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4342Y1 - 자가 조절되는 조립식 문틀 - Google Patents

자가 조절되는 조립식 문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4342Y1
KR200224342Y1 KR2020000032528U KR20000032528U KR200224342Y1 KR 200224342 Y1 KR200224342 Y1 KR 200224342Y1 KR 2020000032528 U KR2020000032528 U KR 2020000032528U KR 20000032528 U KR20000032528 U KR 20000032528U KR 200224342 Y1 KR200224342 Y1 KR 2002243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indow
vertical
convex portion
doo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25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회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동화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동화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동화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20200000325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43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43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4342Y1/ko

Links

Landscapes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상 운반, 취급, 보관 설치가 용이하도록 고안된 조립식 문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기울어진 벽이나, 뒤틀린 문 혹은 벽 두께가 일정하지 않은 곳에서 연결부위의 분해를 최소화하면서 원활이 조절되어 시공될 수 있는 조립식 문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측면에 요부 혹은 철부를 갖는 수직 선틀(12); 측면에 요부 혹은 철부를 갖는 수평 선틀(14); 상기 수평 선틀(14)과 수직 선틀(12)을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제작된 브라켓(28); 상기 수직 선틀(12)에 형성된 요부 혹은 철부에 대응되도록 요부 혹은 철부가 일측에 형성된 수직 창선(16); 상기 수평 선틀(14)에 형성된 요부 혹은 철부에 대응되도록 요부 혹은 철부가 일측에 형성된 수평 창선(16'); 상기 창선을 상기 선틀에 유동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창선의 요부 혹은 철부를 관통하여 상기 선틀의 요부 혹은 철부에 박히는 핀(32)을 포함하여, 현장의 문틀자리가 완벽하게 수직이 아니거나, 주변 벽체가 완벽하게 수직이 아닌 경우에도 창선이나 창선 전체 길이의 일부분이 선틀로부터 밀려나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가 조절되는 조립식 문틀{SELF-ALIGNING PREFABRICATED DOOR FRAME ASSEMBLY}
본 고안은 통상 운반, 취급, 보관 설치가 용이하도록 고안된 조립식 문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기울어진 벽이나, 뒤틀린 문 혹은 벽 두께가 일정하지 않은 곳에서 연결부위의 분해를 최소화하면서 원활이 조절되어 시공될 수 있는 조립식 문틀에 관한 것이다.
조립식 문 조립체들은 건설 현장에서 문 설치를 위한 숙련공의 수요를 줄이기 위해 만들어졌다. 이들 조립된 문 조리체들의 통합은 성가시고, 운반하기 비효율적이며, 완전하지 않은 문틀에 설치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현장 조립용 문 조립체 등이 제안되기도 하였다. 또한, 문틀이나 문이 완전하지 않고 불규칙함에도 불구하고 고품질의 외관과 잘 맞는 연결부를 만들어 낼 수 있는,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디자인된 조립식 문틀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를 반영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96-7991호에서는 벽체 고정부재를 벽체에 수평하게 설치한 다음, 선틀 고정부재, 상하틀 고정부재를 각각의 선틀과 상하틀에 부착한 다음 중간 연결부재를 매개로 끼워맞춘 다음, 미세조정 볼트로 미세 조정하여 창문틀의 연귀부가 정확하게 세팅되게 한 연귀 결합구를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문틀이나 문이 완전하지 않고 불규칙한 경우에도 고품질의 외관과 잘 맞는 연결부를 만들어 내지는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하기 용이하며, 설치되었을 때 단단하게 고정되고, 연결 부위에서 완전함을 유지할 수 있는 조립식 문틀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문틀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조립식 문틀의 상부 모서리에 대한 부분 확대도.
도3a는 도2의 선틀 및 창선 부분의 단면도.
고3b는 확장된 상태의 문틀 연결을 나타낸 단면도.
