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8502B1 - 맨홀용 배수 유도 블록 - Google Patents

맨홀용 배수 유도 블록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8502B1
KR0138502B1 KR1019920003745A KR920003745A KR0138502B1 KR 0138502 B1 KR0138502 B1 KR 0138502B1 KR 1019920003745 A KR1019920003745 A KR 1019920003745A KR 920003745 A KR920003745 A KR 920003745A KR 0138502 B1 KR0138502 B1 KR 0138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manhole
angle
drainag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3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8300A (ko
Inventor
다카시 시마무라
이치로오 후키야
히로요시 세리자와
마사루 무라세
미키오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센바 요시노부
하네다 휴우무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센바 요시노부, 하네다 휴우무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센바 요시노부
Publication of KR920018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8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5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맨홀에 있어서의 상류측 관로와 하류측 관로의 교차각도가 미리 설정된 설계각도와 다른 경우에, 이 각도의 변경에 대응할 수 있는 배수유도블록을 제공한다.
평면형상이 부채꼴로 형성되고 또 상면에 미리 설정된 유통각도를 가지고 형성된 유수홈을 가지는 제1블록과, 평면형상이 꼬투리형상으로 형성되고 또 상면에 직선형상으로 유수홈을 가지는 제2블록에 의하여 배수유도블록을 구성한다.
제1블록 및 제2블록을 몸체블록의 안 둘레보다 작게 형성하므로서 이 블록 등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형성하고 이 간격에 의하여 제1블록의 설정위치를 조정한다.

Description

맨홀용 배수유도블록
제1도는 맨홀용 배수유도블록의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맨홀용 배수유도블록2:제1블록
2a,2b,2d,2e,2o,3a,3b,3d,3e:점3:제2블록
4,5:유수홈2c,3c:원호
4a, 4b,5a,5b:개구10:저판
11:몸체 블록12:상류측 관로
13:하류측 관로
본 발명은, 맨홀의 저부에 설치되어 유통(流通) 방향을 규정하는 블록에 관한 것이다.
더러운 물등을 유통시키기 위하여 새로운 관로를 부설하는 경우, 관로의 요소에 맨홀이 설치된다. 이 맨홀에는 유입하는 오수(汚水)등을 원활하게 하류측의 관로에 유도하기 위하여 저부에 배수유도블록(통상, 인버트invert라고 함)이 설치된다.
맨홀에 있어서의 상류측의 관로와 하류측의 관로와의 교차각도는, 개개의 맨홀에 의하여 각각 다른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종래의 배수유도블록은 관로가 부설된 경우, 숙련공에 의하여 현장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공사기간이 길게되고, 단가도 높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부설되는 관로의 설계단계에서 제안되는 맨홀 내경, 맨홀에 있어서의 관로의 교차각도, 오수 등의 유량등의 조건에 따라서 미리 공장생산된 배수유도블록이 이용되고 있다.
상기 맨홀 배수유도블록을 맨홀에 설치하므로서, 상류측의 관로와 하류측의 관로를 원할하게 접속할 수 있고, 공기의 단축화 및 코스트의 저감을 도모할 수가 있다.
그러나, 관로를 부설한 경우, 맨홀에 있어서의 관로의 실제의 교차각도와 다른 각도로 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관로의 교차각도의 변경에 대하여 적응성(자유도)를 가지는 배수유도블록에 관한 여러가지 제안이 나와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실개소 58-124578호 공보에 개시되는 기술은 관로의 교차각도에 영향을 주는 일이 없고, 오수등을 원활하게 유통시키도록 구성한 배수유도블록에 관한 것이다. 또 본원출원인이 개발한 동 64-47887호 공보에 개시된 기술은 주앙에 원추형상의 돌기를 설치하여 이 주위로 홈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홈에 관로에 따라서 물막이용 블록을 부착고정하므로서, 관로의 교차각도에 영향을 주는 일이 없고 오수등을 원활하게 유통시키도록 구성한 맨홀용 배수유도블록에 관한 것이다.
