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4993B1 - 회전동력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회전동력 발생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4993B1
KR0134993B1 KR1019950009153A KR19950009153A KR0134993B1 KR 0134993 B1 KR0134993 B1 KR 0134993B1 KR 1019950009153 A KR1019950009153 A KR 1019950009153A KR 19950009153 A KR19950009153 A KR 19950009153A KR 0134993 B1 KR0134993 B1 KR 0134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plate
power
fixed
braking
storage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9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7507A (ko
Inventor
김진부
Original Assignee
김진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부 filed Critical 김진부
Priority to KR1019950009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4993B1/ko
Publication of KR960037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7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4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49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23/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other elements; Other transmissions
    • B62M23/02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other elements; Other 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wo or more dissimilar sources of power, e.g. transmissions for hybrid motor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9/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 B62M9/04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changeable rati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각종 주행수단의 회전동력 발생장치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기준 자전거나 자동차, 모터싸이클 등의 회전주행수단의 브레이킹시 소모에너지를 비축하여 회전구동 에너지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통상의 자전거(1), 또는 자동차(40) 등의 고정샤프트(4)나 차축(41)에는 회전구동수단(A)과, 상기 회전구동수단(A)이 브레이킹시에 완전제동되기 까지 차륜의 회전동력을 동력비축수단(C)으로 동력절환할 수 있는 동력절환수단(B)과, 상기 동력절환수단(B)과, 동력비축수단(C)의 역회전방지를 위한 역회전방지수단(D,D')을 구비한 것이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각종의 주행수단

Description

회전동력 발생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자전거의 개략적인 정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적용된 자전거 전,후륜 축부의 확대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적용된 자동차 차축의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A : 회전구동수단 B : 동력절환수단
C : 동력비출수단 D,D' : 역회전방지수단
1 : 자전거 2,3 : 전,후륜
4 : 고정샤프트 5 : 프레임
6 : 베어링 7,7' : 허브
7a : 래칫베어링 8 : 래칫기어
9 : 체인기어 10 : 페달
11 : 체인기어 12 : 체인
13 : 스파이럴스프링 14 : 조작레버
15 : 래칫기어 15' : 폴
16 : 스플라인 17,17' : 클러치판
18 : 보스 19 : 연결스핀들
20,20' : 스포크 21 : 케이스
22 : 래칫기어 22' : 폴
23 : 핸들 24 : 브레이크레버
25 : 와이어 26 : 작동레버
27 : 스러스트베어링 28 : 와이어
40 : 자동차 41 : 차축
42 : 연결스핀들 43 : 스파이럴스프링
44 : 케이스 45 : 스플라인
46 : 보스 47,47' : 클러치판
48 : 브레이크페달 48' : 와이어
49 : 스러스트베어링 50 : 작동레버
51 : 래칫기어 52 : (차체의)프레임
53 : 폴 54 : 스플라인
55 : 보스 56,56',56'' : 클러치판
57 : 조작레버 58 : 와이어
59 : 스러스트베어링 60 : 작동레버
본 발명은 각종의 회전동력을 이용하여 주행할 수 있는 주행수단(예를 들면, 자전거, 모터싸이클, 자동차 등)상에 설치하여 브레이킹시의 회전동력을 비축하였다가, 필요시 이를 이용할 수 있도록한 회전동력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각종의 주행수단은 가속장치와 더불어 브레이킹장치(=제동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나, 브레이킹시에 소모되는 동력을 줄이고, 또한 소모되는 동력을 비축하였다가 필요시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수단이 부재하여 에너지의 낭비가 막대한 것이었다.
예를 들어 주행수단의 하나인 자전거와 같은 경우, 페달을 밟아 주행을 하다가 핸드레버를 잡고서 브레이킹을 시도할 때 전후륜의 회전동력 에너지는 브레이킹이 완전히 행하여 질 때 까지 그대로 소모되고 있는 실정이다. 물론 이러한 브레이킹시의 회전에너지의 소모는 모터싸이클이나 자동차와 같은 경우도 역시 동일하다.
