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9384B1 - 의류용 장식무늬의 전사방법 - Google Patents

의류용 장식무늬의 전사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9384B1
KR0139384B1 KR1019940023309A KR19940023309A KR0139384B1 KR 0139384 B1 KR0139384 B1 KR 0139384B1 KR 1019940023309 A KR1019940023309 A KR 1019940023309A KR 19940023309 A KR19940023309 A KR 19940023309A KR 0139384 B1 KR0139384 B1 KR 0139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decorative pattern
adhesive layer
transfer
sensitive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3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0996A (ko
Inventor
박흥국
Original Assignee
박흥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흥국 filed Critical 박흥국
Priority to KR1019940023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9384B1/ko
Publication of KR960010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9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9384B1/ko

Links

Landscapes

  • Decoration By Transfer Pi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사대지에 인쇄된 장식무늬가 전사방법으로 피전사체상에 전사되며 장식무늬가 인쇄층과 발포체층으로 구성되는 의류용 장식무늬를 기술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발포체층이 내부감열접착제층과 외부감열접착제층사이에 형성되고 외부감열접착제층상에 금속박분 또는 글라스비이드로 된 표면장식층이 형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장식무늬의 전사방법에 관하여 기술하고 있다.(제7도)

Description

의류용 장식무늬의 전사방법
제1도-제5도는 전사대지에 장식무늬를 인쇄하는 과정을 보인 평면도.
제6도는 전사대지의 장식무늬를 피전사체에 전사하였을 때의 평면도.
제7도는 피전사체의 전사된 장식무늬를 선택된 금속박분 또는 글라이스비이드가 전사된 것을 보인 평면도.
제8a도-제8e도는 제1도-제5도의 과정에 대응하여 전사대지상에 장식무늬의 여러층이 차례로 인쇄된 것을 보인 부분확대 단면도.
제9도는 전사대지를 피전사체상에 배치하여 전사하는 준비과정을 보인 부분 확대 단면도.
제10도는 피전사체상에 장식무늬가 전사된 후 금속박분 또는 글라스비이드의 전사지를 이용하여 선택된 부분에 금속박분 또는 글라스비이드가 전사될 수 있도록하는 준비과정을 보인 부분확대도.
제11도는 제7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피전사체에 전사된 장식무늬에 선택적으로 금속박분 또는 글라스비이드가 전사된 것을 보인 부분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장식무늬12:피전사체
16:인쇄층18:내부감열접착제층
20:발포체응22:외부감열접착제층
24:표면장식층26:전사대지
32:표면장식층
본 발명은 의류용 장식무늬의 전사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포츠셔츠, 유니폼 또는 기타 평상복 또는 모자나 스포츠가방의 전면 또는 표면을 미려하고 입체적으로 장식하는 장식무늬를 전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장식무늬라는 용어는 각종 문자(figure)나 도안(design)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설명에 도움이 되도록 장식무늬가 H의 영문자이니셜과 나뭇가지(spray)의 도안이 결합된 것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이러한 제한은 단순히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이 이로써 제한되도록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장식무늬는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종래, 주로 의류등의 전면에 인쇄 또는 전사되어 사용되는 장식무늬는 평면적으로 표현되므로 장식무늬의 장식효과에 크지 않다. 또한 전사지를 통하여 발포무늬가 표현되는 것이 소개된 바 있으나 이는 발포성수지로 직접 무늬를 인쇄한 후 가열하여 무늬를 구성하는 발포성수지가 발포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발포무늬는 표면에 다수의 개방기공이 형성되므로 발포무늬가 이물질에 의하여 쉽게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무늬의 일부분을 선택하여 이 선택된 부분을 입체적으로 표현하고 또한 이러한 선택부분과 또 달리 선택된 부분을 미려하게 장식한 장식무늬를 전사하고 새롭고 독특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장식무늬는 전사대지에 인쇄되었다가 피전사체가 전사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용 장식무늬는 전사대지에 인쇄된 장식무늬가 전사방법으로 피전사체상에 전사되며, 이 장식무늬가 인쇄층과 발포체층으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발포체상이 내부감열접착제층과 외부감열접착제층사이에 형성되고 외부감열접착제층상에 금속박분 또는 글라스비이드로된 표면장식층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 전사대지에 장식무늬를 인쇄하여 이를 피전사체에 전사하는 방법이 제공되는 바, 전자대지에 인쇄층을 인쇄하고 이에 중복되지 않는 선택된 도안형태의 외부감열접착제층을 인쇄하며 이 외부감열접착제층의 윤곽내에 발포체층을 인쇄하고 발포체층이 인쇄된 외부감열접착제층상에 이와 윤곽이 동일하나 외부감열접착제층의 융점보다 높은 융점을 갖는 내부감열접착제층을 인쇄하며 포함하는 전 장식무늬상에 장식무늬를 피전사체에 정착시킬 수 있는 투명감열접착제층을 인쇄하고, 이와같이 장식무늬가 인쇄된 전사대지를 이용하여 피전사체에 가열가압하여 장식무늬를 전사하고 이로써 발포체층이 발포되게 하며 전사된 장식무늬상에 금속박분 또는 글라스비이드의 층을 갖는 시이트를 배치하여 가열가압하므로서 외부감열접착제층으로 강조표현하고자하는 부분에 표면장식층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앞서, 본 발명의 장식무늬(10)가 제7도와 제11도의 참조로 설명된다. 제7도와 제11도에서 보인 장식무늬(10)는 피전사체(12)에 장식무늬(10)전체를 접착시키는 투명감열접착제층(14), 이 투명감열접착제층(14)상에 표현되는 인쇄층(16), 역시 투명감열접착제층(14)상에 접착된 내부감열접착제층(18), 내부감열접착제층(18)상에 발포체층(20), 내부감열접착제층(18)과 함께 발포체층(20)을 감싸서 보호하는 외부감열접착제층(22)과, 외부감열접착제층(22)의 표면에 성층된 금속박분 또는 글라스비이드와 같은 표면장식층(24)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인쇄층(16)은 영문자이니셜 H자의 부분이고, 발포체층(20), 내부감열접착제층(18)(22) 및 표면장식층(24)은 나무가지의 도안부분인 것으로 설명된다. 즉 나무가지의 도안부분이 선택되어 미려하고 입체적으로 표현되는 것으로 가정되어 설명된다.