또 본원 출원인이 개발한 실공평 1-24230호 공보에 개시되는 기술은, 2개의 블록을 단단히 결속하는 플레이트를 통하여 상호 긴밀히 결속하므로서 하류측의 관로와 상류측의 관로 사이에 유통시키는 구성을 형성하도록 구성한 맨홀용 배수유도블록에 관한 것이다.
상기 맨홀용 배수유도블록을 이용하므로서 관로의 교차각도가 설계각도와 다른 경우에 있어서 실제 관로에 적응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에서도 반드시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다.
즉, 관로의 부설도등에 의거하여 미리 공장생산된 배수유도블록에서는, 맨홀에 있어서의 관로의 교차각도의 변화에 대한 적응성이 없다.
일반적으로 맨홀은 큰 직경의 몸체블록의 상부에 경사벽관을 포개어 쌓음과 동시에 노면과 동일레벨로 몸체블록의 직경보다도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덮개체를 부착하여 구축된다. 따라서 새로운 맨홀을 구축하는 경우에는, 저판상에 몸체블록과 배수유도블록을 동시에 적층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맨홀구축후의 배수유도블록을 교환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부설된 관로와 배수유도블록의 홈이 일치하는 것을 확인한 후가 아니면 맨홀을 완성시킬 수가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실개소 58-124578호 공보에 개시되는 기술에서는 맨홀에 있어서의 낙차를 크게 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자연유하를 원칙으로 하는 하수도에서는 하류측의 관로 및 맨홀을 깊게 설치할 필요가 있고, 평탄지에 부설하는 관로에서는 실용적이 아니다. 또 실개소 64-47887호 공보 및 실공평 1-24230호 공보에 개시되는 공보에서는 배수유도블록 설치 후의 틈새 매몰작업에 시간이 걸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최근에는 관로내에 텔레비젼 카메라 등을 탑재한 이동대차를 삽입하여 보수점검을 실시하는 것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경우, 배수유도블록에 형성된 홈을 통하여 대차를 삽입하게 되며, 관로의 개구와 대향하는 홈에 대차의 길이에 대응한 직선부분을 형성하여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부설된 관로에 잇어서의 교차각도변화에 대한 적응성을 가지며, 또 기존에 구축된 맨홀도 부착할 수 있는 배수유도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배수유도블록은, 저판상에 몸체블록을 포개어 쌓아서 맨홀에 적용되는 배수유도블록으로서, 미리 소정의 유통각도를 가지고 형성된 유수홈을 가지며, 또 평면형상이 부채형상으로 형성된 제1블록과, 미리 직선형상으로 형성된 유수홈을 가지며, 평면형상이 꼬투리형상으로 형성된 제2블록을 가지며, 상기 제1블록 및 제2블록을 맨홀의 저부에 설치한 때, 이 제1블록 및 제2블록을 맨홀과 몸체블록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형성함과 동시에 제1블록과 제2블록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형성하고, 상기 간격내에서 제1블록의 설치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배수유도블록에 있어서, 각각 다른 유통각도를 가지는 유수홈을 형성한 여러 개의 제1블록을 가지며, 구축된 맨홀에 있어서의 상류측 관로와 하류측 관로의 교차각도에 따라 상기 제1블록을 선택하여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단에 의하면, 배수유도블록을 부채형상의 제1블록과 꼬투리형상의 제2블록으로 분할함과 동시에, 각각의 블록에 미리 소정의 유수홈을 형성하고, 또 이것등의 블록을 맨홀의 저부에 설치한 때 몸체블록과의 사이, 및 제1블록, 제2블록 사이에 각각 소정의 간격을 형성하므로서 맨홀에 있어서의 상류측의 관로와 하류측의 관로와의 교차각도가 설치각도와 약간 다른 경우에는, 상기 간격을 이용하여 제1블록의 설치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대응할 수 있다.
또 미리 다른 유통각도를 가지는 휴수홈을 형성한 여러 개의 제1블록을 제작하고, 구축된 맨홀에 있어서의 관로의 교차각도에 대응하여 최적한 제1블록을 선택함과 동시에 설치위치를 조정하므로서 얼마 안되는 제1블록의 종류에 의하여 맨홀에 있어서의 관로의 교차각도에 대응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상기 수단을 적용한 배수유도블록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맨홀용 배수유도블록의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배수유도블록(1)은, 맨홀에 있어서의 저판(10)상에 설치되고, 몸체블록(11)을 관통하는 상류측의 관로(12)로부터 하류측의 관로(13)로 흘러 떨어지는 오수 등을 원활하게 유통시키는 것이다.
