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8795B1 - 전선용 선재 집합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전선용 선재 집합방법 및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8795B1
KR0138795B1 KR1019940030310A KR19940030310A KR0138795B1 KR 0138795 B1 KR0138795 B1 KR 0138795B1 KR 1019940030310 A KR1019940030310 A KR 1019940030310A KR 19940030310 A KR19940030310 A KR 19940030310A KR 0138795 B1 KR0138795 B1 KR 01387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assembly
dice
center
wir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0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9335A (ko
Inventor
정태호
Original Assignee
박희수
주식회사 선진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희수, 주식회사 선진금속 filed Critical 박희수
Priority to KR1019940030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8795B1/ko
Publication of KR960019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9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7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2Stranding-u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03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feeding conductor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36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심으로 이루어진 전선을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에 있어서, 전선용의 꼬여진 다심선재 제조공정을 간단하게 하고 제조된 전선의 전도성과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선재를 집합시키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집합기 본체의 입구단과 선재의 공급단 사이에 2개이상의 집합다이스를 동일축으로 배치시켜 1회의 공정만으로 다수개의 선재를 집합시킬 수 있게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전선용 선재 집합방법 및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선재 집합장치의 개략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선재 집합기 본체와 공급단 사이에 설치된 집합다이스 및 분할판의 배치상태와 선재의 공급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3도는 제1집합다이스를 통과한 선재의 배열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횡단면도,
제4도는 종래예에 따른 선재집합장치의 개략도로서 1차 선재집합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제5도는 종래예에 따른 1차 선재집합을 위한 선재 집합기본체와 공급단 사이에 설치된 집합다이스 및 분할판의 배치상태와 선재의 공급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6도는 종래예에 따른 2차 선재집합을 위한 선재 집합기본체와 공급단 사이에 설치된 집합다이스 및 분할판의 배치상태와 선재의 공급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7도는 종래예에 따라 집합된 다심선재의 꼬임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집합다이스3, 4:분할판
12:중심다발100:본체
200:보빈300:공급단
본 발명은 다심으로 이루어진 전선을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선의 제조공정을 간단하게 하고 그리고 제조된 전선의 전도성과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선재를 집합시키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전선용의 다심선재를 집합시키기 위해서는 1차 선재 집합공정을 통해 적당수의 다심선재를 형성시킨후 이를 중심선으로 하여 다시 2차이상의 선재집합공정을 행하는 것, 즉 동일한 공정을 2회이상 반복하여 요구되는 정도의 선재를 형성시키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의 한 예로서, 37가닥으로 된 다심선재를 만들기 위해 선재를 집합시키는 종래의 방법에 대해 제5~7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차 선재 집합공정에서, 공급단(300)으로 부터 공급되는 19가닥의 각 선재(105, 106, 107)는 분할판(104)의 각 구멍(110, 110A, 110B)을 통해 단지 하나뿐인 집합다이스(101)의 구멍(111)으로 공급된다. 상기 분할판(104)은 대략 원판형으로서 중심부에 하나의 구멍(110)을 형성하고, 그리고 상기 구멍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방향으로 일정한 거리에 형성될 수 있는 원주의 궤도를 따라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진 곳에 있는 다수개의 구멍(110A, 110B)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에서, 1차 원주궤도를 따라 형성된 구멍(110A)은 6개이고, 2차 원주궤도를 따라 형성된 구멍(110B)은 12개이다.
상기 각 선재들은 집합다이스(101)의 구멍(111)에서 상기 중심구멍(110)을 통과한 선재(105)를 중심으로 하여 나머지 선재들이 그의 둘레에 배치되는 양상으로 집합되어서 집합기본체(100)로 들어가 그곳에서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꼬여진후 보빈(200)에 감겨지게 된다.
이와 같이 1차 선재 집합공정을 통해 서로 꼬여져서 일체로 된 19가닥 다심선재(112)를 감고 있는 보빈(200)을 본체(100)로 부터 분리시켜 이를 다시 공급단(300)에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다심선재(112)를 다시 분할판(103)의 중심구멍(109)을 통해 집합다이스(102)의 구멍(111A)속으로 삽입시키고, 동시에 공급단(300)으로 부터 나오는 1가닥으로 된 선재(108)를 분할판(103)의 주변구멍(109A)을 통해 집합다이스(102)의 구멍(111A)속으로 삽입시킨다. 이 때 선재(108)들은 다심선재(112)를 중심으로 그의 주변에 배치되고 그리고 주변구멍(109A)은 18개이다.
