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9288Y1 - 물분배기의 저수통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물분배기의 저수통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9288Y1
KR0139288Y1 KR2019950021341U KR19950021341U KR0139288Y1 KR 0139288 Y1 KR0139288 Y1 KR 0139288Y1 KR 2019950021341 U KR2019950021341 U KR 2019950021341U KR 19950021341 U KR19950021341 U KR 19950021341U KR 0139288 Y1 KR0139288 Y1 KR 01392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ervoir
water
disposed
torsion spr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13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0635U (ko
Inventor
이건일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500213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9288Y1/ko
Publication of KR9700106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06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92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92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05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using cont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122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the refrigerator is characterised by a water tank for the water/ice dispen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6Dispen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분배기의 저수통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펌프에 의해 저수통(31)의 내부에 있는 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물분배기에 있어서, 상기 저수통(31)을 수용하는 수용통(33)과, 상기 저수통(31)에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상기 저수통(31)의 상측에 배설된 커버부재(35)와, 상기 저수통(31)을 착탈가능케 고정하도록 상기 수용통(33)의 내측에 배설된 착탈수단(37)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음으로, 저수통을 견고하면서도 용이하게 착탈가능케 고정하여 상기 저수통의 요동을 방지하므로, 물분배기의 수명을 늘리고 저수통에 물을 용이하게 충전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물분배기의 저수통 고정장치
제1도는 종래 냉장고에 적용된 물분배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종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물분배기의 저수통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물분배기의 저수통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 저수통 33 : 수용통
35 : 커버부재 37 : 착탈수단
39 : 유출관 43 : 걸림쇠
45 : 비틀림 스프링 47 : 힌지축부재
49, 49' : 스냅링
본 고안은 물분배기의 저수통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냉장고에 적용된 물분배기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냉장실(1)을 갖는 냉장고 본체의 전면에는 도어(3)가 결합되고, 상개 냉장실(1)의 내부에는 냉수를 저장하도록 저수통(5)이 장착되며, 상기 저수통(5)의 하측에는 밸브수단(7)이 배설되고, 상기 밸브수단(7)의 하측에는 상기 밸브수단(7)을 개폐동작시켜 컵(C)의 내부로 냉수를 토출시키도록 조작용 레버(9)가 힌지결합되며, 상기 컵(C)의 하측에는 상기 컵(C)을 받침과 동시에 상기 밸브수단(7)에 잔류하여 낙하하는 잔수를 모으도록 잔수받이(11)가 배설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때, 상기 도어(3)에는 컵(C)을 수용하는 요입부(3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작용 레버(9) 및 잔수받이(11)는 상기 요입부(3a)의 상, 하부에 각가 배설되어 있다.
상기 조작용 레버(9)는 상기 도어(3)에 고정배설된 힌지부재(13)에 착탈가능케 탄성적으로 힌지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용 레버(9)의 일측에는 밸브수단(7)을 밀도록 돌출부(9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밸브수단(7)은 상기 조작용 레버(9)의 조작에 의한 상기 돌출부(9a)의 승강동작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동작하는 밸브작동부(15)가 상기 조작용 레버(9)의 상측에 배설되고, 상기 밸브작동부(15)에 연동하여 승강동작하므로써 그 일측에 형성된 취수구(17)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밸브(19)가 상기 밸브작동부(15)의 상단에 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잔수받이(11)는 상기 취수구(17)에서 물이 상기 컵(C)에 낙하한 후 상기 취수구(17)에 잔류하여 떨어지는 잔수를 받아 모으는 잔수통(21)과, 상기 컵(C)을 받치도록 상기 잔수통(21)의 상단에 배설된 트레이부재(23)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 냉장고에 적용된 물분배기에서, 냉장실(1)의 내부에 있는 냉수를 외부에서 취수하고자 할 경우에, 트레이부재(23)의 상면에 컵(C)을 놓은 후, 조작용 레버(9)의 좌측부를 하측으로 내리면, 상기 조작용 레버(9)의 우측단부는 힌지부재(13)를 회전중심으로 상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조작용 레버(9)에 형성된 돌출부(9a)가 밸브수단(7)의 밸브작동부(15)를 상승시키며, 상기 밸브작동부(15)의 상승동작에 따라 밸브(19)가 취수구(17)의 상단에서 이탈한다. 따라서, 저수통(5)의 내부에 있는 냉수는 상기 취수구(17)를 통하여 상기 컵(C)의 내부로 유입한다.
