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8552Y1 - 칼라 신호 처리회로 - Google Patents

칼라 신호 처리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8552Y1
KR0138552Y1 KR2019950042719U KR19950042719U KR0138552Y1 KR 0138552 Y1 KR0138552 Y1 KR 0138552Y1 KR 2019950042719 U KR2019950042719 U KR 2019950042719U KR 19950042719 U KR19950042719 U KR 19950042719U KR 0138552 Y1 KR0138552 Y1 KR 01385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signal
user
transistor
square w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27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8338U (ko
Inventor
정문주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500427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8552Y1/ko
Publication of KR9700483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83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5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5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793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for controlling the level of the chrominance signal, e.g. by means of automatic chroma control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44Colour synchronisation
    • H04N9/455Generation of colour burst signals; Insertion of colour burst signals in colour picture signals or separation of colour burst signals from colour picture signals

Abstract

본 고안은 영상신호를 녹화 재생시키는 영상녹재 기기에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칼라만 녹화 편집되고 나머지 칼라신호는 흑백으로 녹화 편집되도록 하는 칼라신호 처리회로에 관한 것으로 화상전체를 흑백 또는 칼라신호로의 전환만 시키게되어 편집효과의 다양함을 줄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화면에 디스플레이를 원하는 칼라신호를 만들고 상기 칼라신호를 차동 증폭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칼라 신호만을 선택하여 직류 제어신호를 만든 후 상기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칼라신호만 출력되고 나머지 칼라신호는 출력을 차단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색상의 칼라만 표현시키게 된다.

