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5227Y1 - 학습용 카드 자동 판매기 - Google Patents

학습용 카드 자동 판매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5227Y1
KR0135227Y1 KR2019950026260U KR19950026260U KR0135227Y1 KR 0135227 Y1 KR0135227 Y1 KR 0135227Y1 KR 2019950026260 U KR2019950026260 U KR 2019950026260U KR 19950026260 U KR19950026260 U KR 19950026260U KR 0135227 Y1 KR0135227 Y1 KR 01352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gear
vending machine
roll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62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4913U (ko
Inventor
지태현
정진수
Original Assignee
지태현
정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태현, 정진수 filed Critical 지태현
Priority to KR20199500262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5227Y1/ko
Publication of KR9700149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49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52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52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ticket printing or like apparatus, e.g. apparatus for dispensing of printed paper tickets or payment c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4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adapted to support articles substantially horizontally, e.g. for separation from top of pile
    • B65H1/06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adapted to support articles substantially horizontally, e.g. for separation from top of pile for separation from bottom of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3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 B65H2301/4232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 B65H2301/42322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from bottom of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4Cards, e.g. telephone, credit and identity c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65H3/063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separating from the bottom of pil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00Coin inlet arrangements; Coins specially adapted to operate coin-freed mechanisms
    • G07F1/02Coin slo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영어 단어나 숙어 및 한자나 고사성어등 학습용으로 사용하는 카드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으로, 자동판매기 본체(1)의 내부 중간에 격판(2)을 수평으로 설치하여 상부는 브라운관 설치부(3)와 기기설치부(4)를 형성하되 상부의 브라운관 설치부(3)에는 브라운관(5)과 작동용 기판(6)을 설치하고,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기기설치부(4)의 일측에는 주화수납실(7)이 설치하고 타측에는 오락용 기판(8)이 설치하며 중앙부에는 카드인출기(9)가 설치하며, 본체(1)의 전면에는 투시창(10)을 형성하며 일측 하단에는 주화투입구(12)를 설치하고 그 하단에는 게임용 손잡이(13)와 보턴(14)이 설치되어 있는 작동판(15)을 설치하며, 본체(1)의 하단 중앙부에는 인출공(16)을 형성하며 뚜껑(17)에는 휀(18)을 설치하여서 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게 제작이 용이하고 단어나 한자가 인쇄되어 있는 카드를 얻음과 동시에 전자오락을 서비스로 즐길 수가 있기 때문에 전자오락으로 인한 지출을 줄일 수가 있으며, 학생들이 단어나 숙어가 있기 때문에 전자오락으로 인한 지출을 줄일 수가 있으며, 학생들이 단어나 숙어장을 일일이 만들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가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학습용 카드 자동판매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뚜껑을 연 상태의 배면도.
제3도는 본 고안 카드 인출기의 측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 인출기의 작동기어부를 보인 배면도.