그리고, 상기 조작용 레버(9)에 가해지는 힘을 해제시키면, 상기 밸브작동부(15)는 탄성부재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하강되고, 상기 밸브(19)가 상기 취수구(17)의 상단에 긴밀히 밀착되어 냉수의 유출이 중지되므로 상기 컵(C)을 인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취수구(17)의 벽면에 밀착하여 잔류하는 잔수는 상기 트레이부재(23)를 통하여 잔수통(21)에 모이게 되는데, 상기 잔수통(21)에 일정량의 물이 차면, 상기 잔수통(21)의 상부에 안착된 트레이부재(23)를 상기 잔수통(21)에서 분리시키고, 상기 잔수통(21)을 상기 도어(3)의 요입부(3a)에서 이탈시켜 상기 잔수통(21)을 비우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냉장고에 적용된 물분배기에서는, 도어(3)의 내부에 상측에 저수통(5)이 안착되어 상기 저수통(5)이 견고히 고정되지 못하므로 도어(3)의 개폐동작에 따라 상기 저수통(5)이 흔들리고 이에 따라 상기 밸브수단(7)에 요동력이 가해지므로 물분배기의 고장이 잦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저수통(5)의 물은 중력에 의해 상기 컵(C)에 담겨지므로 상기 저수통(5)은 항상 상기 컵(C)의 상측에 놓여져야 하므로 저수통(5)의 설치위치에 제약을 받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펌프의 의해 저수통의 내부에 있는 물을 외부로 토출시키고 착탈수단에 의해 상기 저수통을 수용통에 착탈가능케 견고히 고정하므로써, 물분배기의 수명을 늘리고 저수통에 물을 용이하게 충전시키는 물분배기의 저수통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고안에 의한 물분배기의 저수통 고정장치는 펌프에 의해 저수통의 내부에 있는 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물분배기에 있어서 상기 저수통을 수용하는 수용통과, 상기 저수통에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상기 저수통의 상측에 배설된 커버부재와, 상기 저수통을 착탈가능케 고정하도록 상기 수용통의 내측에 배설된 착탈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물분배기의 저수통 고정장치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펌프에 연통된 저수통(31)을 수용통(33)이 수용하고 있고, 상기 저수통(31)에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커버부재(35)가 상기 저수통(31)의 상측에 배설되어 있으며, 상기 저수통(31)을 착탈가능케 고정하도록 착탈수단(37)이 상기 수용통(31)의 내측에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저수통(31)의 내부에 있는 물을 도시하지 않은 펌프에 연통시키도록 상기 커버부재(35)를 관통하여 유출관(39)이 상기 저수통(31)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고, 상기 커버부재(35)의 상면에는 상기 유출관(39)이 관통된 부위를 막아줌과 동시에 상기 유출관(39)을 안내지지하도록 캡플레이트(41)가 안착되어 있다.
상기 저수통(31)은 그 상측이 트인 사각통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수용통(33)은 그 앞측이 트인 사각통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때, 그 내부의 후측면에는 상기 착탈수단(37)을 배설하도록 돌출부(33a,33b)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의 저면의 앞쪽에는 상기 저수통(31)의 하부가 상기 수용통(33)의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일정한 길이에 걸쳐 걸림대(33c)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33a,33b)에는 관통구멍(33d,33e)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33a,33b)의 사이에는 상기 착탈수단(37)의 후술하는 비틀림 스프링(45)의 일단부를 지지하도록 지지돌기(33f)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부재(35)는 상기 저수통(31)의 외측면에 밀착하도록 가장자리부가 일정한 길이로 절곡되고, 그 평면에는 상기 유출관(39)이 삽입되도록 관통구멍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착탈수단(37)의 후술하는 걸림쇠가 걸리도록 요홈(35a)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요홈(35a)의 일측면은 대체로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따.
