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1090Y1 - 의류 건조기 - Google Patents

의류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1090Y1
KR200371090Y1 KR20-2004-0028482U KR20040028482U KR200371090Y1 KR 200371090 Y1 KR200371090 Y1 KR 200371090Y1 KR 20040028482 U KR20040028482 U KR 20040028482U KR 200371090 Y1 KR200371090 Y1 KR 2003710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thes dryer
housing
clothes
hot air
steril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84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시조
Original Assignee
김시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시조 filed Critical 김시조
Priority to KR20-2004-00284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10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10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10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085Infrared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A61L2/202Ozon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에 설치하여 의류를 건조시킬 수 있는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조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Housing ) 내측 행거에 의류를 행잉하여 열풍기로 건조시킬 수 있는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하우징에 착설되는 열풍수단 및 살균수단의 흡기 또는 배기의 적절한 운용으로 의류의 건조가 보다 신속하게 수행되고, 상기 열풍 및 살균 덕트에 착설된 풍향유도리브와, 풍향안내판으로 와류가 형성되게 흡,배기 함으로써 의류의 건조가 보다 신속하게 수행되며, 열풍에만 의존하여 의류를 건조시키는 방식이 아니므로 전력소비가 적은 의류건조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의류 건조기 { Clothing drying machine }
본 고안은 실내에 설치하여 의류를 건조시킬 수 있는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조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Housing ) 내측 행거에 의류를 행잉하여 열풍기로 건조시킬 수 있는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종래의 의류건조기는 캐비닛, 캐비닛 도어, 행거, 캐비닛 내부공기를 가열할 수 있는 히터 및 환풍기, 통기구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세탁기와 별개로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건조기능을 갖는 세탁기내에서 세탁물을 건조시키게 되면 젖은 세탁물이 서로 겹쳐 건조시간이 오래 소요되었고, 건조시 의류에 많은 구김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으므로 보다 양호한 독립형 의류건조기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20956에서는 원통형 행거를 회전시킬 수 있는 세탁물 건조기를 제시하였고, 동 공보 20-0342334에서는 함체내측 상부에 원적외선 히터와 자외선 램프가 장착되고 송풍팬을 구비하며 배출구를 포함하는 구조의 원적외선 의류건조기, 동 공보 20-0298653에서 역시 하부에 열풍실이 구비되고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빨래건조기가 제시된바 있으며, 상기와 비슷한 원리를 갖는 건조기에 대한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3-0062919에서는 신발 살균 및 건조장치와 그것의 작동방법을 제시하였고, 10-2004-0047535에서는 열풍기 및 열풍기로부터 발생되는 열풍을 강제 배출하기 위한 배출팬을 포함하는 다용도 건조기가 제시된 바 있다.
한편, 건조기능을 포함하는 세탁기의 세탁물을 건조시킬 수 있는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382524, 10-0382505, 10-0418900등 다수개가 있다.
상기 독립형 및 세탁기내에 건조기능을 갖는 건조기들은 형태와 기능의 차이만 다소 있을 뿐, 내부 내용물에 직접 열풍을 가해 건조시키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음은 모두 동일하며 따라서, 코일, 히터등 열풍수단에 전원을 인가하고 지속적인 열풍을 송풍하여 의류를 건조시키기에 수백 내지 수천W( Watt )의 비교적 많은 전력이 소비된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도 2는 기존 의류건조기의 공기흐름을 간략하게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기존 의류건조기에 의류가 행잉된 상태의 공기흐름을 간략하게 나타낸 단면도로, 도 2에서와 같이 배출팬( 40 )이 배출구( 45 )로 내부공기를 강제 배출시키면 흡입구( 60 )로 새로운 공기가 흡입되면서 공기의 이동이 생기게 되는데 이때, 최단거리로의 공기의 흐름이 발생하게 된다.
