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7095Y1 - 피시의 신호처리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피시의 신호처리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7095Y1
KR0137095Y1 KR2019940039059U KR19940039059U KR0137095Y1 KR 0137095 Y1 KR0137095 Y1 KR 0137095Y1 KR 2019940039059 U KR2019940039059 U KR 2019940039059U KR 19940039059 U KR19940039059 U KR 19940039059U KR 0137095 Y1 KR0137095 Y1 KR 01370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ler
keyboard
data
signal processing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90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4609U (ko
Inventor
홍승석
Original Assignee
이헌조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헌조,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헌조
Priority to KR20199400390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7095Y1/ko
Publication of KR9600246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46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70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70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1Cordless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9Trackba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4Wireless input, i.e. hardware and software details of wireless interface arrangements for poin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PC의 신호처리를 위해 전면 키패드와 단일의 키보드 콘트롤러에 의한 간단한 회로구성으로서, 제품 구성의 단순화 및 PC의 오퍼레이팅 시스템(OS) 변경시에도 호환성이 용이하도록 한 피시(PC)의 신호처리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은 키보드 콘트롤러와는 별도로 콘트롤러가 연결 사용되므로 회로 구성이 복잡함은 물론 PC에서 사용하는 오퍼레이팅 시스템(OS)의 변경시에 호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코자 하여 본 고안은 단일의 키보드 콘트롤러에 의한 간단한 회로 구성으로서, 제품구성의 단순화 및 PC의 오퍼레이팅 시스템(OS) 변경시에도 호환성이 용이하도록 하여 제품 성능의 향상을 도모코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피시(PC)의 신호처리 제어장치
제1도는 종래의 신호처리 제어장치 블럭 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신호처리 제어장치 블럭 구성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외관 구성 예시도로서,
(a)는 일체형 피시(PC) 본체.
(b)는 리모콘.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면 키 패드 11 : 키보드 콘트롤러
20 : 일체형 피시 본체 21 : 내장형 스피커
22 : 내장 모니터 23 : CD롬 드라이버
24 :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버(FDD)
본 고안은 피시(PC)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면 키패드, 리모콘, 키보드의 신호처리를 위해 단일의 키보드 콘트롤러에 의한 간단한 회로 구성으로서, 제품 구성의 단순화 및 PC의 오퍼레이팅 시스템(OS) 변경시에도 호환성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신호 처리 제어장치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외선(IR)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리모콘(1)과, 상기 리모콘(1)으로부터의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적외선 수신부(2)와, 키보드(6)와 마우스(5)가 연결되고 PC 본체의 키보드 콘트롤러(4)에 제어신호를 보내는 콘트롤러(3)와, 키보드(6) 데이타 신호를 콘트롤러(3)를 통해 수신하는 키보드 콘트롤러(4)와, 마우스(5) 데이타 신호를 콘트롤러(3)를 통해 수신하는 직렬포트(COM port)(7)로 구성되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장치는 리모콘(1)으로부터 적외선(IR) 데이타가 송출되면 이 데이타를 적외선 수신부(2)에서 입력 받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콘트롤러(3)에 출력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데이타를 입력 받은 콘트롤러(3)에서는 데이타를 처리하여 PC 본체의 키보드 콘트롤러(4)에 보내게 된다. 이때 PC 본체에 연결되어 있는 키보드(6)와 마우스(5)는 콘트롤러(3)와 연결하여 사용한다. 만일 키보드(6)로부터 키가 선택되면 해당 데이타를 콘트롤러(3)가 입력 받아 처리한 후 다시 키보드 콘트롤러(4)로 보내고, 마우스(5)로 부터 데이타를 받으면 직렬포트(7)로 데이타를 보내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키보드 콘트롤러와는 별도로 콘트롤러가 연결 사용되므로 회로 구성이 복잡함은 물론 PC에서 사용하는 오퍼레이팅 시스템(OS)의 변경시에 호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코자 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단일의 키보드 콘트롤러에 의한 간단한 회로 구성으로서, 제품 구성의 단순화 및 PC의 오퍼레이팅 시스템(OS) 변경시에도 호환성이 용이하도록 하여 제품 성능의 향상을 도모코자 함을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신호 처리 제어장치의 블럭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고, 제3a도는 본 고안에서의 일체형 PC본체의 외관 구성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b는 리모콘의 외관 구성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PC에서 빈번히 사용되는 키와 트랙볼로 구성되어 적외선(IR)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리모콘(1)과, 상기 리모콘(1)으로 부터의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는 적외선 수신부(2)와, PC본체의 전면에 부착 설치되어 유선 상태에서도 PC의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키들이 배열설치된 전면 키패드(10)와, 상기 전면 키패드(10), 적외선 수신부(2), 마우스(6)로 부터 입력되는 각종 데이타들을 처리하는 키보드 콘트롤러(11)로 구성된 것이다.
