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7922Y1 - 소형 트랜스퍼 릴레이 - Google Patents

소형 트랜스퍼 릴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7922Y1
KR0137922Y1 KR2019930006420U KR930006420U KR0137922Y1 KR 0137922 Y1 KR0137922 Y1 KR 0137922Y1 KR 2019930006420 U KR2019930006420 U KR 2019930006420U KR 930006420 U KR930006420 U KR 930006420U KR 0137922 Y1 KR0137922 Y1 KR 01379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movable
base
fixed
movable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64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8604U (ko
Inventor
다까시 요시무라
다까야스 이시즈까
마사유끼 시오미
도모요시 하야시
히로아끼 아이호시
Original Assignee
미요시 도시오
마쯔시다 덴꼬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요시 도시오, 마쯔시다 덴꼬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미요시 도시오
Publication of KR9400086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86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79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79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 H01H11/005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comprising a successive blank-stamping, insert-moulding and severing ope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548Contact arrangements for miniaturised rel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H01H50/041Details concerning assembly of relays
    • H01H50/043Details particular to miniaturised relays
    • H01H2050/044Special measures to minimise the height of the re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nufacture Of Switches (AREA)
  • Electromagnets (AREA)

Abstract

소형 트랜스퍼 릴레이는 접촉 조립체와 전자석을 장착하는 기부를 가진다. 접촉 조립체는 통상 개방(NO) 고정 접점과, 통상 폐쇄(NC) 고정 접점과, 공통 컨덕터와, 공통 컨덕터로부터 연장하고 NO와 NC 접점과 각각 맞물릴 수 있는 제1 및 제2가동 접점을 이동시키는 가동 스프링을 포함한다. 전자석은 세트와 리세트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전기자를 포함하며, 전기자 이동에 동시에 반응하여 NO와 NC 접점을 형성 및 차단하기 위해 가동 스프링에 결합된다. NO 고정 접점과 공통 컨덕터는 기부의 상부면에 성형되어, NC 고정 접점은 일부분이 기부에 성형되어 있다. 가동 스프링은 하나의 종단부에서 제1가동 접점과 형성되고 다른 종단부에서 공통 컨덕터에 고정된 긴 자체 바이어스 탄성 부재이며, 가동 스프링은 NO 고정 접점과의 접촉 또는 분리로 제1가동 접점을 이동시키기 위해 캔틸레버 형태로서 탄성적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가동 스프링은 종단부 중간의 일부분에서 그리고 제1가동 접점의 대향 표면상에서 제2가동 접점을 이동시키며, NC 고정 접점은 기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2가동 접점에 대해 통상 폐쇄되어 유지되도록 가동 스프링위로 구부러져 있는 것이 릴레이의 특징이다.

Description

소형 트랜스퍼 릴레이
제1도는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소형 트랜스퍼릴레이의 수직 단면도.
제2도는 상기 릴레이를 절단한 부분 평면도.
제3도는 상기 릴레이의 기부상에 정착된 접촉 조립체를 도시한 평면도.
제4도는 기부상의 접촉 조립체의 측면도.
제5도는 기부상의 접촉 조립체를 부분 절단한 정면도.
제6도는 금속 시트로부터 부분 형성되고 접촉 조립체의 제조시에 기부내로 부분 성형된 접촉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
제7도 및 제8도는 각각 금속 시트상의 기부와 함께 접촉조립체의 형성을 도시한 평면도.
제9a도 내지 제9c도는 접촉 조립체의 NC(nomally clomed) 고정 접점의 형성을 도시한 순서도.