Description

칼라 신호 처리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각부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칼라 선택부 200 : 구형파변환부
300 : 이중평행 차동 증폭부 400 : 적분부
500 : 증폭부 Q1-Q10 : 트랜지스터
C1-C3 : 콘덴서 R1-R13 : 저항
본 고안은 영상신호를 녹화 재생시키는 영상녹재 기기에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칼라만 녹화 편집되고 나머지 칼라신호는 흑백으로 녹화 편집되도록 하는 칼라신호 처리회로에 관한 것이다.
영상녹재 기기는 자연색 그대로 피사체를 녹화하고 이를 재생시키게 되므로 특정 색상만을 선택하여 녹화하거나 편집시킬 수 없었다.
즉 기존의 영상녹재 기기는 칼라 화상의 녹화재생만 가능하거나 흑백 화상으로의 녹화재생만 가능하고 전체적인 화면은 흑백으로 나타내되 특정 색상만 칼라로 나타낼 수는 없었다.
다만 방송용 기기에서는 특수한 효과를 주기 위하여 화상신호를 디지탈 처리한 후 특정색상의 칼라신호만 남기고 나머지 칼라신호는 삭제시킴으로써 특정의 색상만 칼라로 표현되게 할 수 있으나 이는 일반사용자는 이용할 수 없으며 특정 방송용 기기에서만 가능하고 또한 가격이 비싼 문제점이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색상만 칼라로 표현되고 나머지 색상은 흑백으로 표시되게 하는 칼라신호 처리 회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특히 본 고안은 간단한 회로 구성에 의거 목적하는 바를 달성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칼라를 선택하기 위한 데이타와,
상기 데이타 입력에 의해 버스트 신호의 위상을 선택된 칼라 위상으로 변환시키는 칼라선택 수단과,
칼라 선택수단에서 변환된 버스트 신호를 구형파로 변환시키는 구형파 변환수단과,
구형파 변환수단의 구형파 출력과 칼라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원하는 구형파 신호만을 출력시키는 이중평형 차동 증폭부와,
상기 이중평행 차동 증폭부의 출력을 적분시키고 직류 제어신호로 출력시키는 적분 수단과,
상기 적분수단의 제어신호 입력에 의하여 구동되고 사용자가 선택한 칼라신호만 정상 증폭시켜 출력시키는 증폭수단을 구비하므로써 이루어진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로써
칼라 선택부(100)는 데이타 입력에 따라 트랜지스터(T1-T3)의 구동이 선택되고 이에따라 콘덴서(C1-C3)가 선택되어 버스트 신호의 위상을 변환시킨다.
여기서 데이타는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칼라를 선택하면 선택된 칼라를 표현하기 위한 버스트 신호위상을 지연시키기 위하여 세트마이콤에서 인가시키게 된다.
즉 사용자가 선택한 칼라에 따라 마이콤에서는 미리 기억시켜 놓은 데이타를 트랜지스터(T1-T3)에 인가시키게 된다.
NTSC 방식에서는 버스트 신호가 3.58MHz로써 제2도의 (A)와 같이 인가되게 되며 예를 들어 적색(Red)신호를 사용자가 선택하면 적색 신호는 80°의 위상지연이 있어야 하므로 콘덴서(C1-C3)를 이용하여 75-85°지연된 버스트 신호를 만들게 된다. (제2도의 (B)참조)
즉 사용자가 표현을 원하는 칼라신호에 따라 마이콤에서 데이타를 변화시켜 인가시키게 되고 이에따라 트랜지스터(T1-T3) 및 콘덴서(C1-C3)의 구동이 선택되어 결국 칼라 선택부(100)에서는 사용자가 선택한 칼라신호를 표현하기 위한 버스트 신호를 출력시키게 된다.
칼라 선택부(100)에서 출력된 신호는 구형파 변환부(200)에 인가되어 구형파로 변환되어진 후 이중평행 차동 증폭부(300)에 인가된다.
구형파 변환부(200)는 저항(R1)(R2)이 연결된 트랜지스터(Q1)로 구성되어 칼라선택부(100)의 출력을 충분히 증폭시키게 되고 포화된 신호는 트랜지스터(Q1)를 통하여 구형파고 출력된다.
구형파 변환부(200)에서 출력된 구형파는 제2도의 (C)와 같이 이중평행 차동 증폭부(300)의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에 인가되고 또한 구형파 변환부(200)에서 출력된 구형파는 인버터(I1)에서 반전된 후 이중평행 차동 증폭부(300)의 트랜지스터(Q7)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이중 평행차동 증폭부(300)는 트랜지스터(Q4)를 부하로 트랜지스터(Q2)(Q3)가 연결되고 트랜지스터(Q7)를 부하로 트랜지스터(Q5)(Q6)가 연결되며 트랜지스터(Q3)(Q5)의 베이스에는 칼라신호가 입력되고 트랜지스터(Q2)(Q6)의 베이스에는 인버터(12)에서 반전된 칼라신호 입력이 인가된다.
이러한 이중 평행 차동 증폭부(300)의 동작을 사용자가 선택한 칼라와 동상의 칼라신호가 입력될 경우와 서로 다른 위상의 칼라신호가 인가될 경우로 나누어 설명한다.
