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8780B1 - 직류 모터의 전류 방향 변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직류 모터의 전류 방향 변환 제어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8780B1
KR0138780B1 KR1019880009454A KR880009454A KR0138780B1 KR 0138780 B1 KR0138780 B1 KR 0138780B1 KR 1019880009454 A KR1019880009454 A KR 1019880009454A KR 880009454 A KR880009454 A KR 880009454A KR 0138780 B1 KR0138780 B1 KR 0138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ration
current direction
signal
motor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9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3098A (ko
Inventor
마트 페터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아인젤
도이체톰손-브란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아인젤, 도이체톰손-브란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아인젤
Publication of KR890003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0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9/00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 H02K29/06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position sens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6/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synchronous motors or other dynamo-electric motors using electronic commutation dependent on the rotor position; Electronic commutators therefor
    • H02P6/14Electronic commutators
    • H02P6/16Circuit arrangements for detecting posi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7/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 Motor And Converter Start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직류 모터의 전류 방향 변환 제어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코일 세트의 전류 방향 변환 시점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의 블록도.
제2도는 다른 모터 속도에서 제1도의 여러 회로점에서의 전압 파형을 나타낸 전압 파형도.
제3도는 모터 속도를 일정하게 한 경우의 여러 전류 방향 변화 개시시점에 대한 전압 파형을 제2도와 유사한 방식으로 나타낸 전압 파형도.
제4도는 제1도에 도시한 회로를 캐스케이드 접속함으로써 다수의 코일 세트의 전류 방향을 변환하기 위한 회로의 블록도.
제5도는 제4도의 회로의 선택된 회로점에서의 신호 파형을 나타내는 파형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회전 표시기2:센서
4:전류원5:전류 싱크
8:캐패시터9:제로 전압 비교기
10:펄스 발생 회로11:마이크로프로세서
23:스위치
본 발명은 직류 모터의 코일 세트의 전류 방향 변환(coil commutation)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지된 직류 모터는 각각 코일 세트(권선 세트)와 관련되어 설치되어 있는 여러 축 위치 센서, 예컨대 호올 소자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센서는 코일의 위치와 관련하여 고정된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신호는 예컨대 다극 영구자석을 갖는 회전자의 회전에 의하여 센서들에서 발생되고, 이들 신호에 의하여 순간적인 회전자 각도 위치가 검출된다. 그때마다, 각 코일 세트의 전류 방향 변환은 이들 신호에 의하여 트리거된다.
더욱이, 이와 같은 모터는 정보, 즉, 모터의 회전수(rpm)에 비례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회전 속도 신호 발생기를 필요로 한다.
상기 두 종류의 정보는 전자 회로를 사용하여 모터를 제어하는데 필요하다.
고정자에 배치되어 있는 전류 방향의 변환이 가능한 코일과 소정의 대응 관계로 회전자의 주위에 분배되어 있는 다수의 바코드와 작용하는 광센서를 이용한 축 위치 검출을 기초로 하여 모터 제어가 수행되는 모터도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지 하나만 설정되어 있는 임의로 배치된 센서에 의하여 발생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모터의 전류 방향 변환을 제어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제1 지속 시간(T1)과 제2의 지속 시간(T2=K(선택된 비례계수(proportional factor))×T1)의 합과 동일한 지속 시간을 갖는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와; 제어 신호의 지속 시간의 종료시에 상기 코일 세트 중 제1 코일 세트의 전류 방향 변환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됩니다. 기본적으로, 회전자의 1회전 동안 모터의 전류 방향 변환의 개시를 크리거하는 두 종류의 정보는, 예컨대 제어해야할 모터의 회전자 축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는 회전 표시기와 작용하는 고정 광 센서인 센서에 의하여 발생되는 펄스로부터 도출된다. 제1 정보는 펄스의 개시의 시간이며, 회전자의 각도 위치를 검출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제2 정보는 펄스의 지속 기간이며, 이는 예컨대 광 센서와 작용하는 회전 표시기의 각도 범위에 의존하고 있으며, 회전자의 회전 속도를 측정한다.
