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3873Y1 - 위성 방송 텔레비젼에서의 일정 비데오 게인 출력회로 - Google Patents

위성 방송 텔레비젼에서의 일정 비데오 게인 출력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3873Y1
KR0133873Y1 KR2019930014191U KR930014191U KR0133873Y1 KR 0133873 Y1 KR0133873 Y1 KR 0133873Y1 KR 2019930014191 U KR2019930014191 U KR 2019930014191U KR 930014191 U KR930014191 U KR 930014191U KR 0133873 Y1 KR0133873 Y1 KR 01338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in
resistor
transistor
outpu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41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5132U (ko
Inventor
이준호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300141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3873Y1/ko
Publication of KR9500051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51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38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38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2Automatic gai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1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 H04H40/27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 H04H40/90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specially adapted for satellite broadcast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Abstract

이 고안은 위성 방송 텔레비젼에서 비데오 게인을 항상 일정하게 출력시키는 일정 비데오 게인 출력회로에 관한 것이다.
이 고안은 중간 주파수 밴드에 따라 온/오프되는 제1스위칭 소자와, 방송 방식에 따라 상기 제1스위칭 소자의 소정 단자로 스위칭되는 제2스위칭 소자와, 중간 주파수 밴드를 판별하여 상기 제1스위칭 소자로 제1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방송 방식을 판별하여 상기 제2스위칭 소자로 제2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콤과, 상기 제1, 제2스위칭 소자의 출력에 따라 튜너로부터 입력되는 베이스 밴드를 버퍼링 및 증폭시켜 일정 비데오 게인을 출력하는 게인 제어회로로 구성되어, 방송 방식이 다르고, 각 채널마다 IF 밴드가 다르더라도 항상 비데오 게인을 일정하게 출력시킬 수 있고, 또한, 종래의 다수의 네가티브 피드백 증폭기에 비해 하나의 네가티브 피드백 증폭회로만 필요하므로 회로 구성이 간단하고, 코스트가 다운된다.

Description

위성 방송 텔레비젼에서의 일정 비데오 게인 출력회로
제1도는 종래의 위성 방송 텔레비젼에서의 비데오 게인 출력회로의 블럭도.
제2도는 이 고안에 따른 위성 방송 텔레비젼에서의 일정 비데오 게인 출력 회로도.
제3도는 상기 제2도의 게인 제어부의 등가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게인 제어부 200 : 마이콤
C1∼C3 : 콘덴서 R1∼R10 : 저항
Q1∼Q4 : 트랜지스터 SW : 스위칭부
OP1 : 증폭기
이 고안은 위성 방송 텔레비젼에서의 일정 비데오 게인 출력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위성별 1채널당 중간 주파수(Intermidate Frequency ; 이하, IF라 칭함.) 밴드가 달라지거나, 방송 방식에 의해 주파수 변조(frequency Modulation ; 이하, FM이라 칭함.) 데비에이션(Deviation)이 달라지더라도 비데오 게인을 항상 일정하게 출력시키는 위성 방송 텔레비젼에서의 일정 비데오 게인 출력회로에 관한 것이다.
위성 방송 사용이 늘어남에 따라 채널을 할당할 때, 1채널을 그대로 사용하기도 하고, 한정된 위성내에 많은 채널을 서비스하기 위해 1채널에 2개의 채널을 할당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이때, 전자를 풀 트랜스폰더(Pull Transpondor)라 하며, IF 밴드가 27㎒이다. 그리고, 후자를 하프 트랜스폰더(Half Transpondor)라 하며, IF 밴드가 18㎒이다. 이때, 방송 방식에 따라 풀 트랜스폰더와 하프 트랜스폰더를 다시 분류한다.
즉, NTSC 방송 방식
PAL 방송 방식
이다
이때, 풀 트랜스폰더의 비데오 게인은 하프 트랜스폰더의 비데오 게인의 두배로 서로 다르다. 그리고, 방송 방식에 따라, 즉, 방송 방식이 NTSC인지 PAL인지에 따라 FM 데비에이션이 달라지고 따라서, 비데오 게인도 달라진다.
그러나, 한 채널당 IF 밴드가 달라지거나 FM 데비에이션이 달라지더라도 비데오 게인은 항상 일정해야 한다.