도4는 조립식 문틀의 측면과 상면 문틀의 배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수직 선틀 14 : 수평 선틀
16, 16' : 창선(casing) 18 : 도어스탑
22 : 요부 24 : 철부
28 : 브라켓 32 : 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측면에 요부 혹은 철부를 갖는 수직 선틀(12); 측면에 요부 혹은 철부를 갖는 수평 선틀(14); 상기 수평 선틀(14)과 수직 선틀(12)을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제작된 브라켓(28); 상기 수직 선틀(12)에 형성된 요부 혹은 철부에 대응되도록 요부 혹은 철부가 일측에 형성된 수직 창선(16); 상기 수평 선틀(14)에 형성된 요부 혹은 철부에 대응되도록 요부 혹은 철부가 일측에 형성된 수평 창선(16'); 상기 창선을 상기 선틀에 유동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창선의 요부 혹은 철부를 관통하여 상기 선틀의 요부 혹은 철부에 박히는 핀(32)을 포함하여, 현장의 문틀자리가 완벽하게 수직이 아니거나, 주변 벽체가 완벽하게 수직이 아닌 경우에도 창선이나 창선 전체 길이의 일부분이 선틀로부터 밀려나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특징은 창선(casing)과 선틀 사이에 확장 가능한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창선과 선틀 간에 연결을 요철이음을 사용함으로써, 선틀에 있는 요부(凹)에 창선의 철부(凸)로부터 돌출된 핀의 개수를 조정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들 핀은 운반, 저장, 시공의 편리를 위해 창선이 선틀에 적절히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연결은 현장 개구부와 개구부 벽체 사이에 완전하게 시공되는 동안 창선의 움직임을 허용할 만큼 충분히 느슨하게 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문틀 조립체의 사시도로, 도면에서 문틀 조립체(10)는 한쌍의 수직 문틀과 수직 문틀 상부에 걸쳐지는 수평 문틀로 구성되는 세개의 기본 부위로 조합된다. 수직 문틀에는 수직 선틀(12)이 조합되는데, 필요한 어떤 길이든지 원하는 길이로 제작되어질 수 있다. 또한, 수직 선틀(12)의 밑단부분, 수직 창선(16), 도어스탑(18)은 현장에서 필요한 길이로 조절될 수 있도록 고려되었다. 상부 수평 문틀은 상부 선틀(14)과 상부 창선(16')으로 이루어진다. 수직 선틀(12)과 상부 선틀(14)은 단일 고정부재이며, 상호 유기적으로 움직이는 부분이나 단면이 없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수직 선틀(12)과 수평 선틀(14)에는 길이방향의 요부(凹)(22)가 전체 길이에 대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요부(22)는 창선(16, 16')의 몸체(23)에 돌출되어 있는 철부(凸)(24)와 맞도록 크기가 조정되어 있다. 철부(24)는 자유 단부로 갈수록 약간 가늘어지게 형성되어 있다. 요부(22) 또한 안쪽의 종단으로 갈수록 약간 가늘게 만듦으로서, 요부 안쪽이 요부 바깥쪽보다 약간 좁게 하였다. 요부와 철부의 단부를 가늘게 하는 것은 목재가 불규칙하고 팽창됨에도 불구하고 잘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부 선틀(14)에는 길이방향 단부(17)의 아랫부분을 길이방향의 횡으로 절단한 노치(notch)가 있다. 노치는 수직 선틀(12)의 상 단부(19)에 올려질 수 있도록 고안되었으며, 브라켓(28)에 의해 선틀 상단부(19)에 체결되도록 되어 있다. 브라켓(28)은 L-자형으로, 한쪽은 상부 선틀(14)에 부착되고, 다른 한쪽은 수직 선틀 (12)의 상단부(19)의 옆면을 따라 아래로 향하게 한다. 나사못, 못 또는 다른 보조물로 브라켓(28)을 상부 선틀(14)에 고정하고, 상부 선틀의 수직면과 브라켓(28) 사이에 수직 선틀(12)의 마찰 접합에 의해 수직 선틀(12)을 상부 선틀(14)에 연결시킨다. 브라켓(28)은 수직 선틀(12)과 상부 선틀(14)의 90°연결을 유지하기에 충분한 강도의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 하지만, 실제 위치와 설치시에 발생할 수 있는 약간의 변형을 고려하여 완벽한 90°로부터 약간의 변동을 허용하는 수준의 유연성이 있다. 따라서, 유연성이 있는 브라켓(28)은 비록 불완전한 프레임에 있어 연결부위가 조절이 될지라도 수직 선틀(12)과 상부 선틀(14)간에 긴결한 연결을 제공할 수 있는 중요한 보조물이다.
