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7968B1 - 차량사고 증거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사고 증거발생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7968B1
KR0137968B1 KR1019940010485A KR19940010485A KR0137968B1 KR 0137968 B1 KR0137968 B1 KR 0137968B1 KR 1019940010485 A KR1019940010485 A KR 1019940010485A KR 19940010485 A KR19940010485 A KR 19940010485A KR 0137968 B1 KR0137968 B1 KR 01379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evidence
accident
support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0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1709A (ko
Inventor
윤범구
조낙관
Original Assignee
천광우
해원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광우, 해원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천광우
Priority to KR1019940010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7968B1/ko
Publication of KR950031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1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7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79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being additional front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4Acceleration sensors
    • B60Y2400/3042Collision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사고 증거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사고의 발생시에 해당 사고 차량에 대한 증거를 현장에 발생시켜 사고 차량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도주 차량을 방지하거나 도주 후에도 사고차량에 대한 검색이 가능하여 도주 차량을 찾아낼 수 있도록 하는 차량사고 증거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충격을 감지하기 위한 충돌감지센서; 소정 크기 이상의 충격에 따라 동작하는 충돌감지센서의 작동에 의하여 공급되는 전원에 의하여 회로의 동작상태를 스위칭하는 전자릴레이; 전자릴레이에 의하여 공급되는 전원으로 화약을 폭파시키는 폭파장치; 및 차량의 고유번호가 각인된 증거물을 포함하며 상기 폭파장치에 의하여 폭파되어 증거물을 주변에 산포하는 증거물포함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사고 증거발생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사고 증거발생장치의 개략블럭도.
제2도는 제1도의 차량사고 증거발생장치의 제1실시회로도.
제3도는 제2도에 따른 차량사고 증거발생장치의 동작전의 상태도.
제4도는 제2도에 따른 차량사고 증거발생장치의 동작후의 상태도.
제5도는 제1도에서의 센서부의 세부구성도.
제6도는 제5도의 센서부의 분해도.
제7도는 제1도에서의 센서부의 분해도이다.
제8도는 제7도의 센서부의 분해도이다.
제9도는 제1도의 차량사고 증거발생장치의 제2실시회로도.
제10도는 제9도에 따른 차량사고 증거발생장치의 동작전의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충돌감지센서20 : 스위칭부
30 : 전원부40 : 폭파장치
50 : 증거물포함장치11,12 : 제1 및 제2센서
21 : 전자릴레이31,32 : 밧데리
41 : 램프42 : 히터
본 발명은 차량사고 증거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사고의 발생시에 해당 사고 차량에 대한 증거물 현장에 발생시켜 사고 차량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도주 차량을 방지하거나 도주 후에도 사고차량에 대한 검색이 가능하여 도주 차량을 찾아낼 수 있도록 하는 차량사고 증거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자동차에 대한 수요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비례하여 차량사고도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교통사고의 발생량은 전세계적으로 수위를 달리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사고로 인한 경제적 손실 또는 인명 손실에 따른 피해가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교통사고의 발생에 따른 손실의 증가에 비례하여 차량운전자가 각종 사고(인사 사고, 주차중인 차량의 접촉, 기타 각종 사고 등)를 야기시킨 후 도주하는 범죄행위가 적지 않게 발생하여 물의를 빚고 있다.
이와 같은 도주 차량의 경우에는 사고 발생 지점에서 해당 사고를 목격한 목격자가 있거나 가해 차량에 대한 증거가 명확히 있는 경우에는 해결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지만 사고 현장 상황이 인적이 드문 시간대이거나 행인의 통행이 한적한 장소에서 발생한 경우에 생길 수 있는 비윤리적인 양심에서 행하고 있는 뺑소니 사고 등의 경우에는 해당 차량을 검거하는 것이 상당히 곤란한 실정이다.
