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4918Y1 - 천정 마감부 장식테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천정 마감부 장식테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4918Y1
KR0134918Y1 KR2019960001032U KR19960001032U KR0134918Y1 KR 0134918 Y1 KR0134918 Y1 KR 0134918Y1 KR 2019960001032 U KR2019960001032 U KR 2019960001032U KR 19960001032 U KR19960001032 U KR 19960001032U KR 0134918 Y1 KR0134918 Y1 KR 01349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rative frame
ceiling
screw
bracke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10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9735U (ko
Inventor
강신규
Original Assignee
강신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신규 filed Critical 강신규
Priority to KR20199600010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4918Y1/ko
Publication of KR9700497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97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49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49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04F19/0459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characterised by the fixing method
    • E04F19/0472Plinths fixed by means of magnets, hook and loop-type or similar faste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04F19/0436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between ceiling and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04F2019/04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E04F2019/0413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04F2019/045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with decorative eff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천정 마감부 장식테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목재로 되는 장식테를 사용하므로써 원가 상승의 요인이 있고, 변형이 발생하게 되며 접착제로 부착시킴에 따라 불량률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금속재의 브라켓(7)에 나사 고정공(1)과 탄성편(6)(6a)을 형성하고, 또한 금속재로 제작되는 장식테(9)에 삽입편(10)(10a)을 형성하여 조립이 용이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천정 마감부 장식테 고정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브레켓 탄성편의 확대도.
제3도는 종래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나사 고정공 2 : 천정 패널
3 : 보조 핀공 6, 6a : 탄성편
7 : 브라켓 8 : 나사
9 : 장식테 10, 10a : 삽입편
본 고안은 천정 마감부와 벽면 사이의 모서리에 부착되는 장식테를 고정하는 천정 마감부 장식테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정 마감부와 실내 내벽의 상부 사이의 모서리 부위에는 장식테를 부착하고 있다.
제4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장식테(20)는 목재로 제작되어 천청 패널(21)에 나사(22)를 체결하여 고정하거나, 접착제를 이용하여 고정되고 있다.
이러한 장식테는 작업자가 고개를 들어서 천정을 바라보면서 나사를 체결하거나 접착제로 부착하므로 작업자는 상당한 피로를 느끼게 되고, 접착제에 의하여 천정이나 내벽이 손상될 위험이 내재되어 있으며, 장식테를 양쪽에서 잡고 시공을 하여야 하므로 보조 작업 인원이 필요하게 되므로 적어도 두사람 이상을 필요로 한다.
또한 종래에 사용되는 목재의 장식테는 목재가 가지고 있는 재질적 특성을 변형 및 연소성을 가지고 있어서의 실내의 자재로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아니하고,근자에 와서 적극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자연 보호 운동은 목재의 공급률을 현저하게 낮추게 되는 추세에 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원가 상승이 문제되고 있다.
목재의 변형은 목재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에 의한 것으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목재를 충분히 건조시켜 장식테를 제작하고 있으나, 유통되는 과정과 시공후 흡습에 의하여 후변형이 발생하고 있다.
목재의 연소성은 화재 발생시 좋지 않은 영향을 주게 된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천정 마감부 장식테의 설치상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장식테의 고정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장식테 고정 장치는 천정면에 부착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을 적용하고자 하는 당업자는 종래와 같은 설치상의 어려움과 시공후에 발생되는 문제점을 영향으로부터 벗어 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중심부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어 한편은 나사 고정공(1)이 형성되어 천정 패널(2)에 접촉하고, 다른 한편은 보조 핀공(3)이 형성되어 수직 벽면(4)에 부착된 보드(5)에 접촉되게 하여, 이 양쪽 단부에 절곡된 탄성편(6)(6a)이 형성된 브라켓(7)을 나사(8)로 천정 패널(2)에 고정하고, 장식테(9)는 금속재는 형재로 형성하여 양쪽 단부에는 상기 탄성편(6)(6a)에 삽입되는 삽입편(10)(10a)을 형성하여서 되는 것이다.
나사 고정공(1)은 단부쪽으로 나사(8)의 머리가 삽입되는 나사 머리 삽입홈(11)이 형성되고, 이 나사 머리 삽입홈(11)으로부터 보드(5)를 향하여 형성되면서, 나사 머리 삽입공(11)보다 좁은 공간으로 되어 천정 패널(2)에 고정시켜 놓은 나사(8)의 나사부에 놓여져서 머리부가 밀착되는 요홈(12)이 형성되어 있다.
보조 핀공(3)은 수직 벽면(4)의 보드(5)에 접촉하는 단부의 탄성편(6a)에 천공되어 보조핀을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탄성편(6)(6a)은 사행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제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입구쪽은 천정패널(2)이나 보드(5)에 접촉하는 면보다 t만큼 더 돌출되어 장식테(9)의 삽입편(10)(10a)이 삽입된다.
t의 거리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약 0.5~1.3mm 정도의 범위 일때가 적합하다.
