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3748Y1 - 화상 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3748Y1
KR0133748Y1 KR2019930006877U KR930006877U KR0133748Y1 KR 0133748 Y1 KR0133748 Y1 KR 0133748Y1 KR 2019930006877 U KR2019930006877 U KR 2019930006877U KR 930006877 U KR930006877 U KR 930006877U KR 0133748 Y1 KR0133748 Y1 KR 01337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iginal
image forming
document
forming apparatus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68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5346U (ko
Inventor
김종희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300068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3748Y1/ko
Priority to US08/162,611 priority patent/US5392101A/en
Publication of KR9400253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534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37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37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04N1/028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 H04N1/02815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ype of pick-up head
    • H04N1/02845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ype of pick-up head using an elongated light source, e.g. tubular lamp, LED array
    • H04N1/0285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ype of pick-up head using an elongated light source, e.g. tubular lamp, LED array in combination with at least one reflector which is in fixed relation to the light sour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7/00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 G03B27/32Projection printing apparatus, e.g. enlarger, copying camera
    • G03B27/52Details
    • G03B27/54Lamp housings; Illuminating means
    • G03B27/542Lamp housings; Illuminating means for copying cameras, reflex exposure light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03G15/04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with variable magnif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04N1/028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 H04N1/02815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ype of pick-up he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04N1/028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 H04N1/02815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ype of pick-up head
    • H04N1/02845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ype of pick-up head using an elongated light source, e.g. tubular lamp, LED array
    • H04N1/0287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ype of pick-up head using an elongated light source, e.g. tubular lamp, LED array using a tubular lamp or a combination of such lam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04N1/028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 H04N1/02815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ype of pick-up head
    • H04N1/02885Means for compensating spatially uneven illumination, e.g. an aperture arran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0402Scanning different formats; Scanning with different densities of dots per unit length, e.g. different numbers of dots per inch (dpi); Conversion of scanning standards
    • H04N1/0405Different formats, e.g. A3 and A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9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 H04N1/191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the array comprising a one-dimensional array, or a combination of one-dimensional arrays, or a substantially one-dimensional array, e.g. an array of staggered elements
    • H04N1/192Simultaneously or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scanning picture elements on one main scanning line
    • H04N1/193Simultaneously or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scanning picture elements on one main scanning line using electrically scanned linear arrays, e.g. linear CCD ar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Optical Systems Of Projection Type Copi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어떠한 크기의 원고라도 원고의 중앙 부분과 원고의 양단쪽 부분과의 광도차이를 대폭줄여서 정확한 화상을 입력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를 개선한 화상 형성장치에 대해 개시한다. 본 고안 화상 형성장치는 램프(11)의 양쪽에 각각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보조 반사경과(13)(14)과, 그 보조 반사경(13)(14)을 원고의 크기에 따라 램프(1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정수단이 마련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본 고안은 크기가 다른 원고가 사용되더라도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서 사용되는 원고의 양단쪽으로 보조 반사경이 이송되어 원고의 중앙부분과 양단쪽 부분에서의 광도차이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 형성장치
제1도는 종래 화상 형성장치의 요부 발췌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화상 형성장치의 개략도.
제3도는 제2도의 요부 발췌도.
제4도는 본 고안 화상 형성장치의 개략 설명도.
제5도는 종래와 본 고안의 비교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램프 12 : 고정 반사경
13,14 : 보조 반사경 15,16 : 슬라이더
20 : 모터 50 : 원고
70 : CCD
본 고안은 화상 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원고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에서 화상이 정확하게 입력되지 않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원고의 양쪽 가장자리측에 보조 반사경을 구비한 화상 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칼라 이미지 스캐너, 칼라 프린터, 디지털 칼라 복사기 등의 화상 형성장치는 램프등의 광원이 원고의 화상에 반사되어서, 그 원고의 상이 렌즈들에 의하여 광전변환소자에 각각 맺힌다. 광전변환소자는 예를 들면, 띠상의 CCD (charge-coupled device) 열이 많이 쓰이는데, 각 CCD에서는 그 각각에 맺히는 화상정보의 광량에 비례하는 전압 (색 신호)이 출력된다. 이렇게 얻어진 신호는 화상출력기기에 따라 프린터 출력부로 전송되는 데이터 형태로 변환되기도 하고, 또 모사전송을 위하여 2진 부호의 값으로 처리되기도 한다.
