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7445Y1 - 진동침대 - Google Patents

진동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7445Y1
KR0137445Y1 KR2019960006569U KR19960006569U KR0137445Y1 KR 0137445 Y1 KR0137445 Y1 KR 0137445Y1 KR 2019960006569 U KR2019960006569 U KR 2019960006569U KR 19960006569 U KR19960006569 U KR 19960006569U KR 0137445 Y1 KR0137445 Y1 KR 01374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ng
gear
state
mattress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65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3340U (ko
Inventor
강장석
Original Assignee
강장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장석 filed Critical 강장석
Priority to KR20199600065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7445Y1/ko
Publication of KR9700533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33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74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74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06Oscillating, balancing or vibrating mechanisms connected to the bedstea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 A47C19/025Direct mattress support frames, Cross-ba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9/00Cradles ; Bassinets
    • A47D9/02Cradles ; Bassinets with rocking mechanism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5/00Time-pieces comprising means to be operated at preselected times or after preselected time interva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00Beds
    • Y10S5/915Beds with vibrat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진동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인체와 직접 접촉되는 매트리스부와, 상기 매트리스부의 아랫쪽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매트리스부를 설치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이격시켜주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와 매트리스부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매트리스부에 하중이 얹혀지는 경우에 상하방향으로 탄성작용을 하는 쿠션부로 이루어지는 침대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내부에서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설치되며, 사용자의 스위치조작에 따라 일방향으로 구동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양측으로 돌설되는 모터축의 선단에 고정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의 구동방향과 동일방향으로 회동되는 축기어와, 상기 베이스부를 구성하는 상부패널의 내면 소정 위치로부터 하향설치되는 브라켓의 양단외측으로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며, 상기 축기어와 맞물린 상태에서 그 축기어회동에 따라 정해진 방향으로 회동되는 한쌍의 작동기어와, 하단이 상기 각 작동기어의 외측면에 편심되게 고정 결합되고, 상단은 상기 베이스부를 구성하는 상부패널을 관통하여 매트리스부의 저면에 고정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작동기어의 회동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작동봉과, 상기 작동봉의 왕복이동경로에 해당되는 상부패널의 저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작동봉의 왕복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안내하는 가이드원통과, 상기 작동기어의 내측단과 브라켓의 외측단사이에 해당되는 작동기어의 회동축둘레에 감겨진 상태에서 항상 바깥쪽으로 탄성작용하면서 상기 작동기어의 내측단면이 브라켓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프링을 구비하여 침대의 상부에 설치되는 매트리스부분이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모터의 구동력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진동되도록 하므로써 쉽게 잠을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진동침대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진동침대를 나타내는 부분단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확대 부분단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진동침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매트리스부 14 : 베이스부
18 : 모터 22 : 축기어
26 : 브라켓 28 : 작동기어
30 : 작동봉 32 : 가이드원통
36 : 스프링
본 고안은 진동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침대의 상부에 설치되는 매트리스부분이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모터의 구동력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진동되도록 하므로써 쉽게 잠을 이룰 수 있도록 한 진동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는 인체와 직접 접촉되는 매트리스부와, 상기 매트리스부의 아랫쪽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매트리스부를 설치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이격시켜주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와 매트리스부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매트리스부에 하중이 얹혀지는 경우에 상하방향으로 탄성작용을 하는 쿠션부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침대에서는 상기 매트리스부상에 사람이 눕게 되는 경우에, 