이러한 사고 등을 추적 조사하여 사건을 해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인력 소모 및 피해자와 그 가족들의 고생 등을 감안하면 뺑소니 사고에 따라 발생되는 유형 또는 무형의 재산적 손실을 막대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사고의 발생시에 사고 현장에 가해 차량을 인식할 수 있는 증거를 발생시키고 동시에 발생된 증거를 가해 차량의 운전자가 용이하게 수거할 수 없도록 하여 도주하고자 하는 의도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가해 차량의 도주에 의하여 현장이 방치됨으로 인하여 야기되는 피해자의 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특허 공고 제92-10079호에서는 차량의 번호판에 차량의 충돌시에 폭발하여 증거물을 주변에 산포할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이것은 차체에 가해지는 충격이 내부에 설치된 피스톤에 전달되면 피스톤이 충격에 의하여 전진하여 뇌관침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뇌관에 충격을 가함으로써 화약을 폭발시켜 번호판을 포함하는 케이스를 부수게하고 사고 현장에 증거를 보전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앞서 기술된 경우의 증거발생장치는 차량의 사고시 차량의 전면과 후면에 정면으로 실린더 내에 설치된 피스톤을 지탱하고 있는 스프링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최적의 작동 상태에 이르게되며 만약 측면으로부터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정확한 동작을 발휘하기에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사고의 발생시에 해당 차량을 인식할 수 있는 증거를 사고 지점에 발생시키도록 하여 차량사고로 야기되는 경제적, 시간적 손실을 방지하고 인명 사고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차량 사고 증거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동차에 가해지는 충격의 방향성에 관계없이 정확한 동작을 발휘할 수 있는 차량사고 증거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충격을 감지하기 위한 충돌감지수단; 소정 크기 이상의 충격에 따라 동작하는 상기 충돌감지수단의 작동에 의하여 공급되는 전원에 의하여 회로의 동작상태를 스위칭하는 스위칭수단; 상기 스위칭수단에 의하여 공급되는 전원으로 화약을 폭파시키는 폭파수단; 및 차량의 고유번호가 각인된 증거물을 포함하며 상기 폭파수단에 의하여 폭파되어 상기 증거물을 주변에 산포하는 증거물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의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사고 증거발생장치의 개략블럭도이다. 제1도에서 10은 외부로부터 충돌에 따라 차량의 몸체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충돌감지센서이며, 본 발명에서는 종래기술과는 달리 인가되는 압력의 방향에 무관하게 동작을 할 수 있도록 구성을 가지는 센서이다. 이러한 센서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5도 내지 제8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20은 접촉에 의해 발생된 전기신호를 받아 회로를 닫아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스위칭부, 30은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40은 전원의 공급에 따라 폭파되는 폭파장치이고 50은 차량이 고유번호가 각인된 다수의 증거물을 포함하는 증거물포함장치이다.
제1도에 도시된 차량사고 증거발생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차량의 외부에 일정한 충격이 가해지면, 즉 인사사고, 또는 차량간의 충돌사고가 발생하면 충돌감지센서(10)에서는 이러한 충격을 방향에 관계없이 가해지는 충격의 크기에 따라 충돌을 감지한다. 이러한 감지와 함께 전원부(30)에서 발생하는 전원이 충돌감지센서(10)에 의하여 스위칭부(20)의 스위칭상태를 전환시켜 회로를 닫도록하여 폭파장치(40) 및 증거물포함장치(50)를 포함하는 내부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이때 스위칭부(20)로는 전자릴레이 등을 사용한다.