그런데, 종래의 화상 형성장치에 있어서, 제1도를 참조하면, 램프(1)의 하부에는 원고에 광을 반사시키는 고정반사경(2)이 램프(1)의 전(全)길이에 걸쳐 마련되어서 원고에 광을 집적시키도록 되어 있지만, 제5도의 B선에서 보는 바와 같이 CCD센서에서 감지되는 광량에 따른 전압의 출력은 원고의 중앙에서 보다 양단에서 낮게 출력된다. 즉, 원고의 화상을 입력할 때 원고의 중앙부분에 비해 원고의 양단부분 화상이 명확치 않게 출력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원고의 중심부위와 원고 양단부위에서의 광도차이를 좁혀 입력되는 화상이 보다 정확하게 입력되도록 개선된 화상 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램프와 그 램프의 광을 원고에 반사시키는 고정반사경을 구비하는 화상 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반사경의 양측 주변에 설치되어 상기 램프의 광을 원고로 더 반사시키는 보조 반사경, 이 보조 반사경을 이동시켜 그 간격을 원고의 크기에 따라 조정하기 위한 조정수단이 구비되어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각 보조 반사경은 원고의 크기에 따라 그 조정수단에 의해서 원고의 양단에 위치되도록 이동되어서 원고의 양단쪽과 중앙부분의 광량이 거의 동일한 수준으로 되도록 램프의 광을 집적시킨다. 한편, 상기 조정수단은 원고 크기선택 신호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 및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프레임(60)에는 광원인 램프(11)가 서포트(18)에 지지된 채 설치되어 있으며, 그 서포트(18) 에는 램프(11)의 광을 원고(50)에 반사시키는 고정 반사경(12)이 램프(11) 하부에 위치된 채 마련되어 있고, 램프(11)의 상부에는 원고(50)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램프(11)의 양단 쪽에는 각각 램프(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보조 반사경(13)(14)이 마련되어 있다. 이들 보조 반사경(13)(14)들은 소정의 조정수단에 의해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조정수단은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면, 프레임(60)에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20)를 설치하고, 구동기어(30)와 워엄 기어(40)가 동심으로 마련된 기어 어셈블리를 프레임(60)상에 설치하고, 그 모터(20)의 축에 워엄(25)을 설치하여 상기 워엄 기어(40)와 맞물림 시키고, 상기 각 보조 반사경 (13)(14) 을 각각 지지하며 랙(15)(16) 을 가지는 슬라이더(15)(16)를 상기 구동기어(30)에 맞물림 시켜서 구성 하였다. 상기 각 슬라이더(15)(16)에는 가이드 장공(15')(16') 이 형성되어 있으며, 프레임(60) 에는 상기 가이드 장공(15')(16')에 결합되어 슬라이더(15)(16) 를 안내하는 가이드 핀(23, 24) (21, 22) 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상기 모터(20)는 선택된 원고의 크기신호에 의해서 구동된다.
그리고 제4도를 참조하면, 프레임(60)내부에는 원고(50)로부터 반사된 광을 CCD(70)로 보내기 위한 다수의 반사경(51,52,53)들과 렌즈(54)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화상 형성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원고(50)를 장치내에 수납시키면, 도시되지 않은 원고 크기선택 신호에 의해서 상기 모터(20)가 구동되면, 모터(20)축에 설치된 워엄(25)에 맞물린 워엄기어(40) 및 구동기어(30)가 회전된다. 이때 구동기어(30)에 맞물린 슬라이더(15)(16)들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상기 원고 크기선택 신호 만큼 슬라이딩 이동되어서 각 슬라이더(15)(16)에 설치된 보조 반사경(13)(14)이 선택된 원고의 양단쪽에 위치되게 된다. 이와 같이 선택된 원고(50)의 양단쪽에 보조 반사경(13)(14)이 위치된 상태에서 원고의 화상을 입력시킬시 CCD(70)에서 검지한 광도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 형태의 결과치는 제5도의 A선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고의 중앙부분과 원고의 양단부분에서의 전기적 신호의 차이는 종래(B선)보다 줄어듬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보조 반사경(13)(14)으로 원고(50)의 양단쪽을 광을 보충적으로 집적시켜서 원고의 중앙부분과 양단부분과의 광도차이를 최소한으로 줄임으로써 입력정보를 정확히 입력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화상 형성장치는 원고의 양단쪽에 보조 반사경(13)(14)을 설치하여서 원고의 중앙부분과 양단쪽 부분과의 광도차이를 줄여 입력정보를 명확히 할 수 있고, 크기가 다른 원고를 사용하더라도 원고 크기선택신호에 따라 모터(20)가 구동되어 보조 반사경(13)(14)이 선택된 원고의 양단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화상 형성장치는 어떠한 크기의 원고라도 원고의 중앙부분과 양단쪽 부분과의 광도차이를 대폭줄여서 정확한 화상을 입력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램프(11)와 그 램프(11)의 광을 원고(50)에 반사시키는 고정반사경(12)을 구비하는 화상 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반사경(12)의 양측 주변에 설치되어 상기 램프(11)의 광을 원고(50)로 더 반사시키는 보조 반사경과(13)(14), 이 보조 반사경(13)(14)을 이동시켜 그 간격을 원고(50)의 크기에 따라 조정하기 위한 조정수단이 마련되어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수단이,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20)와, 그 모터(20) 로부터 구동되는 구동기어(30)와, 상기 각 보조 반사경(13)(14)을 각각 지지하며 상기 구동기어(30)와 맞물리는 랙(15)(16)을 가지는 슬라이더(15)(1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장치.
