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8026Y1 - 천정등 부착구 - Google Patents

천정등 부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8026Y1
KR0138026Y1 KR2019950039434U KR19950039434U KR0138026Y1 KR 0138026 Y1 KR0138026 Y1 KR 0138026Y1 KR 2019950039434 U KR2019950039434 U KR 2019950039434U KR 19950039434 U KR19950039434 U KR 19950039434U KR 0138026 Y1 KR0138026 Y1 KR 01380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socket
guide
plug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94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3833U (ko
Inventor
이효원
Original Assignee
이효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효원 filed Critical 이효원
Priority to KR20199500394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8026Y1/ko
Publication of KR9700438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38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0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0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4Recessed bases
    • F21V21/041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 F21V21/042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using clamping means, e.g. for clamping with panel or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 F21V17/16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the parts being subjected to traction or compression, e.g. coil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측 방향으로의 회전 시에는 자유회전을 허용하고 타측 방향으로의 회전 시에는 분리될 수 있도록 소켓부는 체결편과 일체로 되어 함께 이동되는 이동편을 마련하고 플러그부에는 상기 이동편을 반경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안내편이 마련되는 천정등 고정장치에 관한 것임.

Description

천정등 부착구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천정등 부착구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천정등 부착구의 전원소켓을 도시한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플러그에 마련된 안내편을 평면으로 나타낸 부분확대 평면도.
제4도는 제2도에 도시된 안내편을 제2도의 화산표 A 방향에서 본 측면도.
제5도는 안내편과 협력하도록 소켓에 마련된 돌출부와 상기 소켓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제1도의 선 Ⅰ-Ⅰ 에 따른 부분확대 단면도.
제6도는 안내편이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제3도의 선 Ⅱ-Ⅱ에 따른 부분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천정등 부착장치 30 : 플러그부
31 : 안내편 33 : 접속단자
36 : 삽입부 38 : 체결요홈
50 : 소켓부 52 : 수납공
54 : 체결편 56 : 이동편
58 : 안내홈 59,360 : 스프링
320 : 경사면 330 : 안내면
본 고안은 천전등 부착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천정에 고정된 전원소켓으로부터 등이 부착되는 플러그를 용이한 방법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한 천정등 부착구에 관한 것이다.
실내 공간 내의 천정에 천장등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전원소켓을 천정에 먼저 부착하며 천정에 설치되어 있는 전원선과 연결되게 한 다음, 상기 전원소켓에 구비되어 있는 천정등 연결부에 천정등 또는 천정등이 결합된 플러그를 결착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천정등 설치과정에 있어서는, 전원소켓을 천정에 부착시키고 그 하부에 천정등 또는 천정등이 장착되는 플러그를 결합할 시, 나사 등의 결착수단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작업을 해야함으로, 설치장소의 하부에서 의자나 기타 물건들을 받쳐 올라선 채 작업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에 많은 불편이 따르며, 또한 설치 후의 위치가 잘못될 경우에는 다시 나사를 풀어 재작업을 해야하는 등의 불편이 따른다. 아울러, 상기 종래의 전원소켓 내에는 천정에 설치되어 있는 접지선이 연결되지 않는 구조로 되어있어, 누전으로 인한 화재의 위험이 따르는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현재까지 제안되어 있는 기술의 일예로서 1994. 7. 22일자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4-18263호가 있다.