이는, 도 3에서와 같이 의류건조기( 10 ) 내부 행거( 20 )에 의류( 35 )가 행잉된 상태라 하더라도, 흡입공기가 의류에 부딪혀 일부 공간에만 분산될 뿐, 건조기 내부에 전체적으로 원활히 이동되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구석자리에 위치한 의류는 원활한 공기흐름이 있는 곳에 위치한 의류보다 비교적 늦게 건조될 수밖에 없는 단점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원적외선 히터 또는 상방에서 하방으로의 열풍 및 상방으로의 공기배출방식은 고온다습해진 상부 공기는 쉽게 배출시킬 수 있지만, 하부의 습기는 제대로 배출되지 않은 채 그대로 존재하게 된다는 문제도 함께 내포하고 있다.
한편, 살균수단으로 사용되는 원적외선, 자외선, 오존의 방사( 放射 )로 소정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탈색등 옷감을 손상시키거나, 유출시 인체에 해가 있을 수 있으며, 광선( 光線 - 원적외선, 자외선 )사용시 광선이 특성상 의류의 일측에만방사되므로 의류건조기 하부 또는 의류 내측까지 깊숙이 침투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고안의 목적은, 열풍·살균수단의 덕트로부터 와류를 형성시켜 급속한 건조가 가능토록 한 의류건조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열풍·살균수단에 포함되는 각각의 모터가 흡기, 배기등 적절히 운용됨으로서 신속한 건조가 가능하고, 전력소비가 비교적 적은 절전형 의류건조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의류건조기의 사시도
도 2는 기존 의류건조기의 공기흐름을 간략하게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기존 의류건조기에 의류가 행잉된 상태의 공기흐름을 간략하게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의류건조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열풍수단 및 살균수단 덕트의 구조도
도 6은 도5 A - A'의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의류건조기의 공기흐름을 나타낸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하우징 120 : 개폐도어 200 : 행거 300 : 디스플레이부
400 : 열풍수단 600 : 살균수단 630 : 풍향안내판 650 : 풍향안내리브
700 : 배수안내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의류건조기( 100 )는,
하우징( 110 )과 하우징 전면부에 위치하고 내측에 소형의류를 행잉할수 있도록 행거( 210 )가 장착된 개폐도어( 120 );
상기 하우징 소정위치에 디스플레이부( 300 )와 조작부( 310 )를 포함하는 조작패널;
상기 하우징 상부 일측에 상협하광형 덕트로 구성된 열풍수단( 400 ), 하우징 하부 일측에 상광하협형 덕트로 구성된 살균수단( 600 );
상기 살균수단과 연결되어 흡 ·배기가 가능토록 의류건조기 외벽에 필터( 660 ) 및 필터커버( 670 )를 포함하는 흡 ·배기공 및 타단 즉, 내측으로 구배가 형성된 배수안내관( 700 );
상기 하우징 측벽에 필터( 460 ) 및 필터커버( 470 )를 포함하는 흡기구( 450 );
상기 하우징 내측 저면에 위치하는 수조( 800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의류건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기존 의류건조기의 공기흐름을 간략하게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기존 의류건조기에 의류가 행잉된 상태의 공기흐름을 간략하게 나타낸 단면도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에서 전술한 바와 같다.
먼저 본 고안과 상당히 밀접한 관계가 있고, 실시예에서 설명하고자 하는 물의 증발과 응축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많은 물을 포함하고 있는 옷 표면에서 물 분자들은 매 순간 마다 내부공기에 포함되려고 하며, 이러한 현상을 증발이라 한다. 증발의 비율은 공기의 온도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
즉, 주위온도가 상승하면 물 분자들은 점점 더 움직임이 활발하여 빠른 속도로 기화되어 내부 공기속에 포함된다. 그러나, 반대로 온도가 내려가면 증발비율은 천천히 떨어지며, 이와 동시에 기화되었던 수분들은 액체상태로 되돌아오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응축이라 한다.
공기는 그 자체의 온도에 따라 포함할 수 있는 수분량이 다르다. 공기는 자기에게 주어진 온도내에서 가능한 한 많은 양의 수분을 포함하려고 하는 성질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응축되려하는 습한 공기는 온도가 낮기 때문에 무게가 무겁다. 습한 공기 즉, 습기는 그렇기 때문에 하부에 깔려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의류건조기를 나타낸 단면도로, 도 1과 도 7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설명한다.
우선, 하우징( 110 ) 내부 행거( 200 )에 의류를 행잉하고, 동시에 속옷, 양말, 손수건등 소형의류를 개폐도어 내측 행거( 210 )에 행잉한다.
