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5684B1 - 복합조리기의 용기감지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복합조리기의 용기감지장치 및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5684B1
KR0135684B1 KR1019940021630A KR19940021630A KR0135684B1 KR 0135684 B1 KR0135684 B1 KR 0135684B1 KR 1019940021630 A KR1019940021630 A KR 1019940021630A KR 19940021630 A KR19940021630 A KR 19940021630A KR 0135684 B1 KR0135684 B1 KR 0135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high frequency
microwave oven
induction heating
hea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1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8175A (ko
Inventor
이응화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40021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5684B1/ko
Publication of KR960008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5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56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47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7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 H05B6/6488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combined with induction hea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rol Of High-Frequency Heating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조리기의 용기감지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도가열장치와 전자렌지가 병합된 복합조리기에 있어서 투입된 용기의 재질을 판별하여 그에 적합한 가열방식을 자동으로 선택하여 주는 복합조리기 용기감지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복합조리기 용기감지 장치에서는 전류트랜스 및 마이크로컴퓨터를 구비하고 전자렌지와 유도가열장치가 병합된 복합조리기의 용기 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렌지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용기의 재질에 따라 고자푸가 반사 및 투과량을 감지하는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가 감지한 고주파의 반사 및 투과량을 전압값으로 변환시키는 고주파 검출부와 상기 유도가열장치를 동작시켜 발생되는 고주파 자속이 철(Fe) 용기에 유도되는 특성에 의해 상기 전류트랜스에 흐르는 전류의 변화를 감지하는 금속용기판별장치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조리기 용기감지방법에서는 안테나, 고주파 검출부, 금속 용기 판별장치, 전류트랜스 및 마이크로컴퓨터를 구비하고 전자렌지와 유도가열장치가 병합된 복합조리기의 용기 감지방법에 있어서, 복합조리기내에 전원이 인가되면 유도가열장치를 시험운전하여 용기의 재질이 철(Fe)인지 비철인지를 판별하는 철 용기판별과정(L1)과 상기 과정후 투입된 용기의 재질이 비철이면 유도가열장치의 동작을 정지하고 전자렌지를 동작하여 발생되는 고주파에 의해 용기의 재질을 재차 판별하여 구리나 알루미늄 등 금속용기이면 에러발생신호를 출력하고 용기의 재질이 비금속이면 전자렌지를 구동시키는 고주파에 의한 용기 판별과정(L2)과 상기 금속용기판별과정(L1)에서 용기의 재질이 철(Fe)으로 판별될 경우에는 유도가열장치를 구동하고 사용자가 전자렌지 및 유도 가열장치의 연계동작을 선택하면 전자렌지를 동작하여 구조파에 의해 용기의 재질을 판별한 후, 비금속 용기나 복합용기일 경우에만 연계동작을 실행하는 연동방식의 용기판별과정(L3)으로 이루어져 용기의 재질을 판별하고 그에 적합한 가열방식을 선택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복합조리기의 용기감지장치 및 방법