상기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4-18263호에 제시된 천정등 부착구에서는 접지처리가 가능하며 천정에 부착된 전원소켓의 하부에 직접 천정등을 부착하지 않고, 천전등 부착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외부케이스 내에 상기 전원소켓과 착탈식으로 결착이 가능한 플러그를 설치하여, 천정등을 설치하거나 갈아 끼울 경우에는, 상기 전원 플러그가 구비된 외부케이스를 상기 착탈버튼을 사용하며 전원소켓으로부터 분리한 후, 분리된 상태에서 천정등을 장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접지처리가 가능하고 전원소켓과 플러그에 의한 천장등의 설치가 용이한 종래의 개선된 장치에 있어서는, 천정벽면에 고정된 전원소켓과 결합되는 플러그가 이미 결착이 된 상태에서는 천정등의 위치를 변경할 수 없어 4각 또는 5각형 등의 여러 형상을 가진 천정등의 결착 시, 결착이 잘못 이뤄질 경우가 많고 또한 결착이 잘못된 경우에 그 위치를 조정하고자 할 때에는 결착된 전원소켓을 다시 분리하여 고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
선행 기술에서의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회전이 자재한 천정등 부착구도 제안된 바 있으나(실용신안원 95-5167호), 이러한 기술은 등을 고정하고 있는 소켓부의 회전시 소켓부에 결선된 전선이 같이 회전하게 되어, 소켓을 과도하게 회전시킬 시 전선의 파열을 초래할 우려가 있게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선행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천정등 부착장치의 등을 고정하고 있는 부분을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재작업의 필요 없이 천정등의 정확한 위치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건물에 고정되며 그 중앙에는 주연부에 환형 체결요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중심원주가 마련되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이 결선되는 플러그부와;
상기 플러그부의 상기 중심 원주가 삽입될 수 있는 중심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개구부의 반경 방향으로 대칭을 이룬 2곳 이상에 상기 중심원주의 환형 체결요홈부에 결합되는 체결편이 마련된 전등을 고정하는 소켓부와;
상기 플러그부의 표면에 마련되며 일측 회전방향으로는 저지구 역할을 하며 타측회전 방향으로는 안내부 역할을 하는, 탄성력에 의하여 후퇴가 가능한 안내편과;
상기 체결편과 일체로 구성되되 상기 소켓부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안내편과 중심원주 상에서 돌출되어 상기 안내편의 유도에 따라 일측방향으로는 상기 소켓의 자유회전을 허용하되 타측방향으로의 회전시에는 상기 소켓부를 건물에 고정된 상기 플러그로부터 분리되도록 반경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편으로 구성되는 천정등 부착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적합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천정등 부착장치(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천정등 부착장치(10)는 대략 천정에 고정되는 플러그부(30)와, 등을 고정하며 상기 플러그부(30)에 착탈식으로 고정되는 소켓부(5O)로 구성된다. 천정등 부착장치(10)는 천정에 고정되며 건물의 고정설비로부터 인입되어 오는 전선과 단자(32)에서 연결된다. 천정등 부착장치(10)는 체결공(34)을 통하여, 즉 나사 또는 못 등에 의하여 천정등의 건물 본체에 고정된다. 플러그부(30)의 고정방법은 공지될 것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플러그부(30)의 중심에는 대략 원주형의 삽입부(36)가 마련되는데,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소켓부(50)와 체결되는 부분이 된다. 삽입부(36)의 외주면에는 체결요홈(38)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플러그부(30)와 소켓부(50)를 결합할 시 체결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소켓부(50)는 그 중심에서 플러그부(30)에 마련된 삽입부(36)와 결합될 수 있는 수납공(52)을 갖는다. 수납공(52) 내에는 플러그부(30)에 마련된 체결요홈(38)과 결합될 수 있는 형상으로 구성된 체결편(54)이 마련된다. 체결편(54)은 수납공(52)의 직경방향으로 대향된 위치에서 2개 또는 4개를 마련하여 플러그부(30)와 소켓부(50)가 결합될 시 완전한 체결력을 얻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부(50)의 상부면에는 이동편(56)이 안내홈(58) 내에서 이동 자재하게 위치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동편(56)은 체결편(54)과 일체로 되어 있어 이동편(56)의 이동에 의하여 체결편(54)이 수납공(52)의 중심을 기준으로 반경방향으로 진퇴이동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소켓부(50)의 저면에는 등 고정기구(53)가 마련되어 등을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수납궁(52)의 저면에는 단자(55)가 마련되어 플러그부(30)의 단자(55)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을 등에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면에는 단자(57)가 3개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입력되는 전원이 접지가 필요 없는 100V일 경우에는 단자(57)를 두개만 마련하여도 된다.