도3a와 도3b는 수직 선틀(12)과 창선(16), 접합된 도어스탑(18)의 단면도이다.
핀(32)은 창선(16)의 철부(24)를 관통하여 선틀의 요부(22)를 통해 선틀에 끼워 넣어진다. 이 핀(32)은 도3a에서 보듯이 현장에서 보관, 이동과 취급시 선틀(12)의 요부(22)가 창선(16)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핀(32)은 최종 설치를 하는 동안 문틀위치에 창선(16)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충분히 느슨하게 되어 있다.
'자가 조절'은, 수직부재나 상부부재가 개구부에 설치되어 질 때, 창선(16, 16')이 개구부 프레임의 불규칙성으로 인해 창선 상에 밀려드는 힘에 대한 반응으로, 수직 선틀(12)로부터 자동적으로 밀려나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즉, 현장의 문틀자리가 완벽하게 수직이 아니거나, 주변 벽체가 완벽하게 수직이 아니라면,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선이나 창선 전체 길이의 일부분은 선틀(12)의 옆 가장자리(20)로부터 거리를 두기 위해 선틀로부터 밀려나올 것이다. 핀(32)은 요부(22)로부터 완전히 빠지지는 않으며, 창선의 철부(24) 또한 요부(22)로부터 완전히 빠져 나오지는 않는다. 결과적으로 창선과 선틀 간에 외관상 틈새가 없이 유지되고, 창선의 못이 충분한 강성을 지닐 수 있을 만큼 유지되게 된다. 여기에서 수직 선틀(12)과 수직 창선(16)에 대해 기술된 같은 방법으로, 상부 창선(16')의 철부(24)에 삽입된 핀(32) 또한 상부 선틀(14)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부 창선(16')의 자가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핀(32)와 철부, 요부는 창선을 선틀에 연결하는 확장 가능한 연결 수단이며, 그 결과 창선은 시공되는 동안 자가 조절되기 위해 선틀로부터 확장되어질 수 있다. 확장 가능한 연결은 비록 초보자라고 할 지라도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창선이 선틀에 붙어 있는 상태에서 시공자에 의한 조정 없이 불규칙한 개구부에 잘 조절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4는 창선(16, 16')의 철부(24)로부터 돌출된 다수의 핀(32)을 지닌 수직 및 수평 창선(16, 16')을 나타낸다. 수직 창선(16)은 한쪽 단부(42)에 연귀 맞춤 되고, 상부 창선(16')은 양쪽 단부(44, 44')에 연귀 맞춤 된다. 연귀 맞춤된 단부들은 최종적으로 문틀 조리체(10)의 상부 코너에 위치하게 된다.