미설명 부호 20은 일체형 PC본체, 21은 내장형 스피커, 22는 내장모니터, 23은 CD롬 드라이버, 24는 FDD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 및 작용효과를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PC에서 자주 사용되는 키보드의 키와 일부기능을 위한 키 및 트랙볼 마우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리모콘(1)에서 키 또는 트랙볼 마우스의 볼의 움직임에 따라 적외선 형태로 데이타가 송출된다. 이와 같이 송출된 적외선 형태의 데이타는 적외선 수신부(2)를 통해 적외선에서 전기적 신호로 데이타가 변환되어 키보드 콘트롤러(11)에 입력된다.
본 고안에서의 제3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모콘(1)에 있는 일부 기능을 위한 키들이 유선으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키들을 배열하여 PC본체의 전면에 부착할 수 있도록 전면 키 패드(10)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전면 키패드(10)의 키를 누르게 되면 키보드 콘트롤러(11)가 해당 신호를 인식하여 그에 상응하는 데이타를 데이타 버스(Data Bus)를 통해 출력하고, 제어신호를 제어버스(Control Bus)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
리모콘 및 전면 키패드의 제어버스(Control Bus)는 일반 키보드의 데이타를 처리하는 것과, 일부기능의 키는 인터럽트 신호(Interrupt Signal)를 발생하여 시스템에서 데이타를 처리하는 것과, 그리고 직접 키보드 콘트롤러(11)의 출력 포트를 통해 제어하는 세가 형태로 구성된다. 즉, 리모콘(1)과 전면 키패드(10)의 키가 키보드(6)의 키와 같은 경우, 키보드 콘트롤러(11)는 기존의 PC와 같은 방법으로 데이타를 처리하고, 리모콘(1)과 전면 키패드의 일부기능 키는 키보드 콘트롤러(11)가 시스템에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켜 시스템에서 데이타를 가져가 처리하고, 또 일부 기능키는 키보드 콘트롤러(11)의 출력 포트를 통해 키보드 콘트롤러(11)를 제어한다. 또한, 마우스(5)와 키보드(6)로부터의 입력신호를 받은 키보드 콘트롤러(11)는 그에 상응하는 데이타를 데이타 버스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
상기 동작을 제2도를 참조하여 부가 설명하면, 리모콘(1)은 리모콘키들을 검색하고 있다가 어느 키가 눌러지면 그 눌러진 키에 해당하는 키코드를 만들고 이를 적외선수신부(2)와 약정된 데이타 전송포맷으로 무선전송을 하게 된다. 그러면 적외선수신부(2)는 수신된 키코드를 클럭과 데이타로 변환하여 키보드 콘트롤러(11)에 입력하게 된다.
한편, 키보드나 마우스 등은 유선으로 입력데이타를 처리하여 키보드 콘트롤러(11)에 입력시키게 된다.
키보드 콘트롤러(11)는 키보드 입력포트와 리모콘 입력포트 등을 인에이블한 상태에서 먼저 시스템 명령요구여부를 검색하여 시스템 명령요구가 있으면 키보드(6)와 리모콘 등의 인터페이스포트를 디스에이블시키고 시스템 명령에 따라 프로세스를 진행시키게 된다. 아울러 시스템으로부터 명령요구가 없을 경우에는 입력되는 인터페이스 데이타(5)가 무선으로 송신된 적외선수신부(2)의 출력데이타인지 키보드(6)의 출력데이타인지 등을 판별한다. 이 판별결과 적외선수신부(2)에서 얻어지는 인터페이스 데이타일 경우 키보드 입력포트 및 마우스 등 입력포트를 디스에이블시키고, 시스템으로 전송 ID를 전달하고 입력되는 키코드 데이타를 전달한다.