본 발명의 출원인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차의 브레이킹시 소모되는 회전동력(즉, 회전운동에너지)을 비축하였다가, 필요시에 유효 적절히 활용할 수 있는 회전동력 발생장치를 기히 선특허 출원한 바 있는데, 선출원은 브레이킹시의 회전동력을 발전기를 사용하여 전기적으로 축전을 하여 필요시에 차륜을 구동할 수 있는 모터를 구동토록한 것이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소모에너지의 비축수단으로서 스파이럴스프링(spiral spring)을 사용한 신규한 기술수단을 개시코져 하는 것으로서, 이하의 부수되는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을 적용한 회전 주행수단중 대표적인 일예로 언급할 수 있는 자전거(1)에 관한 것으로서, 자전거(1)의 전후륜(2,3)에 본 발명의 회전동력 발생장치를 설치한 것으로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후륜(3)의 고정샤프트(4)는 통상 프레임(5)에 볼팅식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양단에 숫나사부(4')가 형성되어 있으며, 동 고정샤프트(4)상에는 베어링(6)에 의해 자유회전 가능한 허브(7)가 축삽고정된다.
상기한 허브(7)의 일측에는 래칫기어(8)가 내장되어 일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한 체인기어(9)가 나사결합되어 자전거(1)의 페달(10)과 동축상에 설치된 체인기어(11)와 체인(12)으로 연결되어 페달(10)의 회전에 따라 후륜(3)도 회전구동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자전거(1)의 후륜(3)구동부상에 브레이킹시에만 스파이럴스프링(13)이 회전압축되어 별도의 조작레버(14)를 조작시에 압축된 스파이럴스프링(13)이 탄성에 의하여 풀려지면서 자전거(1)에 회전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이러한 목적달성을 위하여 본원에서는 회전구동수단(A)과 회전구동수단(A)의 동력을 필요에 따라 스파이럴스프링(13)으로 연결 및 차단할 수 있는 동력절환수단(B)을 구비하며, 이러한 동력절환수단(B)에 의하여 스파이럴스프링(13)을 구비하여 회전동력 에너지를 비축에너지로 변환저장할 수 있는 동력비축수단(C)을 구비하며, 동력절환수단(B) 및 동력비축수단(C)의 역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역회전방지수단(D,D') 등을 구비하고 있는데, 고정샤프트(4)상에는 역회전방지수단(D)을 가진 연결스핀들(19)을 좌우회전 가능하게 축삽하되, 상기 역회전방지수단(D)은 폴(15')에 단속되어 일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한 래칫기어(15)로서 이루어지고, 상기 래칫기어(15)의 내측으로는 스플라인(16)이 형성되어 이에 슬라이드 가능한 클러치판(17)을 중심내연에 보스(18)를 형성하여 슬라이드 가능케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한 클러치판(17)과 선택적으로 맞물림될 수 있는 클러치판(17')을 자유회전 가능하게 연결스핀들(19)상에 관삽하며, 상기한 클러치판(17')은 통상의 자전거(1)에 설치되는 후륜(3) 체인기어(9)의 래칫기어(8)와 고정연결한다. 그리고 상기한 후륜(3) 체인기어(9)가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허브(7)는 양분체로 구성하도록 하며, 다수개의 방사상으로 연결되는 스포크(20,20')의 일단을 연결한다. 이를 보다 쉽게 이해하려면, 연결스핀들(19)상에 허브(7)의 양분체중 하나가 자유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허브(7)에 결합된 체인기어(9)는 회전하지 않고 자전거(1)의 후륜(3)에 제동을 가하였을 때 후륜(3)이 완전히 정지하기 전까지 이 회전동력을 연결스핀들(19)에 전달될 수 있도록 클러치판(17,17')을 동력절환수단(B)으로 채택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연력스핀들(19)의 일단부에는 케이스(21)내부에 매장되고 일단이 케이스(21)의 내연부에 고정되는 스파이럴스프링(13)의 타단, 즉 스파이럴스프링(13)의 중심부(13')를 고정토록 한다. 상기한 케이스(21)역시 연결스핀들(19)상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축삽되고 일단에는 역회전방지수단(D')인 래칫기어(22)가 연결되어 폴(22')에 의하여 역회전이 단속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한 케이스(21)와 래칫기어(22)상간에는 양분체중의 하나인 허브(7')가 형성되어 타측 스포크(20,20')가 다수개 방사상으로 연결되며, 상기한 허브(7')는 일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도록 래칫베어링(7a)으로 케이스(21)상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한 연결스핀들(19)상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설치되는 일측 클러치원판(17)은 자전거 핸들(23)의 브레이크레버(24)와 연결되는 또 하나의 와이어(25)단부와 연결하여 브레이킹시에 양 클러치원판(17,17')이 맞물림접속되어 후륜(3)이 회전동력을 비축하는 매개체로소의 역할을 수행토록 하되, 클러치원판(17)에는 와이어(25)와 연결되는 작동레버(26)를 스러스트베어링(27)으로 연결설치한다.