제5도는 본 고안 인출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 카드 인출기의 실시예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제7도는 본 고안 실시예의 작동기어부를 보인 배면도.
제8도의 (a)는 본 고안 카드의 정면도.
(b)는 본 고안 카드의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자동판매기 본체 2 : 격판
3 : 브라운관 설치부 4 : 기기설치부
5 : 브라운관 6,47 : 기판
8 : 오락용 기판 9 : 카드인출기
10 : 투시창 12 : 주화투입구
13 : 손잡이 14 : 보턴
15 : 작동판 16 : 인출공
17 : 뚜껑 18 : 휀
20 : 전면판 21 : 후면판
22 : 카드수납실 23 : 카드인출부
25 : 도어 26 : 고정판
27: 구동모우터 25 : 도어
26 : 고정판 27 : 구동모우터
28 : 감속기 29 : 구동기어
30 : 인출로울러 31,32,34,38,39,42 : 작동기어
33 : 받침로울러 35,35' : 안내로울러
36 : 경사판 37 : 안내판
40 : 멈춤스위치 41 : 당김로울러
41' : 회동로울러 44 : 연동기어
45 : 안내레일 46 : 감지센서
48 : 카드흡입구
본 고안은 영어 단어나 숙어 및 한자나 고사성어 등 학습용으로 사용하는 카드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으로, 본체이 내부 일측에 주화투입구를 설치하고 중앙부에는 브라운관을 설치하며 그 하단부에는 주화수납통과 카드인출기 및 오락용 기판을 설치하여 주화 투입시 카드가 인출됨과 동시에 보너스로 전자 오락게임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생들이 영어단어나 숙어 또는 한자나 고사성어 등을 암기하고자 할 때에는 조그만 수첩이나 종이에 단어나 숙어 또는 한자나 고사성어를 기재하여 단어장을 만들고 이 단어장을 전철이나 차안 또는 쉬는 시간을 이용하여 암기하여 왔던 바, 상기와 같은 단어장은 종이나 수첩에 단어를 일일이 기재하여야 하는 불편함과 단순히 단어와 해석만을 기재하여 보기 때문에 이해하기가 힘든 단점이 있었으며, 단어장이 지폐로 되어있기 때문에 물이나 손의 땀에 의하여 파손되므로서 수명이 짧은 단점이 있었고 장기간 살펴볼 경우 지폐가 밀리거나 파손되어 미관상 보기가 흉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단순히 로울러를 이용하여 카드를 인출판매하는 카드판매기(국내 공개 실용신안공보 93-7280호)가 안출되었는 바, 상기의 고안은 주화를 투입할 경우 적재부의 하단에 설치되어 있는 로울러가 회전하여 카드가 인출되도록 하였으나 상기의 고안은 카드인출기 단순히 로울러의 구동에 의하여 카드가 인출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한번에 여러장의 카드가 인출되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카드판매기 이외의 효과를 얻을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에는 자동판매기를 이용하여 상품을 구입하게 되면 게임을 할 수 있도록 된 전자오락기가 부설된 상품자동판매기(국내 공개 실용신안공보 94-19565호)가 안출되었으나 상기의 고안은 주화를 투입할 경우 인출기가 껌이나 사탕이나 내장된 박스를 밀대가 밀어 인출구로 떨어져 인출되게 하고 이와 동시에 주화가 스위치를 작동시켜 컴퓨터 오락을 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판매되는 물품이 상자로 포장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불필요하게 상품의 단가가 고가인 단점이게 되므로서 주로 학생들을 상대로 하는 판매기이기 때문에 제품이 사탕이나 껌등으로 한정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영어단어나 한자를 카드에 인쇄하여 자동판매기를 통하여 판매하고 카드가 인출됨과 동시에보너스로 전자 오락게임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주화가 투입되면 물건이 자동으로 인출되는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자동판매기 본체(1)의 내부 중간에 격판(2)을 수평으로 설치하여 상부는 브라운관 설치부(3)와 기기설치부(4)을 형성하되 상부의 브라운관 설치부(3)에는 브라운관(5)과 작동용 기판(6)을 설치하고,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기기설치부(4)의 일측에는 주화수납실(7)이 설치하고 타측에는 오락용 기판(8)이 설치하며 중앙부에는 카드인출기(9)가 설치하고, 본체(1)의 전면에는 투시창(10)을 형성하며 일측 하단에는 주화투입구(12)를 설치하고 그 하단에는 게임용 손잡이(13)와 보턴(14)이 설치되어 있는 작동판(15)을 설치하며, 본체(1)의 하단 중앙부에는 인출공(16)을 형성하며 뚜껑(17)에는 휀(18)을 설치하여서 된 것으로서, 미설명 부호 19는 카드를 보인 것이다.
상기 카드인출기(9)는 전면판(20)과 후면판(21)으로 분리하여 내부 일측은 카드수납실(22)을 형성하고 타측은 카드인출부(23)를 형성하되 카드수납실(22)의 일측에는 도어(25)를 설치하여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하고, 타측은 고정판(26)을 설치하여 밀폐되게 하면서 전, 후면판(20)(21)가 고정되게 한다.
인출기(9)의 하단부에는 감속기(28)가 설치되어 있는 구동모우터(27)를 설치하되 구동축의 끝단부는 후면판(21)의 외부로 돌출되게 하여 구동기어(29)를 체결하고 그 상부 양측에는 완충용으로 되어 있는 인출로울러(30)가 체결되어 있는 1, 2작동기어(31)(32)를 설치하여 구동기어(29)와 연동되게 하고, 일측 2작동기어(32)에는 카드를 받을 수 있는 받침 로울러(33)가 체결되어 있는 3작동기어(34)를 설치하여 연동되게 한다.
받침로울러(33)의 일측에는 상, 하로 설치되어 있는 안내로울러(35)(35')를 설치하고 그 일측 상부에는 경사판(36)을 설치하며 하단부에는 안내판(37)을 설치하여 인출공(16)에 연결하되 받침로울러(33)와 상, 하 안내로울러(35)(35')에는 3,4,5작동기어(34)(38)(39)를 체결하여 연동되게 하고, 경사판(36)이 일측에는 멈춤스위치(40)를 설치한다.