하우징 소정위치의 조작부( 310 )로 건조시간, 탈수의류, 손빨래로 세탁한 비탈수의류등 원하는 바대로 입력하면 디스플레이부( 300 )에 잔여시간등이 표시되며, 이때 도면에는 미도시 되었지만, 중앙처리장치의 메인메모리에서 동작을 개시한다.
한편, 행거는 상부, 중앙부, 하단부 3단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기장이 긴 의류는 상부, 기장이 짧은 상의나 하의는 상부 또는 중앙부에 행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은 내부 모터의 회전에 의한 소음발생과 열풍수단의 송풍에 의해 상승된 온도가 저하되지 않도록 내측벽( 140 )과 외측벽사이에 방음, 보온부재( 130 )가 마련된다.
상기 상부 열풍수단( 400 )에서 히터( 420 )와 모터( 410 )에 전원이 인가되고, 모터가 정회전( 흡기 )되면 하우징 내측으로 더운 바람이 송풍된다( 도 7의 a 참조 ). 점차 하우징 내부 온도가 상승되면서, 상부에는 급속한 증발이 진행되고, 하부에는 비교적 습한 무거운 공기가 생성된다.
때때로 공기의 물분자 입자가 커져 형성되는 물이 하부 바닥으로 흘러 상기 살균수단( 600 )과 연결된 배수 안내관( 700 )을 통해 수조( 800 )에 집수 될 수 있도록 하우징 내부 바닥이 살균수단 방향으로 구배가 형성된다.
하우징 내부온도가 급속히 상승되면서, 공기의 증발로 포화상태가 이르게 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메인메모리에서 차순위 동작을 개시하게 된다.
예컨대, 메인메모리에서 차순위 동작으로 상부 열풍수단의 히터( 420 ) 전원이 차단되고, 모터( 410 )가 역회전( 배기 )하면서 내부 상부 공기를 배기하기 시작하며, 하부 살균수단의 모터( 610 )가 역회전하기 시작한다. 즉, 상부공기는 상부 공기대로, 하부공기는 하부 공기대로 배기되기 때문에 보다 신속한 배기가 이뤄진다. 이때, 필터 덮개와 필터를 통과하여 흡기공( 450 )을 통해 신선한 공기가 내부에 충진된다( 도 7의 e 참조 ).
또 다른 방법으로 예컨대, 하부 살균수단의 모터( 620 ) 및 음이온 발생장치( 620 )는 정지한 상태로 상부 열풍수단( 400 )의 모터( 420 )만 역회전 할 수 있다( 도 7의 h참조 ).
또 다른 방법으로 예컨대, 상부의 배기, 하부의 흡기도 가능하다( 도 7의 c참조 ).
하우징 내측벽 소정 위치에 각각 다수개의 온도감지센서, 습도감지센서, 근접센서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이들 각각의 센서와 연결된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메인메모리가 감지되는 의류상태에 따라 차순위 동작이 달라진다.
따라서, 상기 중앙처리장치 메인메모리의 차순위 동작이 의류의 건조가 진행되면서 매번 다르게 연출될 수 있는 인공지능형 의류건조기가 가능해 진다.
근접센서는 지속적인 송풍으로 의류가 내측벽에 수차례 닿아 발생할 수 있는 단추류의 파손과 옷감의 망손을 저지하고, 온도 및 습도감지센서는 하우징 내측의 온도와 습도를 감지하여 열풍수단 및 살균수단의 모터의 정 ·역회전 또는 정지에 대한 컨트롤이 가능해지며, 아울러 히터, 음이온 발생장치의 전원인가 내지 전원차단을 제어한다.
물론, 이미 입력되어 있는 순서에 입각한 동작도 조작부( 310 )의 선택입력으로 가능하다.
즉, 상의 또는 하의와 같이 기장이 짧은 의류를 상단 행거에만 행잉하였을 경우, 하단 살균수단의 모터 회전방법이 역회전등 일부행정이 배제 될 수 있으며, 하부 행거에만 행잉하였을시 상부 열풍수단의 회전방법 또한 일부행정이 배제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적절하게 운용되는 흡기행정 또는 배기행정은 보다 신속한 건조를 촉진시키며, 종래의 기술인 히터로만 건조시키려는 방법과는 현저한 차이가 있다.