이들 두 종류의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코일 세트에 대한 전류 방향 변환을 개시하기 위하여, 제1 신호 성분은 각 회전 속도와 관련된 펄스의 지속 시간으로부터 도출되고, 또한 회로에서 발생되는 제2 신호 성분으로까지 연장되며, 이 제2 신호 성분의 종료시에 전류 방향의 변환이 개시된다. 제2 신호 성분은 제1 신호 성분에 비례한다. 즉, 제2 신호 성분은 선택된 비례계수 K에 의하여 제1 신호 성분과 관련되고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성분은 전류 방향 변환 타이밍 제어 신호를 형성하고, 이 신호의 종료시에 전류 방향 변환 시점이 설정되도록 되어 있다.
모터가 스타트할 때, 제1 신호 성분의 실제 지속 시간은 비교적 길며, 제2 신호 성분의 지속 시간 또한 회전자의 각 속도가 그에 상응하게 느리므로 비례적으로 길다. 따라서, 정확하게 전류 방향을 변환하는 개시 시간도 알맞게 길어진다. 모터가 그의 목표 속도에 도달했을 때, 각 속도는 그에 상응하게 빠르며, 이에 따라 제1 신호 성분의 지속 시간은 짧고 제2 신호 성분의 지속 시간은 그것이 제1 신호 성분의 지속 시간과 비례하고 있으므로 짧다. 따라서 각 속도가 빠르면 전류 방향을 변환하는 시점 역시 신속하게 도달한다.
이들 신호 성분의 지속 시간 사이의 관계는 코일과 관련된 센서의 물리적 위치에 기초하여 모터에 대하여 경험적으로 구하여지는 비례계수 K에 의하여 성립되고 있다. 이 계수는 예컨대 정격 회전수에서 모터가 최소 전류를 소비하도록 설정함으로써 고정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이 계수는 모터 구조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경험적으로 구하여지지 않으면 안된다.
정격 회전수에 있어서 모터에 의하여 최대 토오크가 인출될 수 있도록 이 비례계수를 설정할 수도 있다.
모터 제어, 즉 가속, 감속 및 회전 방향의 변화와 같은 여러 작동 상태에 대하여 계수를 적절히 변화시킬 수가 있으며, 그 결과 상기 동작 상태에 대하여 전류 방향 변환의 여러 개시 시점이 생긴다.
이곳까지 설명해온 구성에 의하여, 전류 방향 변환의 초기 개시가 결정된다. 순차적인 코일 세트의 전류 방향 변환을 예컨대 계수기에 의하여 수행할 수가 있으며, 또는 본 발명에 따라 이때까지 설명해온 원리에 따라 각각 동작하는 다수의 신호 발생 회로의 캐스케이드 접속에 의하여 수행할 수가 있다. 그때, 연속적인 코일 세트의 전류 방향 변환은 제2 신호 성분의 종료 시점에서 시작하여, 이 신호의 각 종료 시점에서의 조합된 신호의 실제 지속 시간에 비례하여 발생되는 다른 신호를 캐스케이드 접속함으로써 코일 세트의 순차적인 전류 방향 변환이 트리거된다. 이와 같이 캐스케이드 접속에 의해 트리거되는 전류 방향 변환 시점을 결정하기 위한 제어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사용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고로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에는 모터축에 고정되어 있으며 신호 S1를 발생시키는 센서(2)와 작용하는 회전 표시기(1)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소자(1) 및 (2)는 홀 센서 또는 전술한 형태의 광 센서의 구성 요소일 수 있다. 신호 S1는 모터축의 회전 속도 및 광센서의 경우에는 회전 표시기(1)의 각도 범위에 따르는 실제 신호 지속 기간 T1을 갖는다. 지속 시간 T1은 회전수가 느린 경우에는 같고, 회전수가 빠른 경우에는 짧다. (도시되지 않은)전류 방향이 변환될 모터 코일과 회전 표시기(1)와의 공간 배치 관계에 의하여 소정 각도가 미리 설정된다. 이 각도는 임의로 선택할 수 있으며, 모터마다 바꿀 수가 있다. 따라서, 전류 방향 변환의 개시, 즉 하나의 코일 세트로부터 다음의 코일 세트로의 전환시점은 신호 S1의 개시로부터 원하는 최적의 전환 시점 t2까지 결정된 각도에 의존하고 있다.
