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4333B1 - 다화면 표시장치의 상호 혼신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다화면 표시장치의 상호 혼신 제거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4333B1
KR0134333B1 KR1019930018009A KR930018009A KR0134333B1 KR 0134333 B1 KR0134333 B1 KR 0134333B1 KR 1019930018009 A KR1019930018009 A KR 1019930018009A KR 930018009 A KR930018009 A KR 930018009A KR 0134333 B1 KR0134333 B1 KR 0134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signal
sub
sub picture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8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0558A (ko
Inventor
도영수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30018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4333B1/ko
Publication of KR950010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0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4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43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1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in the image signal gen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04N5/08Separation of synchronising signals from pictur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8Signal distribution or swi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주화면에 여러개의 자화면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에서 자화면 오프시 누설 전퓨나 신호의 방사가 있더라도 화면에는 자화면이 나타나지 않도록 하여 상호 혼신 현상을 완전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다화면 표시장치의 상호 혼신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자화면 오프 명령이 있을 경우 자화면의 크기가 주화면의 귀선 소거 기간을 벗어나지 않도록 자화면 영상 신호를 압축하고, 자화면의 위치가 주화면의 영상 신호의 귀선 소거 기간에 위치하도록 제어 데이타를 출력하므로써, 주화면과 자화면의 상호 혼신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게 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다화면 표시장치의 상호 혼신 제거장치
제1도는 다화면 표시장치의 상호혼신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상태도로서, a도는 자화면 온인 경우의 화면 상태도, b도는 자화면 오프인 경우의 화면상태도.
제2도는 종래 상호 혼신 제거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상호 혼신 제거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주화면 신호 처리부 30 : 자화면 신호 처리부
40 : 선택부 60 : 마이크로 프로세서
본 발명은 하나의 스크린에 여러개의 화면을 표시할 때 자화면 신호의 누설이나 방사에 의해 나타나는 상호 혼신 형상을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이용해 완전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다화면 표시장치의 상호 혼신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주화면속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화상을 표시하고자 하는 모든 영상 표시장치, 예를 들어 픽쳐-인-픽쳐(Picture-In-Picture; PIP) 기능이 내장된 텔레비젼과 같은 경우, 자화면 온시에는 제1도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화면(A)속에 자화면(B)을 삽입하여 표시하게 된다.
그러나 자화면이 오프되는 경우 즉, 자화면을 표시하지 않고 주화면만 표시하는 경우 제1도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화면(A)상에 자화면(B)이 희미하게 나타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현상을 상호 혼신(Cross Talk)이라고 하며, 이것은 자화면 신호가 오프되었어도 누설 전류나 신호의 방사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이다.
이와 같은 상호혼신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종래장치의 일예가 제2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다화면 표시장치는 자화면의 온(ON)/오프(OFF)와 위치 및 화면크기등을 결정하기 위한 제어데이타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0)와, 제1영상신호를 입력받아 동기신호를 분리하고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도록 일반적인 신호처리를 수행하여 주화면영상신호로 출력하는 주화면 신호 처리부(20)를 구비한다. 또한, 마이크로 프로세서(10)의 제어데이타와 주화면 신호 처리부(20)에서 분리한 동기신호에 따라 입력되는 제2영상신호를 자화면영상신호로 압축처리하여 절환신호와 함께 출력하는 자화면 신호 처리부(30)를 구비한다. 한편, 주화면 신호 처리부(20)와 자화면 신호 처리부(30)의 출력단에는 자화면 신호 처리부(30)에서 출력된 절환신호에 따라 자화면 영상신호를 주화면 영상신호에 다중화된 신호형태로 출력하는 선택부(40)가 연결된다. 자화면 신호 처리부(30)의 출력단에는 그 절환신호에 따라 스위칭되어 자화면 오프시 자화면 영상 신호를 바이패스(bypass)시키는 트랜지스터(50)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상호 혼신 제거장치는 각각의 주화면 및 자화면용 영상 신호가 입력되면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도 2에서, 주화면 신호 처리부(20)는 영상신호가 입력되면 주화면(도 1의 A부분)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일반적인 텔레비젼의 신호처리와 동일하게 처리하여 선택부(40)로 출력한다. 이때, 주화면 신호 처리부(20)는 입력된 영상신호로부터 동기신호를 분리하여 분리된 동기신호를 자화면 신호 처리부(30)로 출력한다. 자화면 신호 처리부(30)는 이 주화면 동기 신호를 이용하여 자화면 신호의 출력 시점, 즉 주화면이 출력 시작점에서 얼마나 떨어져 자와면 신호를 출력시키느냐의 기준점으로 이용하게 된다.
