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8532Y1 - 강제 송풍 회전식 세탁물 건조대 - Google Patents

강제 송풍 회전식 세탁물 건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8532Y1
KR0138532Y1 KR2019940027542U KR19940027542U KR0138532Y1 KR 0138532 Y1 KR0138532 Y1 KR 0138532Y1 KR 2019940027542 U KR2019940027542 U KR 2019940027542U KR 19940027542 U KR19940027542 U KR 19940027542U KR 0138532 Y1 KR0138532 Y1 KR 01385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undry
blower
blowing
drying rack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75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4617U (ko
Inventor
이종철
Original Assignee
이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철 filed Critical 이종철
Priority to KR20199400275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8532Y1/ko
Publication of KR9600146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461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5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5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08Folding st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탁물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강제 송풍방식에 의해 세탁물 건조대를 회전시키도록 하여 세탁물에 통기성을 강화하고 이에 의해 수분 증발을 높이도록 함으로써 세탁물의 조직 손상없이 세탁물의 원형을 유지시킬 수 있고 건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강제 송풍 회전식 세탁물 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베이스에 히팅장치와 송풍장치를 커버로 씌워 설치하고, 상기 커버를 통해 송풍장치와 연결되는 송풍챔버를 격벽으로 분기하고, 분기된 각각의 송풍챔버는 수직 방향으로 송풍슬릿을 형성하여 온풍을 밖으로 배출하게 하며, 상기 베이스의 둘레에는 다단으로 건조대가 구비되도록 다수개의 회전축을 설치하고 이 회전축의 상부와 상기 송풍챔버의 상부를 지지하는 지지루프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히팅장치와 송풍장치를 통한 강제 송풍방식에 의해 세탁물 건조대를 회전시키도록 함으로써, 세탁물에 통기성을 강화하고 수분 증발율을 높이도록 하여 세탁물의 건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며, 우기 시나 음지에서도 세탁물 건조가 용이하고, 태양광선에 의한 세탁물의 탈색과 섬유류 조직 손상과는 상관없이 세탁물의 원형을 유지하고 탈색을 방지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강제 송풍 회전식 세탁물 건조대
제1도는 본 고안의 강제 송풍 회전식 세탁물 건조대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정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송풍챔버의 송풍슬릿을 도시한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송풍챔버의 하부에 설치한 개폐밸브의 구성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지지루프의 절첩된 형태를 도시한 구성도.
본 고안은 세탁물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강제 송풍방식에 의해 세탁물 건조대를 회전시키도록 하여 세탁물에 통기성을 강화하고 이에 의해 수분 증발을 높이도록 함으로써 세탁물의 조직 손상없이 세탁물의 원형을 유지시킬 수 있고 건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강제 송풍 회전식 세탁물 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세탁물 건조대는 세탁물 걸이가 지면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세탁물 걸이 위에 세탁물을 널어 자연 건조에 의해 말리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자연 건조 방식은 태양광선에 의한 세탁물의 수분증발을 이용하거나 태양광선이 없는 경우 자연통풍을 이용한 세탁물의 수분증발을 유발하여 세탁물을 건조시키도록 한다.