제1도는 종래의 복합조리기 용기감지장치제어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조리기 용기감지장치회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조리기 용기감지장치제어 흐름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조리기 용기감지장치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원부 2 : 정류회로
3 : 전원공급장치 4 : 부하
5 : 전류감지부 6 : 마이크로컴퓨터
7 : 구동신호출력부 8 : 고주파검출부
9 : 철 용기감지부 10 : 전자렌지
11 : 유도가열장치 12,12' : 안테나
13 : 전류트랜스 14 : 검파 다이오드
15 : RC 필터 16 : 브릿지 다이오드
17 : 조리실 18 : 도파관
19 : 용기 20 : 키 입력부
본 발명은 복합조리기의 용기감지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도 가열장치와 전자렌지가 병합된 복합조리기에 있어서 투입된 용기의 재질을 판별하여 그에 적합한 가열방식을 자동으로 선택하여 주는 복합조리기 용기감지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동일 발명자에 의해 출원된(1993년 12월 15일, 특허출원 제27833호) 종래의 복합조리기 용기 감지장치는 제1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부전원을 복합조리기내의 각 부분에 인가하는 전원부(1), 인가된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전원공급장치(SMPS : Switching Modulation Power Supply)에 인가하는 정류회로(2), 복합조리기내에 각 부하에 알맞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3), 상기 전원 공급장치(3)로부터 구동전원을 공급받는 부하(4), 전원부(1)에서 정류회로(2)로 인가되는 전류를 감지하여 그 값을 마이크로컴퓨터(6)에 입력시키는 전류감지부(5), 복합조리기내의 각 회로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6), 마이크로컴퓨터(6)의 제어에 의해 전원공급장치(3)를 구동하는 펄스를 출력하는 구동신호출력부(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복합조리기 용기 감지장치는 유도가열장치를 약 0.1초동안 시험운전하여 발생하는 고주파자속이 철(Fe)용기일 경우에는 용기에 유도되어 금속용기에 와전류가 발생됨으로서 용기를 가열하게 되어 유도가열장치는 대전류가 필요하게 되며, 비철용기일 경우에는 고주파자속이 유도되지 못함으로 많은 전류가 필요하지 않게 되는 특성에 의해 유도가열장치내에 흐르는 전류값이 용기의 재질에 따라 상이하게 되어 전류감지부(5)에서는 이전류값을 감지하여 전압으로 변환시키고 마이크로컴퓨터(6)에 입력하면 마이크로컴퓨터(6)에서는 입력된 전압의 크기에 따라 용기의 재질이 철(Fe)인지 아닌지만을 판별하게 되어, 용기의 재질이 철(Fe)일 경우에는 전자렌지에서의 고주파에 의한 가열방식은 고주파가 용기를 투과하지 못하고 반사됨으로 사용이 부적합하여 고주파 자속을 유도하여 가열하는 유도가열장치를 동작시키고 비철용기일 경우에는 전자렌지를 동작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동작되는 종래의 복합조리기 용기 감지장치에서는 용기의 재질을 철(Fe) 또는 비 철인지만을 판별할 수 있어 사용자가 용기에 알맞은 키 조작을 해주어야 함으로 사용이 불편하고, 알루미늄 및 구리등의 금속용기에서도 전자렌지가 오동작하는 위험성을 내포하게 되어 복합조리기의 과열등을 유발하여 안전성에의 문제점이 상존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의 복합조리기 용기 감지장치 및 그 방법에서는 전자렌지에서 발생하는 고주파의 투과 및 반사 특성을 이용해 용기의 재질을 판별하는 판별장치를 추가함으로서 철(Fe)용기 뿐만 아니라 알루미늄 및 구리등의 금속용기, 유리 세라믹등 도기용기와 세라믹용기에 하부가 철(Fe)로 구성되어 복합조리기에 알맞은 복합용기등의 네 가지 종류의 용기가 판별가능하여 전자렌지의 오동작에 의한 위험을 방지하고, 단 하나의 키 입력으로 용기의 재질에 적합한 가열방식을 선택하여 줌으로서 편리성을 증대시킨 복합조리기 용기감지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복합조리기 