제10도는 기부의 변형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성형 기부 30 : 접촉 조립체
31 : 고정 접점 33,43 : 단자 도선
34,44,54 : 단자 도선 35,45 : 접촉 팁
41 : 접점 51 : 컨덕터
60 : 스프링 61,62 : 접점
71 : 여자 코일 72 : 코일 보빈
79 : 엑추에이터 80 : 전자석 블록
[고안의 배경]
[고안의 분야]
본 고안은 개폐형 접점을 가진 소형 트랜스퍼릴레이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의 설명]
미국 특허 제 4,933,654호에 기재된 것과 같은 종래의 소형 트랜스퍼 릴레이에서는 릴레이 기부상에 접촉조립체를 장착하는 것이 통상이다. 접촉 조립체는 한 세트의 통상 개방(nomally-popen, NO) 및 폐쇄(normally-closed, NC) 접점과 기부상에 돌출하도록 배치된 가동 스프링상으로 이동하는 관련 접점을 포함한다. 이러한 장착 구조에서, 릴레이는 접촉 조립체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높이가 크며, 이 높이는 릴레이의 소형화에 장애가 된다. 접촉 조립체의 높이를 줄이기 위해, 다른 종래의 트랜스퍼 릴레이는 기부의 표면에 NO와 NC접점을 성형하고, 예컨대 유럽 특허 공개 EP 0 100 165 B1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가동 스프링을 단지 기부상에 돌출하도록 배치한 릴레이를 제안했다. 각각 대응하는 제1 및 제2가동 접점을 가진 복잡한 형상의 가동 스프링이 필요하다. 트랜스퍼 작동을 위해서, 가동 스프링은 중간 종단부를 피벗식으로 지지하는 긴 부재로서 제조되며, NO와 NC 고정 접점에 대응하는 제1 및 제2가동 접점이 대향 종단부상에 제공된다. 이 피벗 구조는 가동 스프링의 형상을 더욱 복잡하게 하였고 그리고, 길이가 증가된 가동 스프링이 요구되며, 따라서 종래의 트랜스퍼 릴레이는 접촉 조립체를 간단한 구조로 소형화를 이루기에 더욱 불충분하였다.
[고안의 요약]
상기 문제점과 불충분함은 접촉 장치의 소형 트랜스퍼 릴레이를 제공한 본 고안으로 제거되었다. 본 고안에 따른 소형 트랜스퍼 릴레이는 접촉 조립체 및 전자석 블록을 장착한 성형기부를 포함한다. 접촉 조립체는 통상 개방(NO) 고정 접점과, 통상 폐쇄(NC) 고정 접점과, 공통 컨덕터와, 공통 컨덕터로부터 연장하고 NO와 NC 고정 접점과 각각 접촉한 제1 및 제2가동 접점을 이동시키는 가동 스프링을 포함한다. 전자석 블록은 접촉 조립체위에서 기부상에 배치되며, 코일과 에너지 주입 및 제거시에 세트와 리세트 위치사이에서 이동하는 전기자를 포함한다. 전기자는 세트와 리세트 위치사이에서 전기자 이동에 동시에 반응하여 NO와 NC 접촉을 형성 및 차단하기 위해 가동 스프링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NO 고정 접점과 공통 컨덕터는 기부의 상부면에서 성형되며, NC 고정 접점은 그 일부가 기부에 성형된다. NO와 NC 고정 접점 및 공통 컨덕터는 NO 단자 도선과, NC 단자 도선 및 기부로부터 각각 돌출한 공통 단자 도선을 가진다. 가동 스프링은 제1가동 접점으로 스프링의 한 종단부에 형성되고 다른 종단부에서 공통 컨덕터에 고정된 긴 자체 바이어스 탄성 부재이며, 가동 스프링은 NO 고정 접점과 접촉 및 분리되어 제1가동 접점을 이동하기 위해 캔틸레버 형태로 탄성적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가동 스프링은 종단부 중간의 일부분에서 그리고 제1가동 접점의 대향 표면상에서 제2가동 접점을 이동시키며 그리고 NC 고정 접점은 기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고 가동 스프링상의 제2가동 접점에 폐쇄 관계로 유지되도록 가동 스프링위에서 구부려있는 것이 릴레이의 특징이다. 이 구조와 더불어 간단한 캔틸레버 지지부의 가동 스프링은 가동 스프링과 함께 기부상에서 돌출한 NC 고정 접점과 트랜스퍼를 접촉시키기에 충분한 효과가 있으며, 가동 스프링과 관련된 공통 컨덕터와 함께 기부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것을 NO 고정 접점이 허용한다. 따라서, 접촉 조립체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고, 간단한 구조의 가동 스프링 사용을 허용하는 소형 트랜스퍼 릴레이를 제공하는 것이 본 고안의 제1목적이다.