상기 착탈수단(37)은 상기 커버부재(35)의 요홈(35a)에 걸리도록 상기 수용통(33)의 돌출부(33a,33b)의 사이에 걸림쇠(43)가 요동가능케 힌지결합되고, 상기 걸림쇠(43)의 일측에는 상기 걸림쇠(43)를 요동시키는 탄성복원력을 가하도록 비틀림스프링(45)이 배설되며, 상기 걸림쇠(43) 및 비틀림스프링(45)을 상기 수용통(33)의 돌출부(33a,33b)사이에 배설하도록 힌지축부재(47)가 상기 관통구멍(33d,33e), 걸림쇠(43) 및 비틀림스프링(45)의 관통공간을 통과하여 삽입되고, 상기 힌지축부재(47)의 양단부에는 상기 힌지축부재(47)가 상기 관통구멍(33d,33e)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스냅링(49,49')이 끼워진 구조로 되어 있다.
이때, 상기 걸림쇠(43)는 그 일단부에 상기 요홈(35a)에 걸리도록 걸림턱부(43a)가 형성되고, 그 타단부에는 상기 수용통(33)의 내부의 후측면에 용이하게 안내되도록 ㄱ형의 절곡부(43b)가 형성되며, 상기 절곡부(43b)에는 상기 비틀림스프링(45)이 수용되도록 ㄱ형의 요홈띠(43c)가 형성되고, 상기 ㄱ형의 절곡부(43b)의 모서리부에는 상기 힌지축부재(47)가 삽입되도록 관통구멍(43d)이 형성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비틀림스프링(45)은 그 양단부가 서로 ㄱ형으로 형성되고, 그 중간부에는 비틀림력을 발생함과 동시에 상기 힌지축부재(47)가 삽입되도록 관통공간(45a)이 형성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힌지축부재(47)의 양단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스냅링(49,49')이 끼워지도록 원주상의 홈(47a,47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출관(39)의 하단부에는 상기 저수통(31)에 저류하는 이물질이 상기 유출관 (39)을 통해 펌프에 유입하지 않도록 필터부(39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캡플레이트(41)의 내부에는 상기 유출관(39)이 관통되도록 ㄱ형의 관통구멍(41a)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물분배기의 저수통 고정장치의 조립방법을 다음에 설명한다.
먼저, 걸림쇠(43)의 ㄱ형의 요홈띠(43c)에 비틀림스프링(45)을 삽입한 다음, 걸림쇠(43)의 절곡부(43b)를 수용통(33)의 돌출부(33a,33b)사이에 끼운다. 이때, 상기 비틀림스프링(45)의 하단부를 상기 수용통(33)의 지지돌기(33f)의 상면에 안착시킨다.
다음에, 돌출부(33b)의 관통구멍(33e), 걸림쇠(43)의 관통구멍(43d) 및 비틀림 스프링(45)의 관통구멍(45a), 돌출부(33a)의 관통구멍(33d)를 순차적으로 통해 힌지축부재(47)를 끼운 후, 상기 힌지축부재(47)의 홈(47a,47a')에 스냅링(49,49')을 각각 끼우면, 착탈수단(37)의 조립이 완료된다.
그리고, 저수통(31)을 수용통(33)의 내부에 수용시켜 고정하고자 하면, 캡플레이트(41)를 매개물로 하여 유출관(39)을 끼운 커버부재(35)를 저수통(31)의 상부에 씌운 다음, 상기 저수통(31)의 하부를 수용통(33)의 내측하부에 수용시킴과 동시에 상기 걸림쇠(43)의 걸림턱(43a)을 상측으로 회전시켜 상기 저수통(31)의 상부를 수용통(33)의 내측상부로 밀어 넣어 상기 걸림쇠(43)의 걸림턱(43a)을 놓으면, 비틀림 스프링(45)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걸림쇠(43)의 걸림턱(43a)은 상기 커버부재(35)의 요홈(35a)에 삽입되어 상기 커버부재(35)를 누름에 의해 상기 저수통(31)은 상기 수용통(33)의 내부에 견고히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저수통(31)의 하단 앞측모서리는 상기 걸림대(33c)에 걸리어 상기 저수통(31)의 이탈을 방지한다.
