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7192Y1 - 초광폭실내백밀러용 햇빛가리개 - Google Patents

초광폭실내백밀러용 햇빛가리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7192Y1
KR0137192Y1 KR2019960019864U KR19960019864U KR0137192Y1 KR 0137192 Y1 KR0137192 Y1 KR 0137192Y1 KR 2019960019864 U KR2019960019864 U KR 2019960019864U KR 19960019864 U KR19960019864 U KR 19960019864U KR 0137192 Y1 KR0137192 Y1 KR 01371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shade
mirror
clamp
pin
sun sha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98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7199U (ko
Inventor
임재운
Original Assignee
임재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재운 filed Critical 임재운
Priority to KR20199600198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7192Y1/ko
Publication of KR9800071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71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71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71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개공보된 고안의 명칭이 자동차실내용백밀러(공개번호 96-7649)을 설치할 때 사용되는 햇빛가리개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실내용백밀러를 차량에 설치함에 있어서 기존의 햇빛가리개는 3가지의 문제가 존재한다. 첫째 : 밀러의 위치를 기존의 햇빛가리개와 전방창유리와의 사이에 부착하고 햇빛가리개를 작동했었을 시, 자동차실내용백밀러를 햇빛가리개가 덮어 버리므로 자동차실내용백밀러의 작용 효과가 없어진다. 둘째 : 자동차실내용백밀러의 가변성에 의한 효과 또한 햇빛가리개의 위치고정으로 인해 작용을 할 수 없게 된다. 세째 : 밀러의 위치를 기존의 햇빛가리개와 운전자와의 사이에 부착할 시 공개공보된 자동차실내용백밀러의 위치가 운전자와 너무 가까워 효과는 상관이 없으나 불편함이 발생한다. 본 고안은 위의 문제점을 제거하는 수단으로서 미끄럼운동이 가능한 부착구를 이용하여 자동차실내용백밀러(공개번호96-7649)의 운동과 동일한 운동을 할 수 있게 구성된 고정막대를 천정에 밀착하여 실내용백밀러의 반사경쪽 위쪽에 구성하고 이 고정막대상에 햇빛가리개를 설치하되 햇빛가리개가 사용시 실내용백밀러의 하단에 위치하여 작동하게끔 하고 또 사용하지 않을 시 기존의 햇빛가리개와 같이 실내용백밀러의 상단천정에 부착 시킬 수 있게끔 하기 위해 미끄럼운동의 작용에 의해 햇빛가리개의 위치를 자동차실내용백밀러를 중심으로 상하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핀부분을 구성하여 위에 열거한 3가지 문제를 해결 하게끔 하였다. 본 고안은 차량에 자동차실내용백밀러(공개번호96-7649)를 설치하는 차량의 햇빛가리개로 이용됨을 중요한 용도로 한다.

Description

초광폭 실내밀러용 햇빛 가리개
제1도는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N부분의 상세도.
제3도는 M부분의 상세도.
제4도는 N부분의 상세도.
제5도는 제9도에서 고안의 점선부분을 G, G' 방향에서 본 단면도.
제6도는 제8도에서 고안의 부분을 G, G'방향에서 본 단면도.
제7도는 햇빛가리개를 천정에 고정했을 때의 작용도.
제8도는 햇빛가리개를 내려 햇빛을 측방에서 차단할 시의 작용도.
제9도는 햇빛가리개의 높이를 조절 할 때의 작용도.
제10도는 햇빛가리개로 햇빛을 전방을 차단할 시의 작용도.
제11도는 핀안내환봉 부분에 충돌 시 작용도.
제12도는 햇빛가리개중 핀안내환봉 이외의 부분에 충돌 시 작용도.
제13도는 햇빛가리개를 천정에 고정시 충돌 시의 작용도.
제14도는 L부분의 상세도.
제15도는 고안과 초광폭밀러를 결합 부착할 시의 예시도.
제16도는 햇빛가리개가 없을 시 초광폭밀러의 설치 예시도.
제17도는 O부분의 상세도.
제18도는 J부분의 상세도.
제19도는 초광폭밀러의 차량 설치시의 사용상태와 만곡형의 부착구(2)의 사용 상태도.
제20도는 후방 전조등 광선의 진입시 기존실내용 반사경과 초광폭밀러를 비교한 비교도.