핀(32)은 공기총으로 사용되는 것과 같은 못으로, 소나무 혹은 부드러운 목재를 위해 사용되는 핀 못은 3/4인치 길이가 적당하다. 바람직한 핀 못의 게이지는 18이다. 직경이 보다 큰 핀 못은 작업성이 떨어지는데, 왜냐하면 골의 목재를 너무 타이트하게 죄기 때문이다. 기본적으로 핀 못은 공기총을 사용해서 철부(24)를 통해서 요부(22)에 설치된다. 핀 못의 시공은 또한 요부 내에 홀(46)을 만들게 되는데, 이때 핀 못은 확장을 위해 이 홀에서 슬라이드 된다. 따라서, 요부 내부에 있는 홀은 미리 드릴로 만들어진게 아니라 핀 못의 시공시 만들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사용하기 용이하고, 설치되었을 때 단단하게 고정되며, 현장의 문틀자리가 완벽하게 수직이 아니거나, 주변 벽체가 완벽하게 수직이 아닌 경우에도 창선이나 창선 전체 길이의 일부분이 선틀로부터 밀려나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결 부위에서 완전함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측면에 요부 혹은 철부를 갖는 수직 선틀(12);
    측면에 요부 혹은 철부를 갖는 수평 선틀(14);
    상기 수평 선틀(14)과 수직 선틀(12)을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제작된 브라켓(28);
    상기 수직 선틀(12)에 형성된 요부 혹은 철부에 대응되도록 요부 혹은 철부가 일측에 형성된 수직 창선(16);
    상기 수평 선틀(14)에 형성된 요부 혹은 철부에 대응되도록 요부 혹은 철부가 일측에 형성된 수평 창선(16');
    상기 창선을 상기 선틀에 유동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창선의 요부 혹은 철부를 관통하여 상기 선틀의 요부 혹은 철부에 박히는 핀(32);
    을 포함하여, 현장의 문틀자리가 완벽하게 수직이 아니거나, 주변 벽체가 완벽하게 수직이 아닌 경우에도 창선이나 창선 전체 길이의 일부분이 선틀로부터 밀려나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문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철부는 자유 단부로 갈수록 그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하고, 상기 요부 또한 상기 철부에 대응되게 안쪽으로 갈수로 그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문틀.
KR2020000032528U 2000-11-21 2000-11-21 자가 조절되는 조립식 문틀 KR2002243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528U KR200224342Y1 (ko) 2000-11-21 2000-11-21 자가 조절되는 조립식 문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528U KR200224342Y1 (ko) 2000-11-21 2000-11-21 자가 조절되는 조립식 문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4342Y1 true KR200224342Y1 (ko) 2001-05-15

Family

ID=73060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2528U KR200224342Y1 (ko) 2000-11-21 2000-11-21 자가 조절되는 조립식 문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434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875B1 (ko) 2015-03-05 2016-02-12 (주)원동기업사 창문틀 고정용 브라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875B1 (ko) 2015-03-05 2016-02-12 (주)원동기업사 창문틀 고정용 브라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89646B1 (en) Metal fixture assembly for installation of vertical sidings, construction and method of installation
KR200410714Y1 (ko) 건물의 외벽재 고정장치
US5771644A (en) Door frame anchoring clip
US5822942A (en) Auxiliary surface-forming member for construction elements
US6588159B1 (en) Multipurpose door and window jamb assembly
KR200224342Y1 (ko) 자가 조절되는 조립식 문틀
JP2007217972A (ja) サイディング取付金具
KR102327981B1 (ko) 건축물 외장재용 부착장치 및 그 시공방법
JP2005179987A (ja) 外壁リフォーム構造
JP2602020Y2 (ja) 接続金具
JPH09203278A (ja) 扉パネルの枠組
JPH07189556A (ja) 戸枠の隙間調整具および隙間調整方法
JP2007315043A (ja) 改修ドア枠の取付構造
KR100388547B1 (ko) 가변형 문틀
KR101665305B1 (ko) 건물 외벽용 루버
KR200287494Y1 (ko) 가변형 문틀
KR200273593Y1 (ko) 건축외장재 고정장치
JP2006194039A (ja) 框組建具
JPH06257276A (ja) 外装コーナー材の取付構造
KR102281903B1 (ko) 커튼 박스
KR200180769Y1 (ko) 샤시프레임과 샤시프레임 지지용 프레임간의 간극보정장치
JP3009266B2 (ja) 硬質壁材の取付構造
AU765293B2 (en) A soffit lining installation
JP2024000699A (ja) 建具装置及びこの建具装置の設置方法
JPS632982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