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8106Y1 - 음극선관의 디가우징코일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의 디가우징코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8106Y1
KR0138106Y1 KR2019940010747U KR19940010747U KR0138106Y1 KR 0138106 Y1 KR0138106 Y1 KR 0138106Y1 KR 2019940010747 U KR2019940010747 U KR 2019940010747U KR 19940010747 U KR19940010747 U KR 19940010747U KR 0138106 Y1 KR0138106 Y1 KR 01381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y tube
cathode ray
degaussing coil
fixing device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07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4312U (ko
Inventor
손치왕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400107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8106Y1/ko
Publication of KR9500343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43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1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1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03Arrangements for eliminating unwanted electromagnetic effects, e.g. demagnetisation arrangements, shielding co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007Elimination of unwanted or stray electromagnetic effects
    • H01J2229/0046Preventing or cancelling fields within the enclosure
    • H01J2229/0053Demagnetis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극선관의 디가우징 코일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음극선관은 외주에 브라켓을 부착하고 전면 캐비넷에 형성된 보스에 나사로 고정하고, 디가우징 코일을 고정하기 위하여 홀더를 사용하여 부품이 증가되고 구조가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음극선관의 외표면으로부터 돌설되어 배면을 향해서 평평한 면으로 되는 지지부재와; 배면 캐비넷의 내벽면에서 상기 지지부재를 향하여 돌설되어 전면 캐비넷이 결합될 때 상기 지지부재에 밀착되는 밀착부재와; 디가우징 코일과 TBC 와이어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밀착부재에 형성되는 디가우징 코일 고정수단으로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음극선관의 디가우징 코일
제1도는 본 고안 실시예의 밀착부재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실시예의 밀착부재에 코일이 감겨진 상태의 정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일부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의 일부를 절개한 측단면도.
제6도는 종래의 고정장치를 예시한 TV의 일부절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면 캐비넷 3 : 음극선관
6 : 디가우징코일 10 : 배면 캐비넷
11 : 지지부재 12 : 밀착부재
13 : 개구된 입구 14 : 고정공간
15 : 고정부재
본 고안은 음극선관에 있어서 음극선관의 외부에 고정되는 디가우징 코일(degaussing coil)을 체결용 부품이 없이 간편하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음극선관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음극선관과 디가우징 코일을 고정하기 위하여 체결용 요소를 사용하게 됨에 따라 조립공정이 복잡하고, 부품이 증가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음극선관을 제6도에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에는 전면 캐비넷(1)의 모서리내 벽면에 보스(2)를 일체로 돌출 형성하고, 음극선관(3)에는 상기 보스(2)와 대향하는 위치에 고정용 브라켓(4)을 형성하여, 고정용 브라켓(4)을 관통하여 보스(2)에 체결되는 나사(5)를 이용하여 음극선관(3)을 전면캐비넷(1)에 고정하였으며 음극선관(3)의 외주연에 고정되는 디가우징 코일(6)가 TBC 와이어 등은 별도의 홀더와 스프링 등을 필요로 한다.
종래의 구조에서 음극선관(3)과 전면 캐비넷(1)을 고정하기 위한 벤트(7), 보스(2), 나사(5)의 구성은 필수적인 것이었다.
보스(2)는 나사(5)가 삽입될 수 있는 나사홈을 요구하게 된다.
그리고, 사방의 모서리부에서 일일이 나사(5)를 체결하는 것이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상기 구성부품들에 의하여 결과적으로 세트내의 구조가 복잡하게 되고 생산성이 저하됨과 동시에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별도로 부착되는 기구물이나 체결용 요소의 사용을 배제하여 조립이 매우 간편하게 되고, 구조가 간단하게 될 수 있는 음극선관의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음극선관의 외표면으로부터 돌설되어 배면을 향해서 평평한 면으로 되는 지지부재와; 배면 캐비넷의 내벽면에서 상기 지지부재를 향하여 돌설되어 전면 캐비넷이 결합될 때 상기 지지부재에 밀착되는 밀착부재와; 디가우징 코일과 TBC 와이어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밀착부재에 형성되는 디가우징 코일 고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구조적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디가우징 코일의 고정수단은 디가우징 코일의 측면에 끼워질 수 있도록 개구된 입구로부터 고정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고정부재로 구성된다.
고정부재는 밀착부재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로 제작되어 부착될 수도 있다.
지지부재와 밀착부재는 밀착될 때 조립오차를 극복할 수 있도록 어느 한쪽에 탄성부재를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하면 음극선관이 밀착력에 의해 전면캐비넷에 결합되고 디가우징 코일과 TBC 와이어가 고정부재에 끼워지게 되므로써, 나사와 같은 체결요소나, 이러한 체결작업에 필요한 공구가 필요없게 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실제적으로 본 고안은 종래와 비교할때 종래와 같이 음극선관의 사방에 형성되는 4개의 브라켓과 벤트, 나사홈이 형성된 보스와 체결용 나사, 그리고 디가우징 코일을 고정하기 위한 홀더와 스프링의 사용이 생략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의 실시예에서 종래의 설명에 언급된 동일 부재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된다.
제1도 내지 제3도는 본 고안을 실현한 실시예1의 관련도면을 보여주고 있다.
음극선관(3)의 외부표면에는 배면캐비넷(10)을 향하면서 그 대응하는 면이 평평한 면으로 되는 지지부재(11)가 일체로 형성된다.
배면캐비넷(10)은 내측의 수직벽면으로부터 지지부재(11)에 접촉하는 밀착부재(12)가 형성된다.
밀착부재(12)는 지지부재(11)에 근접하는 선단부위에서 디가우징 코일(6)과 TBC 와이어(6a)가 끼워질 수 있는 개구된 입구(13)로부터 그 내측으로 고정공간(14)이 형성되는 고정부재(1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재(11)와 밀착부재(12)는 전면 캐비넷(1)과 배면 캐비넷(10)이 결합 고정될때 접촉되어 밀착부재(13)가 지지부재(11)를 밀어서 음극선관(3)이 전면 캐비넷(1)에 밀착 고정된다.
서로 접촉하는 지지부재(11)와 밀착부재(12) 사이의 접촉면에는 탄성수단이 개입되어 있다.
탄성수단은 배면 캐비넷(10)의 사출 성형 오차와 부품간 오차로 인한 접촉면의 이격을 방지하고 밀착부재(12)가 지지부재(11)를 과도한 힘으로 미는 것을 완화시켜 주게되는 것으로 고무와 같은 탄성부재, 압축코일 스프링이나 플레이트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 또는 다공질의 탄성부재등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채용될 수 있다.
제4도 내지 제5도는 상술한 실시예가 반영되고, 그로부터 예측될 수 있는 다른 실시예에서 두가지의 양상을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다른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부호를 상기 실시예에서 언급된 동일 부재에 대하여 같은 번호를 사용하면서 a∼b의 알파벳을 따라 붙인 부호로 나타내었다.
다음에 차이점만을 설명하도록 한다.
제4도의 실시예는 탄성부재를 스프링(16)과 같은 탄성부재를 사용한 일례이다.
스프링(16)은 밀착부재(12a) 선단의 수직벽면으로부터 측방향으로 형성된 삽입홈(17)에 한쪽단이 삽입되어 있고, 다른 한쪽은 지지부재(11a)의 수직평면 상에 접촉되어 있다.
제5도의 실시예는 밀착부재(12a)와 별도로 제작되는 고정부재(15a)가 탄성을 가지는 걸림부재(18)로 밀착부재(12b)에 삽입고정되는 것이다.
밀착부재(12b)에는 걸림부재(18)가 삽입될 수 있는 홈(19)이 천공되어 있다.
걸림부재(18)는 홈(19)에 삽입고정될 수 있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절개홈(20)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재(11a)와 밀착부재(12b) 사이에는 고무, 다공질의 탄성부재(21)가 개재되어 있다.