용기감지 장치에서는 전류트랜스 및 마이크로컴퓨터를 구비하고 전자렌지와 유도가열장치가 병합된 복합조리기의 용기 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렌지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용기의 재질에 따라 고주파가 반사 및 투과량을 감지하는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가 감지한 고주파와 반사 및 투과량을 전압값으로 변환시키는 고주파 검출부와 상기 유도가열장치를 동작시켜 발생되는 고주파 자속이 철(Fe)용기에 유도되는 특성에 의해 상기 전류트랜스에 흐르는 전류의 변화를 감지하는 금속 용기판별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조리기 용기감지방법에서는 안테나, 고주파 검출부, 금속 용기 판별장치, 전류트랜스 및 마이크로컴퓨터를 구비하고 전자렌지와 유도가열장치가 병합된 복합조리기의 용기 감지방법에 있어서, 복합조리기내에 전원이 인가되면 유도가열장치를 시험운전하여 용기의 재질이 철(Fe)인지 비철인지를 판별하는 철 용기판별과정(L1)과 상기 과정후 투입된 용기의 재질이 비철이면 유도가열장치의 동작을 정지하고 전자렌지를 동작하여 발생되는 고주파에 의해 용기의 재질을 재차 판별하여 구리나 알루미늄등 금속용기이면 에러발생신호를 출력하고 용기의 재질이 비금속이면 전자렌지를 구동시키는 고주파에 의한 용기 판별과정(L2)과 상기 금속용기판별과정(L1)에서 용기의 재질이 철(Fe)으로 판별될 경우에는 유도가열장치를 구동하고 사용자가 전자렌지 및 유도 가열장치의 연계동작을 선택하면 전자렌지를 동작하여 고주파에 의해 용기 재질을 판별한 후, 비금속 용기나 복합용기일 경우에만 연계동작을 실행하는 연동방식의 용기판별과정(L3)으로 이루어져 용기의 재질을 판별하고 그에 적합한 가열방식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복합조리기 용기감지장치 및 그 방법은 제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부전원을 복합조리기내에 공급하여 주는 전원부(1), 인가된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전원공급장치(SMPS : Switching Modulation Power Supply)에 인가하는 정류회로(2), 상기 정류회로(2)에서 직류전원을 인가받아 복합조리기내에 각 부하에 알맞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3), 복합조리기내의 각 회로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6), 전자렌지(10)의 조리실 하부 양측면에 설치된 두 개의 안테나(12)에 의해 감지된 고주파를 전압값으로 변환하여 마이크로컴퓨터(6)에 입력하는 고주파검출부(8), 유도가열장치(11) 상부에 투입되는 용기로 고주파 자속이 금속용기에 유도되는 특성에 따라 전류트랜스(13)에 흐르는 전류를 변화값을 감지하여 마이크로컴퓨터(6)에 입력함으로서 용기의 재질이 철(Fe)인지 비철인지를 판별하는 철 용기감지부(9), 고주파에 의한 유전 가열방식으로 음식물을 가열하는 전자렌지(10), 금속용기에 고주파 자속을 주사하여 금속용기에 발생되는 와류손에 의해 용기를 가열하는 유도가열장치(11)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용기감지장치 및 그 방법을 제2도 내지 제3도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복합조리기내에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투입하면 유도가열장치(11)가 0.1초 동안 시험운전을 시킴으로서(단계 101) 유도가열장치(11)내의 유도코일에서 발생하는 고전압에 의한 고주파 자속이 용기에 접촉되고 용기의 재질이 비금속일 경우에는 고주파 자속이 용기에 유도되지 않음으로 철 용기판별부(9)내의 전류트랜스(13)에는 대전류가 유기하지 않게 되며, 용기의 재질이 철(Fe)일 경우에는 유도 코일에서 발생되는 고전압에 의한 고주파 자속이 철(Fe)용기에 유도되고 여기서 와류손이 발생됨으로서 철 용기판별부(9)내의 전류트랜스(13)에는 대전류가 대전류가 필요하게 되어 여기서 흐르는 대전류 R4와 C3의 고역 RC필터를 통과한 후 브릿지 다이오드(16)에서 직류전류로 변환되고 R5와 R6에서 분압되어 C4에서 정류된 신호가 마이크로컴퓨터(6)에 입력되면 마이크로컴퓨터(6)는 전류의 변화값에 의해 용기의 재질이 철(Fe)인지 비철인지를 판별(단계 102)하는 철 용기 판별과정(L1)을 수행하면서 용기의 재질이 철(Fe)인지 또는 비철인지를 판별한다.