제21도는 초광폭밀러의 시계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정대 2 : 만곡형의 부착구
3 : 안내궤도홈 4 : 햇빛가리개용삽입돌기부착구
5 : 햇빛가리개 6 : 고정대의 죄임쇠
7 : 고정대와 죄임쇠의 연결지지봉 8 : 사각형의 핀
9 : 원형죄임쇠 10 : 햇빛가리개의 죄임쇠
11 : 햇빛가리개의 연결지지봉 12 : 핀안내파이프
13 : 핀안내환봉 14 : 고정대의 걸이용고리
15 : 햇빛가리개 걸이용 막대 16 : 죄임쇠운동제한용돌기
161 : 돌기고정용밴드 162 : 햇빛가리개운동제한용돌기
17 : 밀러용 삽입돌기부착구 18 : 보조반사경
19 : 운전사 20 : 루프 프론트레일 어셈블리
21 : 볼트너트 22 : 기존 반사경
23 : 초광폭밀러의 이동방향 24 : 전조등에서 진입광선
25 : 전조등에서의 진입광선
26 : 사이더밀러에 진입하는 최대각의 후방광선
27 : 초광폭밀러에 진입하는 최대각의 후방광선
28,29 : 초광폭밀러의 사각지대
30 : 사이더밀러 31,32 : 사각지대에서의 진입광선
A,A',G,G' : 단면표시선 B : 충돌시 힘의 방향
C : 초광폭밀러 D : 부착구환봉지지대
E : 부착구환봉 F : 고정대의 운동방향
H : 햇빛진입방향 i : 햇빛가리개운동범위
K,K' : 초광폭밀러의 이동상태 J,L,N,N',M,O : 부위표시선
P1,P2,P3,P4 : 회전마찰력
Q : 죄임쇠운동제한용돌기(16) 부착위치
R : A,A' 방향에서의 단면
본 고안은 1994년 실용신안출원 19482로 출원 하고 1996년 9월 동 실용신안출원을 취하한 공개공보된 고안의 명칭이 자동차실내용백밀러(공개번호96-7649)인 고안품을 설치함에 동실내용 밀러의 효과를 최대한 높이면서 햇빛가리개(선 바이저)의 역할을 충분히 살리기 위한 햇빛가리개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실내용백밀러를 차량에 설치함에 있으서 기존의 햇빛가리개는 공개공보된 실내용백밀러의 장착과 작용에 방해가 되어 장착과 작동을 어렵게 만든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기존의 햇빛가리개는 그 위치가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것으로 인해 다음에 서술하는 3가지의 문제가 존재한다.
첫째 : 밀러의 위치를 기존의 햇빛가리개와 전방창유리와의 사이에 부착하고 햇빛가리개를 작동했었을 시, 자동차실내용백밀러를 햇빛가리개가 덮어 버리므로 자동차실내용백밀러의 작용 효과가 없어진다.
둘째 : 자동차실내용백밀러의 전후상하 이동에 의한 효과 또한 기존의 햇빛가리개의 위치고정으로 인해 작용을 할 수 없게 된다.
세째 : 밀러의 위치를 기존의 햇빛가리개와 운전자와의 사이에 부착할 시 공개공보된 자동차실내용백밀러의 위치가 너무 천정쪽에 치우친 상태에 있고 운전자와 너무 가까워 그 위치가 적합하지 못해 효과는 상관이 없으나 불편함이 발생한다.
본 고안은 자동차실내용백밀러를 차량에 설치할 시에 나타나는 위의 문제점을 제거하고 기존의 햇빛가리개 효과를 그대로 살리는 목적으로 다음과 같이 수단을 강구하였다. 그 수단으로서 자동차실내용백밀러(공개번호96-7649)에 사용되기 위해 부착된 부착구를 이용하여 자동차실내용백밀러(공개번호96-7649)의 운동과 동일한 운동을 할 수 있게 미끄럼 운동이 가능한 고정막대를 천정에 밀착하여 실내용백밀러의 반사경쪽 위쪽에(운전자쪽) 구성하고 이 고정막대상에 햇빛가리개를 설치하되 햇빛가리개가 사용될시 실내용백밀러의 하단에 위치 하여 작동하게끔 하고 또 사용하지 않을 시 기존의 햇빛가리개와 같이 실내용백밀러의 상단천정에 부착 시킬 수 있게 미끄럼운동이 가능하여 햇빛가리개의 위치를 자동차실내용백밀러를 중심으로 상하로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하는 핀부분을 구성하여 위에 열거한 3가지 문제를 해결하게끔 구성 되어 있다.