이와 같이 태양광선에 의한 자연 건조 방식은 광선에 의한 수분증발로 세탁물의 건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나, 광선에 약한 조직을 갖는 세탁물일 경우 섬유조직의 손상을 입게되고 심할 경우 세탁물이 탈색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태양광선에 직접 세탁물을 노출시키지 않고 음지에서 자연통풍을 이용한 자연 건조 방식은 세탁물 조직이 변형되지는 않지만 세탁물 건조 시간이 장시간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강제 송풍방식에 의해 세탁물 건조대를 회전시키도록 함으로써, 세탁물에 통기성을 강화하고 수분 증발을 높이도록 하여 세탁물의 조직 손상없이 세탁물의 원형을 유지시킬 수 있고 건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베이스에 히팅장치와 송풍장치를 커버로 씌워 설치하고, 상기 커버를 통해 송풍장치와 연결되는 송풍챔버를 격벽으로 분기하고, 분기된 각각의 송풍챔버는 수직 방향으로 송풍슬릿을 형성하여 온풍을 밖으로 배출하게 하며, 상기 베이스의 둘레에는 적어도 1개이상의 건조대를 관통시킨 적어도 1개이상의 회전축을 설치하고 이 회전축의 상부와 상기 송풍챔버의 상부를 지지하는 지지루프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고안의 강제 송풍 회전식 세탁물 건조대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로써, 베이스(1)에 히팅장치(2)와 송풍장치(3)를 커버(4)로 씌워 설치하고, 상기 커버(4)를 통해 송풍장치(3)와 연결되는 송풍챔버(5)를 격벽(5a)으로 분기하고, 분기된 각각의 송풍챔버(5)는 수직 방향으로 송풍슬릿(5b)을 형성하여 온풍을 밖으로 배출하게 하며, 상기 베이스(1)의 둘레에는 1개이상의 건조대(6)를 관통시킨 1개이상의 회전축(7)을 설치하고 이 회전축(7)의 상부와 상기 송풍챔버(5)의 상부를 지지하는 지지루프(8)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사용자가 세탁물을 건조시키기 위하여 건조대(6)에 세탁물을 널어놓고 히팅장치(2) 및 송풍장치(3)의 전원(도시 생략)을 켜면 히팅장치(2)는 열을 발생시키게 되고 이 열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송풍장치(3)에 의해 제4도에 도시한 개폐밸브(9)의 개로된 부분을 통해 송풍챔버(5)내부로 인입된다. 이와 같이 송풍챔버(5)내부로 인입된 온풍은 송풍챔버(5)의 송풍슬릿(5b)을 통해 밖으로 배출된다.
이때 송풍슬릿(5b)을 통한 온풍의 배출방향은 회전축(7)에서 빗긴 건조대(6)의 일측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상기 건조대(6)의 일측 세탁물 걸이대(6a)에 걸린 세탁물에 온풍이 닿도록 하므로써 건조대(6)가 회전축(7)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여기서 회전축(7)의 상,하단부는 회전축의 회전시 마찰저항을 줄여 미력한 온풍이 송풍슬릿(5a)을 통해 배출되어 세탁물에 닿더라도 회전축(7)이 쉽게 회전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본 고안에서는 마찰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회전축(7)이 끼워지는 지지루프(8)단하부와 베이스(1)의 단하부는 볼 베어링 조이트(도시 생략)를 채용하였다.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송풍챔버의 히부에 설치한 개폐밸브(9)의 구성도로써, 개폐밸브(9)는 반원형상의 개폐막(9b)이 형성된 밸브축(9a)의 양단에 스프링을 탄설하고 상기 밸브축(9a)전방에 조정스위치(9c)를 결합하여 이 조정스위치(9c)를 돌려줌으로써 원하는 방향의 송풍챔버(5)내부로 온풍이 인입된다. 예를 들면, 격벽(5a)을 중심으로 일측방향의 송풍슬릿(5b)을 통해서 온풍을 배출하려면 타측방향의 인입로를 개폐막(9b)으로 막도록 조정스위치(9c)를 조절하면 되고, 격벽(5a)을 중심으로 온풍이 송풍챔버(5)의 양측으로 분기되도록 하려면 반원형상의 개폐막(9b)이 베이스(1)의 방향으로 수직이 되도록 상기 조정스위치(9c)를 조절하면 된다. 상기 개폐막(9b)의 위치에따라 온풍량의 유속이 변화되므로 사용자가 조정스위치(9c)를 적당히 조절함으로써 세탁물 건조시간의 조정이 가능하다.
