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9462Y1 - 맨홀 인상용 크립 - Google Patents

맨홀 인상용 크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9462Y1
KR0139462Y1 KR2019950048528U KR19950048528U KR0139462Y1 KR 0139462 Y1 KR0139462 Y1 KR 0139462Y1 KR 2019950048528 U KR2019950048528 U KR 2019950048528U KR 19950048528 U KR19950048528 U KR 19950048528U KR 0139462 Y1 KR0139462 Y1 KR 01394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creep
main body
lid
im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85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9409U (ko
Inventor
윤복동
Original Assignee
윤이동
금비주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이동, 금비주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이동
Priority to KR20199500485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9462Y1/ko
Publication of KR9700394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94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94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94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02D29/1409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adjustable in height or inclin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1Height being adjustable
    • E02D2200/115Height being adjustable with separate pie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하수도 및 도시가스 등 각종 맨홀에 있어 도로상에 설치된 맨홀을 인상하고자 할 때 그 맨홀인상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하여 교통체증현상을 유발시키지 않도록 함과 동시 인상작업 후의 상태가 견고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대형트럭에 의한 손상 내지 파괴현상이 없는 맨홀 인상용 크립에 관한 것으로, 맨홀의 상부동체와 뚜껑 사이에 개재되는 인상용 크립의 본체의 하측에 상기 상부동체의 내측에 형성시킨 요입재치턱에 꼭맞게 삽입,재치되게 돌출시킨 하측삽치부와, 상기 인상용 크립의 본체 상측에는 상기 하측삽치부와 거의 같은 규격을 가지며 뚜껑의 주연부를 수용하는 상측요입재치부와, 상기 인상용 크립의 본체 상측에 상기 상측요입재치부를 형성시키는 상측돌출부 및 상기 인상용 크립의 본체 주연부에는 등간격으로 돌설되고, 구멍이 형성되어 재포장노면에 매설되는 회전방지돌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맨홀 인상용 크립
제1도는 본 고안의 설치전 상태의 맨홀과 뚜껑의 결합상태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시공상태 단면도.
제3도의 (a)(b)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단면도로서,
(a)도는 인상용 크립을 1단으로 설치한 경우이며,
(b)도는 인상용 크립을 2단으로 설치한 경우이다.
제4도는 본 고안의 인상용 크립의 평면도.
제5도의 (a)(b)(c)도는 본 고안과 맨홀 및 뚜껑과의 규격 비교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맨홀 2 : 상부동체
3 : 요입재치턱 4 : 뚜껑
5.78 : 패킹홈 6 : 환형패킹
7 : 인상용 크립의 본체 8 : 이완방지패킹
71 : 하측삽치부 72 : 패킹삽착홈
73 : 이완방지턱 74 : 상측요입재치부
75 : 상측돌출부 76 : 회전방지돌편
77 : 구멍 9 : 앵커
[산업상 이용분야]
본 고안은 상,하수도 및 도시가스 등 각종 맨홀에 있어 도로상에 설치된 맨홀을 인상하고자 할 때 그 맨홀인상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하여 교통체증현상을 유발시키지 않도록 함과 동시 인상작업 후의 상태가 견고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대형트럭에 의한 손상 내지 파괴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맨홀 인상용 크립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일반적으로 상,하수도용 맨홀은 도로상에 많이 설치되어 있으며, 포장도로의 경우에는 도로 재 포장시 노면이 상승하게 되기 때문에 맨홀의 인상작업이 반드시 수반되어 왔었다.
또한 맨홀의 경우는 주로 맨홀 자체가 콘크리트로 구축되어 왔었기 때문에 맨홀 인상작업시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게 되어 맨홀을 인상하는 작업현장에는 장기간동안 교통통행을 차단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맨홀이 실용신안 공고번호 제81-1133호, 제83-1812호, 제87-3582호 및 제91-9088호 등이 고안된 바 있었다.