이 배수유도블록(1)은 부채꼴로 형성된 제1블록(2)과, 꼬투리형상으로 형성된 제2블록(3)으로 분할형성되어 있고, 맨홀의 저판(10)상에 설치한 경우에는, 제1블록(2)의 설치위치를 조정하므로서 이 각도변화에 적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블록(2)은 맨홀에 있어서의 상류측의 관로(12)와 대응하여 배치되는 것이고, 평면형사이 원호와 직선에 의하여 구성된 부채꼴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점(2a)에서 시계둘레방향으로 점(2b)에 이르는 원호(2c)는 몸체블록(11)의 중심과 일치한 점(2o)을 중심으로 하고, 몸체블록(11)의 내경보다도 충분하게 작은 직경을 가진 원호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점(2b)와 점(2d) 점(2e) 및 점(2a)와의 사이는 각각 직선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고, 점(2d)와 점(2e)와의 사이는 원호(2c)의 반경보다 큰 반경을 가진 원호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블록(2)을 점(2o)를 몸체블록(11)의 중심과 일치시켜서 저판(10)상에 설치한 경우, 원호(2c)와 몸체블록(11)의 안 둘레와의 사이에 50mm의 간격을 형성하고 있다.
즉, 제1블록(2)은 몸체블록(11)에 대하여 상기 간격에 따른 위치의 자유도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 수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제1블록(2)과 몸체블록(11)과의 간격은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블록(2)의 상면에는 오수등을 유통시키기 위한 유수홈(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유수홈(4)은 미리 설정된 유통각도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또 유수홈(4)은 하류측의 개구(4a)를 기준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4a)는 점(2d)와 점(2e) 사이에 형성되며, 또 상류측의 개구(4b)는 원호(2c)로서 유수홈(4)의 유통각도에 따른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즉, 개구(4a)의 유통각도에 관계없이 점(2d)와 점(2e) 사이에 형성되고, 개구(4b)의 원호(2c)에 있어서의 위치는 유통각도에 따라서 변화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블록(2)에 있어서의 유수홈(4)의 유통각도를 개구(4a)를 기준으로 한 90도∼270도로 설정하고, 이 각도범위를 10분할한 11종류의 유통각도를 가지는 제1블록(2)을 미리 공장생산하고 있다.
제2블록(3)은 맨홀에 있어서의 하류측의 관로(13)와 대응하여 배치되는 것으로, 평면형상은 원호와 직선으로 되는 까투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점(3a)에서 반시계 둘레방향으로 점(3b)에 이르는 원호(3c)는 몸체블록(11)의 중심과 일치한 점을 중심으로 하고, 또 점몸체블록(11)의 내경보다도 작은 직경을 가진 원호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점(3b)와 점(3d) 및 점(3e)와 점(3a)의 사이는 각각 직선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고, 점(3d)와 점(3e) 사이는 원호(3c)의 반경보다 작은 반경을 가진 원호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블록(3)에 있어서의 원호(3c)의 중심을 몸체블록(11)의 중심과 일치시켜 저판(10)상에 설치한 경우, 원호(3c)와 몸체블록(11)의 안둘레와의 사이에 10mm의 간격을 형성하고 있다.
또 제1블록(2)과의 사이에 20mm의 간격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수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제2블록(3)과 몸체블록(11)과의 간격 및 제1블록(2)과의 간격은 적절하게 설정할 수가 있다.
제2블록(3)의 상면에는 오수등을 유통시키기 위한 유수홈(5)이 대략 직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유수홈(5)은 하류측의 개구(5a)를 기준으로 하여 직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류측의 개구(5a)는 원호(3c)의 대략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하류측의 개구(5a)는 하류측의 관로(13)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따라서 개구(5b)는 관로(13)의 연장선상에 배치된다.
제2블록(3)은 제1블록(2)에 형성된 유수홈(4)의 유통각도에 관계없이 적용되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블록(2) 및 제2블록(3)으로 되는 배수유도블록(1)을 이용하여 맨홀 내의 배수유도블록을 구성하는 수단에 대하여 설명한다.
