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4813Y1 - 이중접점 릴레이 - Google Patents

이중접점 릴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4813Y1
KR0134813Y1 KR2019950017297U KR19950017297U KR0134813Y1 KR 0134813 Y1 KR0134813 Y1 KR 0134813Y1 KR 2019950017297 U KR2019950017297 U KR 2019950017297U KR 19950017297 U KR19950017297 U KR 19950017297U KR 0134813 Y1 KR0134813 Y1 KR 01348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contacts
diode
relay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72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7187U (ko
Inventor
권혁범
Original Assignee
문정환
엘지반도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정환, 엘지반도체주식회사 filed Critical 문정환
Priority to KR20199500172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4813Y1/ko
Publication of KR9700071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718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48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48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lay Circu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접점이 동시 개방가능토록 한 이중접점 릴레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중접점 릴레이는 단자 양측 접점으로의 스위칭 기능을 수행할 뿐 접점이 동시에 개방되지 않던 점을 감안하여 본 고안은 제1다이오드와 제1코일 및 제2다이오드와 제2코일을 각각 직렬접속하고, 상기 직렬 접속된 제1다이오드와 제1코일 및 제2다이오드와 제2코일은 제1, 제2 접점에 병렬접속하며, 상기 제1, 제2코일과 각각 쌍을 이루는 제1, 제2릴레이 스위치의 일측단자는 제5접점에 공통 접속하고 타측단자는 각각 제3, 제4 접점에 접속하여 접점이 동시 개방가능토록 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보다 많은 신호상태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중접점 릴레이
제1도는 종래의 이중접점 릴레이의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접점 릴레이의 회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응용예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1, D2 : 다이오드 L1, L2 : 코일
RSW1, RSW2 : 릴레이 스위치
본 고안은 이중접점 릴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접점이 동시 개방가능도록 한 이중접점 릴레이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의 이중접점 릴레이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릴레이 코일(LO)가 접점(a,b,c)에 접속되는 릴레이 스위치(RSWO)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릴레이 코일(LO)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경우에는 릴레이 스위치(RSWO)가 단자(ㄱ)로 스위칭되어 접점(a),(c)은 단락되고 접점(a),(b)오픈되며, 상기 릴레이 코일(LO)에 전류가 흐를 경우는 상기 릴레이 스위치(RSWO)가 단자(ㄴ)로 스위칭되어 접점(a),(b)이 단락되고 접점(a),(c)는 오픈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이중접점 릴레이는 단지 양측 접점으로의 스위칭 기능을 수행할 뿐 접점이 동시에 개방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디바이스의 모든 핀에 VDD나 VEE가 연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접점이 동시 개방가능하도록 함으로서 보다 많은 신호상태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한 이중접점 릴레이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제1다이오드와 제2코일 및 제2다이오드와 제2코일이 각각 직렬접속되고, 상기 직력 접속된 제1다이오드와 제1코일 및 제2다이오드와 제2코일은 제1, 제2 접점에 병력접속되며, 상기 제1, 제2 코일과 각각 쌍을 이루는 제1, 제2 릴레이 스위치는 제5 접점에 공통 접속되고 타측단자는 각각 상기 제3, 제4 접점에 접속되는 이중접점 릴레이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접점 릴레이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다이오드(DI)와 코일(LI) 및 다이오드(D2)와 코일(L2)이 각각 직렬접속되며, 상기 각각 직렬접속된 다이오드(D1)와 코일(LI) A 및 다이오드(D2)와 코일(L2)은 접점(a),(b)에 병력 접속되며, 상기 코일(L1),(L2)과 각각 쌍을 이루는 릴레이 스위치(RSW1),(RSW2)의 일측단자는 접점(e)에 접속되고 타측단자는 각각 접점(c),(d)에 접속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이중접점 릴레이는 접점(a),(b)의 전압차에 따른 다이오드(D1),(D2)의 전류흐름 방향에 따라 코일(L1),(L2)에 전류가 흐르도록하여 릴레이 스위치(RSW1),(RSW2)가 온/오프되도록 된다.
즉, 상기 접점(,a),(b)의 전압차에 따라 다이오드(DI)가 도통되면 코일(LI)에 전류가 흘러 릴레이 스위치(RSW1)가 온되어 접점(c)와 접점(e)이 단락된다.
그리고 상기 접점(a),(b)의 전압차에 따라 다이오드(D2)가 도통되면 코일(L2)에 전류가 흘러 릴레이 스위치(RSW2)가 온되어 접점(d),(e)은 각각 개방된다.
한편, 제3도는 본 고안의 응용예를 도시한 것으로, 테스트 시스템(1)의 단자(g)가 로우인 경우 트랜지스터(TR1),(TR2)는 턴오프 상태이므로 다이오드(D1),(D2)는 도통되지 않아 릴레이 스위치(RSW1),(RSW2)는 오프상태가 된다.
그리고 단자(g)가 하이상태이면 단자(f)의 상태에 따라 다이오드(D1),(D2)가 도통되어 릴레이 스위치(RSW1),(RSW2)가 온/오프되게 된다.
즉, 단자(f)가 하이상태이면 앤드 게이트(AND2)의 출력이 로우이고 앤드 게이트(AND1)의 출력이 하이가 됨에 따라 트랜지스터(TR1)가 턴온되어 다이오드(D1)가 도통되어 코일(L1)에 전류가 흘러 릴레이 스위치(RSW1)가 온된다.
그리고 단자(f)가 로우상태이면 앤드 게이트(AND1)의 출력이 로우이고 앤드 게이트(AND2)의 출력이 하이가 됨에 따라 트랜지스터(TR2)가 턴온되어 다이오드(D2)가 도통되어 코일(L2)에 전류가 흘러 릴레이 스위치(RSW2)가 온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이중접점 릴레이 사용할 때 접점의 동시 개방이 가능하므로 디바이스 핀중 VDD단자 또는 VEE단자가 어떤핀에 위치하여도 연결가능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접점의 동시 개방이 가능토록 함으로써 종래에 단순히 양측 접점으로의 스위칭 기능을 행하던 것에 비해 어떤 접점으로의 스위칭도 되지 않도록 하는 상태를 더 표현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종래에 비해 더 많은 신호상태를 표현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제1다이오드와 제1코일 및 제2다이오드와 제2코일이 각각 직력접속되고, 상기 직렬 접속된 제1다이오드와 제1코일 및 제2다이오드와 제2코일은 제1, 제2 접점에 병력접속되며, 상기 제1, 제2코일과 각각 쌍을 이루는 제1, 제2 릴레이 스위치의 일측단자는 제5 접점에 공통접속되고 타측단자는 각각 제3, 제4 접점에 접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접점 릴레이.
KR2019950017297U 1995-07-13 1995-07-13 이중접점 릴레이 KR01348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7297U KR0134813Y1 (ko) 1995-07-13 1995-07-13 이중접점 릴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7297U KR0134813Y1 (ko) 1995-07-13 1995-07-13 이중접점 릴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7187U KR970007187U (ko) 1997-02-21
KR0134813Y1 true KR0134813Y1 (ko) 1999-01-15