상기 실용신안 공고번호 제81-1133호와 제83-1812호의 경우는 맨홀 하부동체위에 상부동체를 얹어 놓은 다음 상기 상부동체에 뚜껑을 조립하였다가 맨홀을 인상하고자 할 때에는 뚜껑과 상부동체를 들어낸 후 맨홀 하부동체의 상단플렌지 위에 다수 개로 분할된 분할편을 배열한 다음 상기 배열된 분할편 위에 상부동체를 안착시키면서 보울트로서 상부동체, 분할편 및 맨홀 하부동체를 체결하는 방법으로 맨홀 뚜껑을 일정 높기로 인상시키는 구조의 고안이며, 상기 실용신안 공고번호 제87-3582호의 경우는 맨홀의 하부동체 위에 상부동체를 올려 놓은 다음 뚜껑을 조립하는 구조로서 맨홀을 구성한 후 맨홀 인상작업시에는 뚜껑과 상부동체를 들어내고 하부동체 위에 조절륜을 개재시킨 다음 보울트로서 상부동체, 조절륜 및 하부동체를 체결하는 구조로 된 고안이며, 상기 실용신안 공고번호 제91-9088호의 경우는 맨홀의 하부동체와 상부동체 및 뚜껑을 차례로 조립하여 맨홀을 구성한 후 맨홀의 인상작업시에는 뚜껑과 상부동체를 해체하고 하부동체 위에 수개로 분할된 분할호형체를 원형으로 배열한 다음 다시 상부동체를 조립한 후 보울트로서 체결하도록 된 고안이다.
[종래기술의 문제점]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고안들은 모두 하부동체와 상부동체 사이에 분할편 또는 재치륜을 개재시킨 다음 보울트로서 체결하도록 된 것이므로 맨홀을 인상시키는 그 자체에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하겠지만 인상작업시 뚜껑과 상부동체를 들어낸 다음 다시 상부동체를 재조립하는 작업과 다수개의 보울트를 체결하는데 따른 작업이 매우 번거로워 인상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점은 교통이 빈번한 도로상에서는 장시간 동안 교통체증을 유발시키게 되므로서 통행자들에게 상당한 불편을 야기시키게 되며, 또한 종래의 고안들은 상부동체와 하부동체 사이에 개재되는 인상용 부재(분할편 또는 재치륜 등)를 보울트로서 체결하였기 때문에 맨홀 위를 통행하게 되는 대형트럭의 진동에 의하여 보울트가 풀리거나 또는 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손상 내지 파괴되는 현상이 다반사하게 발생되어 최근에 들어서는 적용대상에서 제외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고안은 종래와 같이 인상작업에 장시간이 요구되고 대형트럭의 하중과 진동을 견디지 못하는데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맨홀의 하부동체와 뚜껑 사이에 보울트의 체결조립없이 인상용 크립을 개재시키는 간편한 방법으로 일정 높이로 맨홀을 인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또한 대형트럭의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조립구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으며, 또 다른 목적으로는 대형트럭의 통행시 발생되는 진동에 충분히 견디면서 맨홀 뚜껑과 인상용 크립이 위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맨홀 인상용 부재를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맨홀의 상부동체와 뚜껑 사이에 회전방지돌편이 형성된 인상용 크립의 본체를 개재시키는 것에 있어서,
상기 인상용 크립의 본체의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동체의 내측에 형성시킨 요입재치턱에 꼭맞게 삽입, 재치되게 돌출시킨 하측삽치부의 외주면에 하향으로 갈수록 넓은 외경을 가지도록 경사진 패킹삽착홈과; 상기 패킹삽착홈의 하단부에 형성된 이완방지턱과; 상기 패킹삽착홈과 이완방지턱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동체의 요입재치턱 상측의 내경과 밀착되거나 기 설치된 인상용 크립의 본체의 상측돌출부 내경과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원추형의 이완방지패킹을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실시예]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설치전 상태의 맨홀과 뚜껑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며, 제2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시공상태 단면도이고, 제3도의 (a)(b)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단면도로서, (a)도는 인상용 크립을 1단으로 설치한 경우이며, (b)도는 인상용 크립을 2단으로 설치한 경우이고, 제4도의 (a)(b)(c)도는 본 고안과 맨홀 및 뚜껑과의 규격 비교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부호 1은 맨홀을 표시하는 것으로, 상기 맨홀(1)의 상부동체(2)에는 내측으로 요입재치턱(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요입재치턱(3)으로는 뚜껑(4)의 주연부(4a) 전체가 삽입되어 재치되는 것이며, 상기와 같이 요입재치턱(3)에 재치된 뚜껑(4)의 상면은 상부동체(2)의 상단부와 수평한 상태를 이루게 된다.