또한, 상기한 일측 역회전방지수단(D')의 폴(22') 역시 자전거(1)의 핸들(23)에 별도로 설치된 조작레버(14)와 와이어(28)로 연결하여 필요시에 스파이럴스프링(13)의 압축상태를 해체하여 회전동력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이러한 본 발명의 장치는 꼭히 예시한 자전거(1)뿐만 아니라 모터싸이클, 자동차(40)의 차축(41)등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제3도에 단면도로서 개시한 바와같이 자동차(40)의 차축(41)에 적용할 경우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자동차(40)의 차축(41)은 전륜, 후륜 등의 필요한 차축부위에 장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 역시 기본적으로 회전구동수단(A)과 동력절환수단(B), 동력비축수단(C), 역회전방지수단(D,D')을 가지는데, 차축(41)상에 자유회전 가능한 연결스핀들(42)을 축삽하고, 상기 연결스핀들(42) 일축 외연부에는 스파이럴스프링(43)의 중심부를 고정하되, 상기 스파이럴스프링(43)의 외연단부는 자유회전 가능한 케이스(44)의 내연부에 고정한다. 연결스핀들(42)의 타단부에는 차축(41)의 제동시 회전력을 상기 스파이럴스프링(43)에 전달하여 회전동력을 비축할 수 있도록 동력절환수단(B)을 설치한다. 즉, 연결스핀들(42)의 일측부에는 스플라인(45)을 형성하여 이에 일정폭 좌우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축공이 보스(46)로 이루어진 클러치판(47)을 부착하여 차축(41)상에 고정된 클러치판(47')과 선택적으로 맞물림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클러치판(47)의 슬라이드 작동은 자동차(4)의 브레이크페달(48)과 연결된 와이어(48')의 타단을 클러치판(47)상에 스러스트베어링(49)으로 회전시에도 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작동레버(50)를 설치함으로서 브레이크페달(48)을 밟게 되면 작동레버(50)에 의해 클러치판(47')과 맞물림 회동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한 연결스핀들(42)은 스파이럴스프링(43)이 압축회전시에 역회전하여 풀림되지 않도록 연결스핀들(42)상에는 래칫기어(51)를 축삽고정하여 차체의 프레임(52)에 설치된 폴(53)에 의햐여 정방향으로 연결스핀들(42)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스파이럴스프링(43)이 내장되는 케이스(44)는 비축된 동력을 사용할 시에 회동하면서 차축(41)에 비축된 회전동력을 전달하게 되는 매개체로서, 케이스(44)의 일측으로는 스플라인(54)이 형성되어 이에 일정폭 좌우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축공이 보스(55)로 이루어진 클러치판(56)을 부착하여 차축(41)상에 고정된 클러치판(56')과 선택적으로 맞물림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클러치판(56)의 슬라이드작동은 자동차(4)의 운전석등에 별도로 설치된 조작레버(57)에 일단이 연결된 와이어(58)의 타단을 클러치판(56)상에 스러스트베어링(59)으로 회전시에도 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작동레버(60)를 설치함으로서 조작레버(57)를 조작하면 작동레버에 의해 클러치판(56)이 스플라인(54)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차축(41)상의 클러치판(56')과 맞물림회동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한 케이스(44)상의 클러치판(56)이 차축(41)의 클러치판(56')과 분리되었을시에는 임의로 회동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하여 클러치판(56)의 일측, 즉 케이스(44)측 방향으로는 차체의 프레임(52)에 고정되고, 클러치판(56)과 선택적으로 맞물림될 수 있는 클러치판(56)을 설치한다.