회로를 더욱 잘 이해하도록 하기 위하여, 신호 S1의 실제 신호 지속 시간 T1이 정격 회전수에서 신호 S1의 개시로부터 전류 방향 변환 시점 t2까지의 시간보다도 짧은 것을 가정한다. 따라서, 전류 방향 변환 시점 t2는 실제 신호 지속 시간 T!다음에 있으며, 또한 규칙적인 전류 방향 변환에 대하여, 다음 식에서와 같이 실제 신호 지속 시간 T1에 비례하고 있다:
t2 = T1 + K × T1
비례계수 K는 원하는 전류 방향 변환 시점에 대한 요구에 따라 각각의 모터에 대하여 결정되어지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이 계수는 정격 회전수에 있어서 최저 소비 전류로 되고, 또는 정격 회전수에서 최적 토오크를 위해 설정할 수가 있다.
실제 신호 지속 시간 T1을 갖는 신호 S1은 센서(2)로부터 증폭기(3)로 공급된다. 증폭기(3)의 출력 A는 전류원(4)을 제어하고, 인버터(6)를 통하여 조정가능한 전류 싱크(current sink)(5)를 제어한다. 전류원(4) 및 전류 싱크(5)의 출력은 캐패시터(8)의 한쪽의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접속점 B에 접속되어 있다. 캐패시터(8)는 전류원(4)에 의하여 지속 시간 T1 동안 충전된다. 이 충전은 지속 시간 T1의 종료 시점에서 정지되고, 캐패시터(8)의 방전은 전류 싱크(5)를 통하여 시작된다. 이 방전 과정, 즉 전류 싱크(5)로 흐르는 전류의 크기는 제어 입력 E를 통하여 공급되는 제어 신호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캐패시터(8)의 충전의 개시는 캐패시터(8)에 병렬로 접속되어 있는 제로 전압 비교기(9)에 의하여 검출된다. 제로 전압 비교기의 출력 C는 충전 개시시에 고레벨로 전환된다. 캐패시터(8)가 전류 싱크(5)를 통하여 다시 영볼트로 방전되면, 제로 전압 비교기(9)의 출력 C는 저레벨로 전환된다.
펄스 발생 회로(10)는 제로 전압 비교기(9)의 출력에 접속되어 있어, 출력 C가 고레벨에서 저레벨로 전환되는 순간에 짧은 지속 시간 펄스 D를 발생시킨다. 이 펄스 D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종래의 전류 방향 변환 회로를 트리거함으로써 모터의 제1 코일 세트의 전류 방향 변환을 개시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또한 접속선 G를 통하여 전류 싱크(5)를 정지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캐패시터(8)를 충전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전류원(4)은 능동 상태에서 이 전류원(4)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는 정전류를 공급한다. 그러나, 방전을 위하여 사용되는 전류 싱크(5)는 그것의 제어 접속선 E을 통하여 전류 크기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전류 싱크(5)의 전류 크기와 스위치(23)를 통하여 제어 접속선 E에 공급되는 직류 제어 전류와의 사이에는 선형 관계가 있다. 이 직류 제어 전류는 전위차계(7)를 사용하여 작동 전압 + UB에서 도출되고, 이 도출된 전압의 크기는 센서(2)와 전류 방향의 변환이 제어되는 모터의 코일과의 사이의 각기 기하학적 배치와 아울러 전류원(4)의 충전 전류에 의존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접속선 G에서의 전압은 경험에 의하여 정격 회전수에서의 최소 전류 또는 최대 토오크를 위해 설정할 수 있다.
전류 싱크(5)의 입력 E가 스위치(23)를 통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11)의 출력에 접속되어 있을 때, 모터가 변화하는 작동 상태는 마이크로프로세서(11)를 사용하여 설정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마이크로프로세서(11)는 DA변환기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예컨대 전류 방향 변환 시점을 적당하게 조정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출력치를 발생시킴으로써 우회전, 좌회전, 가속 및 감속을 설정할 수가 있다.
모터의 다른 코일 세트의 전류 방향 변환은 제1 코일 세트의 전류 방향 변환 개시 시점으로부터 계수 회로를 사용하여, 또는 제4도 및 제5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바와 같이, 캐스케이드 접속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가 있다. 제1도에 도시한 회로에 있어서, 전류 방향 변환 시점 t2는 캐패시터(8)의 충전 및 방전 동작에 의해 지속 시간 T1을 가진 제1 신호 성분과 제1 신호 성분의 지속 시간 T1에 비례해서 발생되는 제2 지속 시간 T2=K×T1를 가진 제2의 신호 성분을 변환시킴으로써 설정된다. 그러나 이들의 신호 지속 시간을 소정의 주파수 펄스열로 전환하고 계수를 사용하여 전류 방향 변환 시점을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도의 A 내지 D는 제1도의 선택된 회로점에 있어서의 전압 파형을 모터의 각종 회전수로 보여주고 있다. 3개의 상이한 회전수가 표시되어 있으며, 이 회전수는 예컨대 주파수 발생기를 사용한 모터 제어에서 발생할 수 있다. 좌로부터 우에 걸쳐서 서서히 속도가 저감되어 가도록 도시되어 있다. 제2도의 A, B, C 및 D는 제1도에 도시된 회로점의 기호에 상응한다.