한편, 상기 요입재치턱(3)에 형성된 패킹홈(5)에는 환형패킹(6)을 삽착하므로서 제1도의 도시예와 같이 맨홀(1)과 뚜껑(4)이 노면(G)과 평탄하게 설치되었을시 뚜껑(4)에 가해지는 충격을 환형패킹(6)이 흡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맨홀(1)이 설치된 포장도로를 보수하기 위하여 일정높이로 재포장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맨홀(1)의 뚜껑(4)을 상부동체(2)에서 들어낸 다음 인상용 크립의 본체(7)를 상부동체(2)에 재치시키는데, 상기 인상용 크립의 본체(7)에는 상부동체(2)의 내측에 형성된 요입재치턱(3)에 꼭맞는 깊이로 삽입,재치되는 하측삽치부(7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측삽치부(71)의 외주면에는 단면이 역사다리꼴모양을 이루는 원추형의 이완방지패킹(8)이 결착되는 패킹삽착홈(72)과 이완방지턱(73)을 형성하였으며, 상기 인상용 크립의 본체(7) 상측으로는 하측삽치부(71) 및 뚜껑(4)의 주연부(4a)를 수용할 수 있는 상측요입재치부(74)와 상측돌출부(7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인상용 크립의 본체(7) 외주연은 상부동체(2)의 상단에 받쳐주며 일정간격으로 회전방지돌편(76)을 돌설하였으며, 회전방지돌편(76)에는 노면(G)에 앵커(9)를 박아주기 위한 구멍(77)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상측요입재치부(74)에도 환형패킹(6)을 삽착시킬 수 있는 패킹홈(78)을 형성하여 뚜껑(4)을 상측요입재치부(74)에 삽입,재치시켰을 경우 뚜껑(4)이 환형패킹(6)에 접촉하면서 인상용 크립의 본체(7)와 수평하게 재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인상용 크립의 본체(7)로서 맨홀(1)의 인상높이인 재포장노면(g1)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 만큼 인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3도의 (a)도 참조)
상기와 같은 인상용 크립으로서 맨홀(1)을 재포장노면(g1)의 높이 만큼 인상시킬 수 있게 됨을 제5도의 규격 비교도로서 설명하면, 맨홀(1)의 상부동체(2)에 형성된 요입재치턱(3)의 깊이(H1)와, 인상용 크립의 본체(7)의 하측삽치부(71)의 길이(H2) 및 상측요입재치부(74)의 깊이(H3), 그리고 뚜껑(4)의 주연부(4a)의 두께(H4)는 약 1mm 내외의 미세한 차이만 있을 뿐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는데, 이는 상부동체(2)의 요입재치턱(3) 및 인상용 크립의 본체(7)의 상측요입재치부(74)의 패킹홈(78)에 끼워진 환형패킹(6)들이 패킹홈(5)(78)에서 약간 돌출되어 완충작용을 할 수 있도록 배려한 점을 감안하여 뚜껑(4) 및 인상용 크립의 본체(7)가 상부동체(2)에 완충력을 받으면서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맨홀(1)의 상부동체(2)에 형성된 요입재치틱(3)에 재치되는 뚜껑(4)의 주연부(4a) 또는 인상용 크립의 본체(7)의 하측삽치부(71)는 똑같이 꼭맞게 재치되는 것이며, 또한 인상용 크립의 본체(7)의 상측요입재치부(74)에도 뚜껑(4)의 주연부(4a)가 꼭맞게 삽입,재치되므로서 인상용 크립의 본체(7)를 1단으로 하여 맨홀(1)을 인상시킨 경우 맨홀(1)의 뚜껑(4)을 재포장노면(g1)과 평탄하게 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3도의 (b)도와 같이 인상용 크립의 본체(7)를 2단으로 설치하여 맨홀을 인상시킬 경우에 있어서도 인상용 크립의 본체(7)의 상측요입재치부(74)에 하측삽치부(71)가 꼭맞게 끼이게 되므로서 2단 설치한 경우에도 안정성을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의 특징은 상기 인상용 크립의 본체(7)의 하측삽치부(71) 외주면에 형성된 패킹삽치홈(72)에 원추형의 이완방지패킹(8)을 설치하는데 있다. 즉, 상기 이완방지패킹(8)은 그 단면이 역사다리꼴모양으로 되어 있으므로 하측삽지부(71)를 상부동체(2)의 요입재치턱(3) 또는 상측요입재치부(74)에 삽입시키는 작업이 용이하며, 삽입시켰을 때 상기 이완방지패킹(8)이 약간 압축되는 작용이 나타나도록 하였는데, 상기와 같이 이완방지패킹(8)이 약간 압축되는 작용으로 인상용 크립의 본체(7)가 상부동체(2) 또는 기 설치된 인상용 크립의 본체의 상측요입재치부(74)의 내경부에 탄력적으로 삽입되면서 상,하,좌,우로의 진동작용을 저지하여 인상용 크립 본체(7)가 이탈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 충격을 흡수하는 작용을 하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1단 및 2단으로 설치된 인상용 크립의 본체(7)에서 일정간격으로 돌출된 회전방지돌편(76)이 재포장노면(g1)(g2)에 매설된 상태가 됨과 동시 구멍(77)에 타설된 앵커(9)에 의하여 인상용 크립의 본체(7)가 더욱 튼튼히 설치되는 효과와 함께 회전이동이 절대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맨홀의 상부동체에서 뚜껑을 들어낸 후 인상용 크립의 본체를 상부동체 위에서 얹어 주는 간편한 방법으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서 종래와 같이 보울트를 체결하는데 소요되는 조립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맨홀의 