도면중의 미설명부호 (29)는 폴(15',22')에 탄력설치되는 스프링을 도시한 것이며, (30)은 브레이킹레버와 브레이크패드 상간을 연결하는 와이어, (31)은 칼라, (61)은 베어링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작용으로 자전거(1)나 자동차(40) 또는 모터사이클 등의 브레이킹시 소모에너지를 동력비축수단(C)에 비축하였다가 필요시, 즉, 최초 스타팅시나 등반주행시, 엔진의 출력 저하시 등에 활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2도에 도시한 자전거(1)와 같은 경우는 탑승자가 통상의 탑승방법과 같이 자전거(1)에 탑승한 후, 페달(10)을 밟아 주행을 하다가 제동을 위하여 브레이크 레버(24)를 클램핑하게 되면, 상기 브레이크레버(24)에 연결된 와이어(30)에 의하여 공지된 작동으로 브레이크 패드 등에 의하여 전후륜(2,3)이 제동됨과 아울러 별도의 와이어(25)로 연결된 동력절환수단(B)의 일측 클러치판(17)이 체인기어(9)의 래칫기어(8)부와 연결된 클러치판(17')과 맞물림되면서 후륜(3)이 완정정지될 때 까지의 회전동력을 동력비축수단(C)의 스파이럴스프링(13)에 비축하게 되는데,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탑승자가 제동을 할 시에는 페달(10)을 밟지 않게 되므로 후륜(3)의 체인기어(9)는 공회전 상태에 있지만, 후륜(3)과 스포크(20,20') 및 허브(7)로 연결된 래칫기어(8)는 후륜(3)과 같이 후륜(3)이 완전 정지할 때 까지 회전을 하게 되는 바, 이때의 후륜(3) 회전에너지는 실상 소모되는 에너지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를 소모시키지 않고 비축할 수 있도록 래칫기어(8)가 회동시에 이의 회전동력을 동력절환수단(B)을 이용하여 동력비축수단(C)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는바, 이러한 작동은 후륜(3)이 회전하고 있을 때 브레이크레버(24)를 클램핑하면 이와 일단이 와이어(25)와 연결된 작동레버(26)가 클러치판(17)을 래칫기어(8)와 고정된 클러치판(17')쪽으로 슬라이딩시키게 되고, 이러한 클러치판(17)의 슬라이딩이 가능한 것은 클러치판(17)의 축공은 연결스핀들(19)의 스플라인(16)과 맞물림되어 슬라이드 가능한 보스(18)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며, 작동레버(26)는 클러치판(17)이 회동하더라도 원위치를 유지하면서 동력단속을 할 수 있도록 스러스트베어링(27)상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동력절환 작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양 클러치판(17,17')이 맞물림되면 후륜(3)의 회전동력은 래칫기어(8)와 동력절환수단(B)을 통하여 연결스핀들(19)을 회동케되고, 연결스핀들(19)에 중심부가 고정된 스파이럴스프링(13)을 압축 권회하게 된다.