첨부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공개번호가 96-7649이고 명칭이 자동차실내용백밀러인 고안을 공개된 것 이외의 것을 포함하여 자동차실내용백밀러가 실용화 될 수 있는 세부적인 내용까지를 간략하게 하여 소개하면, (이후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편의상 자동차실내용백밀러의 명칭을 초광폭밀러라 칭한다.) 제16도를 보면 차량앞창유리상단부폭에 준하는 길이를 가진 기존실내용밀러의 폭과 유사한 폭을 가진 장형의 길이를 가진 평반사경을 차량 앞천정쪽에 부착시킬 때에 차량앞 창유리상단부폭의 방향에 평행으로 또 천정쪽에 밀착하여 부착하기 위해 만곡형의 부착구(2)는 제17도에서처럼 루프 프론트레일 어셈블리(20)에다 볼트너트(21)로 고정하고, (부라인더 리벳등을 이용함도 좋다. 용접등,) 제18도에서보는 것처럼 동 만곡형의 부착구(2) 속에 밀러용 삽입돌기부착구(17)를 삽입시키어 만곡형의 부착구(2)속을 미끄럼운동을 할 수 있게끔 구성하고 밀러용 삽입돌기부착구(17)와 초광폭밀러(c)를 결합하되 밀러용 삽입돌기부착구(17)와 초광폭밀러(c)를 조인트결합을 하여(실예 : 기존실내용밀러에 사용하는 고정구인 볼조인트결합) 초광폭밀러(c)의 각도조정이 가능하게끔 한다. 이렇게 구성하면, 초광폭밀러(c)가 차량앞창유리상단부폭의 방향에 평행으로 부착됨은 물론 제19도에서처럼 K,K'와 같이 위치 변화를 일으킬 수 있어 전후좌우 상하 변동을 할 수 있는 작용을 한다. 이렇게 설치된 초광폭밀러(c)에 보조반사경(18)를 부착하여 공개번호 96-7649 자동차실내용백밀러의 구성을 완성한다. 이렇게 설치된 공개번호 96-7649 자동차실내용백밀러의 광학적 효과를 설명하여 보면 제20도에서 후방의 전조등에서의 진입광선(25)보다 높은 위치에서(천정쪽에 더 가까운) 진입하는 전조등에서의 진입광선(24)는 초광폭밀러(c)에 진입하게 되고, 이 광선은 운전자가 눈의 촛점을 위로 올려 앞천정쪽을 보아야만 관찰할 수가 있다. 평상시 전방관찰을 하는 운전을 할시는 후방 전조등에서의 진입광선(24)는 운전자에게는 진입 하지 않는다. 전조등에서의 진입광선(24)보다 낮은 위치에서(천정쪽에서 거리가 좀 더 있는) 진입하는 전조등에서의 진입광선(25)는 기존반사경(22)에 진입하게되고 기존반사경(22)는 일반적으로 운전자의 눈 높이와 비슷하므로 평상시 전방관찰의 운전시에도 전조등에서의 진입광선(25)는 운전자에게 진입 하게 된다. 따라서 기존반사경(22)는 야간에 눈부심현상이 발생하게된다. 그리고 전조등에서의 진입광선(24)와 전조등에서의 진입광선(25)의 광도는 차이가 있는바 전조등에서의 진입광선(24)의 광도는 전조등에서의 진입광선(25)의 광도보다 약하다.
따라서 위의 서술한 2가지 이유로 인해 야간 운전시 초광폭밀러(c)는 후방전조등으로 인한 눈부심현상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제21도에서 초광폭밀러(c)를 설치시 기존의 밀러시스템에 의해 설치된 시계범위의 표시인 사이더밀러에 진입하는 최대각의 후방광선(26)보다 넓은폭의 시계인(실예 : 운전자가 고개를 옆으로 돌리지 않고도 후측방에 진입하는 차량을 사각 지대없이 관찰할 수 있는 영역) 초광폭밀러에 진입하는 최대각의 후방광선(27)를 반사시키어 운전자에게 진입시킨다. 초광폭밀러(c)는 운전자의 머리부분의 영상으로 인해 운전자의 후방부분의 사각지대인 초광폭밀러의 사각지대(28, 29)를 형성하게 되며 이 사각지대를 보조반사경(18)를 이용하여 사각지대의 진입광선(31, 32)를 반사시키어 운전자에게 진입시키므로서 공개공보의 실내용 백밀러시스템으로 사각지대없는 후측방 관찰 실내용백밀러를 구성하게 된다.