Family

ID=19418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7297U KR0134813Y1 (ko) 1995-07-13 1995-07-13 이중접점 릴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481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1792B1 (ko) * 2019-06-12 2020-12-16 핀투핀 주식회사 고속 절환제어 스위칭 리드릴레이 회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18622A1 (en) 2019-01-29 2021-12-08 Arc Suppression Technologies High speed arc suppress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1792B1 (ko) * 2019-06-12 2020-12-16 핀투핀 주식회사 고속 절환제어 스위칭 리드릴레이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7187U (ko) 1997-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15433A (ko) 다수의 전기 부하를 스위칭하는 전기 제어장치
KR930022417A (ko) 단락 보호 회로
KR0134813Y1 (ko) 이중접점 릴레이
SE8206154D0 (sv) Kopplingsanordning
KR880000881A (ko) 정보처리 및 제어시스템, 그 시스템용의 수동조작 전기스위치와 그 스위치를 그 시스템내에서 시험하는 방법.
US4603370A (en) Power-saving relay circuit
US5070253A (en) Solid state control circuit for a dual battery power supply
SU1453570A1 (ru) Электропривод посто нного тока
SU126922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взаимной блокировки включени нагрузок
JPH0294812A (ja) スイッチ回路
SU907807A1 (ru) Релейный триггер
SU137799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правлени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ем
JP3132589B2 (ja) 開閉装置
SU1020920A1 (ru) Коммутатор электрических цепей
SU1583988A2 (ru) Коммутатор
SU1051725A1 (ru) Релейный модуль
RU2210150C2 (ru) Нереверсивный контактор
SU1034193A1 (ru) Релейный триггер с пам тью
JPH0243075Y2 (ko)
KR960010954B1 (ko) 모터의 소손방지를 위한 중앙도어 잠금장치
SU1221741A1 (ru) Релейный триггер
RU2210151C2 (ru) Контактор
JP2727244B2 (ja) 電源開閉装置
JPH04168382A (ja) 開閉器の動作の監視装置
SU1354274A1 (ru) Коммутато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1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