제1도는 종래의 위성 방송 텔레비젼에서의 비데오 게인 출력회로를 나타낸 블럭도로서, 튜너(10)와 제1 내지 제4증폭기(20∼50)와 상기 제1 내지 제4증폭기(20∼50)의 출력을 선택하는 스위칭부(6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스위칭부(60)는 마이콤으로부터의 제어신호(SW1,SW2)에 의해 상기 제1 내지 제4증폭기(20∼50)의 출력을 선택한다.
그리고, 상기 제1증폭기(20)는 NTSC 방송 방식의 비데오 게인을 출력하는 증폭기이고, 제2증폭기(30)는 PAL 방송 방식의 비데오 게인을 출력하는 증폭기이고, 제3증폭기(40)는 하프 트랜스폰더의 비데오 게인을 출력하는 증폭기이고, 제4증폭기(50)는 풀 트랜스폰더의 비데오 게인을 출력하는 증폭기이다.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4증폭기(20~50)의 출력은 각각의 저항(R1~R4)을 통해 각각의 반전단으로 피드백되므로 상기 제1 내지 제4증폭기(20~50)는 네가티브 피드백 증폭기이다.
이때, 송신시 채널마다 밴드가 틀림에 따라 또한, NTSC와 PAL 시스템의 FM 데비에이션에 따라 비데오 게인이 틀리므로, 상기 제1 내지 제4증폭기(20~50)의 게인 상태가 각각 틀리다.
이와같이 구성되어, 상기 튜너(10)로부터 베이스 밴드가 제1, 제2증폭기(20,30)의 비반전단으로 입력되면 제1, 제2증폭기(20,30)에서는 상기 튜너(10)의 출력을 버퍼링 및 증폭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제2증폭기(20,30)의 출력은 스위칭부(60)로 입력되는 제어신호(SW1)에 의해 선택된다.
이때, 방송 방식이 NTSC라면 스위칭부(60)의 제어 신호(SW1)에 의해 상기 제1증폭기(20)의 출력이 선택된다. 그리고, 상기 제1증폭기(20)의 출력은 피드백되어 제3, 제4증폭기(40,50)의 비반전으로 입력된다.
상기 제3, 제4증폭기(40,50)에서는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스위칭부(60)로 출력한다. 이때, IF 밴드가 하트 트랜스폰더라면 상기 스위칭부(60)에서는 입력되는 제어 신호(SW2)에 의해 상기 제3증폭기(40)의 출력을 선택하여 최종 비데오 게인으로서 출력단(OUT)을 통해 출력한다.
즉, 먼저 방송 방식이 NTSC인지 PAL인지를 선택하여 그에 따른 베이스 밴드의 신호를 버퍼링 및 증폭시켜 출력하고, 다시 하프 트랜스폰더인지 폴 트랜스폰더인지를 선택하여 그에 따른 비데오 게인을 출력한다.
그러나, 상기 제1도는, 증폭 회로가 4개 구성되므로 각각에 대해 신호를 넣어주어야 하며, 면적이 많이 차지한다. 따라서, 회로가 복잡해지고, 코스트가 올라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고안의 목적은 하나의 네가티브 피드백 증폭기와 풀 트랜스폰더와 하트 트랜스폰더에 따라 온·오프되는 스위칭 소자를 구비함으로써 각 채널마다 IF 밴드가 다르게 입력되더라도 비데오 게인은 항상 일정하게 출력시키는 위성 방송 텔레비젼에서의 일정 비데오 게인 출력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이 고안의 다른 목적은 네가티브 피드백 증폭기와 방송 방식에 따라 스위칭되는 스위칭 소자를 구비함으로써 방송 방식에 따라 FM 데비에이션이 틀리더라도 비데오 게인을 항상 일정하게 출력시키는 위성 방송 텔레비젼에서의 일정 비데오 게인 출력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고안에 따른 위성 방송 텔레비젼에서의 일정 비데오 게인 출력회로의 특징은, 튜너로부터 출력되는 베이스 밴드의 신호를 증폭하여 비데오 게인을 출력하는 위성 방송 텔레비젼에서의 게인 출력회로에 있어서, 중간 주파수 밴드에 따라 온/오프되는 제1스위칭 수단과, 방송 방식에 따라 상기 제1스위칭 수단의 소정 단자로 스위칭되는 제2스위칭 수단과, 중간 주파수 밴드를 판별하여 상기 제1스위칭 수단으로 제1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방송 방식을 판별하여 상기 제2스위칭 수단으로 제2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콤과, 상기 제1, 제2스위칭 수단의 출력에 따라 튜너로부터 입력되는 베이스 밴드를 버퍼링 및 증폭시켜 일정 비데오 게인을 출력하는 게인 제어 수단으로 이루어지는데 있다.