스위칭부(20)의 동작에 의하여 전원부(30)의 전원이 폭파장치(40)에 공급되면 폭파장치(40)는 내부에 포함하는 뇌관 및 화약을 폭발시킨다. 폭파장치(40)가 폭파되면 증거물포함장치에 포함된 차량번호가 각인된 증거물이 차량주위로 산포되어 사고현장에 증거를 남기게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차량사고 증거발생장치의 제1실시예를 제2도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에서 11과 1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원통형 제1 및 제2센서이고, 21은 스위칭수단으로 사용되는 전자릴레이이고, 31과 32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밧데리이고, 41은 동작중임을 표시하는 램프이고, 42는 폭파장치에 포함되어 뇌관 및 화약을 가열에 의하여 폭파시키는 역할을 하는 히터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회로의 동작을 각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제3도와 제4도의 동작예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제3도는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기 전의 안정된 경우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충돌전의 경우에는 센서의 중앙부분에 위치한 추가 일정한 힘을 가지는 스프링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어 소정 크기의 압력이 인가되지 않으면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차체의 외부에 충격이 가해지면 센서의 중앙에 위치한 추가 제4도에 도시된 것처럼 추를 둘러싸는 원통형의 도체에 압력이 가해지는 반대방향으로 일시적으로 접촉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충돌감지센서(10)의 세부적인 실시예를 제5도 내지 제8도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제5도는 이중 스프링형태의 구성을 가지는 원통형센서이며, 제7도에 도시된 센서는 단 스프링형태의 구성을 가지는 원통형센서이다. 제6도와 제8도는 제5도와 제7도의 센서의 분해된 형태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제5도는 도시된 이중 스프링형의 원통형센서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는 중앙부가 볼록한 추(71)의 상하 양끝이 상부스프링(72)과 하부스프링(73)에 의하여 고정되며 하부스프링(73)은 기판(74)에, 상부스프링은 지지대(75)에, 그리고 ㄱ자 형상을 가지는 지지대(75)와 기판(74)은 각각 한쪽 끝이 나사로 고정되며, 절연체인 기판(74)상에는 도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하 스프링에 의하여 접속되는 추(71)를 포함하는 원통형의 기둥(76)을 설치하며 기둥(76)의 하부의 일점과 하부스프링(73)을 고정하는 나사(77)에 전선의 터미널(L1)이 연결된다.
즉, 차체에 가해지는 충격의 크기가 상하 스프링(72,73)에 의하여 지탱되는 힘보다 큰 경우에는 추(71)의 이동이 발생하여 추(71)의 중앙부분의 볼록한 부위가 원통형의 기둥(76)의 내측에 접하게 된다. 추(71)가 접하면 터미널(L1)로부터 공급되던 전류가 도체인 원통형의 기둥(76)을 통하여 터미널(L2)로 전류가 흐르게 되는 원리를 이용한다. 이러한 원통형 센서를 구성하는 부품들의 분해된 형태를 제6도에 도시하였다.
또한, 충돌감지센서의 다른 실시예인 제7도에 도시된 단 스프링형 원통형센서는 구형의 추(71)의 한쪽 끝에 스프링(72)이 연결되고, 이 스프링(72)이 지지대(75)에 나사(78)로 고정되며, 기판(74)상에는 추(71)를 포함하는 원추형의 도체 기둥(76)을 설치하고 기둥의 한쪽은 전선의 터미널(L2)이 연결되는 나사(79)로 접속하며 기판(74)과 지지대(75)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지탱할 수 있도록 사이에 지지기둥(80)을 설치하여 지지대(75)와 연결되는 부분에 전선의 터미널(L1)이 연결되는 나사로 고정되도록 구성한다.
즉, 단 스프링형의 원통형 센서의 경우에는 차체에 소정 크기 이상의 충격이 가해지면 추(71)의 진동이 발생하고 이 추(71)가 원추형의 기둥(76)의 내측에 접하게 되면 원추형의 기둥(76)을 기판에 고정시킨 나사(79)에 연결된 전선의 터미널(L1)과 지지대(75)와 지지기둥(80)을 고정하는 나사에 연결된 전선의 터미널(L2)간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충돌감지센서를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사고 증거발생장치의 동작을 제2도의 회로도와 제5 또는 제7도의 센서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제2도에서 자동차의 외부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제1 및 제2센서(11,12)의 중앙에 형성된 추(71)가 추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원추형 또는 원통형의 도체 기둥(76)에 순간적으로 접촉이 된다. 충돌에 따른 추의 진동에 의한 도체와의 접촉에 의하여 폐루프의 제1회로부가 형성되고 따라서 제1밧데리(31)의 전류가 스위칭부(20)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전자릴레이(21), 예를들어 사이리스터(Thyristor)에 공급되는 열려있던 제2회로부를 폐루프로 형성한다.
