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7884Y1 - 자동차의 도어 열림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도어 열림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7884Y1
KR0137884Y1 KR2019950044381U KR19950044381U KR0137884Y1 KR 0137884 Y1 KR0137884 Y1 KR 0137884Y1 KR 2019950044381 U KR2019950044381 U KR 2019950044381U KR 19950044381 U KR19950044381 U KR 19950044381U KR 0137884 Y1 KR0137884 Y1 KR 01378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opening
closed
switch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43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5170U (ko
Inventor
강보식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500443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7884Y1/ko
Publication of KR9700351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51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78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78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2Driver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도어 반 닫힘 상태에서 도어열림표수기를 작동하여 표시하여 주도록 하므로 도어를 완전히 닫을 수 있게 안내하므로 운행중의 사고 위험을 방지하고, 차에서 멀리 떨어지는 경우에도 도난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고안은 도어 반 닫힘 상태를 포함한 도어 열림 상태를 감지하는 도어열림스위치와, 상기 도어열림스위치의 개폐 여부에 따라 도어 열림 상태를 표시해주는 도어열림표시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도어 열림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열림표시부와 직렬로 연결되어 운전적 도어 내측에 설치된 도어열림표수기를 상기 도어열림스위치의 개폐 여부에 따라 돌출시키는 솔레노이드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도어 열림 표시장치
제1도(a)(b)는 종래의 자동차 도어 열림 표시장치의 구성도.
제2도(a)(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 열림 표시장치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실 사이드 20 : 인스트러먼트 패널
21 : 도어열림표시부 30 : 도어
DS : 도어열림스위치 40 : 도어열림표시구
SL : 솔레노이드
본 고안은 자동차의 도어 열림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도어 열림일 경우에 도어측에 설치한 도어열림표시구가 돌출되어 표시하게 하므로 자동차 도어를 완전하게 닫을 수 있게 함으로서, 자동차의 도난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 자동차의 도어 열림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도어 닫힘은 완전 닫힘과 반 닫힘 상태로서, 이 도어가 열려 있거나 반 닫힘 상태에서는 인스트러먼트 패널(Instrument Panel)상에 도어 열림상태가 표시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인스트러먼트 패널상에 표시된 도어 열림상태를 확인하고 도어를 직접 닫거나 탑승자에게 도어를 닫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도어 열림 표시장치는 제1도와 같이 자동차의 실 사이드(Sill Side)(10)측에 도어 열림을 감지하는 도어열림스위치(DS)를 취부하고 이 스위치(DS)의 일측은 전원단자(B+)를 연결한 다음 타측은 인스트러먼트 패널(20)의 도어열림표시부(21)에 연결한다.
상기 도어열림스위치(DS)는 각 도어마다 설치하여 이를 병렬로 접속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동차의 도어 열림장치는 도어가 열려 있게 되면(도어 반 닫힘 포함) 도어열림스위치(DS)가 폐쇄되어 전원(B+)이 도어열림스위치(DS)를 거쳐 인스트러먼트 패널(20)의 도어열림표시부(21)에 인가되어 점등되므로 도어 열림상태를 표시한다. 상기 도어열림스위치(DS)는 각 도어측 마다 설치되어 병렬로 연결되었으므로 어느 도어가 열려 있든지 도어열림표시부(21)가 점등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도어 열림장치는 도어가 반 닫힘상태에서 도어열림표시부(21)에 표시되지만 운전자가 이를 확인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도어가 완전히 닫혀있는 상태로 알고 주행을 하게 되는 경우에 위험이 따른다. 더욱이 승객이나 운전자는 도어를 닫고 멀리 떠났는데, 실제로는 도어가 반 닫힘상태로 있게 되는 경우 인스트러먼트 패널을 확인할 수 없으므로 도어가 반 닫힘을 확인하지 못하고 차에서 운전자나 승객이 멀리 떠나게 되었으므로 도난사고의 위험이 따르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고안의 목적은 도어의 열림 상태에서 도어측에 설치한 도어열림표시구가 돌출되게 하여 도어를 완전히 닫을 수 있게 안내하므로 운행중의 사고 위험을 방지하고, 차에서 멀리 떨어지는 경우에도 도난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고안은 도어 반 닫힘상태를 포함한 도어 열림상태를 감지하는 도어열림스위치와, 상기 도어열림스위치의 개폐 여부에 따라 도어 열림상태를 표시해주는 도어열림표시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도어 열림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열림표시부와 직렬로 연결되어 운전적 도어 외측에 설치된 도어열림표시구를 상기 도어열림스위치의 개폐 여부에 따라 돌출시키는 솔레노이드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2도의 (a)(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 열림 표시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이 도면에 의하면 우선 (a)와 같이 자동차 도어(30)가 닫히는 테두리인 실 사이드(10)측에 도어 반 닫힘상태를 포함한 도어 열림상태를 감지하는 도어열림스위치(DS)를 부착시키고, 운전석 도어의 윈도우 그라스측에 도어(30)가 열려있을 때 돌출되어 운전자가 도어(30)가 완전히 닫히지 않은 반 닫힘상태라는 것을 알 수 있도록 하는 도어열림표시구(40)를 설치한다.
그리고 (b)와 같이 도어열림스위치(DS)의 일측은 전원단자(B+)에 연결되고 타측은 인스트러먼트 패널(20)의 도어열림표시부(21)에 연결되어 있으며, 도어열림표시부(21)의 다음 단에는 상기한 도어열림표시구(40)를 동작시키기 위한 솔레노이드(SL)가 직렬 연결되어 있다.
상기 도어열림스위치(DS)는 각 도어측마다 설치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도어측에 도어열림스위치(DS)를 부착하여 도어 열림상태일 때, 즉, 도어열림스위치(DS)가 폐쇄되었을 때 도어 반 닫힘상태가 인스트러먼트 패널(20)의 도어열림표시부(21)에 표시되고, 동시에 솔레노이드(SL)가 여자되어 이 솔레노이드(SL)에 의해 작동되는 도어열림표시구(40)가 작동하여 운전석 도어 윈도우 그라스측으로 상승하여 돌출되므로서 도어 열림상태를 쉽게 파악하고 도어(30)를 완전하게 닫을 수 있게 되므로 주행의 안전성 확보와 함께 도난사고의 염려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도어 반 닫힘을 운전석 윈도우 그라스측에서 확인할 수 있으므로 도어 열림상태에서 차에서 멀리 떨어질 때 발생하는 도난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 것이다.