이하, 이 고안에 따른 위성 방송 텔레비젼에서의 일정 비데오 게인 출력회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이 고안에 따른 위성 방송 텔레비젼에서의 일정 비데오 게인 출력 회로도로서, 튜너로부터 베이스 밴드의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단(In)에는 콘덴서(C1,C2) 및 바이어스 저항(R1,R2)을 통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단이 연결된다. 이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단에는 저항(R4)이 연결되고, 이 저항(R4)과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단사이에는 NTSC/PAL 방송 방식에 따라 스위칭되는 스위칭부(SW)의 입력단(①)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단에는 저항(R3)이 연결되고, 이 저항(R3)과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단사이에는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단이 연결되며, 이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단에는 전원 전압단(Vcc)이 연결된다.
한편, 상기 스위칭부(SW)의 제1출력단(②)에는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단이 연결되고, 이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단과 에미터단사이에는 저항(R5)이 연결되며, 이 저항(R5)과 트랜지스터(Q3)의 에미터단 접점에는 저항(R6)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저항(R6)과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단의 접점에는 저항(R11)과 콘덴서(C3)가 병렬로 연결되고, 이 콘덴서(C3)를 통해 비데오 게인을 출력하는 출력단(OUT)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단에는 저항(R7)을 통해 풀 트랜스폰더/하프 트랜스폰더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콤(200)의 제어단(27MHz/18MHz)이 연결된다.
한편, 상기 스위칭부(SW)의 제2출력단(③)에는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단이 연결되고, 이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단과 에미터단사이에는 저항(R8)이 연결되며, 이 저항(R8)과 트랜지스터(Q4)의 에미터단의 접점에는 저항(R9)이 일단이 연결된다. 그리고, 이 저항(R9)의 타단은 상기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단과 저항(R6)의 접점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단에는 저항(R10)을 통해 풀 트랜스폰더/하프 트랜스폰더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상기 마이콤(200)의 제어단(27MHz/18MHz)이 상기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단과 공통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칭부(SW)의 제어단에는 방송 방식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상기 마이콤(200)의 제어단(NTSC/PAL)이 연결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이 고안은 방송 방식이 NTSC이고, 100을 비데오 게인을 항상 일정하게 출력시키기 위한 게인 제어부라 할때, 이 게인 제어부(100)를 DC로 해석해보면,
이때, (4) 식을 (3) 식에 대입하면,
이 된다.
그리고, (5) 식과 (2) 식을 (1) 식에 대입해 보면,
여기서, R5'=R5+R6이다.
이상에서 알수 있듯이 출력전압(Vodc)은 R1과 R2값과 R5'의 값에 따라 DC가 결정된다.
이것을 다시 AC 해석으로 해석해 보면,
입력 임피던스는
로서 크다는 것을 알수 있으며,
출력 임피던스는
로서, 버퍼와 같은 기능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a점과 b점사이 저항(R5')의 역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므로 이는 네가티브 피드백 전압 증폭기로 등가적으로 해석할 수 있다.
제3도는 이러한 네가티브 피드백 전압 증폭기를 나타낸 것으로서, 비반전단(+)에는 저항(R4)이 연결되고, 반전단(-)에는 상기 네가티브 피드백 증폭기(OP1)의 출력단이 저항(R5')을 통해 피드백되어 연결된다.
이때, 출력 전압(Vo)는 하기와 같다.
그리고, 전압 이득(Av)는,
따라서, 저항(R5')의 값에 따라 전압 이득(Av)이 달라진다.
이때, 방송 방식이 PAL이라고 가정하면, 전압 이득(Av)는,
(여기서, R8'=R8+R9)이고, R8'의 값에 따라 전압
이득(Av)이 달라진다.