이때 떨어지는 간격은 마이크로 프로세서(10)에서 보내주는 제어 데이타값에 의해 결정되어 화면에 표시할때 자화면의 위치를 상하좌우 어느곳으로나 움직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자화면 신호 처리부(30)는 영상신호가 입력되면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압축 및 신호처리하여 원하는 자화면(도 1의 B부분) 크기의 영상신호를 구한다. 자화면 신호 처리부(30)는 주화면 신호 처리부(20)에서 출력된 주화면 동기 신호와 마이크로 프로세서(30)는 주화면 신호 처리부(20)에서 출력된 주화면 동기신호와 마이크로 프로세서(10)에서 출력된 제어 데이타에 의해 자화면 신호와 절환신호를 출력한다. 즉, 자화면 신호 처리부(30)는 주화면상에 자화면이 표시될 위치에 정확하게 자화면 신호가 표시되도록 자화면 신호와 절환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제어 데이타에 화면에 표시될 자화면 위치값 뿐만 아니라, 자화면의 온(ON)/오프(OFF), 화면크기등의 출력 조절정보도 포함한다.
이렇게하여 출력된 자화면 신호와 주화면 신호는 선택부(40)로 인가되고, 자화면 신호 처리부(30)에서 출력된 절환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출력되는데, 상기 절환신호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0)의 제어 데이타값에 의해 자화면 신호 출력시엔 저전위 상태로, 주화면 신호 출력시엔 고전위 상태로 출력된다.
자화면 신호 처리부(30)의 출력단에 있는 트랜지스터(5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0)의 제어 데이타가 자화면 오프 명령을 내보내면, 주화면과의 상호 혼신을 제거하기 위해 자화면 신호의 출력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상호 혼신을 제거하는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자화면 온상태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자화면 온(ON) 명령의 제어데이타를 자화면 신호처리부(30)로 출력한다. 자화면 신호 처리부(30)는 입력되는 제어 데이타가 자화면 온(ON) 명령인 경우, 압축처리된 자화면 영상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자화면 신호 처리부(30)는 제어데이타에 포함되어 있는 자화면의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자화면이 출력되는 기간에는 저전위상태로, 그 이외의 기간에는 고전위 상태로 절환신호를 출력한다. 트랜지스터(50)는 그 베이스로 저전위상태의 절환신호가 인가되면 턴-오프 상태가 되어, 자화면 신호 처리부(30)에서 출력되는 자화면 영상신호가 주화면 영상신호와 함께 선택부(40)로 인가되어 절환신호가 저전위인 기간동안은 자화면 신호가 출력된다.
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가 자화면 오프(OFF) 명령의 제어 데이타를 출력하면, 자화면 신호 처리부(30)는 고전위 상태의 절환신호를 트랜지스터(50)의 베이스에 인가하여 턴-온시킨다. 트랜지스터(50)가 턴-온상태인 경우, 자화면 신호 처리부(30)에서 출력되는 자화면 영상신호는 트랜지스터(50)를 통해 접지로 흘러 선택부(40)에는 유입되지 않게 된다. 이때, 선택부(40)는 고전위상태의 절환신호에 의해 주화면 신호 처리부(20)로부터 인가되는 주화면 영상신호만을 선택하여 출력하므로, 화면상에는 주화면만이 표시된다.