삽입편(10)(10a)은 장식테의 단부가 안쪽으로 절곡되어 삽입편(10)(10a)의 형상과 일치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천정 패널(2)과 보드(5)의 시공이 완료된 다음 천정 패널(2)의 적정한 위치에 나사(8)를 압입하지 않고, 적당한 깊이로 끼워 넣고, 브라켓(7)의 나사 고정공(1)에 형성된 나사 머리 삽입공(11)으로 나사(8)의 머리부를 삽입시켜서 요홈(12)으로 머리부를 이동시킨 다음 나사(8)를 완전히 체결하면 브라켓(7)의 고정이 완료된다.
이렇게 고정되는 브라켓(7)은 천정 패널(2)의 양쪽에 설치된다.
브라켓(7)의 설치가 완료되면, 브라켓(7)의 단부에 형성된 탄성편(6)(6a)으로 장식테(9)의 단부에 형성된 삽입편(10)(10a)을 삽입하면 장식테(9)가 브라켓(7)에 간단하게 고정된다.
이때, 브라켓(7) 단부가 더 돌출되는 t에 의하여 장식테(9)는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금속재로 되는 브라켓과 장식테를 사용하므로써 제작과 부품의 공급이 원활하고, 나사 고정공을 이용하여 고정하므로써 나사의 체결 작업이 용이하고, 종래와 같은 접착제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서 또한 작업이 용이하게 되면서 접착제에 의하여 천정 패널과 보드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중심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어 한편은 나사 고정공(1)이 형성되어 천정 패널(2)에 접촉하고, 다른 한편은 보조 핀공(3)이 형성되어 수직 벽면(4)에 부착된 보드(5)에 접촉되게하여, 이 양쪽 단부에 절곡된 탄성편(6)(6a)이 형성된 브라켓(7)을 나사(8)로 천정 패널(2)에 고정하고, 장식테(9)는 양쪽 단부에는 상기 탄성편(6)(6a)에 삽입되는 삽입편(10)(10a)을 형성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마감부 장식테 고정 장치.
KR2019960001032U 1996-01-25 1996-01-25 천정 마감부 장식테 고정 장치 KR01349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1032U KR0134918Y1 (ko) 1996-01-25 1996-01-25 천정 마감부 장식테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1032U KR0134918Y1 (ko) 1996-01-25 1996-01-25 천정 마감부 장식테 고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9735U KR970049735U (ko) 1997-08-12
KR0134918Y1 true KR0134918Y1 (ko) 1999-02-18

Family

ID=19449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1032U KR0134918Y1 (ko) 1996-01-25 1996-01-25 천정 마감부 장식테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491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1643B1 (ko) * 2006-01-23 2006-09-07 (주)종합건축사사무소그룹예성 건축물 내부 천장 구조
KR100769889B1 (ko) * 2006-11-15 2007-10-24 정하음 건물 외부 장식용 몰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1643B1 (ko) * 2006-01-23 2006-09-07 (주)종합건축사사무소그룹예성 건축물 내부 천장 구조
KR100769889B1 (ko) * 2006-11-15 2007-10-24 정하음 건물 외부 장식용 몰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9735U (ko) 1997-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74561B1 (en) External wall panel construction
KR0134918Y1 (ko) 천정 마감부 장식테 고정 장치
CA2024908A1 (en) Single piece truck cap trim
KR200385716Y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코너고정장치
KR102474426B1 (ko) 건축물 천장용 마감재
CN211037659U (zh) 一种模块化饰面板安装装置
KR0137503Y1 (ko) 마감판 고정용 타카바
EP0248684A3 (en) Framework for finishing constructions
KR970003401Y1 (ko) 써멀 브레이크(thermar break)
KR960000800Y1 (ko) 건축물의 천정 반자돌림용 몰딩조립체
KR960009430Y1 (ko) 천정판 몰딩용 지지간
KR100573320B1 (ko) 금속문
KR200224342Y1 (ko) 자가 조절되는 조립식 문틀
KR200171369Y1 (ko) 커튼박스의 고정구조
KR970003372Y1 (ko) 문짝틀의 수직간격 조절장치
KR970003400Y1 (ko) 써멀 브레이크(thermar break)
JP2931192B2 (ja) 障子枠の構造
JPH0344901Y2 (ko)
JPH0329460Y2 (ko)
KR0134919Y1 (ko) 천정 받침재 고정장치
KR960009431Y1 (ko) 천정 몰딩장치
JPH057985Y2 (ko)
KR200168166Y1 (ko) 가정용 문틀
JPH0732728Y2 (ja) 軒先取付け具
KR950001061Y1 (ko) 원심형 환풍기 설치용 지지대 및 지지대를 이용한 좌우틈새 조절수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