상부동체 내측으로 삽입되는 하측삽지부(71)의 삽입깊이가 길고 또 이완방지패킹에 의하여 이탈이 방지됨과 동시 충격을 흡수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설치상태를 견고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와 같은 효과는 상부동체의 요입재치턱과 인상용 크립 본체의 상측요입재치부에 설치되는 환형패킹과 함께 인상용 크립 및 뚜껑을 완충적으로 받쳐주게 되므로 대형트럭이 맨홀 위를 통행하는데 따른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게 하는 효과와 대형트럭의 통행시 인상용 크립 본체 및 뚜껑이 이완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본 고안은 맨홀인상작업시 소요되는 시간을 종래에 비하여 훨씬 짧게 단축시킬 수 있게 되어 교통량이 빈번한 도로에서는 교통체증을 유발시키지 않는 부수적인 효과를 가져다주는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맨홀(1)의 상부동체(2)와 뚜껑(4) 사이에 회전방지돌편(76)이 형성된 인상용 크립의 본체(7)를 개재시키는 것에 있어서, 상기 인상용 크립의 본체(7)의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동체(2)의 내측에 형성시킨 요입재치턱(3)에 꼭맞게 삽입,재치되게 돌출시킨 하측삽치부(71)의 외주면에 하향으로 갈수록 넓은 외경을 가지도록 경사진 패킹삽착홈(72)과; 상기 패킹삽착홈(72)의 하단부에 형성된 이완방지턱(73)과; 상기 패킹삽착홈(72)과 이완방지턱(73)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동체(2)의 요입재치턱(3) 상측의 내경에 밀착되거나 기 설치된 인상용 크립의 본체(7)의 상측돌출부(75) 내경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단면이 역사다리꼴모양으로 된 원추형의 이완방지패킹(8)을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인상용 크립.
KR2019950048528U 1995-12-27 1995-12-27 맨홀 인상용 크립 KR01394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8528U KR0139462Y1 (ko) 1995-12-27 1995-12-27 맨홀 인상용 크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8528U KR0139462Y1 (ko) 1995-12-27 1995-12-27 맨홀 인상용 크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9409U KR970039409U (ko) 1997-07-29
KR0139462Y1 true KR0139462Y1 (ko) 1999-04-01

Family

ID=19439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8528U KR0139462Y1 (ko) 1995-12-27 1995-12-27 맨홀 인상용 크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946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0657A (ko) * 2015-05-04 2016-11-14 김광수 맨홀의 악취 차단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0657A (ko) * 2015-05-04 2016-11-14 김광수 맨홀의 악취 차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9409U (ko) 1997-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039510A1 (en) Jump-proof manhole/handhole
US7487879B2 (en) Fuel filler cap
KR0139462Y1 (ko) 맨홀 인상용 크립
KR20020091134A (ko) 잠금수단을 가진 맨홀
US4608787A (en) Manhole seal construction
KR102167032B1 (ko) 교체가 간편한 교량받침
KR200428458Y1 (ko) 앵커볼트 보호캡
KR200272128Y1 (ko) 높이조절용 맨홀
KR200175366Y1 (ko) 상하이동이 가능한 맨홀
KR200279872Y1 (ko) 소음방지용 맨홀
KR100411729B1 (ko) 과속 방지턱
KR200278426Y1 (ko) 도로표지병에 있어서, 표지병 고정장치
KR200371881Y1 (ko) 맨홀 철개 뚜껑 높이 조절용 인상링
JP2628030B2 (ja) 擁壁固定用アンカーボルト装置
KR20050021422A (ko) 도로의 조립식 보도시설물
JP2926542B2 (ja) マンホール用蓋受枠の高さ調整装置
KR200175290Y1 (ko) 맨홀용 인상링의 고정장치
KR200201034Y1 (ko) 맨홀뚜껑고정체
KR200223974Y1 (ko) 도로 표지병
KR200228525Y1 (ko) 진동을방지한교량의철구조물스틸박스
JPH0617872Y2 (ja) 地下構造物用蓋の受枠構造
KR200462762Y1 (ko) 맨홀 커버 조립체용 보조 커버 프레임
JP6574280B2 (ja) 地下構造物の開口部構造
KR200163599Y1 (ko) 맨홀높이가변용고정링
JPH09177087A (ja) 重力式コンクリート構造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15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