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8096Y1 - 버스 콘트롤에 의한 자동 화이트 밸런스 조정회로 - Google Patents

버스 콘트롤에 의한 자동 화이트 밸런스 조정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8096Y1
KR0138096Y1 KR2019930002448U KR930002448U KR0138096Y1 KR 0138096 Y1 KR0138096 Y1 KR 0138096Y1 KR 2019930002448 U KR2019930002448 U KR 2019930002448U KR 930002448 U KR930002448 U KR 930002448U KR 0138096 Y1 KR0138096 Y1 KR 01380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signal
white balance
feedback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24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1482U (ko
Inventor
양예목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300024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8096Y1/ko
Publication of KR9400214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14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0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0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73Colour balance circuits, e.g. white balance circuits or colour temperatur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Abstract

버스 콘트롤에 의하여 컴퓨터 콘트롤이 가능하고 자동 화이트 밸런스 조정되는 텔레비젼 및 모니터에 적용되어 비데오 프로세서의 출력을 제어하여 자동 화이트 밸런스 조정되게 한 것으로 기존의 R.G.B 신호 출력단에서 가변저항으로 조정하였던 불편을 없애기 위하여 공장 출하시 조정된 R.G.B 칼라 온도 데이타와 게인 조정된 R.G.B 신호 출력에서 검출한 피드백 데이타를 비교하여 양데이타간의 에러가 발생되지 않게 R.G.B 신호의 게인을 콘트롤 하도록 한 것으로 텔레비젼 및 모니터의 화이트 밸런스를 비데오 프로세서의 출력 제어에 의하여 자등 조정하는데 이용되어진다.