본 발명의 장식무늬(10)가 갖는 특징은 발포체층(20)이 내부감열접착제층(18)(22)으로 보호되고 장식무늬(10)의 표면이 되는 외부감열접착제층(22)에 금속박분 또는 글라스비이드와 같은 물질의 표면장식층(24)이 성층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장식무늬(10)는 제1도-제7도, 제8a도-제8e도, 제9도-제11도에서 설명되는 바와같이 전사된다.
먼저, 제1도와 제8a도에서, 표면에 이형물질이 도포된 전사대지(26)상에 인쇄층(16)이 스크린인쇄방법으로 인쇄된다. 여기에서 표현된 인쇄층(16)은 상기 언급된 바와같이 H자의 영문자이니셜이 예로 선택되었으며 다른 도안부분과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일부가 생략되게 표현되었으나 이것이 본 발명의 중요구성을 이루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제2도와 제8b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전사대지(26)상에 인쇄층(16)에 중복되지 않게 예를들어 나무가지도안부분(28)의 외부감열접착제층(22)이 역시 스크린인쇄방법 등으로 인쇄된다. 이 외부감열접착제층(22)은 예를들어 융점이 100~110℃의 범위이고,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thnene-vinge acetate) 폴리아미드 및 탈 로진(tall rosin)로 조성된 접착제로 구성된다. 이후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 외부감열접착제층은 열을 가할때에 접착성을 띤다.
이와같이 인쇄된 외부감열접착제층(22)상에는 발포체층(20)이 동일인쇄방법으로 인쇄된다. 발포체층(20)은 외부감열접착제층(22)에서 입체적으로 돌출표현코자하는 부분, 예를들어 도시된 바와같이 잎의 중앙부분에만 상기 외부감열접착제층(22)의 윤곽내에 포함되도록 인쇄된다(제3도 및 제8c도).
발포체층(20)이 인쇄된 외부감열접착제층(22)상에는 발포체층(20)이 완전히 덮히도록 외부감열접착제층(22)과 일치하는 내부감열접착제층(18)이 스크린인쇄된다. 이 내부감열접착제층(18)은 융점이 외부감열접착제층(22)보다 높은 140~160℃이고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ethylene-vinyl acetate), 초산비닐, 연질 폴리우레탄의 조성으로 된 접착제로 구성된다. 따라서, 발포체층(20)은 외부감열접착제층(22)과 내부감열접착제층(18)사이에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보호된다(제4도 및 제8d도).
전사대지(26)에는 최종적으로 제5도 및 제8e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인쇄층(16)을 포함한 모든 도안부분이 커어버될 수 있도록 투명감열접착제층(14)이 역시 스크린인쇄방식으로 인쇄된다. 이 투명감열접착제층(14)은 내부감열접착제층(18)의 조성성분과 동일하다.
이와같은 전사대지(26)상에 차례로 인쇄층(16), 외부감열접착제층(22), 발포체층(20), 내부감열접착제층(18)과 투명감열접착제층(14)이 인쇄된 것이 전사지를 구성한다.
제6도는 이러한 전사대지(26)를 이용하여 피전사체(12)에 장식무늬(10)가 전사된 것을 보이고 있다. 이를 위하여 장식무늬(10)가 인쇄된 전사대지(26)는 제9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피전사체(12)에 대하여 전도된 상태로 놓인 다음, 전사대지(26)의 상부로 향한 이면에서 가열가압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피전사체(12)상에 장식무늬(10)가 전사되며 가열가압의 결과로서 장식무늬(10)전체에 도포된 투명감열접착제층(14)이 용융되어 장식무늬(10)를 피전사체(12)에 정착시키며 내부감열접착제층(18)과 외부감열접착제층(22)사이에 샌드위치된 발포체층(20)이 발포되어 피전사체(12)의 표면상부로 융기된다. 발포된 발포체층(20)은 여전히 내부감열접착제층(18)(22)에 의하여 감싸져 있어 보호된다.
이후에 피전사체(12)상의 장식무늬(10)에는 선택된 부위에 표면장식층(24)이 성층된다. 여기에서 선택된 부위는 나무가지도안부분(28)이며 표면장식층(24)은 금속박분 또는 글라스비이드로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제장식무늬(10)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금속박분층(30)이 증착 또는 그밖의 방법으로 부착된 시이트(32)로 구성되는 금속박이 사용되거나 시이트(32)상에 초미세입자의 글라스비이드가 금속박분층대신에 부착된 것이 사용된다. 즉 피전사체(12)상에 장식무늬(10)가 전사된 상태에서 금속박분층(30)이나 글라시비이드층을 갖는 시이트(32)를 중첩하여 가열가압한다. 이때에 외부감열접착제층(22)이 용융되면서 이에 금속박분이나 글라스비이드가 시이트(32)로부터 분리되어 접착되므로서 표면장식층(24)을 형성하게 된다(제11도). 이때의 가열온도는 외부감열접착제층(22)의 상대적으로 낮은 용융온도 100~110℃로 한정되므로서 다른 접착제층, 예를들어 장식무늬(10)를 피전사체(12)에 정착시키는 투명감열접착제층(14)은 용융되지 않아 이에 금속박분이나 글라스비이드가 접착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장식무늬가 강조표현코자 선택된 부분이 입체적으로 구성되며 이에 현란하고 미려한 장식층이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피전사체(12)에 장식무늬(10)를 전사하는 전사대지(26)에 도안의 인쇄층(16), 발포체층(20)을 접착지지하는 내부감열접착제층(18)과, 도안의 발포체층(20)을 인쇄하고 전 장식무늬(10)상에 장식무늬(10)를 피전사체(12)에 정착시키는 투명감열접착제층(14)을 인쇄하는 것에 있어서, 발포체층(20)의 인쇄전에 선택된 도안형태로 내부감열접착제층(18)보다 융점이 낮은 외부감열접착제층(22)을 인쇄하고 그 윤곽내에 발포체층(20)을 인쇄하며, 전사대지(26)의 장식무늬(10)를 피전사체(12)에 전사후 외부감열접착제층(22)상에 금속박분 또는 글라스비이드의 층을 갖는 시이트(32)를 가열가압하여 금속박분 또는 글라스비이드로 강조표현되는 표면장식층(24)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장식무늬의 전사방법.
KR1019940023309A 1994-09-15 1994-09-15 의류용 장식무늬의 전사방법 KR0139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3309A KR0139384B1 (ko) 1994-09-15 1994-09-15 의류용 장식무늬의 전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3309A KR0139384B1 (ko) 1994-09-15 1994-09-15 의류용 장식무늬의 전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0996A KR960010996A (ko) 1996-04-20
KR0139384B1 true KR0139384B1 (ko) 1998-07-01

