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0306Y1 - 자동차 도어 열림/닫힘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도어 열림/닫힘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0306Y1
KR200270306Y1 KR2020010021860U KR20010021860U KR200270306Y1 KR 200270306 Y1 KR200270306 Y1 KR 200270306Y1 KR 2020010021860 U KR2020010021860 U KR 2020010021860U KR 20010021860 U KR20010021860 U KR 20010021860U KR 200270306 Y1 KR200270306 Y1 KR 2002703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tate
open
driver
instrumen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18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수
채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Priority to KR20200100218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03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03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0306Y1/ko

Links

Landscapes

  • Instrument Panels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의 열림 및 닫힘 상태에 따라 이를 감지하여 계기판 또는 차량의 내부 실내등을 통해 알려줄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도어 열림/닫힘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차 도어 열림/닫힘 감지 장치는 단순히 네개의 도어중 어느 하나라도 열릴 경우 계기판에 표시되는 데, 이때 표시되는 식별수단이 공통된 하나의 표식으로 표시되므로써, 운전자는 어느 도어가 열렸는지 인지할 수 없다.
본 고안에서는 각 도어별 표시수단을 구성하여 운전자가 열려있는 도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각 도어별 열림 상태를 표시하는 수단을 계기판에 구성하고, 자동차의 메인 컴퓨터에서 각 도어의 상태를 판별하여 계기판에 구성된 표시수단에 표시하여 주도록 하므로써, 운전자가 용이하게 각 도어별 열림/닫힘 상태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각 도어의 방향에 대응하는 위치에 실내등을 설치하고, 메인 컴퓨터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도어의 상태를 판별한 결과에 연동하여 실내등을 점등하여 줄 수 있도록 하므로써, 운전자가 실내등의 위치를 보고 각 도어의 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도어 열림/닫힘 표시 장치{Apparatus for display state of door a car}
본 고안은 도어의 열림 및 닫힘 상태에 따라 이를 감지하여 계기판 또는 차량의 내부 실내등을 통해 알려줄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도어 열림/닫힘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안전을 위해 도어의 열림/닫힘 상태를 각 도어에 장착된 스위치를 통해 자동차의 메인 컴퓨터(ECU; Electronic Control Unit)에서 감지하고, 이의 결과를 자동차의 계기판에 표시하여 주고 있다.
또한, 자동차의 실내등에 있어서도 도어상태로 운전자가 스위치를 설정하여 둘 경우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는 메인 컴퓨터에서 실내등을 점등시켜, 도어의 열림상태를 알려주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자동차 도어 열림/닫힘 감지 장치는 단순히 네개의 도어중 어느 하나라도 열릴 경우 계기판에 표시되는 데, 이때 표시되는 식별수단이 공통된 하나의 표식으로 표시되므로써, 운전자는 도어가 열렸음을 감지하고는 있지만, 어느 도어가 열렸는지 인지할 수 없어 모든 문을 한번씩 열었다 다시 닫아야만 하는 불편함을 감수하여만 한다.
실내등 또한 도어의 설정상태에서 어느 도어든지 열린 상태가 되면 점등 되므로써, 운전자는 실내등으로도 어느 쪽 도어가 열려있는 상태인지 인지할 수 없다.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어느 쪽 도어가 열려있는지를 판별할 수 있도록 각 도어별 표시수단을 구성하여 운전자가 열려있는 도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각 도어별 열림 상태를 표시하는 수단을 계기판에 구성하고, 자동차의 메인 컴퓨터에서 각 도어의 상태를 판별하여 계기판에 구성된 표시수단에 표시하여 주도록 하므로써, 운전자가 용이하게 각 도어별 열림/닫힘 상태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각 도어의 방향에 대응하는 위치에 실내등을 설치하고, 메인 컴퓨터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도어의 상태를 판별한 결과에 연동하여 실내등을 점등하여 줄 수 있도록 하므로써, 운전자가 실내등의 위치를 보고 각 도어의 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자동차 도어 열림/닫힘 표시 장치의 일 실시예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2는 본 고안에 있어서, 도어의 상태에 따른 실내등의 점등 제어상태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있어서, 도어상태표시부에 표시되는 도어상태의 일예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있어서, 도어상태표시부의 다른 실시예로서 본네트 및 트렁크를 더 포함하여 표시하는 구성을 보인 예를 나타낸 도면.
본 고안 자동차 도어 열림/닫힘 표시 장치는,