Description

버스 콘트롤에 의한 자동 화이트 밸런스 조정회로
제1도는 종래의 화이트 밸런스 조정회로.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3,24-29 : 래치 14-16,30-35 : 디지탈 아날로그 변환기
17 : 셀렉터 18 : 버퍼
22 : 업/다운 카운터 36,37,38 : 출력부
39,40,41 : 캐소드 앰프 Q1,Q2,Q3 : 트랜지스터
CP1,CP2 : 비교기 100 : 에러 검출부
200 : 기준신호 발생부 300 : 타이밍 신호 발생부
400 : 출력제어부 500 : 피드백 발생부
본 고안은 버스 콘트롤에 의하여 컴퓨터 콘트롤 되어지는 자동 화이트 밸런스 가능한 텔레비젼 및 모니터에서, 비데오 프로세서의 출력을 제어하여 자동 화이트 밸런스를 조정하도록 하는 버스 콘트롤에 의한 자동 화이트 밸런스 조정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화이트 밸런스 조정회로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데오 프로세서(1)에서 출력된 R.G.B 신호를 가변저항(VR)으로 가변시킨 후 케소드 앰프(2)을 통하여 CRT의 케소드에 인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화이트 밸런스 조정을 위해서는 가변저항(VR)의 저항값을 변화시켜 주어야 하므로 화이트 밸런스 조정작업이 번거롭고 또한 수동적으로 가변저항(VR)의 콘트롤을 행하여야 하므로 정확한 화이트 밸런스 조정이 어려웠다.
그리고 가변저항(VR)을 이용하여 화이트 밸런스 조정후에는 비데오 신호의 변화에 따라 능동적으로 조정할 수 없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비데오 프로세서의 출력을 조정하여 자동 화이트 밸런스 콘트롤이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써 공장 출하시 조정된 R.G.B 칼라 온도 데이타와 게인 조정된 R.G.B 신호 출력에서 검출한 피드백 데이타를 비교하여 양데이타간의 에러가 발생되지 않게 R.G.B 신호의 게인을 콘트롤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공장 출하시 조정된 칼라 온도 데이타를 아나로그 변환시켜 R.G.B 신호에 대한 기준 전류로 발생시키는 기준 신호 발생부(200)를 구성 시키고 상기 기준 신호 발생부(200)의 출력과 피드백 발생부(500)의 피드백 신호를 비교한 에러전압을 발생시키고 상기 에러전압을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업/다운 카운트를 하는 에러 검출부(100)를 구성 시키며 상기 에러 검출부(100)의 출력을 타이밍 신호 발생부(300)의 타이밍 신호 공급에 따라 아나로그 변환시켜 R.G.B 신호의 게인을 조정하는 출력 제어부(400)를 구성 시키고 상기 출력 제어부(400)의 R.G.B 신호에 대한 피드백 신호를 검출하여 에러 검출부(100)에 인가시키는 피드백 발생부(500)로 구성시킨다.
여기서 기준 신호 발생부(200)는 단일칩 마이크로 시스템(MPM)에서 인가된 칼라 온도 데이타를 로드시키는 래치(11-13)를 구비하고 상기 래치(11-13)에 로드된 값을 아나로그 변환시키는 디지탈 아나로그 변환기(14-16)를 구비하며 상기 디지탈 아나로그 변환기(14-16)의 출력을 R.G.B 신호 조정에 따라 선택하는 셀렉터(17)를 구비하여 구성되어지고 에러 검출부(100)는 상기 기준 신호 발생부(200)의 출력과 피드백 발생부(500)의 피드백 신호를 비교하여 에러전압을 검출하는 버퍼(18)를 구비하고 상기 버퍼(18)의 출력을 기준전압(Vref1) (Vref2)와 비교하는 비교기(CP1)(CP2)를 구비하며 상기 비교기(CP1)(CP2)의 출력에 의하여 업/다운 카운트 되어지는 업/다운 카운터(22)를 구비하여 구성되어진다.
그리고 출력 제어부(400)는 타아밍 신호 발생부(300)의 로드/백로드 시퀀스(23)에서 인가된 타이밍 신호에 따라 업/다운 카운터(22)의 출력을 로드시키는 래치(24-29)를 구비하고 상기 래치(24-29)에 로드된 신호를 아나로그 변환시키는 디지탈 아나로그 변환기(30-35)를 구비하며 상기 디지탈 아나로그 변환기(30-35)의 출력에 의하여 R.G.B 신호의 게인을 콘트롤 하는 출력부(36-38)를 구비하여 구성되어지고 피드백 발생부(500)는 상기 출력 제어부(400)의 출력을 증폭시키는 R.G.B 케소드 앰프(39-41)를 구비하고 상기 R.G.B 케소드 앰프(39-41)의 출력을 CRT의 케소드에 인가시키는 한편 피드백 신호로 검출하는 트랜지스터(Q1-Q3)를 구비하여 구성되어진다.
여기서 트랜지스터(Q1-Q3)는 R.G.B 케소드 앰프(39-41)에 베이스가 연결되고 에미터측은 CRT의 캐소드에 연결되며 콜렉터측은 공접시켜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진 본 고안이 작용 효과을 살펴본다. 먼저 기존 신호 발생부(200)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세트의 공장 출하시 이미 조정되어진 화이트 밸런스(White balance) 조정된 값 즉, R.G.B 칼라 온도 데이타가 단일칩 마이크로 시스템(MPU)에서 출력되어 래치(11-13)에 로드 (Load)되어진다.
