(130, 132)은 각기, 횡채널들(110, 112)에 수용된다. 각각의 캔티레버아암들(122, 124, 126, 128)에는 각기 각각의 콘넥터 콘택트들(18)에 적용되는 원호형 굽힘부분(134, 136, 138, 140)이 형성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선 상세히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각각의 연결몸체부재들(130, 132)에는 특히 분로 콘택트들(68, 70)을 그들의 각각의 채널들에 고정하기 위해 안정돌출부와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분로콘택트 하우징(66)의 몸체부분의 전방종단에는 채널들(114, 116, 118, 120)에 인접하여 측면을 형성하는 한쌍의 몸체 부분들이나 플래지들(142, 144)이 거기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들(142, 144)은 내부표면(108)으로부터 횡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후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플랜지들(142, 144)에는 각기 캠표면들(146, 148)이 형성되어 있어서, 콘넥터 하우징(22)에 형성된, 각각의 리세스들(150, 152)과 작용한다. 리세스들(150, 152)은 그 측벽(30)으로부터 콘넥터 하우징(22)으로 연장되며 콘넥터 콘택트들(18)이 배치되는 리세스들(50)의 측면을 형성한다.
분로콘택트 하우징(66)을 앞서 언급한대로 지지하기 위해, 쉘부재(64)에는 측벽들(156, 158)과 바닥벽들(160, 162)에서 연장되는 상단벽(154)으로 형성된 제 2 채널 (76)이 형성되어 있다. 그 후방 종단에, 상단벽(154)이 구부러져 후방벽(164)을 형성하며, 그 일부가 절단되고 구부려져 제 2 채널(76)로 전방으로 연장하는 탭(166)을 형성한다. 또한, 측벽들(156, 158)은 각기 수평의 U자형으로 절단되어 내부로 구부러져서, 각기, 탄성적인 일방 정지부들(168, 170)을 형성한다. 분로어셈블리(10)가 조립되면, 스프링(72)은 제 2 채널(76)로 삽입되어 탭(166)은 그 제 1 종단으로 들어가 스프링(72)의 측면운동을 방지한다. 스프링(72)의 다른 종단은 분로콘택트지지하우징(66)의 레그들(100, 102) 사이로 가고, 하우징(66)은 이어서 쉘부재(64)의 전방(98)으로부터 제 2 채널(76)로 삽입된다. 이러한 삽입동안, 턱들(104, 106)이 거길 통과할 때까지 정지부들(168, 170)은 외부로 휘어진다. 그런 다음 정지부들(168, 170)은 안쪽으로 되돌아와 턱들(104, 106)을 간섭하여 하우징(66)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단벽(154)은 그 전방종단에서 절단되어 굽혀져서 하우징(66)의 외부표면 (174)을 지탱하는 일체의 스프링 핑거(172)를 형성한다.
제 1 도와 제 8 도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플러그 콘넥터(12)가 분리되거나 해체된 상태에서 스프링(72)은 분로콘택트 하우징(66)을 제 2 채널(76)로부터 전기적으로 케이블(16)의 적절한 도선들(20)을 공동접속시키기 위하여 분로콘택트들(68, 70)이 콘택트들(18)에 적용되는 연장된, 또는 제 1 의 위치로 외부로 밀리게 한다. 하우징(66)이 그 제 1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플랜지들(142, 144)은 콘넥터 하우징(22)의 리세스들(150, 152)에 수용된다. 리세스들(150, 152)은 플랜지들(142, 144)을 완전히 수용하기에 충분한 깊이를 가져서 분로콘택트들(68, 70)의 원호형부분들(134, 136, 138, 140)이 노출된 콘넥터 콘택트들(18)에 적용될 수 있게 한다. 스프링(72)은 하우징(66)을 그 제 1 위치로 강제로 미는 힘을 제공하며 스프링핑거(172)는 분로콘택트들(68, 70)이 콘택트들(18)에 적용되도록 하우징(66)을 횡으로 미는 힘을 제공한다. 하우징(66)을 이후 설명될 후퇴된 위치로부터 그 제 1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하우징(66)의 외부표면(174)에 스프링 핑거(172)가 제공하는 마찰력을 극복하기에 충분한 힘을 제공하도록 스프링(72)을 선택해야 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콘넥터(12)가 리셉터클콘넥터(36)와 결합했을 때, 콘넥터 하우징(22)의 결합종단(24)은 리셉터클콘넥터(36)의 리세스(176)로 삽입된다. 콘넥터 하우징(22)이 리셉터클 리세스(176)로 연장됨에 따라, 분로콘택트 지지하우징(66)의 전방종단이 리세스(176)로의 개구를 둘러싸는 차폐부(58)와 간섭결합하게 된다. 또한, 콘넥터하우징(22)의 리세스(176)로의 움직임이 분로콘택트지지하우징(66)이 스프링(72)의 미는 힘에 대항하는 연장된 위치로부터, 제 9 도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2 채널(76)내의 후퇴된, 또는 제 2 위치로 이동하게 한다. 콘택트지지하우징(66)이 그 후퇴된 위치에 있으면, 분로콘택트들(68, 70)은 콘넥터 콘택트들(18)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분로콘택트지지하우징(66)이 그 제 1 위치로부터 그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플랜지들(142, 144)의 캠표면들(146, 148)은 분로콘택트지지하우징(66)을 플러그 콘넥터(12)의 측벽(30)으로부터 횡으로 이동시키도록 리세스들(150, 152)의 후방벽들과 연합한다. 플랜지들(142, 144)은 그들이 분로콘택트지지하우징(66)의 내부표면(108)으로부터 분로콘택트들(68, 70)의 원호형 부분들(134, 136, 138, 140)보다 더 멀리 연장되는 충분한 크기이다. 따라서, 분로콘택트들(68, 70)의 원호형 부분들(134, 136, 138, 140)은 플러그콘넥터(12)와 결합되지 않으므로 통상적으로 금도금되는 원호형 부분들(134, 136, 138, 140)의 표면들에 역으로 영향을 미칠 수도 있는 그 사이의 마찰을 방지하게 된다.