또한 제5도는 본 고안의 지기루프의 절첩된 형태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격벽(5a)상부를 축으로 지지루프(8)의 상부 양측 소정의 거리에 절첩식 경첩(8a)을 설치하여 이 경첩(8a)을 축으로 지지루프(8)의 일부가 접혀질 수 있도록 하여 사용하지 않는 회전축(7)을 지지하는 지지루프(8)의 단하부와 베이스(1)의 단상부에서 빼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세탁물 건조대 설치공간의 효율성을 높이도록 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히팅장치와 송풍장치를 통한 강제 송풍방식에 의해 세탁물 건조대를 회전시키도록 함으로써, 세탁물에 통기성을 강화하고 수분 증발율을 높이도록 하여 세탁물의 건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태양광선에 구애됨 없이 우기 시나 음지에서도 세탁물 건조가 용이하며, 태양광선에 의한 세탁물의 탈색과 섬유류 조직 손상과는 상관없이 세탁물의 원형을 유지시킬 수 있고 탈색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세탁물 건조대에 있어서, 베이스(1)에 히팅장치(2)와 송풍장치(3)를 커버(4)로 씌워 설치하고, 상기 커버(4)를 통해 송풍장치(3)와 연결되는 송풍챔버(5)를 격벽(5a)으로 분기하고, 분기된 각각의 송풍챔버(5)는 수직 방향으로 송풍슬릿(5b)을 형성하여 온풍을 밖으로 배출하게 하며, 상기 베이스(1)의 둘레에는 적어도 1개이상의 건조대(6)를 관통시킨 적어도 1개이상의 회전축(7)을 설치하고 이 회전축(7)의 상부와 상기 송풍챔버(5)의 상부를 지지하는 지지루프(8)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제 송풍 회전식 세탁물 건조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7)이 끼워지는 지지루프(8)단하부와 베이스(1)의 단하부는 마찰저항을 줄일 수있는 볼 베어링 조이트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강제 송풍 회전식 세탁물 건조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루프(8)는 격벽(5a)상부를 중심으로 양측 소정의 거리에 절첩식 경첩(8a)을 설치하여 이 경첩(8a)에 의해 지지루프(8)의 일부가 접혀질 수 있도록 하여 사용하지 않는 회전축(7)을 빼낼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하는 강제 송풍 회전식 세탁물 건조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챔버(5)의 하단부는 반원형상의 개폐밸브(9)를 설치하여 원하는 송풍챔버(5)의 송풍슬릿(5b)방향으로 송풍을 개폐할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하는 강제 송풍 회전식 세탁물 건조대.
KR2019940027542U 1994-10-21 1994-10-21 강제 송풍 회전식 세탁물 건조대 KR01385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7542U KR0138532Y1 (ko) 1994-10-21 1994-10-21 강제 송풍 회전식 세탁물 건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7542U KR0138532Y1 (ko) 1994-10-21 1994-10-21 강제 송풍 회전식 세탁물 건조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4617U KR960014617U (ko) 1996-05-17
KR0138532Y1 true KR0138532Y1 (ko) 1999-05-15

Family

ID=19396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7542U KR0138532Y1 (ko) 1994-10-21 1994-10-21 강제 송풍 회전식 세탁물 건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853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160B1 (ko) * 2008-03-28 2010-05-18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세탁물 건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160B1 (ko) * 2008-03-28 2010-05-18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세탁물 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4617U (ko) 199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155462A (en) Clothes drying cabinet with a biased rotary drum
US6868621B1 (en) Clothes drying apparatus and method of drying clothes
US20050102852A1 (en) Clothes dryer
CA2436689A1 (en) Drying rack for a spin dryer
KR0138532Y1 (ko) 강제 송풍 회전식 세탁물 건조대
US20200232153A1 (en) Drying apparatus for garments and linen
KR20070024999A (ko) 의류 건조기
KR200371090Y1 (ko) 의류 건조기
KR100723992B1 (ko) 대류 건조기
JP3764220B2 (ja) 浴室換気乾燥機
JP3602173B2 (ja) 浴室換気乾燥機
WO2006059225A1 (en) Electric household appliance for drying hung clothes
KR200229734Y1 (ko) 타이머송풍팬이 부착된 건조대
CN105755777A (zh) 一种高效晾衣柜
KR200143146Y1 (ko) 샤워바람식 빨래건조대
CN109554900A (zh) 便携式香薰消毒速干机
CN1382862A (zh) 快速干衣装置
CN217419072U (zh) 集消毒防潮烘干为一体的小型衣物烘干机
CN114575126B (zh) 一种干衣柜
KR950003677Y1 (ko) 전자동세탁기의 건조장치
EP3249093A1 (en) Laundry dryer
JPH08309097A (ja) 乾燥機
JPS62637Y2 (ko)
JPH0335276Y2 (ko)
JP2001050658A (ja) 収納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0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