제2도는 플러그부(30)를 역전시킨 상태에서 사시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부(30)의 상부면 중 삽입부(36)의 주변에는 1조 이상의 안내편(31)이 마련된다. 안내편(31)의 상세한 구조 및 작동상태는 후술한다. 삽입부(36)의 상부면에는 그 중심 및 중심을 기준으로 동심원 상태로 배설된 환형의 접속단자(33)가 마련되어, 제1도에 도시된 소켓부(50)의 수납공(52)의 내부에 마련된 단자(57)와 접속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제 제2도, 제3도, 제4도 및 제6도를 참고로 하여 안내편(31)의 구조 및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플러그부(30)의 일부를 확대 평면으로 도시하며 안내편(31)치 평면구조를 상세하게 나타낸 것이며 제4도는 제3도에 도시된 부분을 측면에서 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안내편(31)은 상기 도면들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플러그부(30)의 평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그 일부는 정부로부터 플러그부(30)의 평면까지 경사를 이루고 있는 경사면(32O)으로 이루어져 있다. 안내편(31)의 형태는 대략 삼각주 형상으로 되어 있어 삽입부(36)를 향한 면은 평면상에서 볼 때 직선 또는 이와 유사한 형태의 면으로 되어 있으며, 삽입부(36)와 반대측을 향한 면은 삽입부(36)로부터 그 반대 방향으로 역시 평면에서 볼 때 외측으로 경사져 있는 안내면(330)으로 되어 있다. 즉, 상기 안내편(31)은 평면상에서 볼 때 일측면은 대략 평면으로 되어 있으며 그 타측면은 상기 직선인 면으로부터 평면에서 볼 때 플러그부(30)의 외측연부를 향하여 경사져 있는 안내면(330)과 상기 안내면(330)이 종결되는 부분에서 상 안내면(330)의 최대폭과 동일한 폭으로 경사지는 경사면(320)을 갖는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는 안내편(31)의 측면구조를 도시한 제4도로부터 상세히 알 수 있다. 도면에서는 안내면(330)의 경사도가 각각의 부분에서 상이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경사면(3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경사면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단순한 직선의 경사면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안내편(31)의 폭 W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소켓부(50)의 체결편(54)을 후퇴시켜 플러그부(30)로부터 소켓부(50)를 분리하는데 필요할 정도로 선택되어야 한다.
제6도는 제3도의 선 Ⅱ-Ⅱ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안내편(31)은 플러그부(30)의 본체 내부에 형성된 수납홈(350) 내에 스프링(360)에 의하여 거치되어 있다. 따라서 안내편(31)은 하향력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스프링(360)의 힘을 극복하고 하향으로 후퇴될 수가 있다. 안내편(31)의 양측 단부에는 돌기부(370)들이 각각 마련되어 있어 플러그부(30)의 표면 부근에 마련된 러그부(380)와 계합되어 안내편(31)이 수납홈(350)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안내편(31)에 하향력을 인가하는 과정은 후술한다.
제5도는 이동편(56) 및 이와 일체로 걸합되어 있는 체결편(54)의 구조 및 그 작동상태를 상세히 나타내기 위하여 제1도의 선 I-I을 따라 소켓부(50)의 일부를 포함하여 횡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소켓부(50)에는 일측은 소켓부(50)의 표면으로 개구되어 있고 그 타측은 수켓부(50)의 수납공(52)으로 개구되어 있는 대략 L자형의 통공(58)이 마련된다. 통공(58)의 수직부분, 즉 소켓부(50)의 표면을 향하여 개구되어 있는 부분은 소형 돌기형상인 이동편(56)의 수납공(52)의 중심을 기준으로 반경방향 이동을 허용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 및 폭을 가지면 족하나, 통공(58)의 수평부분, 즉 체결편(54)을 수납하게 되는 부분은 체결편(54)의 반경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는 폭 및 길이를 가져야 한다. 따라서, 횡단면도인 제5도에서는 상세히 나타나지는 않으나 통공(58)의 수직부분보다는 수평부분의 폭이 상대적으로 커질 수 있다. 이동편(56)과 체결편(54의치 결합체는 스프링(59)에 의하여 통공(58) 내에 지지되어 있어 일정한 힘이 인가되는 경우에 이들 결합체는 함께 반경방향으로 이동을 할 수 있게된다. 정상상태에서는 상기 결합체는 스프링(59)의 압압력에 의하여 반경방향 내측으로 압압되어 있어 체결편(54)이 수납공(52) 내로 돌출된 상태로 유지되는데, 이러한 상태는 플러그부(30)와 수켓부(50)가 결합된 상태가 되는 것이며, 이동편(56)과 체결편(54)의 결합체가 스프링(59)의 힘을 극복하고 반경방향 외측으로 후퇴하게 되면 체결편(54)이 플러그부(30)의 삽입부(36)의 주연부에 마련된 체결요홈(38)으로부터 분리되어 플러그부(30)로부터 소켓부(5O)를 분리되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때 안내편(31)과 이동편(56)의 각각의 위치는 플러그부(30) 및 소켓부(50)를 결합할 시 상호동심인 상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음을 주시하여야 한다.