제2도의 A는 증폭기(3)의 출력에서의 전압 파형을 보여주고 있다. 이 전압 파형은 길이 또는 지속 시간 T1을 갖는 신호 S1에 상응한다. 제2도의 B는 캐패시터(8)의 충전 및 방전 동작 중 캐패시터에 걸리는 전압을 보여주고 있다. 지속 시간 T1 동안, 캐패시터는 일정한 전류에 의하여 충전되고, 또한 충전 동작에 다음에 이어지는 방전은 전류 싱크(5)를 통하여 행하여진다. 방전 속도는 전위차계(7)에 의해 최적의 전류 방향 변환 동작을 위해 제1도의 회로점 E에서 고정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제어 직류 전압에 의하여 미리 설정된다. 충전 시간 대 방전 시간의 비는 항상 동일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이 경우에는 2:3).
제로 전압 비교기(9)의 출력에서의 신호 파형은 제2도의 C로 도시되어 있다. 충전의 개시시에 제로 전압 비교기는 고레벨로 전환되고, 또한 방전의 종료시에, 즉 영볼트로 되었을 때에 비교기는 저레벨로 전환된다. 비교기(9)로부터의 각각의 출력 펄스의 지속 시간은 t2와 같다.
제2도의 D는 전류 방향 변환을 개시하고 또한 방전을 중지하기 위하여 방전 동작의 종료시에서 트리거되는 펄스 발생 회로(10)의 출력에서의 트리거 펄스의 타이밍을 보여주고 있다.
제3도의 A 내지 D는 제2도에 상응하여 제1도의 회로점 A, B, C 및 D에서의 전압 파형을 보여주고 있으나, 이곳에서는 일정한 모터 속도 및 각각 상이한 동작 모우드의 제어에 대하여 제시하고 있다. 전류 방향 변환, 즉 펄스 D의 트리거는 캐패시터(8)의 방전 속도를 변화시킴으로써 변화하고, 그때 캐패시터의 방전 속도를 사용하여 가속, 감속, 또는 회전 방향의 변화와 같이 변화하는 동작 모우드를 설정할 수 있다. 캐패시터(8)의 방전 속도의 변화는, 예컨대 스위치(23)를 통하여 입력 E에 접속되어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11)에 의하여 행하여진다.
제3도 B에는 3개의 변화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4도는 제1도에 도시된 회로는 캐스케이드 접속함으로써 여러 코일 세트의 전류 방향을 변환할 수 있는 회로의 블록도이다. 블록(12, 15, 18)은 각각 제1도의 회로 블록(4, 5, 6, 8, 9)을 포함하고 있다.
센서(2)는 지속 시간 T1의 신호 S1을 증폭기(3)를 통하여 블록(12)의 입력 및 동시에 인버터(14)의 입력측으로 공급한다. 블록(12) 및 인버터(14)의 출력측은 AND 회로(13)에 접속되어 있다. AND 회로(13)는 펄스 발생기(10)에 신호 F1을 공급하여, 펄스 발생기(10)는 신호 F1의 각각의 펄스의 종료시에 제1 코일 세트의 전류 방향이 변환되도록 트리거 신호 D1을 발생한다.
지속 시간 T1의 종료시에 고레벨로 전환된 회로(13)의 출력 신호 F1은 다른 블록(15)의 입력과 함께 인버터(17)의 입력에 공급되고, 블록(15) 및 인버터(17)의 출력은 다른 AND 회로(16)로 접속되어 있으며, 제2 코일 세트의 전류 방향을 변환하는 트리거 펄스 D2는 펄스 발생 회로(19) 및 AND 회로(16)에 의하여 발생된다.