한편, 마이콤(200)의 제어신호(NTSC/PAL)에 따라 스위칭부(SW)의 출력이 달라진다. 즉, 방송 방식이 NTSC이면 상기 스위칭부(SW)는 제1출력단(②)에 접속되고, PAL이면 제2출력단(③)에 접속된다.
그리고, IF 밴드가 풀 트랜스폰더일 때는 게인을 낮추고, 하프 트랜스폰더일 때는 게인을 크게해야 한다.
따라서, 하프 트랜스폰더일 때는 마이콤(200)의 제어신호(27MHz/18MHz)에 의해 상기 트랜지스터(Q3,Q4)는 턴오프된다.
상기 트랜지스터(Q3,Q4)가 턴오프되면, 전류는 저항(R6,R5)을 통해 상기 스위칭부(SW)의 제1출력단(②)으로 흐르고, 저항(R9,R8)을 통해 상기 스위칭부(SW)의 제2출력단(③)으로 흐른다.
이때, 방송 방식이 NTSC라면,
전압 이득(Av)은배만큼 증폭되어 출력된다.
그리고, 방송 방식이 PAL이라면,
전압 이득(Av)은배만큼 증폭되어 출력된다.
따라서, 전압 이득(Av)는 저항(R5+R6,R8+R9)에 의해서 결정된다.
한편, 풀 트랜스폰더일 때는 마이콤(200)의 제어신호(27MHz/18MHz)에 의해 상기 트랜지스터(Q3,Q4)는 턴온된다.
상기 트랜지스터(Q3,Q4)가 턴온되면, 전류는 저항(R6) 및 트랜지스터(Q3)를 통해 상기 스위칭부(SW)의 제1출력단(②)으로 흐르고, 저항(R9) 및 트랜지스터(Q4)를 통해 상기 스위칭부(SW)의 제2출력단(③)으로 흐른다.
따라서, 방송 방식이 NTSC라면,
전압 이득(Av)은배만큼 증폭되어 출력된다.
그리고, 방송 방식이 PAL이라면,
전압 이득(Av)은배만큼 증폭되어 출력된다.
따라서, 하프 트랜스폰더일 때는 전압 이득(Av)이 저항(R5+R6,R8+R9)에 의해서 결정되고, 풀 트랜스폰더일 때는 전압 이득(Av)이 저항(R5,R9)에 의해서 결정되므로, 하프 트랜스폰더일 때는 전압 이득이 커지고, 풀 트랜스폰더일 때는 전압 이득이 작아져 증폭도가 낮아지게 되어, 항상 일정한 비데오 게인이 출력된다.
한편, 이 고안은 1채널의 IF 밴드가 풀 트랜스폰더이거나 풀 트랜스폰더보다 더 클때(27MHz/36MHz)에도 적용된다. 즉, IF 밴드가 얼마로 변화하더라도 항상 대응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고안에 따른 위성 방송 텔레비젼에서의 일정 비데오 게인 출력회로에 의하면, 버퍼 및 증폭 효과를 갖는 네가티브 증폭기와 방송 방식에 따라 스위칭되는 스위칭 소자와 채널 밴드에 따라 온·오프되는 트랜지스터를 구비함으로써, 방송 방식이 다르고, 각 채널마다 IF 밴드가 다르더라도 항상 비데오 게인을 일정하게 출력시킬 수 있고, 또한, 종래의 다수의 네가티브 피드백 증폭기에 비해 하나의 네가티브 피드백 증폭회로만 필요하므로 회로 구성이 간단하고, 코스트가 다운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튜너로부터 출력되는 베이스 밴드의 신호를 증폭하여 비데오 게인을 출력하는 위성 방송 텔레비젼에서의 게인 출력회로에 있어서, 중간 주파수 밴드에 따라 온/오프되는 제1스위칭 수단과, 방송 방식에 따라 상기 제1스위칭 수단의 소정 단자로 스위칭되는 제2스위칭 수단과, 중간 주파수 밴드를 판별하여 상기 제1스위칭 수단으로 제1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방송 방식을 판별하여 상기 제2스위칭 수단으로 제2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콤과, 상기 제1, 제2스위칭 수단의 출력에 따라 튜너로부터 입력되는 베이스 밴드를 버퍼링 및 증폭시켜 일정 비데오 게인을 출력하는 게인 제어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위성 방송 텔레비젼에서의 일정 비데오 게인 출력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칭 수단은, 상기 마이콤의 제1제어 신호에 의해 턴온·턴오프되는 트랜지스터(Q3)와, 상기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단과 에미터단사이에 연결되는 저항(R5)과, 상기 트랜지스터(Q3)의 에미터단과 게인 제어 수단의 출력단(Vodc) 사이에 연결되는 저항(R6)으로 구성되어, 상기 트랜지스터(Q3)가 턴온되면 저항(R6)에 의해 전압 이득이 결정되고, 턴오프되면 저항(R5+R6)에 의해 전압 이득이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방송 텔레비젼에서의 일정 비데오 게인 출력회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게인 제어 수단은, 비반전단에는 저항(R4)이 연결되고, 반전단에는 상기 저항(R5+R6)을 통해 출력단이 연결되는 네가티브 피드백 증폭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방송 텔레비젼에서의 일정 비데오 게인 출력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칭 수단은, 상기 마이콤의 제1제어신호에 의해 턴온·턴오프되는 트랜지스터(Q4)와, 상기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단과 에미터단사이에 연결되는 저항(R8)과, 상기 트랜지스터(Q4)의 에미터단과 게인 제어 수단의 출력단(Vodc) 사이에 연결되는 저항(R9)으로 구성되어, 상기 트랜지스터(Q4)가 턴온되면 저항(R9)에 의해 전압 이득이 결정되고, 턴오프되면 저항(R8+R9)에 의해 전압 이득이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방송 텔레비젼에서의 일정 비데오 게인 출력회로.