이렇게 구성된 공개번호 96-7649 자동차실내용백밀러의 설치 시스템에 본 고안(햇빛가리개)을 구성하여 보면, 만곡형의 부착구(2)에 햇빛가리개용삽입돌기부착구(4)를 통하여 고정대(1)를 초광폭밀러(c) 앞쪽에 설치한다. 만곡형의부착구(2)와 고정대(1)를 연결하는 부위인 L부분을 제14도에서 상세히 설명하면 고정대(1)에 부착구환봉지지대(D)를 구성하고 여기에 부착구환봉(E)를 고정한후 안내궤도홈(3)속을 움직이는 햇빛가리개용삽입돌기부착구(4)를 부착구환봉(E)에 끼워서 양쪽부분의 회전마찰력(P3)에 의해 결합하여 고정대(1)이 F방향으로만 운동 할 수 있게 구성한다. 구성된 고정대(1)의 좌우 끝부분인 N부분에 고정대와 죄임쇠의 연결지지봉(7)를 제2도와 같이 구성하고 고정대와 죄임쇠의 연결지지봉(7)를 고정대죄임쇠(6)에 삽입시키고 회전마찰력(P2)가 발생하면서 회전운동만을 하게끔 연결한다. 구성된 고정대죄임쇠(6)에 제2도와같이 사각형의 핀(8)을 고정 부착시키고 제4도와 같이 원형의 환봉속에 사각형의핀(8) 모양과 동일한 모양의 핀 구멍을 형성하여 핀안내환봉(13)을 구성하고 그 핀안내환봉(13)속에 고정대죄임쇠(6)에 고정된 사각형의핀(8)을 핀안내환봉(13)속에 삽입시키고 왕복미끄럼운동만을 하게끔 구성한다. (제7도, 제8도, 참조).
제4도와 같이 햇빛가리개의 연결지지봉(11)을 원형죄임쇠(9)에 90도 방향으로 부착하여(고정방법의 실예 : 죄임쇠운동제한용돌기(16)를 돌기고정용밴드(161) 사용하여 고정하는 방법, 용접등) 원형죄임쇠(9)을 구성한후 사각형의핀(8)의 왕복운동을 위하여 구성된 핀안내환봉(13)을 원형죄임쇠(9)의 속으로 삽입시키어 회전마찰력(P4)가 발생하면서 회전운동만 하게끔 두 부품을 구성한다. 제4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핀안내환봉(13)과 수직관계에 있는 햇빛가리개의 연결지지봉(11)를 햇빛가리개의 죄임쇠(10) 속으로 삽입시키고 회전마찰력(P1)이 발생하면서 회전운동만 하게끔 구성하되, 죄임쇠운동제한용돌기(16)를 원형죄임쇠(9)끝부분에 (돌기 고정용밴드(161) 사용하여) 부착시키되 햇빛가리개의 죄임쇠(10)의 회전운동이 제9도에서처럼 한쪽방향인(햇빛가리개운동범위(i)) 초광폭밀러(c) 쪽으로만 약 150도 가량 가능하게 하고 그 반대방향으로는 운동을 하지 못하게끔 원형죄임쇠(9)에서의 위치-Q에서 원형죄임쇠(9)에 수직으로 햇빛가리개의 연결지지봉(11)에 평행하게 하여 회전운동을 차단하게끔 돌출하게 설치한다.(제4도 참조)
여기서 햇빛가리개에 일정한 힘이 가해졌을때 연결 부위가 순차적으로 움직이게끔 마찰력의 크기는 P1,P2,P3,=P4=3*P1.으로 마찰력을 조절한다. 이렇게 구성된 햇빛가리개의 죄임쇠(10)에 햇빛가리개(5)를 결합 고정시킨다. 햇빛가리개(5)속에 사각형의 핀(8)이 왕복하면서 출입할 수 있게끔 핀안내파이프(12)를 핀안내환봉(13)의 중심축과 핀안내파이프(12) 중심축을 일치시키면서 평행으로 설치하되 사각형의 핀(8)의 끝부분을 제4도의 도면에서와같이 사각형의 구성을(정다각형) 하고 핀안내파이프(12)의 내부모양을 사각형의 핀(8)의 끝부분의 모양과 같게하여 사각형의 핀(8)이 핀안내파이프(12) 속에 삽입되었을 때, 핀안내환봉(13)과 원형죄임쇠(9)의 회전운동을 막고 또한 햇빛가리개의 죄임쇠(10)와 햇빛가리개(5)가 햇빛가리개의 연결지지봉(11)을 축으로 하는 회전운동을 막아 고정시키게 된다.