이때 연결스핀들(19)의 일단부에는 래칫기어(15)가 부착되어 있고, 동 래칫기어(15)는 폴(15')에 의하여 일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도록 단속되어 있기 때문에 스파이럴스프링(13)이 압축 권회될 시에 역방향으로 풀리려고 하는 탄성은 단속되는 것이며, 이러한 스파이럴스프링(13)의 압축권회 작동은 탑승자가 브레이크레버(24)를 클램핑하여 브레이킹을 시도하여 자전거(1)가 완전히 정지할 때 까지 이루어진다.
자전거(1)가 브레이킹으로 인하여 완전히 정지하면 탑승자가 브레이크레버(24)를 언클램핑하게 되므로 연결스핀들(19)의 클러치판(17)이 작동레버(26)에 의해 래칫기어(8)에 고정된 클러치판(17')과 분리되어 탑승자가 정상적인 주행을 하면 되는 것이며, 동력비축수단(C)의 스파이럴스프링(13)에 비축된 회전동력은 탑승자가 필요시 회전동력으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바, 스파이럴스프링(13)에 비축된 회전동력을 활용코져 할 시에는 자전거(1) 핸들의 적정위치에 취부된 조작레버(14)를 작동하여 이와 와이어(28)로 연결되고 일측 허브(7')의 래칫기어(22)를 단속하고 있는 폴(22')을 해제시키면 스파이럴스프링(13)의 외단부와 연결되고 허브(7')와 일체로 고정된 케이스(21)가 스파이럴스프링(13)의 풀림탄성에 의하여 회전되고, 이는 당연히 허브(7')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어 후륜(3)이 회전구동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동력비축수단(C)에 비축된 회전 동력의 활용은 큰 회전동력을 요구하는 최초 스타팅시나 등반주행시에 활용하면 탑승자는 큰 힘을 들이지 않고서도 스타팅 및 등반주행을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비축된 회전동력을 필요시에 사용한 후 해제코져 할 시는 자전거(1) 핸들 상의 조작레버(14)를 원위치로 작동시키면 허브(7')일측의 래칫기어(22)에 폴(22')이 재차 맞물림되어 허브(7')의 회전은 단속되어 결국 스파이럴스프링(13)의 풀림작동은 정지비축 상태로 전환되는 것이며, 타측 허브(7)는 후륜(3)이 주행중 일 경우 공회전 상태로 회전을 하고 있으므로 아무런 장애없이 자전거(1)의 주행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제3도와 같이 자동차(40)에 본 발명의 회전동력 발생장치를 적용할 경우 역시 기본적 작용원리는 동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설치되는 차축(41)은 전륜 구동용 차축, 또는 후륜 구동용 차축(41)에 무관하게 적용할 수 있다.
