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6325B1 - 진공청소기의 흡음방 받침리브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의 흡음방 받침리브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6325B1
KR0136325B1 KR1019950050177A KR19950050177A KR0136325B1 KR 0136325 B1 KR0136325 B1 KR 0136325B1 KR 1019950050177 A KR1019950050177 A KR 1019950050177A KR 19950050177 A KR19950050177 A KR 19950050177A KR 0136325 B1 KR0136325 B1 KR 0136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upport rib
sound absorbing
absorbing
vacuum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0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2657A (ko
Inventor
강상보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50050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6325B1/ko
Publication of KR970032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26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6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63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81Means for exhaust-air diffusion; Means for sound or vibration damp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2Mountings for motor fan assembl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의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모터(motor)를 상부면에 안착하는 흡음방 받침리브(rib)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와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단순한 구조로서 모터 내부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면접촉하는 쿠션재를 통하여 최대한 흡수하여 소음을 최소화하고, 기존의 흡음방 받침리브보다 제조가격이 저렴하며, 정숙한 소재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의 흡음방 받침리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모터가 장착되는 흡음방의 일측 하부면에서 일체로 형성되고, 흡음방의 원주곡률과 일치하는 상부면의 곡률을 가지며, 본체의 하부면과의 사이에는 일정공간을 형성하는 받침 리브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음방 받침리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효과적으로 모터의 진동을 흡수하여 소음을 현저히 감소할 수 있고, 구조적으로 그 구조가 간단하고, 흡음방 받침리브의 사출성 및 금형제작이 용이하여 제조원가가 저렴하며, 구조적으로 내구성을 가지는 진공청소기의 흡음방 받침리브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의 흡음방 받침리브
제1도는 일반적인 진공청소기의 외관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기술구성에 따른 흡음방 받침리브가 장착된 진공청소기의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흡음방 받침리브가 장착된 진공청소기의 단면도,
제5도는 제4도에서 B-B'선 단면도,
제6도는 제4도에서 흡음방 받침리브의 또다른 실시예의 B-B'선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본체115 : 먼지표시기
120a,120b : 바퀴132 : 집진실
134 : 흡음실138 : 먼지봉투
140 : 모터141 : 안내판
142 : 흡음방165 : 쿠션부재
200a : 받침리브부재201 : 요홈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의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모터(motor)를 상부면에 안착하는 흡음방 받침리브(rib)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와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단순한 구조로서 모터 내부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면접촉하는 쿠션재를 통하여 최대한 흡수하여 소음을 최소화하고, 기존의 흡음방 받침리브보다 제조가격이 저렴하며, 정숙한 소제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의 흡음방 받침리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100)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motor)를 내장한 본체(110)의 상부면에 보조브러쉬 보관함(112)과 먼지표시기(115) 및 코드감기 버튼(button)(117)이 형성되고, 양측면과 하부면에는 바퀴(120a),(120b)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110)의 모터 구동에 의하여 먼지 및 이물질을 청소면에서 흡입하는 브러쉬(brush)(125)와, 다단 연장관(127) 및 후렉시블(flexible) 도관(130) 등이 본체(110)의 전방측에 위치한다.
즉, 상기 집진실(132)에는 공기 흡입통로인 흡입관(121)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중에 포함된 먼지를 걸러 보관하기 위한 먼지봉투(138)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흡음실(134)에는 배기구부(143)가 형성되어 있고, 흡음방(142)이 수납되어 있으며, 상기 집진실(132)과 상기 흡음실(134)을 분리하는 분리벽(144)에는 상기 집진실(132)과 상기 흡음방(142) 사이에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다수의 흡기공(미도시)이 형성된 흡기구부(145)를 갖추어져 있다.