KR2019930006877U 1993-04-28 1993-04-28 화상 형성장치 KR01337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6877U KR0133748Y1 (ko) 1993-04-28 1993-04-28 화상 형성장치
US08/162,611 US5392101A (en) 1993-04-28 1993-12-07 Shading compensation device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6877U KR0133748Y1 (ko) 1993-04-28 1993-04-28 화상 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5346U KR940025346U (ko) 1994-11-18
KR0133748Y1 true KR0133748Y1 (ko) 1999-03-30

Family

ID=19354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6877U KR0133748Y1 (ko) 1993-04-28 1993-04-28 화상 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392101A (ko)
KR (1) KR013374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56959B2 (ja) * 2019-01-22 2022-10-19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光照射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4345B2 (ja) * 1974-12-25 1985-04-12 株式会社リコー 電子複写機における変倍スリツト露光方法
JPS54133143A (en) * 1978-04-05 1979-10-16 Minolta Camera Co Ltd Scanning system control device in electrophotographic copier
JPS5895358A (ja) * 1981-11-30 1983-06-06 Mita Ind Co Ltd 可変倍率静電複写方法
US4814821A (en) * 1986-07-15 1989-03-21 Ricoh Company, Ltd. Image-forming device
DE3901646A1 (de) * 1988-01-22 1989-08-03 Ricoh Kk Kopierer mit automatischer dokumentenzufuehrung
US5047800A (en) * 1989-09-14 1991-09-10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Image recording apparatus
US5221974A (en) * 1989-09-29 1993-06-22 Mita Industrial Co., Ltd. Image reader using two frames each driven by a different motor for adjustment of focus
US5065189A (en) * 1989-11-27 1991-11-12 Mita Industrial Co., Ltd. Electrophotographic copying machine and method of setting copy magnification
JPH0479662A (ja) * 1990-07-20 1992-03-13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US5220378A (en) * 1992-04-21 1993-06-15 Eastman Kodak Company Optical arrangement especially suitable for use in a high speed multi-magnification photofinishing prin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5346U (ko) 1994-11-18
US5392101A (en) 1995-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3538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US7990582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and image reading method
JP3227191B2 (ja) 画像読取装置
JPS61269457A (ja) 画像読取装置
US6603581B2 (en) High resolution scanner
JP3141375B2 (ja) 画像読み取り装置および画像読み取り方法
KR0133748Y1 (ko) 화상 형성장치
EP0164713B1 (en) Document reading device
US4415934A (en) Image reading apparatus
JP2004126284A (ja) 画像読取ユニット及び画像読取装置
US6762862B2 (en) High resolution scanner
US6204937B1 (en) Image reading device with a built-in shielding device and related image scanning method
JPH01300760A (ja) 画像読取装置
KR20190114350A (ko) 결상광학계의 배율 편차를 보정할 수 있는 스캐너
JP2699309B2 (ja) 画像読取装置
JP2008017128A (ja) 画像読取装置および初期化処理方法
EP0394999B1 (en) Shading distortion compensating structure of a light convergence reading scanner
JP3230874B2 (ja) 画像読取装置
JPH0522523A (ja) 原稿読取装置
JPH01123564A (ja) 可変倍原稿読取装置
JPH10308850A (ja) 画像読取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読取方法
JPS63164672A (ja) 画像読取装置
JPH04126446A (ja) 画像読取装置
JPH04335760A (ja) 画像読取装置
JPH01282538A (ja) 画像読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