플러그콘넥터(12)가 리셉터클 리세스(176)를 떠남에 따라 콘넥터(12)가 리셉터클콘넥터(36)로부터 분리될 때, 압축 스프링(72)이 발생시킨 힘은 스프링 핑거(172)가 제공한 하우징(66)에의 마찰력을 극복하여, 하우징(66)이 그 후퇴된 위치로부터 그 연장된 위치로 이동하게 하며, 거기서 분로콘택트들(68, 70)의 원호형 부부들(134, 136, 138, 140)은 콘택트들(18)에 적용되어 케이블(16)의 도선들(20)의 적절한 것들을 공동접속시키게 된다. 분로콘택트하우징(66)이 그 후퇴된 위치로부터 그 연장된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플랜지들(142, 144)은 분로콘택트들(68, 70)의 원호형 부부들(134, 136, 138, 140)과 콘넥터(12)사이의 원하는 간극을 유지한다.
분로콘택트지지하우징(66)의 이동은 일반적으로 선형이며, 헬리컬 압축스프링(72)의 중심축은 일반적으로 하우징(66)의 이동선을 따라 있어서 하우징(66)이 반복가능한 자동적으로 자진작동하는 이동을 하게 되는 단순한 구성을 가지게 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분로콘택트들에 적용하거나 분리시키는 작업자의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는 자동 작용을 제공하는 개선된 분로된 콘넥터어셈블리와 그를 위한 분로어셈블리가 설명되었다. 또한, 상보 리셉터클콘넥터와의 결합이나 분리동안 어셈블리의 횡적인 팽창이 없으므로 디자인이 캠팩트하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설명되어 있지만, 설명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수정들과 응용들이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을 가진 사람들에겐 분명할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Claims (5)

  1. 각기 상기 하우징의 측벽의 개방부분을 따라 노출된 콘택트 부분을 갖는 복수의 간격을 가진 콘택트들이 그 안에 수용된 하우징을 가진 전기콘넥터; 상기 콘넥터 하우징에 설치된 쉘부재; 및 상기 콘넥터의 상기 간격을 가진 콘택트들의 각각의 쌍들의 각각의 노출된 콘택트부분들의 표면에 적용되기 위한 수단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분로콘택트를 포함하는 분로콘넥터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쉘부재에 미끄러질 수 있게 설치된 콘택트지지하우징이 적어도 하나의 분로콘택트를 가지며, 상기 콘택트 지지하우징이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상기 쉘부재에 대해 일반적으로 선형으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쉘부재에 연관되어 있으며 상기 콘택트지지하우징을 상기 제 1 위치로 강제로 미는 힘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콘택트지지하우징에 적용되는 바이어스 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콘택트지지하우징이 상기 제 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분로콘택트가 간격을 가진 콘택트들의 상기 쌍에 적용되고, 상기 콘택트지지하우징이 상기 제 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분로콘택트가 간격을 가진 콘택트들의 상기 쌍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되게 되어, 상기 전기 콘넥터가 상보 리셉터클콘넥터와 결합되었을 때, 상기 콘택트지지하우징이 상기 리셉터클콘넥터의 리세스를 둘러싸는 구조와 간섭 작용을 하게 되어 상기 콘택트지지하우징이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바이어스 수단이 제공하는 힘에 대항하여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하게 되며 상보 리셉터클콘넥터의 콘택트들이 상기 간격을 가진 콘택트들의 상기 노출된 콘택트부분들에 적용되며, 상기 전기콘넥터가 상기 상보 리셉터클콘넥터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상기 바이어스 수단이 상기 콘택트지지하우징을 상기 제 2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분로콘택트가 상기 간격을 가진 콘택트들의 쌍의 상기 노출된 콘택트 부분들에 적용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로콘넥터어셈블리.