즉, 상기와 같은 구조의 진공청소기(100) 작동은, 전기가 인가되어 모터(140)가 구동되면, 상기 모터(140)에 의해 강력한 흡입력이 발생하고, 상기 흡입력으로 청소면의 먼지나 이물질 등이 함유된 공기가 흡입관(121)을 통하여 집진실(132) 내부로 유입되며, 상기 공기는 집진실(132)의 먼지봉투(138)에 의하여 먼지, 이물질 등이 걸러지고 계속하여 분리벽(144)의 흡기구부(145)와, 모터(140)의 흡음실(134)의 배기구부(143)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모터(140)의 구동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의 소음이 커서 진공청소기(100)를 사용하여 청소하는 동안에는, 가정 또는 사무실의 내부가 심한 소음공해에 그대로 노출되는 것이어서, 당업계에서는 이러한 진공청소기(100)의 소음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소음방지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즉, 통상적으로 진공청소기(100)의 소음발생원인 모터(140)에서 발생된 진동 및 소음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140)를 포함하는 흡음방(142)의 전면에 적정한 탄성력을 가지는 고무로 이루어져 진동을 줄일 수 있는 전면 완충재(149)와 중간 완충재(149a)를 장착하여 모터(140)의 진동을 흡수하여 소음을 줄이고, 또한, 원통형상의 흡음방(142)의 외부면에 대하여 수직하고, 상기 흡음방(142)의 외부면 둘레를 따라서 일정거리를 갖으며, 수직한 다수개의 흡음방 받침리브(190a)와 상기 흡음방(140)의 외부면 사이에는 모터(140)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쿠션재(165)를 삽입함으로서 소음을 줄이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술구성에 의해 발생하는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즉, 제3도와 같은 구조의 흡음방 받침리브(190)는 개별적인 각각의 받침리브부재(190a)가 몸체(110)의 바닥면으로부터 높이방향으로 수직하여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받침리브부재(190a)의 각 끝단과 흡음방(142)의 외부면 사이에는 쿠션재(165)를 삽입하여 상기 흡음방(142) 내의 모터(미도시)의 구동으로 인한 진동을 상기 쿠션재(165)로서 흡수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받침리브부재(190a)의 각 끝단과 쿠션재(165) 사이의 면접촉이 단지, 상기 끝단의 협소한 단면적에서만 이루어짐으로서, 진동의 흡수성능이 떨어져 흡음효과가 미진하고, 본체(110)로부터 일측만이 고정되어 단순하게 높이방향으로 수직한 각 받침리브부재(190a)가 상기 진동에 의해 울림이 발생하여 소음을 일으키며, 흡음방 받침리브(190)의 제작시 외형구조상 사출성이 양호하지 않고, 단순한 금형 제작이 곤란하여 제조원가가 높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효과적으로 모터의 진동을 흡수하여 소음을 현저히 감소할 수 있고, 구조적으로 그 구조가 간단하고, 흡음방 받침리브의 사출성 및 금형제작이 용이하여 제조원가가 저렴하며, 구조적으로 내구성을 가지는 진공청소기의 흡음방 받침리브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의 내부에 장착된 모터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쿠션재를 상부면에 장착한 흡음방 받침리브에 있어서, 상기 모터가 장착되는 흡음방의 일측 하부면에서 일체로 형성되고, 흡음방의 원주곡률과 일치하는 상부면의 곡률을 가지며, 본체의 하부면과의 사이에는 일정공간을 형성하는 받침리브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음방 받침리브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음방 받침리브(200)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후방 받침리브(200)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공청소기(100)의 흡음실(134) 내부에서 본체(110)에 연속하여 설치되며, 흡입력을 발생시키고,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는 모터(140)의 하부면에 형성된다. 상기 모터(140)에는 배기공기의 유로(S)를 변경하여 흡음하기 위한 안내판(141)이 일측으로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흡음방 받침리브(200)는 종방향(전후방향)으로 수평한 본체 하부면이 흡음방(142)의 모터 덮개(140a) 위치에서 수직상승하여 받침 리브부재(200a)가 형성되며, 연이어서 분리벽(144)에 접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받침 리브부재(200a)의 수직형성은 안착되는 상기 흡음방(142)의 외부 접촉면에 따라 다르며, 수직형성되는 상기 받침 리브부재(200a)의 구조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방향(좌우방향)에서 보아 본체(110)의 일측으로부터 수직형성한 받침 리브부재(200a)는 상기 흡음방(142)과 만나는 위치에서 최고위치(H)를 갖고, 상기 흡음방(142)의 외부면을 따라 하향 곡선면을 그리면서 받침 리브부재(200a)의 상부면을 형성하며, 상기 흡음방(142)의 중심축으로부터 수직하여 일치하는 받침 리브부재(200a)의 위치가 최저위치(h)의 상부면을 형성하고, 이어서, 상승 곡선면을 그리면서 상기 최고위치와 동일한 또 하나의 최고위치(H')를 갖고, 수직하강하여 본체(110)에 연속한 외부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경우, 상기 받침 리브부재(200a)가 형성하는 곡률은 흡음방(142)의 원주곡률과 일치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음방 받침리브(200)의 곡선 상부면에는, 흡음방(142)의 외부면이 그리는 곡선면을 따라 쿠션재(165)가 올려져 장착됨에 따라, 상기 흡음방(142)내의 모터(미도시)의 회전구동으로 발생된 진동을 흡수함으로서, 상기 진동에 따른 소음발생을 감소시키고, 상기 흡음방 받침리브(200)의 단면구조가 본체(110)와 같이 두껍고, 견고한 일체형으로 연속한 형상으로 구성됨으로서, 안정된 흡음방(142)의 안착 및 받침 리브부재(200a) 자체의 울림발생이 차단되어 외부로의 소음발생을 감소시킨다.