Family

ID=66686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3309A KR0139384B1 (ko) 1994-09-15 1994-09-15 의류용 장식무늬의 전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938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0996A (ko) 1996-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3895B1 (ko) 다색 플록전사체 및 그의 제조방법
US4741791A (en) Flocked transfer material and method of making heat-transferable indicia therefrom
US4564406A (en) Method of and means for combination design transfer and application of heat reactivatable adhesive
US4012552A (en) Decorative metal film heat transfer decalcomania
US7390552B2 (en) Flocked transfer and article of manufacturing including the flocked transfer
US6089422A (en) Collar stiffening device and method
US5914176A (en) Composite designs for attachment to an article of fabric
US5677037A (en) Thermally transferable type emblem made of thermoplastic synthetic resi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5419944A (en) Transfer sheet with abrasive particles for personally colored designs
US20040197536A1 (en) Heat applied graphics and method
EP0587403B1 (en) Thermally transferable type emblem made of thermoplastic synthetic resi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050076998A1 (en) Rhinestone kit
JPH0311626B2 (ko)
KR0139384B1 (ko) 의류용 장식무늬의 전사방법
WO1980000462A1 (en) Decoration of garments and the like
US6143115A (en) Transfer sheet with abrasive particles for personally colored designs
US5938879A (en) Method for employing graphics on a support member
KR20060070507A (ko) 금박층이 형성된 라벨을 전사하는 방법 및 그 라벨전사지
KR0139385B1 (ko) 의류용 변색 및 야광장식무늬의 전사방법
JPH02223438A (ja) 表裏面加飾成形品及びその成形品の製造方法並びに加飾用シート
JPS6285979A (ja) 図柄用転写材
CA2144369C (en) Transfer sheet with abrasive particles for personally colored designs
JPS6241086A (ja) 熱転写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熱転写フイルム
JP3097854U (ja) 熱転写アップリケシート
JPH0151594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