블록(15)에 있어서의 캐패시터가 0V 레벨에 도달하였을 때 고레벨로 전환되는 AND 회로(16)의 출력 신호 F2는 AND 회로(21) 및 펄스 발생 회로(22)에 의하여 발생되는 트리거 펄스 D3에 의해 제3 코일 세트의 전류 방향을 변환하기 위하여 다른 블록(18) 및 다른 인버터(20)에 공급된다.
회로(19 및 22)는 각각 회로(10)와 동일하다.
3개의 코일 세트의 전류 방향 변환이 제4도에 도시되어 있지만, 다수의 코일 세트를 사용하기 위하여 부가 회로 유니트를 설치할 수가 있다. 블록(12, 15, 18)에 대한 개별 동작점, 즉 블록 입력측 E12, E15 및 E18에서의 제어 전압은 개별 코일 세트에 대하여 전류 방향 변환 펄스의 연속 시퀀스가 보증되도록 설정되지 않으면 안된다.
제4도의 블록도에 부가적으로 생기는 전압 파형이 관련된 신호로 제5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제까지 유리한 실시예에 대하여 일예를 들어 설명했을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개량 및 변형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양태를 열거한다.
제2 지속 시간과 제1 지속 시간 사이의 비례계수를 전류 방향 변환의 최적의 개시를 조절할 수 있다.
모터의 동작 중, 제2 지속 시간과 제1 지속 시간 사이의 비례계수를 다른 동작 상태에 상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제2 지속 시간과 제1 지속 시간 사이의 비례계수를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사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제1 지속 시간에 비례하는 지속 시간을 갖는 부가 신호를 캐스케이드 접속함으로써 제어 신호 지속 시간의 종료시로부터 시작하여 다른 코일 세트의 전류 방향 변환의 개시를 제어할 수 있다.
부가 신호의 지속 시간을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하여 제어할 수 있다.

Claims (1)

  1. 모터 회전자의 회전 속도에 관련된 제1 지속 시간(T1)을 갖는 센서 신호(S1)를 회전자의 각 회전동안 발생시키는 고정 센서를 이용하여, 직류 모터의 코일 세트의 전류 방향 변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속 시간(T1)과 제2 지속 시간(T2=K×T1)의 합과 동일한 지속 시간을 갖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상기 K는 선택된 비례계수이며; 및 상기 제어 신호의 지속 시간의 종료시에 상기 코일 세트 중 제1 코일 세트의 전류 방향 변환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KR1019880009454A 1987-07-28 1988-07-27 직류 모터의 전류 방향 변환 제어 방법 KR01387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73724895 DE3724895A1 (de) 1987-07-28 1987-07-28 Verfahren zur steuerung der kommutierung von spulen eines gleichstrommotors
DE3724895.2 1987-07-28
DEP3724895.2 1987-07-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3098A KR890003098A (ko) 1989-04-12
KR0138780B1 true KR0138780B1 (ko) 1998-06-15

Family

ID=6332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9454A KR0138780B1 (ko) 1987-07-28 1988-07-27 직류 모터의 전류 방향 변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4882523A (ko)
EP (1) EP0301366B1 (ko)
JP (1) JP2771179B2 (ko)
KR (1) KR0138780B1 (ko)
AT (1) ATE83878T1 (ko)
DE (2) DE3724895A1 (ko)
ES (1) ES2037150T3 (ko)
HK (1) HK1395A (ko)
SG (1) SG47193G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8802394D0 (sv) * 1988-06-27 1988-06-27 Electrolux Mecatronik Ab Reluktansmotor
US5845045A (en) * 1993-11-28 1998-12-01 Papst-Motoren Gmbh & Co. Kg Method and apparatus for DC motor speed control
WO1995024071A1 (en) * 1994-03-03 1995-09-08 Iomega Corporation Servo motor controller using position interpolation
DE19517665A1 (de) * 1994-11-21 1996-11-14 Papst Motoren Gmbh & Co Kg Elektronisch kommutierter Motor, und Verfahren zur Ansteuerung eines drei- oder mehrsträngigen, elektronisch kommutierten Motors
EP0741449B1 (de) * 1995-05-02 2003-03-12 PAPST-MOTOREN GmbH & Co. KG Elektronisch kommutierter Motor, und Verfahren zur Ansteuerung eines solchen Motors
KR100258434B1 (ko) * 1996-09-02 2000-06-01 윤종용 1-홀 신호를 이용한 3상 비엘디시 모터의 구동회로
EP0831580B1 (de) * 1996-09-21 2003-02-19 Diehl AKO Stiftung & Co. KG Einrichtung zur Antriebsstromsteuerung eines elektrisch kommutierten Permanentmagnet-Motors
