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4762Y1 - 수목(樹木) 지지대 - Google Patents

수목(樹木)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4762Y1
KR0134762Y1 KR2019960015564U KR19960015564U KR0134762Y1 KR 0134762 Y1 KR0134762 Y1 KR 0134762Y1 KR 2019960015564 U KR2019960015564 U KR 2019960015564U KR 19960015564 U KR19960015564 U KR 19960015564U KR 0134762 Y1 KR0134762 Y1 KR 01347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e
support
arc
circular
tre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55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0072U (ko
Inventor
노영일
Original Assignee
노영일
예건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영일, 예건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영일
Priority to KR20199600155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4762Y1/ko
Publication of KR9800000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00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47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47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4Props; Stay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2Tree-bands

Abstract

수목의 성장에 관계없이 수목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수목 지지대를 제공할 목적으로; 다수의 호형편(10)과 연결부재(12)로 상호 연결된 원형부재(6)와; 소정의 길이를 갖고 형성되어 상기 원형부재(6)를 다수개소에서 지지하는 다수의 세로부재(8)로 이루어지는 수목 지지대.

Description

수목(樹木)지지대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수목 지지대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수목 지지대의 사용상태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수목 지지대의 평면도(세로부재의 하단부 생략).
제4도는 종래 수목 지지대의 사시도.
제5도는 종래 수목 지지대의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지지대 4 : 수목
6 : 원형부재 8 : 세로부재
10 : 호형편 12 : 연결부재
14 : 캡 16 : 요입부
18 : 고정볼트 20 : 머리부
본 고안은 수목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목의 성장에 관계없이 수목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수목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가로수, 정원수와 같은 수목에 있어서는 수목이 곧게 자라게 하거나 강한 바람 등에 의하여 옆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지지대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수목 지지대의 종래 구성을 살펴보면, 제4도에서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갖는 2개의 세로부재(100)와,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세로부재(100)의 상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호형부재(102)로 이루어지는 지지대(104)가 한쌍의 조립체로 사용된다.
즉, 제5도에서와 같이, 수목(106)을 지지하기 위하여는 2개의 지지대(104)를 호형부재(102)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플랜지부(108)에 고정 너트(110)를 체결함으로써, 2개의 호형부재(102)가 고목(106)을 감쌓은 상태에서 수목을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수목 지지부재에 있어서는 호형부재의 내경을 조절할 수 없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바, 수목의 성장시 호형부재 부분이 수목의 외측을 압박함으로써, 수목의 성장에 많은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그리고, 이 부분이 제대로 성장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지지대를 해체하는 경우에는 수목의 외관을 크게 해치게 되어 가로수 및 정원수로서의 가치를 떨어지게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목의 길이 성장시 세로부재의 길이를 조절할 수 없게 되는바, 장기간이 지난 후에는 세로부재의 하단부가 지면으로부터 떨어지게 되어 지지대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수목의 성장에 관계없이 수목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수목 지지대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다수의 호형편과 연결부재로 상호 연결된 원형부재와; 소정의 길이를 갖고 형성되어 상기 원형부재를 다수개소에서 지지하는 다수의 세로부재로 이루어지는 수목 지지대를 제공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내지 제3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부호 2는 지지대를 총칭한다.
상기 지지대(2)는 수목(4)의 외경보다 큰 원형부재(6)와, 소정의 길이를 갖고 형성되어 상기 원형부재(6)를 다수 개소에 지지하는 다수의 세로부재(8)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원형부재(6)는 다수의 호형편(10)으로 이루어져 상호 연결부재(12)에 의하여 연결이 이루어지는데, 이의 호형편(10)사용 갯수는 지지하고자 하는 수목(4)의 굵기에 따라 확장 할 수 있으나, 4개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호형편(10)은 각종 문양, 심볼(14) 등을 넣어 미관이 아름답게 형성하거나, 출처표시를 형성하며, 이들을 상호 연결하여 주는 연결부재(12)는 반원형으로 이루어져 그 양측단이 서로 이웃하는 호형편(10)과 적정의 고정수단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호형편(6)의 양단은 봉상의 세로부재(8)가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연결부재(12)의 접촉부재는 그의 크기가 같으나, 외측으로는 원호상으로 연장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이의 호형편(10)는 주철 사출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알루미늄, 합성수지 등과 등과 같은 사출물 또는 압출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세로부재(8)는 통상의 원형 튜브 또는 원형봉으로 이루어지는데, 본 고안에서는 원형튜브를 적용한 것으로 지지하고 있으며, 이의 경우에는 상단 개구부를 통하여 물과 같은 이 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캡(14)이 씌워진다.
또한, 이의 세로부재(8)는 직립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효과적인 지지와 통행인의 불편을 없게 하기 위하여 지면에 묻히는 중간부 하측이 외측으로 구부러지는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세로부재(8)를 원형부재(6)에 고정할 때에는 상기 연결부재(12)의 요입부(16)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그 내측으로부터 관통 체결되는 고정 볼트(18)에 의하여 고정이 이루어진다. 이 때, 요입부(16)에 세로부재(8)를 삽입하는 것은 요입부(16)의 외측이 원호상으로 되어 세로부재(8)의 직경보다 작기 때문에 요입부의 하단 또는 상단을 통해 삽입하며, 이러한 구조 때문에 설사 고정볼트(18)를 체결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세로부재(8)가 원형부재(6)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하측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된다.
상기에서 고정볼트(18)는 일반적인 고정 볼트가 아니라, 볼트 부재의 후단부를 원형으로 절곡시켜 형성한 머리부(20)를 갖는다.
이는 스패너와 같은 전용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의 머리부(20)의 중공을 통해 벨트를 연결함으로서 수목(4)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세로부재(8)의 지지를 더욱 견고히 하기 위하여 세로부재(8)의 하단에 연결구(31)를 통해 지지봉(30)을 연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제2도와 같은 상태로 사용되는데, 이때 세로부재(8)의 하측부분은 일정 깊이로 파묻힐 수 있도록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수목(4)이 연약한 경우에는 볼트(18)의 머리부(20)끼리를 밸트로 연결하여 놓으면 수목(4)의 성장을 방해받지 않으며, 일정기간 후 수목이 성장한 후에 상기 벨트를 다시 연결하여 놓으면 수목이 안정하게 유지된다. 그러나, 일정한 크기 이상으로 자란 수목이나, 큰 수목의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벨트를 연결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세로부재(8)의 하측부분이 소정의 깊이로 매몰되는 바, 수목(4)의 크기가 커지더라도 수목지지대(2)의 원형부재(6)가 충분한 크기를 갖고 있으므로 그 크기에 지장없이 수목(4)을 보호하게 되므로 수목 지지대(2)로서의 기능을 다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수목의 성장에 따라 능동적으로 대처하면서 수목을 지지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다수의 호형편(10)과 연결부재(12)로 상호 연결된 원형부재(6)와; 소정의 길이를 갖고 형성되어 상기 원형부재(6)를 다수개소에서 지지하는 다수의 세로부재(8)로 이루어지되 이 세로부재는 원형 튜브로 이루어지며, 그의 상단부에는 이물질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캡(14)이 씌워져 있으며, 그의 중간부 하측이 외측으로 구부러지는 형태로 형성되고, 하측에 다시 연결구(31)와 지지봉(30)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지지대.
KR2019960015564U 1996-06-12 1996-06-12 수목(樹木) 지지대 KR01347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5564U KR0134762Y1 (ko) 1996-06-12 1996-06-12 수목(樹木)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5564U KR0134762Y1 (ko) 1996-06-12 1996-06-12 수목(樹木) 지지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0072U KR980000072U (ko) 1998-03-30
KR0134762Y1 true KR0134762Y1 (ko) 1998-12-15