사각형의핀(8)이 핀안내파이프(12)속에서 이탈되었을 때 일정한 힘이 가해지면 햇빛가리개의 죄임쇠(10)과 햇빛가리개(5)의 반회전운동이 i만큼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핀안내환봉(13)과 원형죄임쇠(9)의 회전운동도 가능하나 햇빛가리개운동제한용돌기(162)의 회전운동제한작용에 의해 제8도에서처럼 측면광선을 차단할 수 있는 방향으로만 가능하다. 제3도에서처럼 고정대(1)에 고정대의 걸이용고리(14)를 형성하고 햇빛가리개(5)의 한쪽끝에 햇빛가리개 걸이용 막대(15)를 형성하여 햇빛가리개를 차량 천정에 고정시킬 때 햇빛가리개를 안정적으로 정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고안을 위와같이 구성시키였을 때 작용과 효과는 다음과 같다.
제7,8,9,10,15도에서 초광폭밀러(C)가 밀러용 삽입돌기부착구(17)를 사용 하여 만곡형의 부착구(2)의 안내궤도홈(3)속 삽입부착하여 안내궤도홈(3)속에서 미끄럼운동의 이동을 하게끔 되어 있고 그 사이에(초광폭밀러(C)와 운전자 사이) 고정대(1)에 부착된 햇빛가리개용삽입돌기부착구(4)를 만곡형의 부착구(2)에 구성된 안내궤도홈(3)속에 삽입부착하여 안내궤도홈(3)속에서 미끄럼운동의 이동을 하게 하므로서 고정대(1)이 동일한 운동을 하고 있는 초광폭밀러(C)를 따라서 미끄럼운동하는 곧 본 고안이 초광폭밀러(C)를 따라서 미끄럼운동의 이동을 할 수 있는 작용을 하게 된다.
본 고안의 사용중 햇빛이 진입시를 설명하면, 햇빛가리개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제7도에서 설명하면, 햇빛의 진행방향이 H일때 제7도 도면과 같이 고정대와 죄임쇠의 연결지지봉(7) 중심측으로하는 고정대의죄임쇠(6)의 회전작용에 의해 사각형의핀(8)을 포함하고 있는 햇빛가리개(5)를 반회전시켜 천정쪽으로 밀어올리고 햇빛가리개(5)를 고정대와 죄임쇠의 연결지지봉(7) 쪽으로 밀착시킬때 핀안내환봉(13)과 사각형의핀(8)의 미끄럼운동에의해 사각형의핀(8)의 핀안내파이프(12)의 속에 일부가 삽입되고 원형죄임쇠(9)는 움직여 고정대죄임쇠(6) 쪽으로 밀착되므로 햇빛가리개(5)는 고정대(1)에 밀착되어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면서 천정에 밀착되게 된다. 제10도에서처럼 햇빛의 진입방향(H)이 차량앞쪽에서 진입시 고정대와 죄임쇠의 연결지지봉(7) 중심으로 햇빛가리개(5)를 제7도와 비교하여 역 반회전시켜 당기어 내리면은 핀안내환봉(13)과 사각형의핀(8)의 미끄럼운동에 의해 핀안내환봉(13)은 고정대죄임쇠(6) 쪽으로부터 멀리 이탈되어 햇빛가리개(5)가 충분히 내려오게 된다. 햇빛가리개(5)는 초광폭밀러(C)의 하단에 위치하므로 초광폭밀러(C) 작용효과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초광폭밀러(C)의 하단에서 햇빛가리개(5)와 초광폭밀러(C)가 합쳐져(햇빛가리개(5)와 초광폭밀러(C)가 합쳐서 기존 햇빛가리개와 폭이 같음) 전방 햇빛을 차단하게 된다.