도어의 열림과 닫힘 상태를 판별하기 위하여 각 도어에 설치된 도어센서와, 도어센서로 부터 도어의 상태신호를 입력받아 도어의 열림/닫힘 상태를 판별하고, 도어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을 통해 도어의 상태를 표시 제어하는 제어부(ECU; Electronic Control unit)와, 각 도어별 열림/닫힘을 표시하기 위한 표식을 포함하여 계기판에 구성되는 표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표시수단은 차량의 모양을 평면에서 본 형태의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각 도어의 위치에서 도어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각 도어의 위치로 그 상측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점등상태에 따라 도어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하는 각 도어별 실내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어의 열림상태에 따른 실내등 점등상태의 예를 보인 도면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그 구성및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각 운전석 및 조수석, 뒷좌석 좌 우측 도어에 설치되어, 도어의 상태를 판별하는 도어센서(101,102,103,104)와, 각 도어센서(101,102,103,104)로 부터 소정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도어의 상태를 판별하고, 해당하는 포트(port)를 통해 도어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신호(C1,C2,C3,C4)를 출력하는 제어부(200)와, 자동차를 평면상에서 실제형태와 같은 모양으로 각 도어의 위치를 표시하는 계기판의 도어상태표시부(300)와, 제어부(200)의 제어신호(C1,C2,C3,C4)에 따라서 점등하여 각 도어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하여 각 도어의 위치의 상측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구성되는 각 도어상태표시 실내등(401,402,403,40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본 고안 실시예는 계기판에 구성되는 도어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표식을 운전자가 식별이 용이한 도어와 동일한 위치에 해당하는 자동차의 형상으로 구성한 도어상태표시부(300)를 구성하고, 도어의 상태가 변하는 해당 도어에 대하여 표시하여 운전자가 쉽게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또한, 자동차의 도어와 대응하는 위치에 실내등(401,402,403,404)을 각 도어별로 설치하고, 도어의 상태에 따라서 해당하는 실내등을 점등 제어하므로써, 운전자가 쉽게 해당하는 도어의 상태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그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각 도어에는 도어의 상태, 즉 열림/닫힘을 감지하는도어센서(101,102,103,10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도어센서(101,102,103,104)들로 부터 감지된 신호들은 제어부(200)로 입력되고, 제어부(200)에서는 각 포트로 입력된 신호들로써, 해당하는 도어센서(101,102,103,104)의 신호를 판별하여 도어의 상태를 판별하게 된다.
이후, 제어부(200)에서는 해당하는 도어에 해당하는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신호(C1,C2,C3,C4)를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제어신호(C1,C2,C3,C4)에 의해 도어상태표시부(300)와 실내등(401,402,403,404)이 동작하여, 도어의 상태를 나타내게 된다.
즉, 예를 들어 운전석에 해당하는 도어센서(101)로 부터 신호가 입력되었다면, 제어부(200)에서는 도어센서(101)의 신호를 인식하여 해당하는 제어신호(C1)을 출력하게 된다.
이에 따라, 계기판에 구성된 도어상태표시부(300)에서는 운전석측의 문이 열린상태의 형상으로 도 3에서와 같이, 표시된다.
또한, 상기 제어신호(C1)에 의해 운전석측 상에 설치된 실내등(401)이 점등되어 운전석 도어가 열려있음을 알려주게 된다.
이를 도 2에 있어, (a)에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도어상태표시부(300) 상에 자동차의 형상과 동일하게 표시되어지게 되므로, 운전자는 쉽게 어느 쪽 도어가 열려있는 지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어와 대응되는 위치에 실내등(401,402,403,404)이 설치되어 있고, 해당하는 실내등(401,402,403,404)의 점등에 의해 해당하는 도어의 상태를 운전자가 쉽게 알 수 있을 뿐더러, 조수석 또는 뒷좌석에 앉은 동승객까지도 쉽게 도어의 상태를 인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4도어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그 이상의 도어에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로 종래 계기판에서 별도로 표시되고 있는 트렁크 또는 본네트 등도 도어상태표시부(300)에 도 4에서와 같이, 함께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승합차의 창문 개폐여부, 화물차의 화물칸 개폐여부에도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도어별 센서의 입력으로 각 도어의 상태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하고, 각 도어의 상태를 표시하여 줄 수 있도록 하므로써, 운전자가 열려진 도어를 쉽게 판단할 수 있고, 그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도 자동차형상을 이용하여 해당하는 도어를 표시하여 주게 되므로, 운전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또한, 각 도어의 위치에 따라 실내등을 점등 제어하여 자동차에 승차한 모든 승객들이 각 도어의 상태를 쉽게 인지할 수 있다.