Family

ID=19458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5564U KR0134762Y1 (ko) 1996-06-12 1996-06-12 수목(樹木)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476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0072U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42210A (en) Apparatus for supporting plantlife growing in a ground area
US4520590A (en) Tree brace system
CA1300883C (en) Tree shelters
US4738050A (en) Plant and tree support clamp and system
KR0134762Y1 (ko) 수목(樹木) 지지대
KR200268446Y1 (ko) 나무지지대
KR19980059155U (ko) 수목 지지대
KR101044516B1 (ko) 수목 지지용 밴드 결속체
US6128851A (en) Tree support assembly
CN216362887U (zh) 一种园林绿化养护装置
KR200241455Y1 (ko) 가변식 수목지지대
JP2742403B2 (ja) プランター支持台
GB2311200A (en) Plant tie
KR200246730Y1 (ko) 나무지지대
JP3724754B2 (ja) 支柱支持用角キャップ
KR200228819Y1 (ko) 나무지지대
KR20050060053A (ko) 체결형 지주목
KR860000676Y1 (ko) 고추 보호목
JP3795851B2 (ja) 樹木用支柱
KR200321002Y1 (ko) 나무 가지보호 받침대
KR960001074Y1 (ko) 수목보호지지구
KR950001688Y1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담장
JPS5845567Y2 (ja) 防鳥網用支線支持器
KR102642429B1 (ko) 생육 임목 친화 볼트
KR920000830Y1 (ko) 농작물 지지용 합성수지 기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08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