그 매트리스부와 베이스부의 사이에 설치되는 쿠션부의 작용에 의하여 일정한 정도의 안락감을 느끼기는 하지만, 매트리스부 전체가 유동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쉽게 잠을 이룰 수가 없다는 불편함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침대의 상부에 설치되는 매트리스부분이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모터의 구동력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진동되도록 하므로써 쉽게 잠을 이룰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진동침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인체와 직접 접촉되는 매트리스부와, 상기 매트리스부의 아랫쪽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매트리스부를 설치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이격시켜주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와 매트리스부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매트리스부에 하중이 얹혀지는 경우에 상하방향으로 탄성작용을 하는 쿠션부로 이루어지는 침대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내부에서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설치되며, 사용자의 스위치조작에 따라 일방향으로 구동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양측으로 돌설되는 모터축의 선단에 고정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의 구동방향과 동일방향으로 회동되는 축기어와, 상기 베이스부를 구성하는 상부패널의 내면 소정 위치로부터 하향설치되는 브라켓의 양단외측으로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며, 상기 축기어와 맞물린 상태에서 그 축기어회동에 따라 정해진 방향으로 회동되는 한쌍의 작동기어와, 하단이 상기 각 작동기어의 외측면에 편심되게 고정 결합되고, 상단은 상기 베이스부를 구성하는 상부패널을 관통하여 매트리스부의 저면에 고정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작동기어의 회동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작동봉과, 상기 작동봉의 왕복이동경로에 해당되는 상부패널의 저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작동봉의 왕복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안내하는 가이드원통과, 상기 작동기어의 내측단과 브라켓의 외측단사이에 해당되는 작동기어의 회동축둘레에 감겨진 상태에서 항상 바깥쪽으로 탄성작용하면서 상기 작동기어의 내측단면이 브라켓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프링을 구비하여 된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진동침대를 나타내는 부분단면 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확대 부분단면 사시도로서, 이에 따른 본 고안의 진동침대(10)는 인체와 직접 접촉되는 매트리스부(12)와, 상기 매트리스부(12)의 아랫쪽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매트리스부(12)를 설치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이격시켜주는 베이스부(14)와, 상기 베이스부(14)와 매트리스부(12)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매트리스부(12)에 하중이 얹혀지는 경우에 상하방향으로 탄성작용을 하는 쿠션부(16)로 이루어지는 침대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14)의 내부에서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설치되며, 사용자의 스위치조작에 따라 일방향으로 구동되는 모터(18)와, 상기 모터(18)의 양측으로 돌설되는 모터축(20)의 선단에 고정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18)의 구동방향과 동일방향으로 회동되는 축기어(22)와, 상기 베이스부(14)를 구성하는 상부패널(24)의 내면 소정 위치로부터 하향설치되는 브라켓(26)의 양단외측으로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며, 상기 축기어(22)와 맞물린 상태에서 그 축기어(22)의 회동에 따라 정해진 방향으로 회동되는 한쌍의 작동기어(28)와, 하단이 상기 각 작동기어(28)의 외측면에 편심되게 고정 결합되고, 상단은 상기 베이스부(14)를 구성하는 상부패널(24)을 관통하여 매트리스부(12)의 저면에 고정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작동기어(28)의 회동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작동봉(30)과, 상기 작동봉(30)의 왕복이동 경로에 해당되는 상부패널(24)의 저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작동봉(30)의 왕복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안내하는 가이드원통(32)과, 상기 작동기어(28)의 내측단과 브라켓(26)의 외측단사이에 해당되는 작동기어(28)의 회동축(34)둘레에 감겨진 상태에서 항상 바깥쪽으로 탄성작용하면서 상기 작동기어(28)의 내측단면이 브라켓(26)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프링(36)을 구비하여 된 것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축기어(22)와 작동기어(28)는 베벨기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작동기어(28)의 직경을 축기어(22)의 직경보다 크게하여 모터(18)의 구동속도를 일정비로 늦출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브라켓(26)은 그 양측 하단부가 내측으로 2중 절곡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그 중심부에는 상기 작동기어(28)의 회동축(32)이 임의 회동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고, 그 회동축(34)의 내측단에는 작동기어(28)의 측방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38)이 결합된 것을 나타낸다.
한편,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작동봉(30)의 상단과, 상기 작동봉(30)의 상하왕복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원통(32)의 상단에는 각각 매트리스부(12)의 저면과, 베이스부(14)를 구성하는 상부패널(24)의 저면과의 결합을 위한 플랜지부(40)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40)에는 스크류(42)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공(44)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다.