새로운 관로를 부설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위치를 굴삭하고 이 구멍에 저판(10)을 설치함과 동시에 저판(10)을 설치함과 동시에 저판(10)상에 몸체블록(11)을 포개어 쌓는 것으로, 맨홀을 구축한다.
또 맨홀에 있어서의 관로(12)와 관로(13)의 교차각도는 미리 설계단계에서 설정된다. 따라서 교차각도에 대응하는 유통각도를 가지는 유수홈(4)을 가진 제1블록(2) 및 제2블록(3)을 저판(10)상에 설치한다.
즉, 관로(13)의 개구에 제2블록(3)의 하류측의 개구(5a)를 대향시키고, 또 관로(12)의 개구에 제1블록(2)의 개구(4b)를 대향시킨다.
이때, 관로(12), 관로(13)의 교차각도가 설계각도와 일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1블록(2)의 개구(4a)와 제2블록(3)의 개구(5a)와는 일치하고, 유수홈(4)의 축심과 유수홈(5)의 축심이 일치한다.
그러나 어떠한 장애에 의하여 부설된 관로(12), 관로(13)의 교차각도가 설계각도와 다른 경우, 제1블록(2)의 개구(4a)와 제2블록(3) 사이에 오차가 발생한다. 이 경우, 제2블록(3)의 위치를 이동시켜서 관로(12)의 개구와 개구(4b) 및 제2블록(3)의 개구(5a)와 개구(4a)를 각각 일치시킨다.
이때, 제1블록(2)가 몸체블록(11)의 사이에 50mm의 간격이 형성되고, 또 제1블록(2)과 제2블록(3) 사이에 20mm의 간격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간격의 범위 내에서 제1블록(2)을 이동시켜서 관로(12)의 개구와 개구(4b) 및 제2블록(3)의 개구(5a)와 개구(4a)를 각각 일치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블록(2), 제2블록(3), 몸체블록(11) 사이에 각각 상기 간격을 형성하므로서 관로(12)(13)의 교차각도가 설계각도로부터 플러스(+) 10도 내지 마이너스(-) 10도의 범위로 변화하여도 이 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블록(2)의 위치를 이동시키므로서, 이 제1블록(2)에 형성한 유수홈(4)의 축중심은, 관로(12)의 축중심 및 제2블록(3)에 형성한 유수홈(5)의 축중심에 대하여 이동각도에 따라서 플러스(+) 10도 내지 마이너스(-) 10도의 범위에 있어서의 교차각도를 가진다.
그러나, 상기 교차각이라면 고형물을 포함하는 오수등의 흐름에 대하여 영향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맨홀의 저판(10)상에 제1블록(2), 제2블록(3)으로 되는 배수유도블록(1)을 설치한 후, 각 제1블록(2) 및 제2블록(3) 사이 및 몸체블록(11) 사이에 형성된 간격을 몰탈에 의하여 충전함과 동시에, 관로(12)와 제1블록(2)의 개구(4b), 제1블록(2)의 개구(4b), 제1블록(2)의 개구(4a)와 제2블록(3)의 개구(5b), 제2블록(2)의 개구(5a)와 관로(13)의 사이에 각각 유수홈(4)(5)과 같은 형상을 가진 홈을 형성하므로서 맨홀의 저부에 배수유도블록을 구성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블록(2)에는 미리 소정의 유통각도를 가진 유수홈(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수홈(4)의 유통각도는 90도 내지 270도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고, 이 범위를 10분할하므로서 11종류의 제1블록(2)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각 블록에 5도에서 20도의 조정범위를 설정하므로서, 상기 범위에 있어서의 교차각도에 대응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 배수유도블록(1)을 제1블록(2) 및 제2블록(3)의 2개의 블록으로 분할하므로서, 개개의 제1블록(2) 및 제2블록(3)은 각각 맨홀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개구의 직경보다도 작은 치수를 가지기 때문에, 맨홀의 구축후일지라도 이 맨홀의 저부 배수유도 블록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관로를 부설하는 때에 공사기간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배수유도블록(1)은, 부채꼴의 제1블록과 꼬투리형상의 제1블록으로 분할함과 동시에 미리 소정의 유수홈을 형성하고, 또 이들 블록과 몸체블록 사이, 제1블록(2), 제2블록(3) 사이에 각각 간격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맨홀에 있어서의 상류측 관로와 하류측 관로와의 교차각도가 설계각도와 약간 다른 경우에는, 상기 간격을 이용하여 블록의 설치위치를 조정하는 것으로 대응할 수 있다.