하지만, 위와 같은 종래의 혼신제거장치는 자화면 신호 출력단에 트랜지스터를 삽입하여 단지 자화면이 오프될때 신호를 0V로 만들어 누설 전류를 막음으로서 출력만 제한될 뿐이지 내부의 자화면 신호 처리는 계속하고 있음을 인해 상호 혼신을 완벽하게 제거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함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화면의 위치를 주화면 신호의 귀선 소거(blank) 기간에 위치하도록 하여 자화면 오프시 누설 전류나 신호의 방사가 있더라도 화면에는 나타나지 않도록 한 다화면 표시장치의 상호 혼신 제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화면 표시장치의 상호 혼신 제거장치는, 하나의 주화면속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자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다화면 표시장치의 상호 혼신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화면을 구성하는 제1영상 신호로부터 동기 신호를 분리하고, 상기 표시장치에 주화면을 표시할 수 있도록 제1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주화면 신호 처리부와,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제어 데이타와 상기 주화면 신호 처리부에서 출력된 동기 신호에 따라 상기 자화면을 구성하는 제2영상신호를 압축처리하고, 상기 제어 데이타가 상기 자화면 신호 처리부와, 적어도 상기 자화면의 오프기간동안 상기 제2영상신호가 상기 제1영상신호기간중 화면에 나타나지 않는 기간에 위치하도록 하는 제어데이타를 포함하는 다수의 제어데이타들을 발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자화면 신호 처리부에서 출력된 절환신호에 따라 주화면 영상 신호나 자화면 영상신호를 선택하여 자화면 영상신호가 주화면 영상신호에 다중화된 신호를 출력하는 선택부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다화면 표시장치의 상호 혼신 제거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제2도 장치의 동일한 구성에서 자화면 오프(OFF)시 상호 혼신제거를 위해 자화면 신호가 선택부(40)에 인가되지 않도록 하는 트랜지스터(50)를 삭제하는 대신 제어데이타의 값을 변화시켜 상호 혼신을 제거하도록 한 변형된 마이크로 프로세서(1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제2도에서와 동일한 참조번호를 갖는 제3도의 구성블록들은 제2도의 대응하는 블록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다화면 표시장치의 상호 혼신제거장치의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에서, 주화면 신호 처리부(20)는 영상신호가 입력되면 주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일반적인 텔레비젼의 신호 처리와 동일하게 처리하여 선택부(40)로 출력한다. 이때, 주화면 신호 처리부(20)는 입력된 영상신호로부터 동기 신호를 분리하여 분리돈 동기 신호를 자화면 신호 처리부(30)로 출력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60)의 제어 데이타가 자화면 온을 명령하게 되면, 자화면 신호 처리부(30)에 입력된 영상 신호는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압축되어 자화면의 크기가 적절하게 만들어진다.
아울러 자화면 신호 처리부(30)는 주화면 동기 신호와 마이크로 프로세서(60)에서 출력된 제어 데이타에 따라 자화면 신호의 출력 시점, 즉 주화면의 출력 시작점에서 얼마나 떨어져 자화면 신호를 출력시키느냐를 결정하게 된다. 이때 마이크로 프로세서(60)의 제어 데이타에는 상기 위치값 뿐만 아니라, 자화면의 온/오프, 화면크기등의 출력 조절 정보도 포함되어 있다.
자화면 신호 처리부(30)에서 출력된 자화면 신호는 주화면 신호와 함께 선택부(40)로 인가되고, 상기 선택부(40)는 자화면 신호 처리부(30)에서 출력된 절환신호가 저전위이면 자화면 영상 신호를, 고전위이면 주화면 영상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60)의 제어 데이타가 자화면 오프를 명령하게 되면, 상기 제어 데이타에는 자화면의 위치를 주화면 신호의 귀선 소거 기간에 위치하도록 하는 위치값도 포함되어 있다.
아울러 마이크로 프로세서(60)는 자화면 신호가 귀선 소거 기간을 벗어나지 않도록 자화면의 크기를 작게 압축하도록 하는 화면크기 정보도 상기 제어 데이타에 포함시켜 보낸다.