한편,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음방 받침리브(200)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흡음방(142)의 외부면을 따라 형성된 상기 흡음방 받침리브의 상부면 곡선형상은 다음과 같이 형성된다. 즉, 수직한 일측 최고위치(H)의 받침 리브부재(200a)로부터 또다른 일측 최고위치(H')의 받침 리브부재(200a)까지 형성된 상부면 중간에 다수개의 수직한 요홈(201)을 하방으로 형성함으로서, 상기 흡음방(142)의 외부면과 접촉하는 쿠션재(165)와의 불필요한 면접촉을 줄이게 되어 상기 흡음방(142)의 내부로부터 발생된 진동을 외부 전달하는 것을 최소화하고, 소음발생을 줄이며, 흡음방 받침리브(200)의 외부구조가 상기 요홈(201)의 구성으로 견고하게 되어 내구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음방 받침리브가 흡음실에서 흡음방의 외부 둘레면의 일부가 쿠션재를 매개로 곡선면을 따라 장착됨으로서, 상기 흡음방 내부의 진동을 상기 흡음방 받침리브의 전체 상부면에서 상기 쿠션재를 통하여 최대한 흡수하여 상기 진동에 따른 소음발생을 최소화하고, 외부구조상 본체에 연속하여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내구성이 뛰어나며, 상기 진동에 따른 받침 리브부재의 자체 울림을 배제할 수 있으며, 더욱이 단순한 금형제작이 가능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는 실질적인 효과가 발생한다.

Claims (3)

  1. 진공청소기(100)의 내부에 장착된 모터(140)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쿠션재(165)를 상부면에 장착된 흡음방 받침리브(200)에 있어서, 상기 모터(140)가 장착되는 흡음방(142)의 일측 하부면에서 일체로 형성되고, 흡음방(142)의 원주곡률과 일치하는 상부면의 곡률을 가지며, 본체(110)의 하부면과의 사이에는 일정공간을 형성하는 받침 리브부재(200a)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음방 받침리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의 일측으로부터 수직형성한 상기 받침 리브부재(200a)가 흡음방(142)과 만나는 위치에서 최고위치(H)를 이루고, 상기 흡음방(142)의 중심축으로부터 수직하여 일치하는 받침 리브부재(200a)의 위치가 최저위치(h)의 상부면을 이루며, 상기 최고위치(H)와 동일한 높이의 최고위치(H')를 대칭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음방 받침리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고위치(H)를 갖는 받침 리브부재(200a)로부터 또다른 일측에서 최고위치(H')를 갖는 받침 리브부재(200a)까지 형성된 상부면 중간에 다수개의 수직한 요홈(201)을 하방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음방 받침리브.
KR1019950050177A 1995-12-15 1995-12-15 진공청소기의 흡음방 받침리브 KR0136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0177A KR0136325B1 (ko) 1995-12-15 1995-12-15 진공청소기의 흡음방 받침리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0177A KR0136325B1 (ko) 1995-12-15 1995-12-15 진공청소기의 흡음방 받침리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2657A KR970032657A (ko) 1997-07-22
KR0136325B1 true KR0136325B1 (ko) 1998-04-28

Family

ID=19440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0177A KR0136325B1 (ko) 1995-12-15 1995-12-15 진공청소기의 흡음방 받침리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632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2657A (ko) 1997-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36336B1 (en) Vacuum cleaner with silencing device
JP2934598B2 (ja) 騒音減少システムを備えた真空掃除機
US20080179133A1 (en) Sound dampening passage and surface cleaning apparatus with same
US20060137308A1 (en) Dust collection unit for vacuum cleaner
JPH0531050A (ja) 真空掃除機
KR101068347B1 (ko) 전기 청소기
US20110088207A1 (en) Nozzle for a vacuum cleaner
KR0136325B1 (ko) 진공청소기의 흡음방 받침리브
KR0136323B1 (ko) 진공청소기의 후방 받침리브
KR100444327B1 (ko)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필터 지지구조
KR970003053Y1 (ko) 진공청소기의 전동송풍기 및 인쇄회로기판 장착구조
KR200143215Y1 (ko) 진공청소기 흡음방의 차음보강구조
CN216962322U (zh) 异形导流罩、风机组件以及清洁机器人
KR970011849B1 (ko) 진공청소기 흡음방의 진동흡수구조
KR101044829B1 (ko) 진공청소기의 모터체임버
CN220964498U (zh) 降噪电机及吸尘器
KR0136318B1 (ko) 하부 가이드베인(Guide Vane)을 부착한 흡음방
KR970011846B1 (ko) 진공청소기의 흡음방 구조
JP3982322B2 (ja) 電気掃除機
KR200143228Y1 (ko) 진공청소기 흡음방의 차음 보강구조
KR0148955B1 (ko) 조립이 용이한 흡음방구조
KR960009310Y1 (ko) 진공청소기 흡음방의 차음보강구조
KR950012122B1 (ko) 저소음 진공청소기
KR930008363B1 (ko) 저소음 진공청소기
KR200143211Y1 (ko) 진공청소기 모터의 진동완충재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6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