자동차(40)와 같은 경우 역시 통상의 탑승, 주행방법으로 운전을 행하다가 제동을 위하여 브레이크페달(48)을 푸싱하게 되면, 상기 브레이크페달(48)에 연결된 케이블 등에 의하여 공지된 작동으로 브레이크 라이닝에 의하여 전, 후륜이 제동됨과 아울러 별도의 와이어(48')로 연결된 동력절환수단(B)의 일측 클러치판(47)이 차축(41)에 고정된 클러치판(47')과 맞물림되면서 차륜이 완전정지될 때까지의 회전동력을 동력비축수단(C)의 스파이럴스프링(43)에 비축하게 되는데,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운전자가 제동을 할 시에는 브레이크페달(48)을 밟게 되나, 자동차(40)가 완전히 정지할 때 까지는 차륜이 회전을 하게 되는바, 이 때 차륜의 회전에너지는 실상 소모되는 에너지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를 소모시키지 않고 동력비축수단(C)에 비축할 수 있도록 차축(41)이 회동시에 이의 회전동력을 동력절환수단(B)을 이용하여 동력비축수단(C)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는 바, 이러한 작동은 차륜이 고정된 차축(41)이 회전하고 있을 때 브레이크페달(48)을 푸싱하면 이와 일단이 연결된 와이어(48')와 연결된 작동레버(50)가 클러치판(47)을 차축(41)과 고정된 클러치판(47')쪽으로 슬라이딩 시키게 되고, 이러한 클러치판(47)의 슬라이딩이 가능한 것은 클러치판(47)의 축공은 연결스핀들(42)의 스플라인(45)과 맞물림되어 슬라이드 가능한 보스(46)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며, 작동레버(50)는 클러치판(47)이 회동하더라도 원위치를 유지하면서 동력단속을 할 수 있도록 스러스트베어링(49)상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동력절환 작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양 클러치판(47,47')이 맞물림되면 차축(41)의 회전동력은 동력절환수단(B)을 거쳐 연결스핀들(42)을 회동케 되고, 연결스핀들(42)에 중심부가 고정된 스파이럴스프링(43)을 압축권회하게 된다.
이때 연결스핀들(42)의 일측에는 래칫기어(51)가 고정되어 있고, 동 래칫기어(51)는 차체의 프레임(52)에 설치된 폴(53)에 의하여 일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도록 단속되어 있기 때문에 스파이럴스프링(43)이 압축 권회될 시에 역방향으로 풀리려고 하는 탄성은 단속되는 것이며, 이러한 스파이럴스프링(43)의 압축권회작동은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48)을 푸싱한 후 자동차(40)가 완전히 정지할 때까지 이루어진다.
자동차(40)가 브레이킹으로 인하여 완전히 정지하면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48)에서 발을 분리하게 되므로 연결스핀들(42)의 클러치판(47)이 작동레버(50)에 의해 차축(41)에 고정된 클러치판(47')과 분리되어, 운전자는 통상의 운전방법으로 정상적인 주행을 하면 되는 것이며, 동력비축수단(C)의 스파이럴스프링(43)에 비축된 회전동력은 운전자가 필요시 회전동력으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바, 스파이럴스프링(43)에 비축된 회전동력을 활용코져 할 시에는 자동차(40)운전석의 적정위치에 취부된 조작레버(57)를 작동하여 이와 와이어(58)로 연결되고 케이스(44)상에 형성된 스플라인(54)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클러치판(56)을 제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슬라이드시키게 되고, 클러치판(56)과 맞물림되어있던 자체의 프레임(52)상에 고정된 클러치판(56)이 우선적으로 분리되면서 케이스(44)는 회동불가 상태에서 해제된다. 왜냐하면 양 클러치판(56,56)이 상호맞물림상태에 있을 때는 스파이럴스프링(43)의 풀림탄성이 양 클러치판(56,56)의 맞물림으로 인하여 케이스(44)를 통하여 회전동력으로 전달되지 못하나, 양 클러치판(56,56)이 분리되면 케이스(44)가 회전가능한 상태로 해제되므로 스파이럴스프링(43)의 비축된 회전탄성이 케이스(44)를 통하여 전달되는 것이다. 