[실시예 1]
상기 인출기(9)이 실시예로 안내 로울러(35)(35')의 일측 상, 하부에 당김로울러(41)와 회동로울러(41')를 설치하되 당김로울러축의 외부에는 6작동기어(42)를 설치하여 연동되게 하되, 6작동기어(42)의 일측에는 연동기어(44)를 설치하여 5작동기어(39)와 연결하여 6작동기어(42)가 회전되게 하고, 인출기(9)의 일측에는 안내레일(45)을 설치하되 감지센서(46)가 설치되어 있는 기판(47)을 상부에 카드흡입구(48)로 설치하고 하단부 일측에는 작동스위치(40)를 설치하여도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판매기의 후문을 열고 인출기(9)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카드 수납실(22)에 카드를 수납시킨 다음 주화투입구(12)에 주화를 투입시키면 주화는 작동스위치를 작동시키면서 주화수납실(7)로 모이게 되고, 이와 동시에 인출기(9)의 일측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모우터(27)가 작동하게 된다.
구동모우터(27)가 작동됨과 동시에 구동축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기어(29)가 작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구동기어(29)에 의하여 그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1.2작동기어(31)(32)가 회동하게 된다.
즉, 1.2작동기어(31)(32)의 축에 설치되어 있는 완충용 인출로울러(30)가 회동하면서 그 상부에 올려져 있는 카드가 일측으로 이송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1.2작동기어(31)(32)가 회동하게 되면 2작동기어(32)에 체결되어 있는 3작동기어(34)가 회전되면서 그 축에 설치되어 있는 받침로울러(33)에 의하여 일측으로 이송하게 된다.
일측으로 이송된 카드는 상, 하 안내로울러(35)(35')에 의하여 일측으로 이동하여 경사판(36)에 부딪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카드는 경사판(36)에 설치되어 있는 멈춤 스위치(40)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위로 떨어져 안내판(37)을 타고 인출공(16)을 통하여 외부로 나오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카드가 수납되어 있는 인출로울러(36)가 하나의 카드를 인출한 다음 계속 카드를 인출하게 되며 카드가 멈춤 스위치(40)를 작동시키면 구동모우터(27)가 정지되고 이와 동시에 모든 기어가 정지하게 되며, 다음 카드가 안내로울러(35)(35')에 물려 있는 상태에서 정지하게 되고 주화에 의하여 다시 작동되면 다음 카드가 멈춤스위치(40)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멈추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주화가 투입되면 작동스위치는 구동모우터(27)와 오락용 기판(8)을 작동시키는 스위치의 역활을 함께 하기 때문에 카드가 인출되면 주화를 투입한 사람은 카드를 가진다음 판매기에 설치되어 있는 손잡이(13)와 보턴(14)을 이용하여 투시창(10)를 보면서 오락을 즐길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제5도에서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는 자동판매기가 별도로 판매되는 카드를 삽입할 경우, 카드흡입구(48)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감지센서(46)에 의하여 오락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자동판매기에 카드투입구를 설치하고 여기에 인출기(9)의 카드흡입구(48)를 설치한 다음 카드를 투입하면 카드흡입구(48)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기판(47)과 감지센서(46)에 의하여 정상적인 카드로 감지가 되면 기판(47)에 의하여 구동모우터(27)역으로 작동됨과 동시에 오락을 할 수 있는 작동스위치가 작동되어 인출기(9)가 카드를 흡입하게 되면 오락을 할 수가 있는 것이다.
즉, 모우터(27)가 역회전을 하게 되면 모우터(27)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기어(29)와 이와 연결되어 있는 1,2,3,4,5작동기어(31)(32)(34)(38)(39)와 연동기어(44)에 의하여 흡입구측에 설치하여 있는 6작동기어(42)가 작동되고 이와 동시에 작동기어(42)에 설치되어 있는 당김로울러(41)의 회전에 의하여 회동로울러(41')가 받치면서 카드를 흡입하게 된다.