상기 고장에서 용기의 재질이 철(Fe)이 아니라면 유도 가열장치(11)에 의한 가열이 불가능함으로 유도가열장치(11)를 정지하고(단계 103) 고주파 가열방식을 선택하여 전자렌지(10)을 구동시켜(단계 104) 전자렌지(10) 하부 양측면에 설치되어 고주파를 감지하는 두 개의 안테나(12)(12')에 의해 고주파가 투입된 용기를 투과하는지의 여부를 재차 판별하게 된다(단계 105). 즉, 유도가열장치(11)에 의하여 용기의 재질이 철(Fe)이 아닌 비철이라고 판별될 경우일지라도 전자렌지(10)에 사용이 부적합한 금속재질의 용기 즉, 구리나 알루미늄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용기가 투입된 경우에는 고주파가 용기를 투과할 수 없게 되어 양측 안테나(12)(12')에서 검출되어 R1과 C1으로 이루어진 고역 RC 필터(15)에서 고주파를 통과시키고 검파 다이오드(14)에서는 2∼4GHz의 주파수 대역만을 통과시켜 R2, C3 및 R3로 구성된 정류회로에서 정류되어 마이크로컴퓨터(6)에 입력되는 고주파에 의한 두 개의 전압레벨은 큰 차이가 존재하고, 전자렌지(10)에서 사용이 적합한 세라믹등의 비금속의 재질을 지닌 용기를 경우에는 고주파가 용기를 투과하게 되어 두 개의 안테나(12)(12')에서 검출되어 마이크로컴퓨터(6)에 입력된 두 개의 전압레벨은 거의 차이가 없게 되는 특성에 의해 마이크로컴퓨터(6)는 용기의 재질을 판별하게 된다. 용기의 재질이 알루미늄 및 구리등의 금속류인지 세라믹 및 유리등의 비금속인지를 판별한 후(단계 105), 용기의 재질이 금속 즉 알루미늄이나 구리등으로 이루어져 있다면 사용자에게 즉각 경보를 발생하여 주고(단계 106) 용기의 재질이 비금속이라면 전자렌지(10)을 구동하는(단계 107) 고주파에 의한 용기 판별과정(L2)을 수행한다.
복합조리기내에 투입된 용기의 재질을 유도가열장치(11)에 의해 판별하여 용기가 철(Fe)이라면 유도가열장치(11)를 계속 동작시키고(단계 108) 유도가열장치(11)의 동작중에 사용자가 전자렌지(10)와 유도 가열장치(11)를 연계하여 사용하고자 키 입력부(20)를 조작하였다면 마이크로컴퓨터(6)는 전자렌지(10)를 동작시켜 고주파에 의해 용기의 재질이 금속인지 비금속인지를 다시 판별한 후 비금속용기 또는 세라믹등 도기류 용기의 하부가 철(Fe)로 이루어진 복합용기일 경우에는 연동동작을 계속 수행하고(단계 112) 용기의 재질이 금속이라면 경보를 발생하는(단계 106) 연동방식의 용기 판별과정(L3)를 수행한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조리기의 구성도로서 조리실(17) 내부의 도파관(18)을 통하여 출력되는 고주파가 투입된 용기(19)의 투과여부를 조리실 하부양측면에 설치된 안테나(12)(12')에서 각각 감지함으로서 용기의 재질을 판별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조리기 용기 감지장치 및 그 방법에서는 복합조리기내로 투입되는 용기의 재질을 철(Fe), 구리등 금속류, 세라믹등 도기류, 복합용기등 4가지로 분류하여 판별하고 여기에 적합한 가열방식을 선택함으로서 사용자의 편리성과 복합조리기의 안전성을 증대하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전류트랜스(13) 및 마이크로컴퓨터(6)를 구비하고 전자렌지(10)와 유도가열장치(11)가 병합된 복합조리기의 용기 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렌지(10)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용기의 재질에 따라 고주파가 반사 및 투과량을 감지하는 안테나(12)(12'), 상기 안테나(12)(12')가 감지한 고주파의 반사 및 투과량을 전압값으로 변환시키는 고주파 검출부(8), 상기 유도가열장치(11)를 동작시켜 발생되는 고주파 자속이 철(Fe)에 유도되는 특성에 의해 상기 전류트랜스(13)에 흐르는 전류의 변화를 감지하는 금속 용기판별장치(9)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조리기 용기감지장치.