제8도에서처럼 햇빛의 방향이 차량의 측면에서 진입시 제10도에서 처럼 햇빛가리개를 충분히 당기어 내리면 사각형의 핀(8)은 핀안내파이프(12)를 이탈하여 맞물린 상태가 없어진 상태가 되므로 햇빛가리개를 핀안내환봉(13)과 원형죄임쇠(9)의 원호회전운동이 가능해지고 이 원호회전운동으로 햇빛가리개가 측면으로 이동하면 고정대와 죄임쇠의 연결지지봉(7)과 고정대죄임쇠(6)의 회전 원호운동이 첨가되어 차량측면앞도아의 창틀을 따라 움직여주므로 측면진입광선을 차단 하게된다.
제9도에서 햇빛가리개(5)로 인해 전방시야가 좁아져 불편할 경우 제9도에서처럼 사각형의 핀(8)과 핀안내파이프(12)는 서로 끼워진 상태에서 이탈하여 상호 자유로운 상태이며 햇빛가리개의 연결지지봉(11)과 햇빛가리개죄임쇠(10)의 반회전 원호운동에 의해 햇빛가리개의 운동범위(i)만큼 햇빛가리개(5)의 하단부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어 원하는 만큼의 시계를 확보 할 수 있다. (햇빛가리개(5)는 초광폭밀러(C)의 하단에 위치하므로 초광폭밀러(C) 작용효과를 방해하지않는다.) 이상의 본 고안의 구성으로인해 발생하는 효과는 종전의 햇빛가리개가 가지고 있는 모든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안전상문제의 효과를 관찰하면 제11도에서는 충돌사고 시 충돌시 힘의 방향(B)가 핀안내환봉(13)부분에 작용하는 것을 보여 주는 것이다. 초광폭밀러(C)는 천정 쪽으로 밀착되고 햇빛가리개(5)는 초광폭밀러(C)를 덮으면서 천정 쪽으로 밀착된다. 여기서 제14도에서의 작용효과를 첨가 설명하면 부착구환봉지지대(D)와 부착구환봉(E)와 햇빛가리개용삽입돌기부착구(4)로 연결되는 구성으로 고정대(1)가 부착구환봉(E)을 축으로 약간의 원호회전운동을(고정대의 운동방향(F) 할 수 있게끔 설치되어 있어 이것의 작용에 의해 제11도에서처럼 충돌시 힘의 방향(B)가 핀안내환봉(13) 부분에 작용시 고정대(1)은 보다 쉽게 와 햇빛가리개(5)를 천정쪽으로 밀어 붙일 수 있게 된다.
제12도에서는 충돌시 힘의 방향(B)가 햇빛가리개(5)의 다른부분에 가해질 때를 보여준다. 이때는 핀안내환봉(13)과 원형죄임쇠(9)의 원호회전운동으로 햇빛가리개(5)가 회전하면서 햇빛가리개운동제한용돌기(162)를 밀고 곧 초광폭밀러(C)를 밀어 올리고 햇빛가리개(5)는 반회전하면서 충격을 줄인다. 제13도에서는 햇빛가리개(5)가 천정에 고정시의 작용이므로 초광폭밀러(C) 만이 천정에 밀착된다. (또는 초광폭밀러(C)에 강한힘이 가해질경우 만곡형의 부착구(2) 상의 밀러용 삽입돌기부착구(17)가 안내궤도홈(3)을 따라 이탈하는 작용에 의해 초광폭밀러(C)는 충돌시 안내궤도홈(3)을 이탈하여 자유롭게 되므로 안전하게 되는 안전 작용도 첨가 되어 있음) 따라서 본 고안은 초광폭밀러(C)가 가지고 있는 작용과 효과를 모두 발휘할 수 있겠끔 함과 동시에 기존의 햇빛가리개가 가지고 있는 작용과 효과를 모두 발휘할 수 있겠끔 하는 작용과 효과를 발생시키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Claims (1)

  1. 고정대(1)에 부착구환봉지지대(D)를 구성하고 부착구환봉지지대(D)에 부착구환봉(E)를 고정한후 햇빛가리개용삽입돌기부착구(4)를 부착구환봉(E)에 끼워서 양쪽부분이 회전마찰력(P3)에 의해 결합하게 구성하고 햇빛가리개용삽입돌기부착구(4)를 통하여 고정대(1)를 만곡형의 부착구(2)에 설치하고 고정대(1)의 좌우 끝부분인 N부분에 고정대와 죄임쇠의 연결지지봉(7)를 구성하고 고정대와 죄임쇠의 연결지지봉(7)을 고정대죄임쇠(6)에 삽입시키어 회전마찰력(P2)가 발생하게끔 구성하고 고정대죄임쇠(6)에 사각형의 핀(8)을 고정 부착시키고 사각형의 핀(8) 모양과 동일한 모양의 핀 구멍이 중심축에 형성된 핀안내환봉(13)속에 사각형의 핀(8)을 삽입시키어 왕복미끄럼운동만을 하게끔 구성하며 햇빛가리개의 연결지지봉(11)을 원형죄임쇠(9)에 90도 방향으로 부착한 원형죄임쇠(9)를 구성한후 핀안내환봉(13)을 원형죄임쇠(9)의 속으로 삽입시키어 회전마찰력(P4)가 발생하게끔 구성하고, 햇빛가리개의 연결지지봉(11)을 햇빛가리개의 죄임쇠(10) 속으로 삽입시키고 회전마찰력(P1)이 발생하게끔 구성하되, 회전마찰력의 크기는 P1,P2,P3,=P4=3*P1.