이제 플러그부(30)와 소켓부(50)의 결합 및 분리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플러그부(30)를 전술한 바와 같이 나사 또는 못 등을 이용하여 건물의 천정과 같은 구조물에 고정시킨다. 다음에 이동편(56)이 안내편(31)과 접촉되지 않는 상태에서 플러그부(30)의 삽입부(36)에 소켓부(50)의 수납공(52)이 일치되도록 하여 소켓부(50)를 플러그부(3O)에 대하여 압압한다. 이에 의하여 체결편(54)의 단부에 마련된 경사면(제5도 참조)과 삽입부(36)의 단부와 접촉됨으로써 체결편(54)은 반경방향 외측으로 후퇴하게 된다. 따라서 수납공(52) 내로 삽입부(36)가 계속 진입하게 되어 결국 체결편(54)이 삽입부(36)의 체결요홈(38)과 결합되게 된다. 이러한 결합상태가 이루어지면 스프링(59)의 탄성력에 의하여 체결편(54)은 삽입부(36)의 체결요홈(38)과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결국 소켓부(5O)를 플러그부(30)에 대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소켓부(5O)가 플러그부(30)에 고정된 상태에서 등이 고정되어 있는 소켓부(50)를 회전시키고자 하면 소켓부(50)를 플러그부(30) 안내편(31)의 경사면(320)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러한 방향으로 소켓부(50)를 회전시키게 되면 안내편(31)과 동심원 상에 위치하는 소켓부(50)의 이동편(56)은 상기 경사면(32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편(56)은 반경방향으로는 이동될 수 있으나 상하 방향으로는 이동되지 못하기 때문에, 이동편(56)과 안내편(31)의 경사면(320)과의 접촉에 의하여 안내편(31)은 제6도에 도시된 스프링(360)의 힘을 극복하고 수납홈(350) 내에서 후퇴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 의하여 소켓부(50)는 이동편(56) 및 안내편(31)이 상호 동심원 상에 위치함에도 불구하고 상호 저지 작용을 하지 않게 되어 소켓부(50)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소켓부(50)의 회전은 안내편(31)의 경사면(320)을 향한 방향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제 소켓부(50)를 플러그부(30)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는, 소켓부(50)를 상기한 자유회전방향의 반대 방향, 즉 안내편(31)의 경사면(320)의 후방으로부터 경사면(320)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소켓부(5O)를 상기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이동편(56)은 안내편(31)의 직립된 안내면(330)과 접촉된다. 안내면(3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그 단부로부터 경사면에 인접된 부분까지 외향으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소켓부(50)를 계속 회전시키게 되면 이동편(56)은 안내편(31)의 경사면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제5도에 도시된 스프링(59)의 압압력을 극복하고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안내편(31)의 안내면(330)은 플러그부(30)의 평면에 대하여는 수직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경사면(320)과 이동편(56)이 접촉될 때와는 달리 수납홈(350) 내로 후퇴되지 않게 된다. 이동편(56)이 이와 같이 이동되면 이동편(56)과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체결편(54)도 따라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체결편(54)은 삽입부(36)의 체결요홈(38)과의 결합상태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이와 같이 체결편(54)과 체결요홈(38)의 결합이 해제되면 이제 소켓부(50)를 플러그부(30)로부터 당기기만 하면 소켓부(50)를 플러그부(30)로부터 완전히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라 플러그부(30)에 안내편(31)을 마련하고 소켓부(5O)에는 체결편(54)가 일체로 되어있는 이동편(56)을 마련함으로써 소켓부(50)의 회전방향에 따라 일측방향으로는 소켓부(5O)를 자유회전시킬 수 있으나 타측방향으로의 회전 시에는 소켓부(5O)를 플러그부(3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천정등 고정장치를 제공하게 되어, 선행 기술에서 문제가 되었던 전선의 꼬임현상 등을 방지하면서도 등을 파지하고 있는 부분(본 고안에서는 소켓부(50)로 설명되어 있음)을 자유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내용 및 첨부된 도면에서는 안내편(31)은 플러그부(30)에 마련하고 이동편(56)은 소켓부(50)에 마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안내편(31)을 소켓부(50)에 마련하고 이동편(56)을 플러그부(30)에 마련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며 또한 소켓부(50)를 천정과 같은 건물의 고정체에 고정시키고 플러그부(30)가 등을 파지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Claims (5)