제2회로부가 형성되면 제2밧데리(32)에서 공급되는 전류가 램프(41)와 히터(42)에 공급되어 램프가 점등되며 이 램프는 제2회로부에 설치된 제2밧데리(32)가 완전히 방전될 때까지 작동하게 되어 차량의 도주시에도 해당 차량의 번호가 멀리서도 보일 수 있게 된다. 또한, 히터(42)에 전류가 공급되면 히터(42)가 가열되어 발생되는 열에 의하여 뇌관과 화약이 폭발하게 된다.
이때, 화약의 폭발력은 증거물인 구슬(51)을 포함하는 케이스(200)를 밖으로 밀어내게 되며 그 힘은 주케이스(100)의 일면의 벽을 파괴시킨 후 구슬과 함께 외부로 이탈되어 사고 차량의 주위에 구슬을 산포시킴으로서 사고현장 주위에는 가해 차량의 고유번호가 각인된 구슬이 산재하게 된다.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사고 증거발생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9도에 도시된 제2실시예는 그 구성이 제2도에 도시된 제1실시예와 유사한 구성을 가지며 단지 차이점은 2개의 센서와 2개의 전원부를 가지는 제1실시예와는 달리 하나의 센서와 하나의 전원부로 이루어지는 점에 있다. 그리고, 제10도는 제9도에 따른 차량사고 증거발생장치의 동작전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제2실시예의 동작을 제9도와 제10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의 충돌에 의하여 외부에 소정 크기 이상의 압력이 인가되면 센서의 중앙부의 위치하는 추(71)가 추를 둘러싸는 주변의 도체(76)에 접하게되어 전원부로부터 전원이 스위칭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전자릴레이(21), 예를들어 사이리스터에 공급되어 사이리스터를 동작시켜 회로를 닫도록 스위칭동작을 수행하기 때문에 밧데리(31)로부터 공급되는 전류가 램프(41)와 히터(42)에 공급된다.
전류가 램프(41)에 공급됨에 따라 램프(41)는 전원부의 밧데리(31)가 전부 소모될 때까지 점등상태가 되어 해당 차량을 밝히고, 또한 히터(42)를 가열하게 됨에 다라 이 히터(42)에 의하여 발생된 열에 의하여 뇌관에 열을 가하여 폭약을 폭발시켜 증거물을 포함하는 케이스(200)를 외부로 밀어내므로 이에 포하되어 있던 차량번호가 각인된 증거물로서의 구슬(51)이 차량의 사고지점 주변에 산포된다.
이와 같이 사고지점의 주위에 차량에 대한 고유번호가 기록된 증거물인 작은 구슬들이 흩어지게되면 차량사고 발생자가 이를 회수하는 것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회수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걸리게 되므로 뺑소니와 같은 비양심적인 행위를 저지르는 것이 곤란할 뿐만 아니라 설령 사고를 발생시키고 도주하는 경우에도 사고현장 주변에 흩어져 있는 구슬들에 의하여 사고차량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고차량의 추적 등에 소요되는 인력 및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고시에 램프를 점등시킴으로 인하여 해당 차량이 사고차량임을 명확히 확인할 수 있고, 도주하는 경우에도 해당 차량의 번호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등이 있다.