으로 마찰력으로 조절하며 죄임쇠운동제한용돌기(16)를 위치Q에서 원형죄임쇠(9)에 수직으로 햇빛가리개의 연결지지봉(11)에 평행하게 돌출하게 설치하여 햇빛가리개(5)의 운동을 제한하고 햇빛가리개의 죄임쇠(10)에 햇빛가리개(5)를 결합 고정하고 햇빛가리개(5)속에 사각형의핀(8)이 왕복하면서 출입할 수 있겠끔 핀안내파이프(12)를 핀안내환봉(13)의 중심축과 핀안내파이프(12) 중심축을 일치시키면서 평행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햇빛가리개.
KR2019960019864U 1996-07-01 1996-07-01 초광폭실내백밀러용 햇빛가리개 KR01371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9864U KR0137192Y1 (ko) 1996-07-01 1996-07-01 초광폭실내백밀러용 햇빛가리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9864U KR0137192Y1 (ko) 1996-07-01 1996-07-01 초광폭실내백밀러용 햇빛가리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7199U KR980007199U (ko) 1998-04-30
KR0137192Y1 true KR0137192Y1 (ko) 1999-04-01

Family

ID=19460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9864U KR0137192Y1 (ko) 1996-07-01 1996-07-01 초광폭실내백밀러용 햇빛가리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719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7199U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75794B1 (en) Sun visor and cover attachment method
JPS60124520A (ja) 自動車用のサンバイザ
ES2348475T3 (es) Parasol con conjunto de espejo.
ES2309345T3 (es) Parasol deslizante.
KR0137192Y1 (ko) 초광폭실내백밀러용 햇빛가리개
US4919469A (en) Auxiliary sun visor for automobile
CA2524192C (en) Distortion free image capture mirror assembly
KR200206381Y1 (ko) 자동차용 투명 햇빛가리개
US20050264890A1 (en) Rear view mirror shade
KR200232156Y1 (ko) 후방 모니터용 차양장치
KR200151673Y1 (ko) 자동차 실내등의 빛가리개
KR900007246Y1 (ko) 차량용 백미러
CA2212614C (en) Sunscreen with adjustable and movable sun block
KR970006831Y1 (ko) 햇빛 차단장치
KR970002130B1 (ko) 자동차용 전조등
KR200258954Y1 (ko) 자동차용 보조 선 바이저
KR0140678Y1 (ko) 아웃사이드 미러에 내설되는 차양장치
KR19980044645A (ko) 햇빛가리개의 조절기능장치
KR960005087Y1 (ko) 자동차용 보조 차양막
KR0130134Y1 (ko) 자동차 선 쉐이드용 브래킷의 구조
KR0132360Y1 (ko) 자동차의 선바이저 구조
KR19980046426U (ko) 차량의 선바이저 겸용 사이드 미러
KR19980049835U (ko) 자동차 사이드 미러 구조
KR19980042517U (ko) 자동차용 실내등의 간접 조명 장치
KR20000018610U (ko) 램프겸용 자동차 후사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