먼저 칼라신호 입력으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되기를 원하는 칼라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제2도의 (C)와 (E1)의 신호가 입력되어 서로같은 위상일때)를 살펴본다.
이때에는 제2도의 (C)입력에서 트랜지스터(Q4)가 온, 트랜지스터(Q7)가 오프되고 제2도의 (D)입력에서는 트랜지스터(Q4)가 오프, 트랜지스터(Q7)가 온 된다.
트랜지스터(Q4)가 온일때 트랜지스터(Q4)를 부하로 하고 있는 트랜지스터(Q2)(Q3)가 동작하고 증폭작용을 하는 상태가 된다.
즉 제2도에 도시된 구간 a, b 사이에서 제2도의 (c) 입력에는 (+구간) 트랜지스터(Q4)가 온, 트랜지스터(Q7)는 오프상태로 두고 트랜지스터(Q2)(Q3)가 활성상태로 되기때문에 트랜지스터(Q2)는 베이스에 입력되는 신호(제2도의 (F1)신호)를 증폭 반전하여 제2도의 (G1)와 같은 신호로 적분부(400)로 출력시킨다.
그리고 제2도에 표시된 구간 b, c 사이에서는 트랜지스터(Q4)가 오프, 트랜지스터(Q7)가 온 상태로 되기 때문에 트랜지스터(Q5)(Q6)이 활성상태가 되고 트랜지스터(Q2)(Q3)은 비활성 상태가 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 입력신호(제2도의 (E1)신호)는 반전되어져 제2도의 (G1)과 같은 신호로 적분부(400)로 출력되어 진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원하는 칼라신호 입력이 아닐 경우(제2도의 (C)와 (E2)의 신호가 입력되어 서로 다른 위상일때)를 살펴본다.
이때에는 제2도에 표시된 구간 a, b 사이에서 트랜지스터(Q4)는 온, 트랜지스터(Q7)는 오프상태가 되므로 트랜지스터(Q2)(Q3)가 활성되어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신호(제2도의 (F2)신호)가 증폭 반전되어 제2도의 (G2)와 같은 신호로 적분부(400)로 출력된다.
따라서 a, b 구간에서는 입력신호(제2도의 (E2) 신호)와 동상의 신호(제2도의 (G2)신호)가 출력된다.
제2도에 도시된 b, c 구간 사이에서는 트랜지스터(Q4)가 오프, 트랜지스터(Q7)가 온상태가 되어 트랜지스터(Q5)(Q6)가 활성화되므로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 신호(제2도의 (E2) 신호)가 반전되어 제2도의 (G2)와 같은 신호로 적분부(400)에 인가된다.
즉 b, c 구간에서는 입력신호 (E2)위상과는 반대 위상의 신호가 출력되어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선택한 칼라와 위상이 다른 칼라신호가 입력되면 이중 평행 차동 증폭부(300)에서는 제2도의 (G2)와 같은 신호를 출력시키게 되고 전위는 0가 된다.
이중 평행 차동 증폭부(300)의 출력은 적분부(400)에서 적분되어져 직류제어 신호로 출력된다.
여기서 이중 평행차동 증폭부(300)에서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원하는 칼라입력 신호가 인가될 경우 제2도의 (G1)과 같은 신호를 출력시키게 되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원하지 않는 칼라 입력신호가 인가될 경우는 제2도의 (G2)와 같은 신호를 출력시키게 된다.
이중 평행 차동 증폭부(300)에서 제2도의 (G1)과 같은 신호가 출력되면 이신호는 적분부(400)의 저항(R5)과 콘덴서(C4)에서 적분된 후 트랜지스터(Q8)를 구동시킴으로써 로우레벨의 제어신호를 증폭부(500)에 인가시키게 되고
제2도의 (G2)와 같은 신호가 출력되면 이신호는 적분부(400)의 저항(R5)과 콘덴서(C4)에 의해 0전위로 적분되어지므로써 트랜지스터(Q8)를 구동시키지 못하여 하이레벨의 제어신호를 증폭부(500)에 인가시키게 된다.
적분부(400)에서 로우레벨의 제어신호가 인가되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원하는 칼라입력일 경우) 증폭부(500)의 트랜지스터(Q10)는 오프되고 트랜지스터(Q9)는 정상 동작하므로써 칼라 입력신호는 증폭되어 출력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색상의 칼라신호는 그대로 녹화 및 편집되게 된다.
그러나 적분부(400)에서 하이레벨의 제어신호가 인가되면(사용자 디스플레이를 원하지 않는 칼라입력일 경우) 증폭부(500)의 트랜지스터(Q10)는 온되게 되고 이에따라 에미터 전위가 상승하여 트랜지스터(Q9)는 증폭작용을 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경우는 칼라신호 출력이 없게되어 화면을 칼라가 빠진 흑백신호로만 녹화 및 편집되어 진다.
이같이 본 고안은 사용자가 원하는 특징의 칼라만 녹화 및 편집되고 나머지 칼라는 흑백으로 표현되게 하므로써 강조하고 싶은 파사체를 칼라를 이용하여 강조할 수 있다.
특히 가정에서도 특정 칼라만을 녹화편집시킬 수 있어 다양한 편집효과를 구현하게 된다.