양호하게, NO 고정 접점과, NC 고정 접점 및 공통컨덕터는 단일 금속 시트로부터 관련 단자 도선과 함께 펀치되어, 가동 스프링을 제외한 접촉 조립체는 단일 금속시트로부터 통상 형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접촉 조립체를 간단하게 할 수 있는 소형 트랜스퍼 릴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릴레이는 나란히 배열된 한 쌍의 부가 접촉 조립체를 포함하며, 각 가동 스프링은 기부상에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분리 리브는 본 고안의 목적인 효과적인 절연을 위해 두 개의 인접 접촉 조립체의 가동 스프링 사이로 기부상에서 돌출한다.
분리 리브에는 대향 측면에서 한쌍의 노치가 형성될 수 있으며, 두 개 접촉 조립체의 NC 고정 접점의 자유 단부는 노치에 고정된다. 따라서, 기부상에서 돌출한 NO 접점은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인 확실한 릴레이 작동을 위해 그 위치에 정확히 위치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목적 및 장점은 첨부한 도면과 관련한 양호한 실시예의 하기 설명으로부터 더 명확해질 것이다.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제1도 내지 제5도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소형 트랜스퍼 릴레이가 도시되어 있다. 릴레이는 한쌍의 접촉 조립체(30) 및 전자석 블록(70)을 장착하기 위한 전기 절연 플라스틱 재료로 된 성형 기부(10)를 포함한다. 접촉 조립체(30)는 기부(10)상에 나란히 배열된다. 접촉 조립체(30)의 각각은 개방(NO) 고정 접점(31)과, 폐쇄(NC) 접점(41) 및 각각 NO와 NC 접점(31, 41)과 결합 가능한 제1 및 제2접점(61, 62)을 이동하는 가동스프링(60)을 포함한다. NO와 NC접점(31, 41)에는 접촉팁(35, 45)이 각각 형성되며, 외부 회로와의 연결을 위한 기부(10)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한 NO와 NC단자 도선(33, 43)이 형성된다. 또한, 가동 스프링(60)을 지지하도록 연결된 공통의 컨덕터(51)는 접촉 조립체(36)에 포함되며 외부 회로와의 연결을 위해 공통 단자 도선(54)이 접촉 조립체(30)에 제공된다. 가동 스프링은(60)은 공통 컨덕터(51)의 한 단부에 용접으로 하나의 종단부에 고정한 긴 탄성 부재이며, 동시에 NO와 NC접점(31, 41)을 형성 및 차단하는 두 개의 접촉 작동 위치에서 이동된다.