흡입된 카드는 당김로울러(41)와 회동로울러(41')를 통과한 다음 안내로울러(35)(35')와 받침로울러(33)에 이하여 수납실(22)의 내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카드는 뚜껑에 의하여 제자리에서 있게 되며, 다른 카드가 유입되면 선 카드의 일단부가 상부로 들려 있기 때문에 안내로울러(35)(35')에 의하여 유입되는 카드가 선 카드의 하단부로 밀고 들러오면서 선 카드를 상부로 밀어 올려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영어단어나 한자를 카드에 인쇄하여 자동판매기를 통하여 판매하고 카드가 인출됨과 동시에 보너스로 전자 오락게임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단어나 한자가 인쇄되어 있는 카드를 얻음과 동시에 전자오락을 서비스로 즐길 수 있기 때문에 전자오락으로 인한 지출을 줄일 수가 있으며, 학생들이 단어나 숙어장을 일일이 만들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가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주화가 투입도면 물건이 자동으로 인출됨과 동시에 전자오락을 할 수 있도록 된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카드인출기(9)는 전면판(20)과 후면판(21)으로 분리하여 내부 일측은 카드수납실(22)을 형성하고 타측은 카드인출기(23)를 형성하되 카드수납실(22)의 일측에는 도어(25)를 설치하여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하며, 타측은 고정판(26)을 설치하여 밀폐되게 하면서 전, 후면판(20)(21)이 고정되게 하고, 인출기(9)의 하단부에는 감속기(28)가 설치되어 있는 구동모우터(27)를 설치하되 구동축의 끝단부는 후면판(21)의 외부로 돌출되게 하여 구동기어(29)를 체결하고 그 상부 양측에는 완충용으로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는 인출로울러(30)가 체결된 1.2작동기어(31)(32)를 설치하여 구동기어(29)와 연동되게 하고, 일측 2작동기어(32)에는 카드를 받을 수 있는 받침 로울러(33)가 체결되어 있는 3작동기어(34)를 설치하여 연동되게 하며, 받침로울러(33)의 일측에는 상, 하로 설치되어 있는 안내로울러(35)(35')를 설치하고 그 일측 상부에는 경사판(36)을 설치하며 하단부에는 안내판(37)을 설치하여 인출공(16)에 연결하되 받침로울러(33)와 상, 하 안내로울러(35)(35')에는 3,4,5작동기어(34)(38)(39)를 체결하여 연동되게 하고, 경사판(36)의 일측 하단에는 스위치(40)를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카드 자동판매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기(9)의 안내 로울러(35)(35')의 일측 상, 하부에 당김로울러(41)와 회동로울러(41')를 설치하되 당김로울러축의 외부에는 6작동기어(42)를 설치하여 연동되게 하되, 6작동기어(42)의 일측에는 연동기어(44)를 설치하여 5작동기어(39)와 연결하여 6작동기어(42)가 회전되게 하고, 인출기(9)의 일측에는 안내레일(45)을 설치하되 감지센서(46)가 설치되어 있는 기판(47)을 상부에 카드흡입구(48)로 설치하여 구동모우터(27)의 역회전에 의하여 카드가 수납실로 유입되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카드 자동판매기.
KR2019950026260U 1995-09-26 1995-09-26 학습용 카드 자동 판매기 KR01352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6260U KR0135227Y1 (ko) 1995-09-26 1995-09-26 학습용 카드 자동 판매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6260U KR0135227Y1 (ko) 1995-09-26 1995-09-26 학습용 카드 자동 판매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4913U KR970014913U (ko) 1997-04-28
KR0135227Y1 true KR0135227Y1 (ko) 1999-03-30

Family

ID=19424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6260U KR0135227Y1 (ko) 1995-09-26 1995-09-26 학습용 카드 자동 판매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522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258A (ko) * 2000-06-08 2000-11-06 현의섭 자동판매기를 이용한 모의시험 시행방법 및 그 프로그램이수록된 씨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4913U (ko) 1997-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83099B2 (en) Apparatus for vending lottery tickets
US6578847B1 (en) Protected coin tray for use with a gaming device
USRE46472E1 (en) Slot-type gaming machine with improved cabinet
US7153209B2 (en) Gaming device having independently linearly moveable symbol indicators
CA2078145C (en) Ticket dispensing device and method
US8192268B1 (en) Instant lottery ticket vending machine with ticket reveal and scan for computer generated display of results
EP1530173A2 (en) Gaming device having a secondary display
US20050129449A1 (en) Vertically mounted modular printer system
KR0135227Y1 (ko) 학습용 카드 자동 판매기
US20060035698A1 (en) Gaming device and method
US20170372557A1 (en) Pull tab ticket handler and revealer with computer generated display
JP2646070B2 (ja) パチンコ遊技機
JP3738893B2 (ja) 遊技機
CA2522369C (en) Apparatus for vending lottery tickets
KR200230742Y1 (ko) 학습용 카드 자동 판매기와 게임기및 상품용 복권인출기가 일체로 설치된 탁자
KR200337079Y1 (ko) 지폐 저금통
KR200221845Y1 (ko) 주화와 카드를 겸하여 사용할수 있는 상품 인출용 오락기
KR100375793B1 (ko) 신문 자동판매기
JP4261333B2 (ja) 遊技機
JPH0532144Y2 (ko)
JP2561606B2 (ja) 景品放出ゲーム機
KR100307196B1 (ko) 신문자동판매기의신문인출방법과그장치
JPH0719498Y2 (ja) ルーレット遊戯具
KR200309397Y1 (ko) 소형 복권 판매기
KR200211780Y1 (ko) 오락기용 카드 인출기의 카드 투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