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게인 제어 수단은, 비반전단에는 저항(R4)이 연결되고, 반전단에는 상기 저항(R8+R9)을 통해 출력단이 연결되는 네가티브 피드백 증폭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방송 텔레비젼에서의 일정 비데오 게인 출력회로.
KR2019930014191U 1993-07-28 1993-07-28 위성 방송 텔레비젼에서의 일정 비데오 게인 출력회로 KR01338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4191U KR0133873Y1 (ko) 1993-07-28 1993-07-28 위성 방송 텔레비젼에서의 일정 비데오 게인 출력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4191U KR0133873Y1 (ko) 1993-07-28 1993-07-28 위성 방송 텔레비젼에서의 일정 비데오 게인 출력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5132U KR950005132U (ko) 1995-02-18
KR0133873Y1 true KR0133873Y1 (ko) 1999-03-20

Family

ID=19360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4191U KR0133873Y1 (ko) 1993-07-28 1993-07-28 위성 방송 텔레비젼에서의 일정 비데오 게인 출력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387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5132U (ko) 1995-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18673B1 (en) A differential amplification circuit wherein a DC level at an output terminal is automatically adjusted
KR100206048B1 (ko) 텔레비젼 시스템
US5838197A (en) High-gain amplifier circuit having voltage/current converter
US6600377B2 (en) Gain control amplifier
EP0054943A1 (en) Power amplifier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to a load by switching of power supply voltage
US6400933B1 (en) Amplifier
KR0133873Y1 (ko) 위성 방송 텔레비젼에서의 일정 비데오 게인 출력회로
US4987606A (en) Wide band transmission system with biasing of gain control circuit
US5235288A (en) Amplifier stage for low-resistance ac voltage sources
EP1359666B1 (en) Signal processing stage and radio frequency tuner
JP3105489B2 (ja) 増幅器
US5070259A (en) Constant current, highspeed, auto-zeroed, CMOS comparator
JP3088172B2 (ja) Agcシステム
US6512554B1 (en)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
US5351011A (en) Low noise, low distortion MOS amplifier circuit
EP1107451A2 (en) Transmission path switching circuit
EP1429456A1 (en) Variable gain amplifier of low power consumption
US5166983A (en) Mute circuit for audio amplifiers
FI71448B (fi) Automatisk foerstaerkningsregleringskrets foer en television
JPS63171006A (ja) 利得制御回路
US6995610B2 (en) Amplifier and radio frequency tuner
JP3462408B2 (ja) 直流帰還回路
JP3745949B2 (ja) テレビジョンチューナ
JP2730474B2 (ja) Fet増幅器
US6175275B1 (en) Preamplifier with an adjustable bandwid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