그리고 클러치판(56)이 일측 클러치판(56)과 분리되면서 타측으로 이동하여 즉시, 차축(41)에 고정된 클러치판(56)과 맞물림되므로 케이스(44)의 회전력은 당연히 차축(41)으로 전달되어 차륜이 회전구동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동력비축수단(C)에 비축된 회전 동력의 활용은 큰 회전동력을 요구하는 최초 스타팅시나 등반주행시에 활용하면 더욱 효과적이며, 하절기에 냉방장치등을 가동할 경우는 엔진의 추진력이 저하되므로, 이러한 경우 브레이킹시에 비축된 회전동력을 재차의 추진력에 활용하면 더욱 효과적인 것이다. 그리고 비축된 회전동력을 상기한 경우 등에 사용한 후 해제코져 할 시는 자동차(40) 운전석상의 조작레버(57)를 원위치로 작동시키면 케이스(44)상의 스플라인(54)에 축결합된 클러치판(56)이 차축(41)에 고정된 클러치판(56')과 분리되면서 차체의 프레임(52)에 고정된 클러치판(56)에 재차 맞물림되어 케이스(44)의 회전은 단속되어 결굴 스파이럴스프링(43)의 풀립작동은 정지비축 상태로 전환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같이 본 발명은 통상의 자전거, 자동차, 모터싸이클 등의 회전구동수단에 적용하여 제차의 브레이킹시에 완전제동에 이르기까지 차륜의 소모에너지를 동력비축수단(C)에 비축하고, 이러한 비축에너지를 필요시 출력사용할 수 있어 에너지의 효율성을 대폭 제고할 수 있으며, 제차의 스타팅시나 등반 주행시 등 큰힘을 필요로 하는 경우나 냉방장치의 가동 등으로 인하여 제차의 엔진출력이 저하될 때 비축에너지를 활용함으로서 주행상의 편익을 가일층 증대시킬 수 있으며, 기계적인 수단을 사용하여 재차 주행상의 편익성과 에너지의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발명이다.
이하의 부수되는 특허 청구의 범위에 본 발명에서 보호받고져 하는 기술이 언급될 것이나, 단순히 일부구성부품의 형상이나 재질의 변경, 또는 구성부품을 등가물로 치환하는 등 당해업계에 숙달된 자에 의하여 극히 용이하게 변경실시할 수 있는 유사한 실시예 역시 본 발명과 동일한 기술이라 할 것이다.

Claims (2)

  1. 통상의 자전거(1)에 있어서; 상기 자전거(1)의 후륜(3) 고정샤프트(4)에는 래칫기어(8)를 가진 체인기어(9)로 이루어지는 회전구동수단(A)과, 상기 회전구동수단(A)이 자전거(1)브레이킹시에 완전제동되기 까지 후륜(3)의 회전동력을 동력비축수단(C)으로 동력절환할 수 있는 동력절환수단(B)과, 상기 동력절환수단(B)과 동력비축수단(C)의 역회전방지를 위한 역회전방지수단(D,D')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구동수단(A)의 허브(7)는 타측 동력비축수단(C)의 허브(7')와 양분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허브(7)에 축삽고정되는 래칫기어(8)에는 클러치판(17')을 연결하여 고정샤프트(4)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연결스핀들(19)상의 클러치판(17)과 선택적으로 맞물림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연결스핀들(19)에는 스플라인(16)이 형성되어 브레이크(24)에 일단이 연결된 와이어(25)에 의해 브레이킹시에만 슬라이드 조작이 가능한 클러치판(17)의 보스(18)와 맞물림되며, 연결스핀들(19)의 타측에는 동력비축수단(C)을 구성하는 스파이럴스프링(13)의 중심단부를 고정하고, 스파이럴스프링(13)의 외연단부는 허브(7')와 래칫베어링(7a)으로 축설된 케이스(21)의 내연부에 고정하며; 상기 연결스핀들(19)과 허브(7')의 일단에는 각각 폴(15',22')에 의해 단속되는 래칫기어(15,22)로 이루어지는 역회전방지수단(D,D')을 설치하되, 허브(7')상의 래칫기어(22)를 단속하는 폴(22')은 별도의 조작레버(14)와 와이어(28)로 연결하여 비축에너지를 필요시 후륜(3)에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동력 발생장치.