다음에, 상기 저수통(31)을 상기 수용통(33)에서 분리시키고자 하면, 상기 저수통(31)의 삽입공정의 역순으로 분리공정을 행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물분배기의 저수통 고정장치는 저수통을 견고하면서도 용이하게 착탈고정하므로 저수통의 요동을 방지하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물분배기의 저수통 고정장치는 수용통에 구비된 걸림쇠와 착탈수단에 의해 저수통을 견고하면서도 용이하게 착탈가능케 고정하여, 상기 저수통의 요동을 방지하므로, 물분배기의 수명을 늘리고 저수통에 물을 용이하게 충전시킨다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3)

  1. 펌프에 의하여 저수통(31)의 내부에 있는 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물분배기에 있어서, 상기 저수통(31)을 수용하는 수용통(33)과, 상기 저수통(31)에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상기 저수통(31)의 상측에 배설되며 그 상부에 요홈(35a)이 형성된 커버부재(35)와, 상기 저수통(31)을 착탈가능케 고정하도록 상기 수용통(33)의 내측에 배설되며 상기 요홈(35a)에 걸리는 걸림쇠(34)를 가진 착탈수단(37)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분배기의 저수통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수단(37)은 상기 커버부재(35)의 요홈(35a)에 걸리도록 상기 수용통(33)의 돌출부(33a,33b)의 사이에 요동가능케 힌지결합되고, 상기 걸림쇠(43)를 요동시키는 탄성복원력을 가하도록 상기 걸림쇠(43)의 일측에 배설된 비틀림스프링(45)과, 상기 걸림쇠(43) 및 비틀림스프링(45)을 상기 수용통(33)의 돌출부(33a)(33b)사이에 배설하도록 힌지축부재(47)가 상기 돌출부(33a)(33b), 걸림쇠(43) 및 비틀림스프링(45)을 통과하여 삽입된 힌지축부재(47)와, 상기 힌지축부재(47)가 상기 돌출부(33a)(33b)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힌지축부재(47)의 양단부에 끼워진 스냅링(49,49')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분배기의 저수통 고정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쇠(43)는 그 일단부에 상기 요홈(35a)에 걸리도록 걸림턱부(43a)가 형성되고, 그 타단부에는 상기 수용통(33)의 내부의 후측면에 용이하게 안내되도록 ㄱ형의 절곡부(43b)가 형성되며, 상기 절곡부(43b)에는 상기 비틀림스프링(45)이 수용되도록 ㄱ형의 요홈띠(43c)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43b)의 모서리부에는 상기 힌지축부재(47)가 삽입되도록 관통구멍(43d)이 형성된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분배기의 저수통 고정장치.
KR2019950021341U 1995-08-18 1995-08-18 물분배기의 저수통 고정장치 KR01392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1341U KR0139288Y1 (ko) 1995-08-18 1995-08-18 물분배기의 저수통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1341U KR0139288Y1 (ko) 1995-08-18 1995-08-18 물분배기의 저수통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0635U KR970010635U (ko) 1997-03-29
KR0139288Y1 true KR0139288Y1 (ko) 1999-05-15

Family

ID=19421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1341U KR0139288Y1 (ko) 1995-08-18 1995-08-18 물분배기의 저수통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928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0635U (ko) 199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13246A (en) Water dispenser for a refrigerator
JP3800250B2 (ja) 血液分析装置に試薬を自動的に給送するための筺体
EP0271126B1 (en) Filter device
US7658842B2 (en) Filter cartridge assembly with water collection
WO2010121119A1 (en) Assaying device
PL203850B1 (pl) Urządzenie z licznymi funkcjami odświeżania toalety
JPH035793Y2 (ko)
KR0139288Y1 (ko) 물분배기의 저수통 고정장치
US5585010A (en) Aquatic tank filtering system
KR100384984B1 (ko) 취반기
MXPA04012159A (es) Abastecedor para usarse en un tanque de agua.
KR0118044Y1 (ko) 냉장고 물분배기의 배수장치
US6654970B1 (en) Passive quantitative liquid dispenser
JPH08226735A (ja) 冷蔵庫用水分配器
KR20220162135A (ko) 수동 분배 밸브를 갖는 물 용기
US20050000878A1 (en) Filtering apparatus of water dispenser
JP3130199B2 (ja) 冷蔵庫用給水装置
JP4058165B2 (ja) 水洗便器用薬剤供給装置
NL1018656C2 (nl) Reinigings- en verfrissingseenheid bestemd om te worden gebruikt in een Japans toilet.
KR0175903B1 (ko) 커피 제조기의 수용용기 고정장치
KR0138563B1 (ko) 냉장고용 물분배기
KR0136178Y1 (ko) 냉장고용 물분배기의 물통연결장치
CN216962146U (zh) 浸泡机构及冲泡机
US7096515B2 (en) Cartridge device and method for adding supplements to a toilet cistern
KR0134091Y1 (ko) 가정용 정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