Claims (1)

  1. 도어 반 닫힘 상태를 포함한 도어 열림상태를 감지하는 도어열림스위치(DS)와, 상기 도어열림스위치(DS)의 개폐 여부에 따라 도어 열림상태를 표시해주는 도어열림표시부(21)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도어 열림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열림표시부(21)와 직렬로 연결됨과 동시에 운전석 도어 내측에 설치된 도어열림표시구(40)를 상기 도어열림스위치(DS)의 개폐 여부에 따라 돌출시키는 솔레노이드(SL)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열림 표시장치.
KR2019950044381U 1995-12-20 1995-12-20 자동차의 도어 열림 표시장치 KR01378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4381U KR0137884Y1 (ko) 1995-12-20 1995-12-20 자동차의 도어 열림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4381U KR0137884Y1 (ko) 1995-12-20 1995-12-20 자동차의 도어 열림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5170U KR970035170U (ko) 1997-07-26
KR0137884Y1 true KR0137884Y1 (ko) 1999-04-01

Family

ID=19436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4381U KR0137884Y1 (ko) 1995-12-20 1995-12-20 자동차의 도어 열림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788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5170U (ko) 199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7884Y1 (ko) 자동차의 도어 열림 표시장치
US20130321137A1 (en) Warn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having at least one electrically movable closing element for a vehicle opening
KR0137883Y1 (ko) 자동차의 도어 열림 표시장치
KR0119405Y1 (ko) 차량의 도어개방경보회로
KR200141630Y1 (ko) 자동차의 도어록크에 일체로 설치된 도어개방감지장치
KR0142361B1 (ko) 자동차의 에어콘작동시 윈도우개발 경고장치
KR20010011989A (ko) 자동차도어, 유리창, 본네트, 트렁크 개·폐 및 위치의 종합확인 장치
KR960003202Y1 (ko) 자동차의 이상상태 표시장치
KR200344105Y1 (ko) 자동차 도어열림 경고표시등
KR19990017922A (ko) 자동차의 도어 윈도우 열림상태 표시장치
KR0126924Y1 (ko) 차량의 도어 열림 경고장치
KR200149692Y1 (ko) 차창열림 경고장치
KR19980062510A (ko) 자동차용 윈도우(Window)의 경고장치
KR970037954A (ko) 자동차 트렁크 리드 열림 경보장치
KR200149125Y1 (ko) 자동차 도어 글래스 개방장치
JPS61191776A (ja) 自動車のドアロツク状態表示装置
KR19990026076U (ko) 버스의 개문발차 경보장치
KR200158325Y1 (ko) 차량용 엔진후드의 열림대비 안전장치
KR0153691B1 (ko) 자동차의 후드 열림 경보장치
KR200270306Y1 (ko) 자동차 도어 열림/닫힘 표시 장치
KR19990001560U (ko) 버스의 승/하차시 승객 보호장치
KR960018126A (ko) 차량의 창문자동 닫힘장치
KR19980024117U (ko) 자동차의 고장진단 위치표시장치
KR970075202A (ko) 자동차 도어의 개폐방법
KR970036143A (ko) 자동차의 트렁크덮개 열림시 계기판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