자화면 신호 처리부(30)에서 출력된 자화면 신호는 주화면 신호 처리부(20)에서 출력된 주화면 신호와 함께 선택부(40)로 인가되고, 상기 선택부(40)는 절환신호가 저전위이면 자화면 영상 신호를, 고전위이면 주화면 영상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그러나 자화면 오프 기간에는 자화면 영상 신호가 출력되더라도 화면에 표시되지 않는 주화면 신호의 귀선 소거 기간에 출력되기 때문에 상호 혼신이 발생하더라도 이것이 화면상에는 나타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자화면 오프시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 데이타값을 변화시켜 자화면의 위치를 주화면 신호의 귀선 소거 기간에 위치하도록 하므로 누설 전류나 신호의 방사가 있더라도 화면에는 자화면이 나타나지 않게 되고, 상호 혼신을 완전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4)

  1. 하나의 주화면속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다화면 표시장치의 상호 혼신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화면을 구성하는 제1영상 신호로부터 동기 신호를 분리하고, 상기 표시장치에 주화면을 표시할 수 있도록 제1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주화면 신호 처리부;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제어 데이타와 상기 주화면 신호 처리부에서 출력된 동기 신호에 따라 상기 자화면을 구성하는 제2영상 신호를 압축처리하고, 상기 제어데이타가 상기 자화면을 선택하는 데이타를 포함할때 상기 자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절환신호를 선택부로 인가하는 자화면 신호 처리부; 적어도 상기 자화면의 오프기간동안 상기 제2영상신호가 상기 제1영상신호기간중 화면에 나타나지 않는 기간에 위치하도록 하는 제어데이타를 포함하는 다수의 제어데이타들을 발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자화면 신호 처리부에서 출력된 절환신호에 따라 주화면 영상 신호나 자화면 영상 신호를 선택하여 자화면 영상신호가 주화면 영상신호에 다중화된 신호를 출력하는 선택부를 포함하는 다화면 표시장치의 상호 혼신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화면신호처리부는 상기 제1영상신호의 동기신호를 기준으로 상기 제2영상신호의 출력시점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화면 표시장치의 상호 혼신 제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자화면 오프시에 제2영상 신호가 제1영상신호의 귀선소거기간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해, 자화면의 위치를 조절하는 제어데이타를 사기 자화면신호처리부에 인가하는 다화면 표시장치의 상호 혼신 제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자화면 오프시에 제2영상신호가 제1영상신호의 귀선소거기간을 벗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자화면의 크기를 조절하는 제어데이타를 상기 자화면신호처리부에 인가하는 다화면 표시장치의 상호 혼신 제거장치.
KR1019930018009A 1993-09-08 1993-09-08 다화면 표시장치의 상호 혼신 제거장치 KR0134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8009A KR0134333B1 (ko) 1993-09-08 1993-09-08 다화면 표시장치의 상호 혼신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8009A KR0134333B1 (ko) 1993-09-08 1993-09-08 다화면 표시장치의 상호 혼신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0558A KR950010558A (ko) 1995-04-28
KR0134333B1 true KR0134333B1 (ko) 1998-04-23

Family

ID=19363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8009A KR0134333B1 (ko) 1993-09-08 1993-09-08 다화면 표시장치의 상호 혼신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433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0558A (ko) 1995-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26628B2 (ja) 多重映像テレビ受像機
JP2850037B2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
KR100514540B1 (ko) 다중-영상 디스플레이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EP0656727B1 (en) Teletext receiver
US5978046A (en) Television receiver with picture-in-picture function displays titles of reduced screen programs
JP2829962B2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00384211B1 (ko) 텔레비전수상기
KR870006788A (ko) 텔레비전 수상기
US8228436B2 (en) Image synthesizing apparatus
KR880013370A (ko) Vcr 일체형의 텔레비젼 수상기
EP0470079B1 (en) Inset picture centering in a picture-in-picture system
US6380948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on screen display
US5177612A (en) Signal switching output device
KR0134333B1 (ko) 다화면 표시장치의 상호 혼신 제거장치
KR100720339B1 (ko) 영상처리장치
JPH1051709A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
KR940002656Y1 (ko) 디지탈 vcr의 동기 신호 공유회로
JPS5958472A (ja) 映像表示装置
KR100205372B1 (ko) 온 스크린 표시장치
JPH0654958B2 (ja) ス−パ−インポ−ズ表示装置
JP3137994B2 (ja) 映像切換装置
KR0134545B1 (ko) 화면의 선택적 모니터 출력 장치 및 출력 방법
KR100222868B1 (ko) 칼라 텔레비젼의 프론트 포치 및 백 포치 기간 조정 회로
JP2831160B2 (ja) 二画面表示装置
KR0147984B1 (ko) 와이드 브이 씨알의 오 에스 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