Claims (7)

  1.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충격을 감지하기 위한 충돌감지수단; 소정 크기 이상의 충격에 따라 동작하는 상기 충돌감지수단의 작동에 의하여 공급되는 전원에 의하여 회로의 동작상태를 스위칭하는 스위칭수단; 상기 스위칭수단에 의하여 공급되는 전원으로 화약을 폭파시키는 폭파수단; 및 차량의 고유번호가 각인된 증거물을 포함하며 상기 폭파수단에 의하여 폭파되어 상기 증거물을 주변에 산포하는 증거물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사고 증거발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수단에 의하여 전원이 공급되면 해당 차량을 인식할 수 있도록 밝히기 위한 램프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사고 증거발생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수단은 전자릴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사고 증거발생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릴레이는 사이리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사고 증거발생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감지수단은 중앙부가 볼록한 추의 상하 양끝이 상부스프링과 하부스프링에 의하여 고정되며 하부스프링은 기판에, 상부스프링은 지지대에, 그리고 ㄱ자 형상을 가지는 상기 지지대와 기판은 각각 한쪽 끝이 나사로 고정되며, 절연체인 기판상에는 도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하스프링에 의하여 접속되는 추를 포함하는 원통형의 기둥을 설치하며 상기 기둥의 하부의 일점과 상기 하부스프링을 고정하는 나사에 전선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사고 증거발생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감지수단은 구형의 추의 한쪽 끝에 스프링이 연결되고, 상기 스프링이 지지대에 나사로 고정되며, 기판상에는 상기 추를 포함하는 원추형의 도체 기둥을 설치하고 기둥의 한쪽은 전선이 연결되는 나사로 접속하며 상기 기판과 상기 지지대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지탱할 수 있도록 사이에 지지기둥을 설치하여 상기 지재대와 연결되는 부분에 전선이 연결되는 나사로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사고 증거발생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증거물은 구슬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사고 증거발생장치.
KR1019940010485A 1994-05-13 1994-05-13 차량사고 증거발생장치 KR01379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0485A KR0137968B1 (ko) 1994-05-13 1994-05-13 차량사고 증거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0485A KR0137968B1 (ko) 1994-05-13 1994-05-13 차량사고 증거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1709A KR950031709A (ko) 1995-12-20
KR0137968B1 true KR0137968B1 (ko) 1998-04-28

Family

ID=19383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0485A KR0137968B1 (ko) 1994-05-13 1994-05-13 차량사고 증거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79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59992B2 (en) 2004-12-22 2009-07-14 Tokyo Electron Limited Semiconductor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59992B2 (en) 2004-12-22 2009-07-14 Tokyo Electron Limited Semiconductor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1709A (ko) 1995-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45372A (ja) 衝突検出センサ
US5725399A (en) Battery cable terminal for vehicles
CN109229047B (zh) 一种汽车安全系统
BR9701787A (pt) Iniciador resistente a alta pressão de um sistema elétrico de restrição de passageiro de automóvel e processo de montagem do mesmo
KR101333170B1 (ko) 에너지 저장장치 및 에너지 저장장치의 전기 결선 차단 또는 단절 방법
KR960703376A (ko) 탑승자 보호 시스템의 기동장치(starting device for crew protecting system)
GB1426164A (en) Motor vehicle having an inflatable safety device
JPH0845405A (ja) パイロ技術高電流保護素子
US6588532B1 (en) Rescue assist safety system
KR960033829A (ko) 차량의 비상 도어분리장치
SE9000852D0 (sv) Bromsinraettning foer fordonskombinationer
US20120062373A1 (en) Vehicle crash hazard notice system
KR0137968B1 (ko) 차량사고 증거발생장치
JPH11253922A (ja) 火薬点火器を持つ乗客保護装置用廃棄処理装置及び廃棄処理方法
JPH04262943A (ja) 乗物乗員の支援系
US20020057542A1 (en) Impact activated electronic battery kill switch
CA2123011C (en) Sensor for a gas bag impact protection unit
US5282387A (en) Shock sensor
JP4008581B2 (ja) ガス貯蔵器を開く方法および装置
KR0132611Y1 (ko) 자동차의 전원차단 장치
KR970051619A (ko) 자동차의 자동 전원 차단장치
KR970039200A (ko) 차량 충돌시 배터리 전원 차단 장치
CN221090743U (zh) 客车火灾自动识别破窗逃生装置
KR0116030Y1 (ko) 차량용 에어백장치
KR19980022840U (ko) 자동차의 배터리전원 차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