  2. 상기 바이어스 수단이 상기 쉘 부재내에 설치된 압축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압축스프링이 일반적으로 헬리컬이며 상기 콘택트지지하우징의 이동선을 따라 일반적으로 배열된 중심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의 분로콘넥터어셈블리.
  3. 상기 분로콘택트 적용수단을 상기 콘넥터 하우징으로부터 그 사이의 마찰작용없이 횡으로 분리하기 위해 상기 콘택트지지하우징이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콘택트 지지하우징을 상기 콘넥터 하우징으로부터 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의 분로콘넥터어셈블리.
  4. 상기 콘넥터 하우징에 벽의 개방부분에 인접에 리세스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동수단이 상기 콘택트지지하우징에 형성된 몸체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로콘택트에 인접한 상기 콘택트지지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상기 콘택트지지하우징이 상기 제 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리세스에 들어가기에 적합하며, 상기 몸체부분은 상기 콘택트지지하우징이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리세스의 벽과 상호작용하여 상기 콘택트지지하우징을 상기 콘넥터 하우징의 횡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그 위에 형성된 캠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3 항의 분로콘넥터어셈블리.
  5. 상기 콘택트지지하우징이 상기 제 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분로콘택트 적용수단을 상기 간격을 가진 콘택트들의 쌍쪽으로 횡으로 밀기 위한 제 2 바이어스 수단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의 분로콘택트어셈블리.
KR1019940008065A 1993-05-04 1994-04-18 분로된 콘넥터어셈블리 및 그를 위한 분로어셈블리 KR01395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058,555 1993-05-04
US08/058,555 US5346405A (en) 1993-05-04 1993-05-04 Shunted connector assembly and shunt assembly therefor
US8/058,555 1993-05-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7230A KR940027230A (ko) 1994-12-10
KR0139588B1 true KR0139588B1 (ko) 1998-07-01

Family

ID=22017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8065A KR0139588B1 (ko) 1993-05-04 1994-04-18 분로된 콘넥터어셈블리 및 그를 위한 분로어셈블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346405A (ko)
EP (1) EP0623978A1 (ko)
JP (1) JPH06314582A (ko)
KR (1) KR0139588B1 (ko)
CN (1) CN1094862A (ko)
TW (1) TW21893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39266A (en) 1994-01-11 1997-06-17 Stewart Connector Systems, Inc. High frequency electrical connector
US5558529A (en) * 1994-08-02 1996-09-24 Burndy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shunt system
FR2726130A1 (fr) * 1994-10-20 1996-04-26 Amp France Borne electrique a fiche plate et assemblage de connecteurs electriques
US5599209A (en) * 1994-11-30 1997-02-04 Berg Technology, Inc. Method of reducing electrical crosstalk and common mod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and modular jack for use therein
US5702271A (en) * 1996-08-30 1997-12-30 The Whitaker Corporation Ultra low profile board-mounted modular jack
US6056568A (en) * 1999-01-25 2000-05-02 Lucent Technologies, Inc. Selectable compatibility electrical connector jack
US6168472B1 (en) * 1999-01-25 2001-01-02 Lucent Technologies Inc. Selectable compatibility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6139343A (en) * 1999-01-25 2000-10-31 Lucent Technologies Inc. Selectable compatibility electrical connector plug
TW446663B (en) * 1999-03-29 2001-07-21 Shimano Kk Bicycle device with a break-away attachment for a connecting cable
US6079996A (en) * 1999-04-15 2000-06-27 Lucent Technologies Inc. Selectable compatibility electrical connector jack
US6074256A (en) * 1999-04-15 2000-06-13 Lucent Technologies Inc. High performance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3502787B2 (ja) * 1999-05-19 2004-03-0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US6059578A (en) * 1999-05-28 2000-05-09 Lucent Technologies Inc. Selectable compatibility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DE10029649C9 (de) * 2000-06-15 2008-02-07 Adc Gmbh Verteileranschlußmodul für die Telekommunikations- und Datentechnik
JP2002042969A (ja) * 2000-07-26 2002-02-08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US6464520B2 (en) 2000-11-16 2002-10-15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nnector
US6358093B1 (en) 2001-02-07 2002-03-19 Adc Telecommunications, Inc. Normal through jack and method
US6554653B2 (en) 2001-03-16 2003-04-29 Adc Telecommunications, Inc. Telecommunications connector with spring assembly and method for assembling