이와 같이 집합다이스(102)의 구멍(111A)속에 삽입된 선재들은 상기와 같은 식으로 본체(100)로 들어가 그곳에서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꼬여진 후 보빈에 감겨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방법에 따라 선재를 집합시킬 경우 동일한 공정이 중복되는 등 공정이 매우 복잡하게 되므로 생산성이 저하되고 제조 단가가 비싼 등의 결함이 생기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형성시킨 37가닥 다심선재는 1차 공정을 통해 완성된 19가닥 다심선재(112)가 꼬여지는 상태와 상기 다심선재(112)외부에 다시 2차 공정을 통해 선재가 꼬여지는 상태가 서로 다르므로, 즉 1차 꼬임부(120)와 2차 꼬임부(121)가 서로 교차되지 않는 것에 기인하여 그들 사이의 방사방향에서의 밀집상태가 불량하게 되므로 1차 꼬임부(120)와 2차꼬임부(121)사이가 서로 이격되는 현상이 야기되어 선재의 전도성을 감소시키고 또 강도를 약화시킬 수 있는 결함이 있다.
그리고 또, 2차 공정시 1차 공정을 통해 형성된 19가닥 다심선재(112)가 중심축을 따라 이동되면서 중심선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그것의 장력을 그 주변 선재의 장력보다 항상 더 크게 유지시켜야 하므로 이의 장력이 큰것에 기인하여 완제품에서의 유연성이 좋지않는 등의 결합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형에서의 결함이나 문제점등을 제거 또는 개선시킨 선재의 집합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중심선을 설정하고, 중심 보조선을 형성시킨 후 선재가 동시에 꼬여질 수 있게 선재의 진행방향에서 동일 축상에 2개 또는 2개 이상의 집합다이스를 설치하여 1차 집합다이스에는 중심선재 및 중심보조선재만이 통과되게 하고, 그리고 2차 집합다이스에는 상기 1차 집합다이스를 통과한 선재들이 집합되어 중심체로 통과하고 또 그의 주변을 따라 나머지 선재들이 통과하여 가닥전체의 선재들이 동시에 집합기 본체에 들어가 꼬여질 수 있게 하는 선재 집합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예는 37가닥으로 이루어진 다심선재를 만드는 것에 관한 것이다.
제1, 2도에서, 공급단(300)에 장착된 다수개의 보빈(도시하지 않음)으로 부터 공급되는 37가닥의 선재(5, 6, 7, 8)들은 제1분할판(3)과 제2분할판(4)으로 공급된다. 상기 각 분할판(3, 4)은 종래형과 같은 것으로서, 제1분할판(3)의 제1원주 궤도상에는 6개의 구멍(9A)이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제2분할판(4)의 제1원주궤도에는 12개의 구멍(10A)이 형성되고, 제2원주궤도에는 18개의 구멍(10B)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 분할판(3, 4)의 중심에는 하나의 구멍(9, 1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분할판(3)에 공급되는 선재(5, 6)는 6개의 선재(6)가 중심구멍(9)을 통과하는 하나의 선재(5)를 중심으로 하여 그를 에워싸는 형태로 되어 제1집합다이스(1)의 구멍(11)을 통과하게 된다(제3도 참조). 즉, 상기 선재(6)는 선재(5)를 중심으로 하여 중심 보조선의 역할을 하면서 선재(5)와 함께 중심다발(12)로 되어 제2분할판(4)의 구멍(10)을 통과하여 제2집합다이스(2)의 구멍(11A)속으로 들어가게 된다.
그리고, 동시에 공급단(300)으로 부터 공급되는 다른 선재(7, 8)는 제2분할판(4)의 원주궤도상에 있는 구멍(10A, 10B)을 통해 상기 중심다발(12)을 에워싸는 형태로 되어 제2집합다이스(2)의 구멍(11A)속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2집합다이스(2)를 통과한 37가닥의 선재들은 본체(100)로 들어가 그곳에서 요구되는 정도로 꼬여져서 일체로 형성되어 본체(100)내에 설치된 보빈(200)에 감겨져 완성된 37가닥 다심선재로 형성되게 된다.