본 고안의 살균수단의 음이온 발생장치( 610 )는 오존 발생장치로도 대체가 가능하다.
본 고안의 보다 신속한 건조기능을 갖는 의류건조기가 되도록 살균수단의 살균장치인 음이온 발생장치 상단부에 히터가 추가로 설치되어 살균수단과 병행하여 사용될 수 있다.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하우징 내측상부에 자외선 또는 열적외선 램프를 사용하여 의류를 살균할 수 있는 또 다른 살균수단( 900 )이 마련될 수 있다.
도 5는 열풍수단 및 살균수단 덕트의 구조도, 도 6은 도5 A - A'의 단면도로 상광하협 또는 상협하광형 덕트( 400, 600 ) 내측벽에 송풍되는 공기가 와류가 형성될수 있도록 풍향유도리브( 650 )가 긴밀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풍향유도리브 상부에는 덕트 내측벽 둘레와 소정간격으로 이격되고, 상부로 볼록한 중앙홀( 640 )이 형성된 풍향안내판( 630 )이 착설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덕트는 흡기 또는 배기시 와류를 형성하여 보다 신속한 기능을 수행하므로써, 구석진 곳에 위치한 의류의 건조가 촉진된다.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의류건조기의 공기흐름을 나타낸 상태도로 상기 일부 기 설명된 행정을 포함하여 8가지 행정을 예시한 상태도이다.
a는 상부 흡기행정, b는 상,하부 흡기행정, c는 상부 배기, 하부 흡기행정, d는 상부 흡기, 하부 배기행정, e는 상,하부 배기행정, f는 상부 흡기행정, g는 하부 배기행정, h는 상부 배기행정이 도시되었다.
상기 모두 모터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만 도시되었으나, 상기 모터의 동작과 아울러 히터 또는 음이온 발생장치의 기능이 적절하게 운용됨으로써 보다 신속하게 의류가 건조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의류 건조기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고안에 따르면, 하우징에 착설되는 열풍수단 및 살균수단의 흡기 또는 배기의 적절한 운용으로 의류의 건조가 보다 신속하게 수행되는 의류건조기가 제공된다.
둘째, 본 고안에 따르면, 열풍수단 및 살균수단의 덕트에 착설된 풍향유도리브와, 풍향안내판으로 와류가 형성되게 흡,배기 함으로써 의류의 건조가 보다 신속하게 수행되는 의류건조기가 제공된다.
셋째, 본 고안에 따르면, 열풍수단에만 의존하여 의류를 건조시키는 방식이 아니므로 전력소비가 적고, 각종센서에 의해 스스로 제어되는 인공지능형 의류건조기가 제공된다.

Claims (8)

  1. 젖은 의류를 건조시킬수 있는 의류건조기( 100 )에 있어서,
    하우징( 110 )과 하우징 전면부에 위치하고 내측에 소형의류를 행잉할 수 있도록 행거( 210 )가 장착된 개폐도어( 120 );
    상기 하우징 소정위치에 디스플레이부( 300 )와 조작부( 310 )를 포함하는 조작패널;
    상기 하우징 상부 일측에 상협하광형 덕트로 구성된 열풍수단( 400 ), 하우징 하부 일측에 상광하협형 덕트로 구성된 살균수단( 600 );
    상기 살균수단과 연결되어 흡 ·배기가 가능토록 의류건조기 외벽에 필터( 660 ) 및 필터커버( 670 )를 포함하는 흡 ·배기공 및 타단 즉, 내측으로 구배가 형성된 배수안내관( 700 );
    상기 하우징 측벽에 필터( 460 ) 및 필터커버( 470 )를 포함하는 흡기구( 450 );
    상기 하우징 내측 저면에 위치하는 수조( 800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2. 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수단( 400 ) 및 살균수단( 600 )에 포함되는 모터( 410, 610 )는 각각 정회전, 역회전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3. 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수단( 400 ) 및 살균수단( 600 )은, 상기 각각의 덕트 내측벽에 송풍되는 공기가 와류가 형성될수 있도록 풍향유도리브( 650 )가 긴밀하게 형성되며, 상기 풍향유도리브 상부에 덕트 내측벽과 소정간격으로 이격되고 중앙홀( 640 )이 형성된 상부로 볼록한 풍향안내판( 630 )이 착설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4. 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수단의 살균장치와 병행하여 사용될 수 있도록 히터가 추가설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5. 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수단은 음이온 발생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6. 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수단은 오존 발생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7. 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수단은 자외선 발생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8. 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수단은 원적외선 발생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KR20-2004-0028482U 2004-09-23 2004-09-23 의류 건조기 KR2003710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8482U KR200371090Y1 (ko) 2004-09-23 2004-09-23 의류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8482U KR200371090Y1 (ko) 2004-09-23 2004-09-23 의류 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1090Y1 true KR200371090Y1 (ko) 2004-12-23