상기 래치(11-13)에 로드된 화이트 밸런스 조정된 값 즉, R.G.B 칼라 온도 데이타는 디지탈 아나로그 변환기(14-16)에서 아나로그 값으로 변환되어 R.G.B 각각의 기준전류로 작용되어진다.
이때 디지탈 아나로그 변환기(14-16)에서 변환된 값이 R.G.B의 각각의 기준전류로 작용하기 위해서 셀렉터(17)에서 R.G.B 각각의 전류 세트 업 기간에 따라 선택해 주어야 한다.
즉 레드(R) 세트업 기간에는 셀렉터(17)에서 디지탈 아나로그 변환기(14)의 출력을 선택하여 에러 검출부(100)에 기준전류로 인가시키고 그린(G) 세트업 기간에는 셀렉터(17)에서 디지탈 아나로그 변환기(15)의 출력을 선택하여 에러 검출부(100)에 기준전류로 인가시키며 블루(B) 세트업 기간에는 셀렉터(17)에서 디지탈 아나로그 변환기(16)의 출력을 선택하여 에러 검출부(100)에 기준전류로 인가시킨다.
이같이 기준신호 발생부(200)에서 인가되는 R.G.B 각각에 대한 기준전류는 피드백 발생부(500)에서 인가되는 피드백 전류와 에러 검출부(100)에서 비교된다.
이때 기준 신호 발생부(200)의 기준전류와 피드백 발생부(500)의 피드백 전류는 서로 매칭(Matching)이 되어야 하며 상호 매칭이 되지 않을 경우는 저항(R)에 에러전압을 발생시키게 된다.
여기서 에러전압이 발생되었다는 것은 화이트 밸런스가 많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하고 에러전압이 발생되지 않았다는 것은 화이트 밸런스가 많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같이 저항(R)에 발생되어진 에러전압은 버퍼(18)를 통하여 비교기(CP1)(CP2)에 인가되어 기준전압(Vref1)(Vref2)과 비교된다.
비교기(CP1)(CP2)에서 기준전압 (Vref1)(Vref2)과 비교되어지는 에러전압이 기준전압(Vref1)보다 크면 비교기 (CP1)는 클럭디바운스(21)를 동작시켜 업/다운 카운터(22)에 카운트 업 정보를 주게 되고 기준전압(Vref2)보다 작으면 비교기(CP2)는 클럭디바운스(21)를 동작시켜 업/다운 카운터(22)에 카운트 다운 정보를 주게 된다.
이같이 에러 검출부(100)의 업/다운 카운터(22)에서 카운트된 값은 타이밍 신호 발생부(300)로부터 타이밍 신호를 인가받는 래치(24-29)에 로드되게 된다.
이때 타이밍 신호 발생부(300)는 단일칩 마이크로 시스템(MPU)에서 인가되는 타이밍 시그널을 로드 백로드 시퀀스(23)에서 받아 로드 또는 백로드시에 따라 적절한 타이밍 신호를 출력제어부(400)에 공급하게 된다.
즉 화이트 전류 세트업의 경우도 같은 칼라 온도를 이용하며 이 경우는 공통 팩터(Cammon Factor)에 의해 곱해진 값을 이용한다.
그리고 화이트를 나타내는 공통 펄스가 R.G.B 케소드 앰프에 가해지고 피드백 루프는 흑전류(Black current)에 대응하는 즉 공통 팩터에 의해 분할되어진 전류를 얻도록 게인(gain)을 조절한다.
로드/백로드 시퀀스(23)의 백로드 명령은 적당한 래치(24-29)에서 업/다운 카운터(22)로 필요한 경우 데이타를 변경할 준비가 되었음을 알려주게 된다.
이같은 타이밍 신호 발생부(300)로 부터 타이밍 신호를 받아들이고 에러 검출부(100)에서 인가되는 카운트값을 로드시킨 래치(24-29)의 출력을 각각 디지탈 아나로그 변환기(30-35)에서 아나로그 값으로 변환되어진 후 출력부(36-38)에 인가되어진다.
즉 디지탈 아나로그 변환기(30-35)에서는 각각 흑레벨 전류세트업에 의한 직류전압과 화이트 레벨 전류 세트업에 의한 직류 전압을 출력시키게 되고 이러한 흑레벨 전류 세트업에 의한 직류 전압과 화이트 레벨 세트업에 의한 직류전압은 출력부(36-38)에 인가되어 R.G.B 신호에 대한 게인 콘트롤을 행하게 된다.
출력부(400)에서 게인 콘트롤 되어진 R.G.B 신호는 R.G.B 케소드 앰프(39-41)에서 증폭된 후 CRT의 케소드에 인가되어지며 이때 피드백 신호는 상기 R.G.B 케소드 엠프(39-41)의 출력측에 피드백 검출용 트랜지스터(Q1-Q3)를 추가시킴으로써 검출해 내게 된다.
즉 R.G.B 케소드 앰프(39-41)의 출력측은 트랜지스트(Q1-Q3)의 베이스에 연결하고 상기 트랜지스터(Q1-Q3)의 에미터측은 각각 CRT의 케소드에 연결하는 한편 콜렉터측은 공접시커 피드백 신호를 검출해 내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수동적인 화이트 밸런스 조정이 아닌 버스 콘트롤에 의한 자동 화이트 밸런스 조정이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버스 콘트롤에 의해 컴퓨터 콘트롤이 가능한 자동 화이트 밸런스 조정이 되는 텔레비젼 및 모니터에 이용되어진다.