상기로 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1차에 걸쳐서 선재를 모두다 집합시킬 수 있으므로 다심선재의 제조공정이 간단하게 되고, 선재집합시 1가닥의 중심선재(5)에만 한정되어 다른 선재보다 많은 장력이 가해지므로 제조된 제품에서의 유연성이 양호하게 되며, 또 중심선재(5)를 둘러싸고 있는 다른 모든 선재들이 동일한 조건하에서 동시에 감겨지기 때문에 선재사이의 이격현상이 야기되지 않게 되므로 완성된 전선에서의 전도성이 양호하게 되고 또 강도도 강화되게 되는 등의 잇점을 얻을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여러 형태로 변형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의 예로서, 집합다이스를 3개이상 설치 할 수도 있고, 또 분할판을 단지 하나만 설치할 수도 있다.

Claims (4)

  1. 전선용의 다심선재를 만드는 공정중 각 선재를 집합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선재중 중심선재(5)와 상기 중심선재(5)를 둘러싸는 중심보조선재(6)를 제1집합다이스(1)로 집합시켜 중심다발(12)형태로 만들고, 상기 중심다발(12)을 제1집합다이스(1)와 선재의 진행방향에서 동일축으로 설치된 제2집합다이스의 구멍(11A)으로 통과시키고, 그리고 공급단(300)으로 부터 공급되는 다른 선재(7, 8)들을 상기 중심다발(12)을 에워싸는 형태로 하여 제2집합다이스의 구멍(11A)으로 통과시켜서 집합기 본체(100)의 입구단으로 공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집합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집합다이스(1)로 부터 나오는 중심다발(12)이 제1집합다이스(1)와 동일축상에 놓여져 있는 제2분할판(4)의 중심구멍(10)을 통해 제2집합다이스(2)의 구멍(11A)속으로 들어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전선용의 다심선재를 만드는 장치중 각 선재를 집합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집합기 본체(100)의 입구단과 선재의 공급단(300)사이에 다수개의 집합다이스(1, 2)가 동일축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집합다이스의 앞쪽에 분할판(3, 4)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집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집합다이스가 2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940030310A 1994-11-17 1994-11-17 전선용 선재 집합방법 및 장치 KR0138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0310A KR0138795B1 (ko) 1994-11-17 1994-11-17 전선용 선재 집합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0310A KR0138795B1 (ko) 1994-11-17 1994-11-17 전선용 선재 집합방법 및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6035A Division KR0122628B1 (ko) 1994-11-16 1997-04-29 원터치로 개폐되는 관상어 먹이통용 뚜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9335A KR960019335A (ko) 1996-06-17
KR0138795B1 true KR0138795B1 (ko) 1998-06-15

Family

ID=19398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0310A KR0138795B1 (ko) 1994-11-17 1994-11-17 전선용 선재 집합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87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491B1 (ko) * 2015-08-25 2016-02-12 에코캡 주식회사 장력 조절기를 갖는 연선 제조장치
KR20210088167A (ko) * 2020-01-06 2021-07-14 윤영수 케이블 제조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491B1 (ko) * 2015-08-25 2016-02-12 에코캡 주식회사 장력 조절기를 갖는 연선 제조장치
KR20210088167A (ko) * 2020-01-06 2021-07-14 윤영수 케이블 제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9335A (ko) 199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32131A (en) Apparatus and process of manufacturing a metal cord
US4335571A (en) Apparatus for cabling wires
US4055039A (en) Apparatus for obtaining self-twisted product
JPH024384B2 (ko)
KR0138795B1 (ko) 전선용 선재 집합방법 및 장치
KR870010910A (ko) 강철 코드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US4182105A (en) Method of manufacturing collectively stranded wires for communication cables
US3654030A (en) Connecting cable between a control post and flying missile
GB1101718A (en) Metallic cord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them
US4459799A (en) Quad guide device for guiding quads to a telephone cable stranding machine
US4495759A (en) Manufacture of metallic cable
US1752497A (en) Apparatus for producing electrical cables
US3362147A (en) Wire cords
CN217896049U (zh) 一种钢帘线的生产设备
EP0119155B1 (de) Litzenleiter für flexible elektrische Leitungen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S3686843A (en) Insulation winding and wire standing machine for the production of telecommunication cables
CN111863319B (zh) 一种内束外绞电缆导体及其加工方法
US3894566A (en) Method of making metallic network
SU99261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невмообработки комплексных нитей
JP2546675B2 (ja) テ−プ型光ファイバ−ケ−ブルの製造装置
JPS5941539Y2 (ja) 集合線の製造装置
JPS605719B2 (ja) 多層撚線方法
JPH0322317Y2 (ko)
US4255924A (en) Method and machine for producing pipe cleaners
JPS5932332A (ja) 亀甲形絶縁線輪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