또 미리 다른 유통각도를 가지는 유수홈을 형성한 여러 개의 제1블록을 제작하고, 구축된 맨홀에 있어서의 관로의 교차각도에 따라서 최적한 제1블록(2)을 선택함과 동시에 설치위치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몇몇 종류의 제1블록(2)에 의하여 맨홀에 있어서의 관로의 다양한 교차각도에 모두 대응할 수 있다.

Claims (2)

  1. 저판(10)상에 몸체블록(11)을 포개어 쌓아서 구성한 맨홀에 적용되는 맨홀용 배수유도블록으로서, 미리 소정의 유통각도를 가지고 형성된 유수홈(4)을 가지며, 평면형상이 부채꼴로 형성된 제1블록(2)과, 미리 직선상으로 형성된 유수홈(5)을 가지며 평면형상이 꼬투리형상으로 형성된 제2블록(3)을 가지며 상기 제1블록(2) 및 제2블록(3)을 맨홀의 저부에 설치한 때, 이 제1블록(2) 및 제2블록(3)과 몸체블록(11)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형성함과 동시에 제1블록(2)과 제2블록(3)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형성하고, 상기 간격내에서 제1블록(2)의 설치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용 배수유도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 다른 유통각도를 가지는 유수홈(4)을 형성한 여러 개의 제1블록(2)을 가지며, 구축된 맨홀에 있어서의 상류측 관로(12)와 하류측 관로(13)의 교차각도에 따라 상기 제1블록(2)을 선택하여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용 배수유도블록.
KR1019920003745A 1991-03-07 1992-03-06 맨홀용 배수 유도 블록 KR01385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065361A JP2828351B2 (ja) 1991-03-07 1991-03-07 インバートブロック
JP91-65361 1991-03-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8300A KR920018300A (ko) 1992-10-21
KR0138502B1 true KR0138502B1 (ko) 1998-07-01

Family

ID=13284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3745A KR0138502B1 (ko) 1991-03-07 1992-03-06 맨홀용 배수 유도 블록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828351B2 (ko)
KR (1) KR013850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828351B2 (ja) 1998-11-25
KR920018300A (ko) 1992-10-21
JPH04281927A (ja) 1992-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70910A (en) Push-in closet flange
US5413307A (en) Precast manhole invert forming
US4103862A (en) Apparatus for production of precast manhole bases
KR0138502B1 (ko) 맨홀용 배수 유도 블록
US3714961A (en) Manhole assemblies
EP1887137B1 (en) Wide Channel Drainage System
KR0138501B1 (ko) 맨홀용 배수 유도 블록
KR101831803B1 (ko) 가변 관로수용부를 구비한 밸브실
WO1993019258A1 (en) Manholes and inspection chambers
CN219773034U (zh) 一种装配式电缆管道转角井
EP0213777B1 (en) Branch members for soil and waste systems
JP4378639B2 (ja) 排水ますおよび排水ます用内副管
JPS6145266Y2 (ko)
KR920006427B1 (ko) 맨홀용 배수유도 블록 구조
JP2007085125A (ja) 異種、異径円管接続用排水ます
JP3238235U (ja) インバートブロック
JP2532696Y2 (ja) 組立式インバート
JP2004027579A (ja) 下水用減勢管
CN1827930B (zh) 合成树脂制排水箱斗
KR200367355Y1 (ko) 맨홀 유니트
JPS6323497Y2 (ko)
JP3024975U (ja) 可変勾配首環リング
RU2182201C1 (ru) Шахт-пакет
JPH06336742A (ja) マンホール用のインバートブロックおよびその組み立て方法
US20060239780A1 (en) Manholes and inspection chamb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