  2. 통상의 자동차(40)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40)의 차륜이 연결설치되는 차축(41)에는 자유회전 가능하고 차축(41)의 회전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회전구동수단(A)과, 상기 회전구동수단(A)이 자동차(40)브레이킹시에 완전제동되기 까지 차륜의 회전동력을 동력비축수단(C)으로 동력 절환할 수 있는 동력절환수단(B)과, 상기 동력절환수단(B)과 동력비축수단(C)의 역회전방지를 위한 역회전방지수단(D,D')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구동수단(A)은 차축(41)에 자유회전 가능한 연결스핀들(42)일측에는 스플라인(45)이 형성되어 브레이크페달(48)에 일단이 연결된 와이어(48')에 의해 브레이킹시에만 슬라이드 조작이 가능한 클러치판(47)을 설치하여 차축(41)에 고정된 클러치판(47')과 선택적으로 맞물림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연결스핀들(42)상에는 차체의 프레임(52)에 고정된 폴(53)에 단속되는 래칫기어(51)를 축삽 고정하며; 상기 연결스핀들(42)타측에는 동력비축수단(C)을 구성하는 스파이럴스프링(43)의 중심단부를 고정하고, 스파이럴스프링(43)의 외연단부는 연결스핀들(42)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케이스(44)의 내연부에 고정하며; 상기 케이스(44)의 일측으로는 스플라인(54)을 형성하여 조작레버(57)와 연결된 와이어(58)에 의하여 슬라이드 되며 차축(41)상의 클러치판(56')과 차체의 프레임(52)상의 클러치판(56)에 선택적으로 맞물림될 수 있는 클러치판(56)을 설치하여 동력비축수단(C)의 비축에너지를 필요시 차륜에 전달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동력 발생장치.
KR1019950009153A 1995-04-13 1995-04-13 회전동력 발생장치 KR0134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9153A KR0134993B1 (ko) 1995-04-13 1995-04-13 회전동력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9153A KR0134993B1 (ko) 1995-04-13 1995-04-13 회전동력 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7507A KR960037507A (ko) 1996-11-19
KR0134993B1 true KR0134993B1 (ko) 1998-04-25

Family

ID=19412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9153A KR0134993B1 (ko) 1995-04-13 1995-04-13 회전동력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49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8929A (ko) * 2001-05-19 2001-08-22 정경채 파워 축척 및 재활용 브레이크 시스템과 이를 활용한 모터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7507A (ko) 1996-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76110B2 (en) Bicycle hub assembly
US6019385A (en) Energy storage device for personal vehicle
JP3520228B2 (ja) 自動車及び自動車用動力伝達装置
JP6227657B2 (ja) 可変比変速システムが組み込まれたハブを含む自転車
US4779485A (en) Flywheel driven vehicle comprising plural flywheel energizing means and a forward reverse planetary gear set
US6104154A (en) Tricycle with electric motor
TWI767247B (zh) 電輔助自行車
JPH11502482A (ja) 補助パワーを有するペダル自転車
WO2006137188A1 (ja) ハイブリット機能を可能にした発電機兼用駆動モーター
JPH0364348B2 (ko)
KR101007067B1 (ko) 관성회전체를 이용한 자전거
CN2063495U (zh) 刹车蓄能驱车装置
KR0134993B1 (ko) 회전동력 발생장치
JP4210780B2 (ja) エネルギー蓄積機構付自転車
JP2010030362A (ja) 車両用動力伝達装置
JPH07242126A (ja) 車両用発電装置
JP3460903B2 (ja) 動力付き自転車の制動方法及びその制御装置
JP2010274900A (ja) 回生機構を備えた電動補助自転車
JP5545520B2 (ja) 回生機構を備えた電動補助自転車
CN103935450A (zh) 助力自行车及助力方法
JP3109291B2 (ja) 車両用駐車ブレーキのパワーアシスト装置
JP2011025808A (ja) 回生機構を備えた電動補助自転車
JPH06321170A (ja) 発電兼用電動機装置及び発電兼用電動機装置付き二輪又は三輪車
JPH0127913B2 (ko)
JPH0769087A (ja) 電気自動車の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2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