  1. 일측방향으로는 자유회전을 허용하며 타측방향으로의 회전 시에는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천정등 고정장치에 있어서, 건물에 고정되며 그 중앙에는 주연부에 체결요홈이 형성되어 있는 중심원주가 마련되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이 결선되는 플러그부와, 상기 플러그부의 상기 중심원주가 삽입될 수 있는 중심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개구부의 반경방향으로 대칭을 이룬 2곳 이상에 상기 중심원주의 체결요홈에 결합되는 체결편이 마련된, 전등을 고정하는 소켓부와; 상기 플러그부의 표면에 마련되며 일측 회전방향으로는 저지구 역할을 하며 타측회전방향으로는 안내부 역할을 하는, 탄성력에 의하여 후퇴가 가능한 안내편과; 상기 체결편과 일체로 구성되되 상기 소켓부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안내편과 동심원주 상에서 돌출되어 상기 안내편의 유도에 따라 일측방향으로는 상기 소켓의 자유회전을 허용하되 타측방향으로의 회전 시에는 상기 소켓부를 건물에 고정된 상기 플러그부로부터 분리되도록 반경방향향으로 이동되는 이동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등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편이 경사면과 안내면으로 구성되어 경사면은 상기 소켓부의 자유회전을 허용하고 안내면은 상기 이동편의 반경방향으로의 이동을 안내하여 소켓부가 상기 플러그부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등 고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편은 상기 체결편과 일체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등 고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부의 삽입부의 단부면에 동심원 상태의 단자들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등 고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편은 상기 플러그부에 마련된 수납홈 내에 후퇴 자재하게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등 고정장치.
KR2019950039434U 1995-12-08 1995-12-08 천정등 부착구 KR01380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9434U KR0138026Y1 (ko) 1995-12-08 1995-12-08 천정등 부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9434U KR0138026Y1 (ko) 1995-12-08 1995-12-08 천정등 부착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3833U KR970043833U (ko) 1997-07-31
KR0138026Y1 true KR0138026Y1 (ko) 1999-05-15

Family

ID=19432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9434U KR0138026Y1 (ko) 1995-12-08 1995-12-08 천정등 부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802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3833U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99144A (en) Socket for compact fluorescent bulbs
WO2019085764A1 (zh) 吸顶照明灯具的安装组件、吸顶照明灯具及吸顶灯
CN114321786A (zh) 灯具安装结构及灯具
US5160809A (en) Structure of wire conduit terminal assembly
KR0138026Y1 (ko) 천정등 부착구
JP3733178B2 (ja) 灯体取付ベースおよび照明器具
CA1103639A (en) Sport light and ballast module
JPH0676901A (ja) 照明器具
JPH05217411A (ja) 天井照明器具
KR0134281Y1 (ko) 천정등 부착구
KR200362104Y1 (ko) 조명등 장착구조
JPH0645040A (ja) ランプソケット
KR0134282Y1 (ko) 자체 퓨즈가 구비된 천정등 부착구
JP2604453Y2 (ja) 照明器具の取付装置
JP3596986B2 (ja) 灯体、灯体取付ベースおよび照明器具
JP2567701Y2 (ja) ランプ用ソケット
JP2000011740A (ja) 天井直付け照明器具取付装置
JPS6240324Y2 (ko)
JPS643126Y2 (ko)
JP3180451B2 (ja) 照明器具
JPH02974Y2 (ko)
JPS5930974Y2 (ja) 照明器具
JPH06267323A (ja) 照明器具
JPH0231691Y2 (ko)
KR200353049Y1 (ko) 조명등 장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