JP3775345B2 (ja) * 2002-05-28 2006-05-1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4407225B2 (ja) * 2003-10-07 2010-02-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描画方法
US7157900B2 (en) * 2004-02-27 2007-01-02 Invensys Systems Inc. Removable breaking calibration connector for toroidal conductivity sensor and method of calibration
US7361047B2 (en) * 2006-09-01 2008-04-22 Michael Strahl Replacement depressible tab for modular telecommunications plug
JP2008159504A (ja) * 2006-12-26 2008-07-10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US7540756B1 (en) 2008-01-25 2009-06-02 Michael Strahl Replacement depressible tab for modular telecommunications plug
US7708581B2 (en) * 2008-04-02 2010-05-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placement clip and method for repairing a modular cable connector having a broken locking clip
JP5498883B2 (ja) 2010-04-27 2014-05-2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US9531135B2 (en) 2013-03-15 2016-12-27 CommScope Connectivity Spain, S.L. Telecommunications jack with switchable circuit configurations
CN105531881B (zh) * 2013-07-15 2019-04-23 泰科电子安普西班牙公司 用于高速数据传输的电信插头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60316A (en) * 1973-07-06 1975-01-14 Western Electric Co Electrical connecting devices for terminating cords and methods of assembling the devices to cords
US3903385A (en) * 1973-10-25 1975-09-02 E Advanced Packaging Inc Sa Shorting bar switch in electrical connector biasing assembly
US4221458A (en) * 1978-09-08 1980-09-09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receptacle
US4224486A (en) * 1979-03-05 1980-09-23 Amp Incorporated Shunt protected power connector
US4781626A (en) * 1982-09-24 1988-11-01 Amp Incorporated Keying system for connector families
US4457575A (en) * 1982-09-21 1984-07-03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shielding and keying systems
US4744769A (en) * 1984-12-20 1988-05-17 Amp Incorporated Closed loop connector
US4602833A (en) * 1984-12-20 1986-07-29 Amp Incorporated Closed loop connector
US4952170A (en) * 1989-02-23 1990-08-28 Amp Incorporated Shunted connector assembly and interdigitated shunt assembly therefor
JPH0620303Y2 (ja) * 1989-08-09 1994-05-25 富士重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の結合確認装置
JP2509743Y2 (ja) * 1990-08-28 1996-09-04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5190464A (en) * 1991-03-29 1993-03-02 Chian Chyun Enterprise Co. Ltd.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with contact shunting arran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23978A1 (en) 1994-11-09
CN1094862A (zh) 1994-11-09
TW218937B (en) 1994-01-11
US5346405A (en) 1994-09-13
KR940027230A (ko) 1994-12-10
JPH06314582A (ja) 1994-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9588B1 (ko) 분로된 콘넥터어셈블리 및 그를 위한 분로어셈블리
JP2787307B2 (ja) コネクタ
US5435744A (en) Sliding boot assembly for electrical connector
US3569909A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improved latching means
US5445538A (en) Electrical connector strain relief
KR970004148B1 (ko) 암수형 이중 잠금 커넥터
KR100326492B1 (ko) 플러그 커넥터 및 소켓 커넥터
KR100360187B1 (ko) 안내 핀 래칭 시스템을 구비한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970004151B1 (ko) 실드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US6382992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camming system
TW201444196A (zh) 連接器
JPH0226348B2 (ko)
JPH0227674A (ja) 電気コネクタ
JP2539183B2 (ja) ケ―ブル・シ―ルド接地クリップを備えた電気コネクタ
JPH09506207A (ja) Ic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US5967845A (en) Card connector assembly
JPH04233022A (ja) シールド付き雌型電気コネクタ
JP2000215955A (ja) 選択自在で互換性のある電気コネクタ・ジャック
US5538440A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conductor holding block
US5681180A (en) Conductor holding block for an electrical connector
US7077703B2 (en) Plug connector
EP0619624B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cable
US4203643A (en) Electrical ribbon connector and hood
EP1383203A2 (en) Anti-overstress electrical connector
JP3009831B2 (ja) 電気コネクタのために改善されたコネクタ保持ブロ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