전자석 블록(70)은 코일 보빈(72)에 권선한 여자 코일(71)과, 코일 보빈(72)을 통해 연장한 코어(73) 및 코어(73)의 한단부에 연결한 짧은 레그와 코어(73)와 평행하게 코일(71)의 외측으로 연장한 긴 레구를 구비한 L형 요크(74)를 포함한다. 한쌍의 코일 단자 도선(80)은 코일 보빈(72)의 단부를 통해 수직 연장하고, 도선(80)의 상부 단면은 코일(71)의 단부에 연결된다. 또한, 번지가(75)의 수직과 수평 부재(76, 77)사이에 형성된 내부 코너에서 요크(74)의 단부에 피벗식으로 연결된 대체로 L형 전기자(75)는 전자석 블록(70)에 포함되며, 코일(72)에 에너지 주입 및 제거에 반응하여 세트와 리세트 위치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즉, 코일(71)에 에너지를 주입할 때, 전기자(75)는 세트 위치내로 피벗되며, 수직 부재(76)는 코어(73)의 폴 단부로 당겨지는 반면에, 코일(71)의 에너지를 제거할 때, 전기자(75)는 기부(10)의 단부에 고정되고 전기자(75)의 외부 코너에 맞물린 귀환 스프링(78)의 작용에 의해 폴 단부로부터 멀리 수직 부재(76)를 이동시키는 리세트 위치인 본래 위치로 피벗시킨다. 전기자(75)의 수평 부재(77)는 접촉 조립체(30)의 가동 스프링(60)과 통상 맞물릴 수 있는 전기 절연 플라스틱 엑추에이터(79)와 고정된다. 따라서, 각 가동 스프링(60)는 세트와 리세트 위치사이에서 전기자 이동에 반응하여 NO와 NC접점(31, 41)을 형성 및 차단하도록 전기자(75)에 결합된다. 전자석 블록(70)은 접촉 조립체(30)위에 배치되며 기부(10)의 외주면 벽에서 견부(11)상에 지지된다.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NO 접점(31)과 공통 컨덕터(51)는 기부(10)의 상부면에 성형된 주 부분을 가진다. 가동 스프링(60)은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NO 접점(31)으로부터 분리한 제1접점(61)과 NC 접점(41)과 맞물린 제2접점(62)을 유지하는 위치내로 자체 바이어스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접점(61)은 그 자유 단부에서 가동 스프링(60)의 하부에 형성되며, 제2접점(62)은 단부 중간에서 가동 스프링(60)의 상부에 형성된다. NC 접점(41)은 가동 스프링(60)상에서 제2접점(62)과 맞물리게 되도록 기부(10)상에서 가동 스프링(60)아래로 돌출한다. 엑추에이터(79) 및 NC 접점(41)은 가동 스프링(60)의 길이부에 따라 이격되여, 전자석 블록(80)과 기부(10) 사이의 한정된 높이 공간에 잘 수용되는 것은 이하에서 알 수 있다. 제3도 내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부(10)에는 스프링 사이의 절연과 전자석 블록(70)을 그 위에서 지지하도록 두 개의 인접 접촉 조립체(30)의 가동 스프링(60)사이로 연장한 분리 리브(12)가 제공된다.
제6도는 NO 접점(31)과, NC 접점(41) 및 그와 접하는 공통 컨덕터(51)로 형성된 금속 시트 또는 테이프(20)상에 성형된 기부(10)를 도시한 것이다. 