Claims (4)

  1. 도어의 열림과 닫힘 상태를 판별하기 위하여 각 도어에 설치된 도어센서와, 도어센서로 부터 도어의 상태신호를 입력받아 도어의 열림/닫힘 상태를 판별하고, 도어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을 통해 도어의 상태를 표시 제어하는 제어부와, 각 도어별 열림/닫힘을 표시하기 위한 표식을 포함하여 계기판에 구성되는 표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열림/닫힘 표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차량의 모양을 평면에서 본 형태의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각 도어의 위치에서 도어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열림/닫힘 표시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각 도어의 위치로 그 상측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점등상태에 따라 도어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하는 각 도어별 실내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열림 닫힘 표시 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상태표시부는 본네트,트렁크 또는 선루프와 같은 도어외의 열림과 닫힘을 판별하기 위하여 계기판에 표시되는 장치에대한 상태를 더 표시하여 줄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열림 닫힘 표시 장치.
KR2020010021860U 2001-07-19 2001-07-19 자동차 도어 열림/닫힘 표시 장치 KR2002703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1860U KR200270306Y1 (ko) 2001-07-19 2001-07-19 자동차 도어 열림/닫힘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1860U KR200270306Y1 (ko) 2001-07-19 2001-07-19 자동차 도어 열림/닫힘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0306Y1 true KR200270306Y1 (ko) 2002-04-03

Family

ID=73105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1860U KR200270306Y1 (ko) 2001-07-19 2001-07-19 자동차 도어 열림/닫힘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030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85423A1 (en) Window control switch system for vehicles
US10857934B2 (en) Vehicle lighting system
CN110053550B (zh) 用于车辆中的把手的照明装置
GB2301899A (en) Vehicle compass circuit
WO2011065173A1 (ja) 車両用表示装置
KR200270306Y1 (ko) 자동차 도어 열림/닫힘 표시 장치
US20130321137A1 (en) Warn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having at least one electrically movable closing element for a vehicle opening
US20210094484A1 (en) Vehicle information conveying device
KR20150072841A (ko) 차량의 커튼 제어 장치
US10703259B1 (en) Vehicle component control assembly
JP2018084030A (ja) ドアウインドウの閉め忘れ防止装置
JP2005139671A (ja) 車両用ドア制御装置
KR100252301B1 (ko) 지능형 운전자 인식 시스템
JPH0872665A (ja) 自動車
KR19980023714U (ko) 도어개방가능공간 표시장치
KR100199899B1 (ko) 신체정보 연동 하차공간 감지장치
KR20070061657A (ko) 차량 윈도우 자동 닫힘 장치
JP2001030856A (ja) 車載用機器の特性設定装置
KR0142361B1 (ko) 자동차의 에어콘작동시 윈도우개발 경고장치
KR960003202Y1 (ko) 자동차의 이상상태 표시장치
KR19980051374A (ko) 자동차의 도어 열림 경고장치
KR200141828Y1 (ko) 에어백 시스템에 있어서 승객 탑승 감지 장치
KR19980048084U (ko) 자동차용 도어열림 경고장치
KR19990017922A (ko) 자동차의 도어 윈도우 열림상태 표시장치
JPH0642471U (ja) 車両の侵入者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