  2. 안테나, 고주파 검출부, 금속 용기 판별장치, 전류트랜스 및 마이크로컴퓨터를 구비하고 전자렌지와 유도가열장치가 병합된 복합조리기의 용기감지방법에 있어서, 복합조리기내에 건원이 인가되면 유도가열장치를 시험운전하여 용기의 재질이 철(Fe)인지 비철인지를 판별하는 철 용기 판별과정(L1), 상기 과정후 투입된 용기의 재질이 비철이면 유도가열장치의 동작을 정지하고 전자렌지를 동작하여 발생되는 고주파에 의해 용기의 재질을 재차 판별하여 구리나 알루미늄등 금속용기이면 에러발생신호를 출력하고 용기의 재질이 비금속이면 전자렌지를 구동시키는 고주파에 의한 용기 판별과정(L2), 상기 금속용기 판별과정(L1)에서 용기의 재질이 철(Fe)으로 판별될 경우에는 유도가열장치를 구동하고 사용자가 전자렌지 및 우도 가열장치의 연계동작을 선택하면 전자렌지를 동작하여 고주파에 의해 용기의 재질을 판별한 후, 비금속 용기나 복합용기일 경우에만 연계동작을 실행하는 연동방식의 용기판별과정(L3)으로 이루어져 용기의 재질을 판별하고 그에 적합한 가열방식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조리기 용기감지방법.
  3. 상기 1항에 있어서 고주파 검출부(8)는 전자렌지(10)의 조리실(17) 하부 양측면에 설치되어 고주파를 감지하는 안테나(12), R1과 C1으로 구성되어 전자렌지(10)에서 발생된 고주파성분만을 통과시키는 고역 RC필터(15), 고역 RC필터(15)를 통과한 고주파 성분중 2∼4GHz대의 고주파만을 선택하여 통과시키는 검파디이오드(14), R2, C2 및 R3로 이루어져 검파다이오드(15)를 통과한 신호를 정류하여 마이크로컴퓨터(6)에 인가하는 정류회로(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조리기 용기감지장치.
KR1019940021630A 1994-08-30 1994-08-30 복합조리기의 용기감지장치 및 방법 KR0135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1630A KR0135684B1 (ko) 1994-08-30 1994-08-30 복합조리기의 용기감지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1630A KR0135684B1 (ko) 1994-08-30 1994-08-30 복합조리기의 용기감지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8175A KR960008175A (ko) 1996-03-22
KR0135684B1 true KR0135684B1 (ko) 1998-04-23

Family

ID=19391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1630A KR0135684B1 (ko) 1994-08-30 1994-08-30 복합조리기의 용기감지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56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7924A (ko) 2007-07-16 2009-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장치와 그 제어방법
KR101408265B1 (ko) * 2011-04-22 2014-06-17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취반기의 취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8175A (ko) 1996-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81147A1 (en) Induction heating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loaded-object on the induction heating device
US736868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nsing load of electric cooker
US6242721B1 (en) Cooktop with a non-metallic hotplate
KR101905662B1 (ko) 자성 및 비자성 용기 겸용 유도가열 조리기
JPH07211453A (ja) 誘導加熱機能付電子レンジ及びその制御方法
KR0135684B1 (ko) 복합조리기의 용기감지장치 및 방법
EP2209352A1 (en) Induction cooking heater and method for the control thereof
Tanaka A new induction cooking range for heating any kind of metal vessels
KR100241449B1 (ko) 전자 유도 가열 조리기의 소물부하 판정장치 및 방법
KR101707881B1 (ko) 용기 인식 기능을 구비한 유도가열 조리기 및 유도가열 조리기의 용기 인식 방법
KR0152839B1 (ko) 유도가열조리기의 조리용기 재질판정장치
KR100186424B1 (ko) 전자조리기의 소물부하 판정장치 및 방법
KR19990002751A (ko) 복합조리기의 구동 제어장치 및 방법
EP3869913B1 (en)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0206844B1 (ko) 유도가열 조리기의 가열제어 장치
KR0139270Y1 (ko) 복합조리기의 용기감지장치
KR0176814B1 (ko) 유도가열조리 겸용 전자레인지 및 그 제어방법
KR100230775B1 (ko) 유도가열 조리기의 가열제어 방법
KR0162409B1 (ko) 유도가열조리기
KR100239365B1 (ko) 유도가열 조리기의 부하판정 및 가열방법
KR100273027B1 (ko) 유도가열조리기의용기판정및과전류보호회로
JPH0613168A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0360224B1 (ko) 복합조리기및그의제어방법
KR200251446Y1 (ko) 유도가열 적합성을 판별하는 전자 유도 가열장치
KR970004034Y1 (ko) 유도 가열 밥솥에서 압력취사/일반취사의 선택 취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