한편,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모터(18)는 일반적인 제어스위치를 'ON'상태로 하면 정해진 방향으로 회동되고, 'OFF' 상태로 하면 회동이 정지되도록 구성되나, 사용의 편리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통상적인 타이머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구동시간을 설정하면 그 설정된 시간동안만 회동된 후, 그 구동시간이 만료되면 자동적으로 멈춰지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매트리스부(12)에 누운 상태에서 상기 모터(18)와 연결된 제어스위치를 'ON'상태로 놓거나 또는 상기 모터(18)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통상의 타이머를 이용하여 시간을 설정하면, 상기 모터(18)가 정해진 방향으로 구동되고, 이에 따라 상기 모터축(20)의 양단에 고정 결합된 축기어(22)와, 상기 축기어(22)와 맞물린 작동기어(28)이 정해진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와 같이 모터(18)의 구동에 의하여 작동기어(28)가 회동되면, 하단이 상기 작동기어(28)의 외측면에 편심되게 설치되고, 상단은 상기 매트리스부(12)의 저면에 플랜지 결합된 작동봉(30)이 상기 작동기어(28)의 회동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위치까지의 거리만큼 상하방향으로 왕복운동하면서 상기 매트리스부(12)를 상하방향으로 진동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작동기어(28)의 회동과 그에 따른 작동봉(30)의 상하왕복은 상기 가이드원통(32)의 안내작용에 의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작동기어(28)의 내측단과 상기 브라켓(26)의 외측면사이에 끼워져 결합된 스프링(36)의 탄성작용에 의하여 브라켓(26)과의 마찰없이 원활하게 작동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적용하면, 상기 침대를 구성하는 매트리스부가 모터의 구동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미세하게 진동됨에 따라 쉽게 잠을 이룰 수가 있으며, 특히 어린이들을 편하게 재울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인체와 직접 접촉되는 매트리스부(12)와, 상기 매트리스부(12)의 아랫쪽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매트리스부(12)를 설치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이격시켜주는 베이스부(14)와, 상기 베이스부(14)와 매트리스부(12)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매트리스부(12)에 하중이 얹혀지는 경우에 상하방향으로 탄성작용을 하는 쿠션부(16)로 이루어지는 침대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14)의 내부에서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설치되며, 사용자의 스위치조작에 따라 일방향으로 구동되는 모터(18)와; 상기 모터(18)의 양측으로 돌설되는 모터축(20)의 선단에 고정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18)의 구동방향과 동일방향으로 회동되는 축기어(22)와; 상기 베이스부(14)를 구성하는 상부패널(24)의 내면 소정 위치로부터 하향설치되는 브라켓(26)의 양단외측으로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며, 상기 축기어(22)와 맞물린 상태에서 그 축기어(22)의 회동에 따라 정해진 방향으로 회동되는 한쌍의 작동기어(28)와; 하단이 상기 각 작동기어(28)의 외측면에 편심되게 고정 결합되고, 상단은 상기 베이스부(14)를 구성하는 상부패널(24)을 관통하여 매트리스부(12)의 저면에 고정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작동기어(28)의 회동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작동봉(30)과; 상기 작동봉(30)의 왕복이동경로에 해당되는 상부패널(24)의 저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작동봉(30)의 왕복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안내하는 가이드원통(32)과; 상기 작동기어의 내측단과 브라켓(26)의 외측단사이에 해당되는 작동기어(28)의 회동축(34)둘레에 감겨진 상태에서 항상 바깥쪽으로 탄성작용하면서 상기 작동기어(28)의 내측단면이 브라켓(26)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프링(36)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침대.
KR2019960006569U 1996-03-30 1996-03-30 진동침대 KR01374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6569U KR0137445Y1 (ko) 1996-03-30 1996-03-30 진동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6569U KR0137445Y1 (ko) 1996-03-30 1996-03-30 진동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3340U KR970053340U (ko) 1997-10-13
KR0137445Y1 true KR0137445Y1 (ko) 1999-04-01

Family

ID=19452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6569U KR0137445Y1 (ko) 1996-03-30 1996-03-30 진동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744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2323A (ko) * 2002-06-28 2004-01-07 김일만 수면유발침대
CN114719143B (zh) * 2022-04-18 2023-10-24 广州智传电子有限公司 一种可供四人游玩的游戏机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3340U (ko) 199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99012A (ko) 침대
US3837335A (en) Massaging vibrator
KR0137445Y1 (ko) 진동침대
KR200409961Y1 (ko) 흔들침대
KR200263529Y1 (ko) 높낮이 조절 세면대
SE9803357D0 (sv) Electrovibrator device that can be applied to baby cots inducing sleep
JP3813828B2 (ja) マッサージ機
JPH036342Y2 (ko)
KR200196155Y1 (ko) 자동 아기 흔들침대
JP2773896B2 (ja) マッサージ機
JPH0857002A (ja) クランク方式のマッサージ器
CN210962981U (zh) 一种可降噪式伸缩按摩棒
JPH0321222U (ko)
KR200252905Y1 (ko) 침대
KR100419381B1 (ko) 자동침대의 구동장치
JPS6132682Y2 (ko)
JPH06224U (ja) 目覚まし枕台
KR200186898Y1 (ko) 음성 감지 자동 아기 그네 침대
JPS6233143Y2 (ko)
JPS5921803Y2 (ja) 指圧装置
KR200237726Y1 (ko) 침대
KR950002828Y1 (ko) 침대의 각도조절장치
CA1300248C (en) Device for rocking baby carriage
JPS6115877Y2 (ko)
KR950003450Y1 (ko) 지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1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