Claims (1)

  1. 영상신호를 녹화재생시키는 영상 녹재기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원하는 칼라를 선택하기 위한 데이터와, 상기 데이타 입력에 따라 칼라 버스트 신호의 위상을 디스플레이를 원하는 칼라 위상으로 변환시키는 칼라선택부와, 칼라 선택부에서 선택되어진 신호를 증폭시켜 구형파로 변환시키는 구형파 변환부와, 구형파 젼환부의 구형파 입력과 칼라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원하는 위상의 칼라신호를 증폭출력시키는 이중 평행차동 증폭부와, 이중 평행 차동 증폭부의 출력을 적분시켜 제어신호로 출력시키는 적분부와, 상기 적분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구동이 선택되고 사용자가 선택한 칼라신호만을 증폭 출력시키는 증폭부를 구비하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신호 처리회로.
KR2019950042719U 1995-12-14 1995-12-14 칼라 신호 처리회로 KR01385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2719U KR0138552Y1 (ko) 1995-12-14 1995-12-14 칼라 신호 처리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2719U KR0138552Y1 (ko) 1995-12-14 1995-12-14 칼라 신호 처리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8338U KR970048338U (ko) 1997-07-31
KR0138552Y1 true KR0138552Y1 (ko) 1999-05-01

Family

ID=19435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2719U KR0138552Y1 (ko) 1995-12-14 1995-12-14 칼라 신호 처리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855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181B1 (ko) * 2005-12-29 2007-12-11 엠텍비젼 주식회사 특정 색상 강조 기능을 구비한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181B1 (ko) * 2005-12-29 2007-12-11 엠텍비젼 주식회사 특정 색상 강조 기능을 구비한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8338U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19002A (ko) 조합 회로
US6226053B1 (en) Video line connection apparatus for adaptively connecting external input/output line
KR0138552Y1 (ko) 칼라 신호 처리회로
US5331223A (en) Signal supplying unit having means for selecting signal in accordance with terminal connection
KR100332621B1 (ko) 영상신호 혼합/스위칭 회로
JP3486274B2 (ja) エンコーダ
KR100428541B1 (ko) 공통의 영상출력단자를 구비한 콤비네이션 시스템
KR930006494Y1 (ko) Vtr에서의 흑백 기록모드 설정회로
JP3137994B2 (ja) 映像切換装置
KR950001185Y1 (ko) 자·모화면의 녹화회로
JP2517706B2 (ja) 電子機器
KR970006271Y1 (ko) Vcr에서의 자막신호 안정화 회로
KR910007192Y1 (ko) 온스크린 신호 출력회로
KR950003387Y1 (ko) 브이씨알의 자동 모드 전환 장치
KR970009070B1 (ko) 칼라 킬러 기능을 갖는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KR970009454B1 (ko) Osd(on screen display) 신호발생장치
JP3861439B2 (ja) 信号同期回路およびそれを用いた色信号再生回路
KR0131706B1 (ko) 텔레비전의 영상합성장치
KR0136348B1 (ko) 모니터의 입력 신호 선택 회로
KR19980020367A (ko) 오에스디 회로
KR900006014Y1 (ko)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의 무신호시 영상신호 뮤팅회로
US4459552A (en) Low-noise video preamplifier
KR910001312Y1 (ko) 공용단자를 이용한 16칼러 및 64칼러 재생장치
KR910000067B1 (ko) 비데오 테이프의 음성 및 영상 잡음 처리회로
JPH01106590A (ja) 自動利得制御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