상기에서 키보드(6)에서 얻어지는 인터페이스데이타일 경우 리모콘입력포트 및 마우스 등의 입력포트를 디스에이블시키고, 시스템으로 인터럽트(IRQ1)를 발생시켜 전달함과 동시에 입력되는 키보드코드를 전달한다. 상기에서 마우스(5)에서 얻어지는 인터페이스데이타일 경우 리모콘입력포트 및 키보드 등의 입력포트를 디스에이블시키고, 시스템으로 인터럽트(IRQ12)를 발생시켜 전달함과 동시에 입력되는 마우스코드를 전달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피시(PC)의 신호처리를 위해 전면 키 패드와 단일의 키보드 콘트롤러에 의한 간단한 회로 구성으로서, 구성의 단순화는 물론 오퍼레이팅 시스템(QS) 변경시에도 호환성을 용이하게 하며 또한 유선, 무선으로 신호처리가 가능하여 사용상의 편리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PC에서 빈번히 사용되는 키와 트랙볼로 구성되어 적외선(IR)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리모콘(1)과, 상기 리모콘(1)으로 부터의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는 적외선 수신부(2)와, PC본체의 전면에 부착 설치되어 유선 상태에서도 PC의 일부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키들이 배열 설치된 전면 키 패드(10)와; 상기 전면 키 패드(10), 적외선 수신부(2), 마우스(5) 및 키보드(6)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데이타들을 처리하는 키 보드 콘트롤러(11)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시(PC)의 신호처리 제어장치.
KR2019940039059U 1994-12-30 1994-12-30 피시의 신호처리 제어장치 KR01370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9059U KR0137095Y1 (ko) 1994-12-30 1994-12-30 피시의 신호처리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9059U KR0137095Y1 (ko) 1994-12-30 1994-12-30 피시의 신호처리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4609U KR960024609U (ko) 1996-07-22
KR0137095Y1 true KR0137095Y1 (ko) 1999-04-01

Family

ID=19405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9059U KR0137095Y1 (ko) 1994-12-30 1994-12-30 피시의 신호처리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709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4609U (ko) 199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336301B (en) An improved method and system for encrypting input from a touch screen
US7038665B1 (en) Integrated USB input device
KR0137095Y1 (ko) 피시의 신호처리 제어장치
JP2891949B2 (ja) キーボードレス・コンピュータ
US6910055B2 (en) Calculator device for enabling a keypad to function as both a keypad and a calculator
US20060227112A1 (en) Combined keyboard and wireless transceiver
JPH10149244A (ja) ワイヤレスキーボード
KR200156467Y1 (ko) 리모콘과 마우스를 접속시키기 위한 접속장치를갖는 컴퓨터
JPS6125232A (ja) 入力装置
KR960035225A (ko) 피씨 (pc) 에서 리모트 콘트롤러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KR200217890Y1 (ko) 음성정보를인식하는디스플레이장치를구비하는컴퓨터시스템
KR200357896Y1 (ko) 원격제어를 위한 수신부가 구비된 마우스
JPH04123423U (ja) フツト・キー付キー・ボード回路
KR19990001114A (ko) 컴퓨터시스템의 무선 키이보드와 마우스 신호 처리장치
SU164070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ввода информации в ЭВМ от группы периферийных устройств
JP3308332B2 (ja) 電子機器装置
KR970014441A (ko) 터치스크린 디바이스를 이용한 리모콘장치
KR19990029546U (ko) 복수장치의 기능조정이 가능한 리모콘 장치
JPH10143304A (ja) コンピュータの身障者用入力装置
JPH05207572A (ja) リモコンシステム
KR900007264A (ko) 다기능 리모콘에 있어서 에코 처리방법 및 회로
KR19980065525A (ko) 포인팅 장치용 연결포트를 구비한 무선입력장치 및 이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
JPH06245283A (ja) 遠隔制御装置
JPS6339743U (ko)
JPH0384694U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1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