Claims (1)

  1. 공장 출하시 조정된 칼라 온도 데이타를 아나로그 변환시켜 R.G.B 신호에 대한 기준 전류로 발생시키는 기준 신호 발생부와, 상기 기준 신호 발생부터 출력과 피드백 발생부의 피드백 신호를 비교한 에러전압을 발생시키고 상기 에러전압을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업/다운 카운트 하는 에러 검출부와, 상기 에러 검출부의 출력을 타이밍 신호 발생부의 타이밍 신호 공급에 따라 아나로그 변환시켜 R.G.B 신호의 게인을 조정하는 출력 제어부와, 상기 출력 제어부의 R.G.B 신호에 대한 피드백 신호를 검출하여 에러 검출부에 인가시키는 피드백 발생부로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콘트롤에 의한 자동 화이트 밸런스 조정회로.
KR2019930002448U 1993-02-19 1993-02-19 버스 콘트롤에 의한 자동 화이트 밸런스 조정회로 KR01380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2448U KR0138096Y1 (ko) 1993-02-19 1993-02-19 버스 콘트롤에 의한 자동 화이트 밸런스 조정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2448U KR0138096Y1 (ko) 1993-02-19 1993-02-19 버스 콘트롤에 의한 자동 화이트 밸런스 조정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1482U KR940021482U (ko) 1994-09-24
KR0138096Y1 true KR0138096Y1 (ko) 1999-05-01

Family

ID=19351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2448U KR0138096Y1 (ko) 1993-02-19 1993-02-19 버스 콘트롤에 의한 자동 화이트 밸런스 조정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809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298B1 (ko) * 2001-12-28 2004-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최대 게인값 자동 설정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298B1 (ko) * 2001-12-28 2004-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최대 게인값 자동 설정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1482U (ko) 1994-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95470A (en) Offset balancing method and apparatus for a DC amplifier
US6191760B1 (en) Video input level control circuit in a video appliance
US4686562A (en) Gamma correction circuit
KR890005235B1 (ko) A/d변환장치
US6069660A (en) Automatic black level stabilizing apparatus
US6515602B2 (en) Clamp circuit and method for increasing dynamic range of input image signal and minimizing line noise
KR0138096Y1 (ko) 버스 콘트롤에 의한 자동 화이트 밸런스 조정회로
KR0147862B1 (ko) 다중모드 모니터의 자동 빔전류 조성회로 및 그 방법
US7403233B1 (en) Video circuitry for controlling signal gain and reference black level
US5638137A (en) Configurable video output channel architecture
FI76465B (fi) Signalbehandlingsanordning.
JP3254717B2 (ja) 映像表示装置
US20020190882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D converter
US6281943B1 (en) Cut-off control circuit for adjusting white balance
US6710821B1 (en) White balance adjusting apparatus
KR940004434B1 (ko) 화이트 밸런스 자동 조절방법
US6970203B2 (en) Automatic cut-off system
JPH07154709A (ja) ホットスタートフラッシュを防止するakb装置
JP3254719B2 (ja) 映像表示装置
EP0696142B1 (en) Control circuit for adjusting cut-off voltage and drive voltage, e.g. for cathode ray tubes, and video equipment incorporating the circuit
JP3254718B2 (ja) 映像表示装置
JPH07123436A (ja) 自動ホワイトバランス調整回路
KR950011659B1 (ko) 수상관의 흑레벨 안정화 회로
JPS6043988A (ja) 自動ホワイトバランス調整装置
JPH05236498A (ja) ホワイトバランス自動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