Family

ID=49353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8482U KR200371090Y1 (ko) 2004-09-23 2004-09-23 의류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1090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269B1 (ko) 2007-03-06 2008-09-08 주식회사 우드림 빨래건조장치
KR100999295B1 (ko) 2008-04-25 2010-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건조기
KR101095260B1 (ko) 2009-03-23 2011-12-20 김종석 위생복 및 앞치마 건조-살균기
KR200471377Y1 (ko) * 2013-07-26 2014-02-19 김시우 캐비넷형 근적외선 소독장치
KR101366267B1 (ko) * 2007-08-03 2014-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1414633B1 (ko) 2008-03-12 2014-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110055728A (zh) * 2019-04-26 2019-07-26 安徽干霸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低功率暖风干衣机
KR200489980Y1 (ko) * 2019-03-11 2019-09-04 김성식 유브이 살균 램프와 적외선 히터를 이용한 에어컨 살균, 건조,탈취를 실행하는 클린룸.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269B1 (ko) 2007-03-06 2008-09-08 주식회사 우드림 빨래건조장치
KR101366267B1 (ko) * 2007-08-03 2014-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1414633B1 (ko) 2008-03-12 2014-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0999295B1 (ko) 2008-04-25 2010-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건조기
KR101095260B1 (ko) 2009-03-23 2011-12-20 김종석 위생복 및 앞치마 건조-살균기
KR200471377Y1 (ko) * 2013-07-26 2014-02-19 김시우 캐비넷형 근적외선 소독장치
KR200489980Y1 (ko) * 2019-03-11 2019-09-04 김성식 유브이 살균 램프와 적외선 히터를 이용한 에어컨 살균, 건조,탈취를 실행하는 클린룸.
CN110055728A (zh) * 2019-04-26 2019-07-26 安徽干霸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低功率暖风干衣机
CN110055728B (zh) * 2019-04-26 2024-04-09 安徽干霸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低功率暖风干衣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1831B1 (ko) 세탁 건조기
US20090000142A1 (en) Drying Apparatus
KR101243727B1 (ko) 건조기능을 갖는 옷장
CN106661815B (zh) 热泵式衣物干燥机
BRPI0715349A2 (pt) mÁquina méltipla de tratamento de artigo a ser lavado e mÉotdo de controle da mesma
KR20200025946A (ko) 의류 관리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2000313A (ja) 洗濯乾燥機
JP2009061269A (ja) ダクトレス乾燥機
KR100661645B1 (ko) 세탁기
KR200371090Y1 (ko) 의류 건조기
KR20100018385A (ko)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운전 방법
KR101119120B1 (ko) 의류 처리장치
KR20140110407A (ko) 의류 건조기
KR20100094686A (ko) 건조기
JP4243336B2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KR200342334Y1 (ko) 원적외선 의류 건조기
CN215605299U (zh) 自动消毒毛巾架
TWI429805B (zh) Dryers and laundry dryers
KR200420298Y1 (ko) 빨래 건조기
KR100530602B1 (ko) 전기열풍방식 빨래건조대
WO2021129526A1 (zh) 衣物处理装置
JP2010075216A (ja) 乾燥機及び洗濯乾燥機
KR100479125B1 (ko) 가습 청정기 겸용 의류 건조기
JPH03207399A (ja) 衣類乾燥機
KR100857269B1 (ko) 빨래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50719

Effective date: 20051227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