Claims (8)

  1. 음극선관의 외표면으로부터 돌설되어 배면을 향해서 평평한 면으로 되는 지지부재와; 배면 캐비넷의 내벽면에서 상기 지지부재를 향하여 돌설되어 전면 캐비넷이 결합될때 상기 지지부재에 밀착되는 밀착부재와; 디가우징 코일과 TBC 와이어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밀착부재에 형성되는 디가우징 코일 고정수단을 구비하는 음극선관 고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디가우징 코일 고정수단은 디가우징 코일과 TBC 와이어의 측면이 압입되는 개구된 입구로부터 고정공간을 형성하는 고정부재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고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고정부재가 밀착부재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고정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고정부재는 탄성을 가지는 걸림부재를 가지고 밀착부재에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고정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지지부재와 밀착부재의 접촉면 사이에 탄성수단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음극선관 고정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탄성수단이 고무와 같은 탄성부재로부터 선택되는 음극선관 고정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탄성수단이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로부터 선택되는 음극선관 고정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탄성수단이 다공질의 탄성부재로부터 선택되는 음극선관 고정 장치.
KR2019940010747U 1994-05-13 1994-05-13 음극선관의 디가우징코일 KR01381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0747U KR0138106Y1 (ko) 1994-05-13 1994-05-13 음극선관의 디가우징코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0747U KR0138106Y1 (ko) 1994-05-13 1994-05-13 음극선관의 디가우징코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4312U KR950034312U (ko) 1995-12-18
KR0138106Y1 true KR0138106Y1 (ko) 1999-02-18

Family

ID=19383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0747U KR0138106Y1 (ko) 1994-05-13 1994-05-13 음극선관의 디가우징코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810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4312U (ko) 1995-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59531B1 (en) Screen mounting device for projection TV
KR0138106Y1 (ko) 음극선관의 디가우징코일
JPH10108336A (ja) 電気接続箱
JP2572710Y2 (ja) シールドクランプ
KR200154212Y1 (ko) 벽걸이형 제품의 벽면 고정용 장치
US7249811B2 (en) Apparatus for assembling/disassembling screen of projection television
JP2713145B2 (ja) 投射型テレビジョン受信機のスクリーン固定装置
KR200146253Y1 (ko) 프로젝션 tv의 반사경 고정장치
KR0124871Y1 (ko) 스피커 고정장치
JP2521473Y2 (ja) スピーカ吊架装置
KR930005671Y1 (ko) 프론트 캐비넷의 접속부 지지장치
JP2594140Y2 (ja) スピーカーの固定構造
KR20000001761U (ko) 텔레비전의 센터 스피커 취부장치
KR920003184Y1 (ko) 냉장고용 압축기 고정구조
JPS584383Y2 (ja) 陰極線管取付装置
JPS6035332Y2 (ja) 前面ガラス板取付装置
KR100425960B1 (ko) 텔레비젼용브라운관과프론트마스크결합장치
JPS631505Y2 (ko)
KR0118550Y1 (ko) 도어 외측핸들 하우징의 장착구조
KR0155892B1 (ko) 음극선관의 디가우징 코일 고정구
KR960005083Y1 (ko) 자동차용 글래스의 취부시 단차를 조절할 수 있게한 홀더
JPS6336571Y2 (ko)
KR0133707Y1 (ko) 스피커의 메탈그릴 취부장치
JP2980014B2 (ja) 光ディスクドライブ取付装置
KR910006463Y1 (ko) 음극선관 고정용 리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