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 테이프(20)는 유니트 프레임(21)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부품(31, 41, 51)은 프레임(21)내에 형성된다. NO 접점(31)은 접촉 팁(36)을 구비한 랜드(land, 32)와 렌드(32)로부터 연장하여 제한부(22)에서 프레임(21)내로 종료한 NO 단자 도선(34)으로 구성된다. NC 접점(41)은 접촉 팁(45)을 구비한 접촉 스트립(42)과 앵커 세그먼트(46)로부터 접촉 스트립(42)과 평행하게 연장하고 제한부(23)에서 프레임(24)내로 종료한 NC 단자 도선(44)으로 구성되며, 접촉 스트립(42)은 제한부(23)와 인접한 프레임(21, 24)내로 종료한다. 공통 컨덕터(51)는 대향 단부로부터 긴 랜드(52)를 포함하며, 공통 단자 도선(54)과 보강 세그먼트(55)는 각각 도면 부호(25, 26)에서 프레임(21)내로 연장되고 종료한다. 기부(10)는 제7도에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프레미임(21)의 일부분위에 성형되며, NO 접점(31)은 NO 단자 도선(34)의 인접 부분과 함께 결과적인 기부(10)의 상부면에 성형된 랜드(32)를 가지며, NO 접점(41)은 NC 단자 도선(44)과 접촉 스트립(42)의 인접 부분과 함께 기부(10)에 형성된 앵커 세그먼트(43)를 가지며, 공통 컨덕터(51)는 공통 단자 도선(54)의 인접 부분과 함께 기부(10)의 표면에 성형된 랜드(52)를 가진다. NO 접점(31)의 랜드(32)와, 공통 컨덕터(51)의 랜드(52) 및 NC 접점(41)의 앵커 세그먼트(43)가 기부(10)내에 성형되기 때문에, 부품중 내부 성형 부분은 기부(10)에 충분한 강도를 부여하도록 기부(10)를 효과적으로 보강하여 기부(10)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접촉 조립체(30) 및 전자석 블록(70)을 장착하기에 충분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기부(10)는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성형된 후, 형성된 다른 테이프(도시하지 않음)와 가동 스프링(60)는 기부(10)위에서 가동 스프링(60)을 공통 컨덕터(5)상에 위치시키도록 공급된다. 다음에, 가동 스프링(60)은 공통 컨덕터(51)의 긴 랜드(52)중 한 단부에 스트링의 일 단부가 용접된다. 그에 따라서, NC 접점(41)와 접촉 스프링(42)은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스프링(60)상의 제2접점(62)과 맞물려 접촉 팁(45)을 가진 가동 스프링(60)위로 연장하는 방법으로 제9a도의 단계를 통해 상방 그리고 내측으로 구부림으로서 프레임(21, 24)으로부터 절단됨으로서 기부(10)상의 접촉 조립체(30)를 완성한다. 마지막으로, 접촉 조립체(30)는 보강 세그먼트(55)로부터 분리된 공통 컨덕터(51)와 대응하는 단자 도선(34, 44, 54)의 단부에서 프레임(21)으로부터 기부(10)와 함께 분리된다.
기부(10)로부터 돌출한 단자 도선(34, 44, 54)은 소정의 이격 위치에서 하방으로 구부러져 있다. 기부(10)와 함께 일체 구조로 형성된 접촉 조립체(30)는 기부의 종단부에서 대응 구멍(15)을 통해 관통한 코일 단자 도선(80)을 가진 전자석 블록(70)과 조립된다. 플라스틱 커버(90)는 전자석 블록(70)과 접촉 조립체(30) 위에서 케이스(90)의 내부를 밀봉하도록 기부(10)에 고정된다.
제10도는 상기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 것이며, 분리 리브(12A)에는 NC 접점(41A) 즉 접촉 스트립의 자유 단부와 맞물리는 종방향으로 엇갈린 한쌍의 노지(13)가 형성되며, 확실한 접촉 작용을 위해 가동 스프링의 제2접점에 대해 정확히 위치시키기 위해 NC 접점(41A)을 고정한다.