KR100771719B1 (ko) * 2006-03-28 2007-10-30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51449A (en) * 1978-01-30 1979-04-24 Shuichi Takahashi Positioning control apparatus
DE2952695C2 (de) * 1979-01-05 1984-07-12 Metallwerke Neheim, Goeke & Co Kg, 5760 Arnsberg Verfahren und Anordnung zur Steuerung der Energieabgabe bzw. -aufnahme eines Klimatisierungsgeräts
DE2949017C2 (de) * 1979-12-06 1982-04-22 Danfoss A/S, 6430 Nordborg Anordnung zum Steuern von Antriebs- und Bremsstrom eines bürstenlosen Gleichstrommotors
JPS5918591U (ja) * 1982-07-23 1984-02-04 日本電気株式会社 3相直流ブラシレスモ−タ駆動回路
DE3341731A1 (de) * 1983-11-18 1985-05-30 Papst-Motoren GmbH & Co KG, 7742 St Georgen Kollektorloser mehrphasen-gleichstrommotor
US4584505A (en) * 1984-06-14 1986-04-22 Yeongchoon Chung Torque-speed control system for asynchronous D.C. brushless motor
DE3435270A1 (de) * 1984-09-26 1986-04-03 Deutsche Thomson-Brandt Gmbh, 7730 Villingen-Schwenningen Verfahren zum anlaufen eines elektronisch kommutierten gleichstrommotors
US4692674A (en) * 1985-04-26 1987-09-0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Brushless DC motor control system responsive to control signals generated by a computer or the like
DE3610253A1 (de) * 1986-03-26 1987-10-08 Sgs Halbleiterbauelemente Gmbh Steuerschaltung fuer einen kommutatorlosen gleichstrommo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01366A3 (en) 1989-09-20
ES2037150T3 (es) 1993-06-16
JPS6443091A (en) 1989-02-15
ATE83878T1 (de) 1993-01-15
DE3876889D1 (de) 1993-02-04
EP0301366B1 (de) 1992-12-23
DE3724895A1 (de) 1989-02-09
KR890003098A (ko) 1989-04-12
JP2771179B2 (ja) 1998-07-02
EP0301366A2 (de) 1989-02-01
SG47193G (en) 1993-07-09
HK1395A (en) 1995-01-13
US4882523A (en) 1989-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0516B1 (ko) 스위치 릴럭턴스 기계용 콘트롤러
EP0276625B1 (e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 switched reluctance motor
EP0287607B1 (en) A motor energizing circuit
US4223261A (en) Multi-phase synchronous machine system
US4446406A (en) Brushless DC motor driving circuit
KR100349871B1 (ko) 회전위치검출기가 붙은 영구자석형 동기전동기의 기동방법 및 전동기 제어장치
US5036264A (en) Brushless motor with no rotor-position sensor
AU552813B2 (en) Starting control circuit for an a.c. motor
EP0409952A1 (en) Control arrangement for a reluctance motor
JPH0984375A (ja) 高周波クロックを利用したスイッチト・リラクタンス・ドライブ用の角度制御器
CA2159781A1 (en) Apparatus for Starting a Switched Reluctance Motor
KR0138780B1 (ko) 직류 모터의 전류 방향 변환 제어 방법
US5097192A (en) Controller of a synchronous motor
US3308362A (en) Synchronous motor control circuit
CN108173475B (zh) 电机驱动装置和电机
JP4701705B2 (ja) Dcモータ回転数検出装置
US4647829A (en) Means and method for stepping motor stabilization
US4521723A (en) Method and device for braking an assembly comprising a two-phase synchronous motor
RU1815781C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уска трехфазного асинхронного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
SU153474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правлени @ -фазным шаговым двигателем
RU2014720C1 (ru) Способ пуска и самозапуска синхронного двигателя
JP3117210B2 (ja) ブラシレスモータの駆動装置
JP3107384B2 (ja) ブラシレスモータの駆動装置
SU884062A1 (ru) Регул тор скорости вращени дл микро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 посто нного тока
JPS61214788A (ja) 無整流子電動機の起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