Claims (5)

  1. 통상 개방(NO) 고정 접점과, 통상 폐쇄(NC) 고정 접점과, 공통 컨덕터와, 상기 공통 컨덕터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NO와 NC 접점과 각각 접촉관계에서 제1 및 제2가동 접점을 이동시키는 가동 스프링을 포함한 접촉 조립체를 수반한 성형 기부와, 상기 접촉 조립체위에서 상기 기부상에 지지되며, 상기 코일의 수단의 에너지 주입 및 차단시에 세트와 리세트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며 그리고 상기 세트와 리세트 위치사이에서의 전기자 이동에 동시에 반응하여 상기 NO와 NC 접점을 형성 및 차단하기 위해 상기 가동 스프링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전기자의 코일 수단을 포함한 전자석 블럭을 포함하며, 상기 NO 고정 접점은 상기 기부와 상부면에 성형되고 상기 기부로부터 돌출한 NO 단자 도선을 가지며, 상기 NC 고정 접점은 상기 기부에 성형된 부분과 상기 기부로부터 돌출한 NC 단자 도선을 가지며, 상기 공통 컨덕터는 기부의 상부면에 성형되고 상기 기부로부터 돌출한 공통 단자 도선을 가지며, 상기 가동 스프링은 하나의 종단부에서 상기 제1가동 접점과 형성되고 다른 종단부에서 공통 컨덕터에 고정된 긴 자체 바이어스 탄성 부재의 형태이며, 상기 가동 스프링이 상기 NO 고정 접점의 형성 및 차단하도록 상기 제1가동 접점을 이동시킬 수 있는 캔틸레버 형태로서 탄성적으로 구부러질 수 있는 소형 트랜스퍼 릴레이에 있어서, 상기 가동 스프링은 그 종단부의 중간 부분에서 그리고 상기 제1가동 접점과 대향 한 표면상에서 제2가동 접점을 이동시키고, 상기 NC 고정 접점은 상기 기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2가동 접점에 대해 통상 폐쇄되어 유지되도록 상기 가동 스프링위에서 구부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O 고정 접점, NC 고정 접점 및 상기 공통 컨덕터가 관련 단자 도선과 함께 단일 금속 시트로부터 편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3. 제1항에 있어서, 한세트의 NO와 NC 고정 접점과, 공통 컨덕터와, 상기 공통 컨덕터로부터 연장하고 제1 및 제2가동 접점을 이동시키는 가동 스프링을 포함한 접촉 조립체를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부가적인 접촉 조립체가 상기 접촉 조립체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기부에 상기 두 개의 접촉 조립체의 상기 가동 스프링사이에서 상기 기부상에 돌출한 분리 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리브에 그 대향 단부에서 한쌍의 노치가 형성되고, 상기 두 개의 접촉 조립체용 상기 NC 고정 접점의 자유 단부가 각각 노치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리브가 상기 전자석 블럭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KR2019930006420U 1992-08-26 1993-04-22 소형 트랜스퍼 릴레이 KR013792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664892A JP3493668B2 (ja) 1992-08-26 1992-08-26 接点端子ブロックの製造方法
JP92-226648 1992-08-26
JP93-22865 1993-02-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8604U KR940008604U (ko) 1994-04-21
KR0137922Y1 true KR0137922Y1 (ko) 1999-04-01

Family

ID=16848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6420U KR0137922Y1 (ko) 1992-08-26 1993-04-22 소형 트랜스퍼 릴레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493668B2 (ko)
KR (1) KR013792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493668B2 (ja) 2004-02-03
JPH0676683A (ja) 1994-03-18
KR940008604U (ko) 1994-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1594Y1 (ko) 전자 릴레이
US5216396A (en) Switching relay
US5396204A (en) Electromagnetic relay
JPS60249221A (ja) 小型リレ−
JP4307182B2 (ja) 電磁継電器
KR940009305B1 (ko) 전자 계전기
EP0827171B1 (en) Electromagnetic relay
EP0293199A2 (en) Electromagnetic relay
KR100473426B1 (ko) 전자기 계전기
US4122420A (en) Permissive-make electromagnetic switch
EP0627119B1 (en) Polarized relay
KR0137922Y1 (ko) 소형 트랜스퍼 릴레이
CN210156326U (zh) 线圈及其磁保持继电器
US4831348A (en) Low profile electromagnetic relay to printed circuit board
EP1103997B1 (en) High frequency relay
US20210012989A1 (en) Magnetic latching relay
JP2515656Y2 (ja) 電磁継電器
US4600909A (en) Bifurcated contact arm in a miniature relay
US6624731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xiliary contact assembly
JP2002008506A (ja) 電磁継電器
US3423556A (en) Electrical switch structure including dual arm movable contact
US5331302A (en) Miniature transfer relay
KR890004968B1 (ko) 유극 릴레이
JPH0134270Y2 (ko)
JP4077527B2 (ja) 電磁継電器と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