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3527B1 - 오일정제 폐기물내의 오일 회수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오일정제 폐기물내의 오일 회수 방법 및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3527B1
KR0133527B1 KR1019890016883A KR890016883A KR0133527B1 KR 0133527 B1 KR0133527 B1 KR 0133527B1 KR 1019890016883 A KR1019890016883 A KR 1019890016883A KR 890016883 A KR890016883 A KR 890016883A KR 0133527 B1 KR0133527 B1 KR 01335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ke
oil
mixture
waste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6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9894A (ko
Inventor
고디노 리노엘.
엘리어트. 주니어 존디.
Original Assignee
잭이. 디오니즈
포스터 휠러 유에스에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잭이. 디오니즈, 포스터 휠러 유에스에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잭이. 디오니즈
Publication of KR910009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9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3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3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55/00Coking mineral oils, bitumen, tar, and the like or mixtures thereof with solid carbonaceous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9/00Thermal non-catalytic cracking, in the absence of hydrogen, of hydrocarbon oils
    • C10G9/005Coking (in order to produce liquid products mainl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 For Refining Petroleum (AREA)
  • Coke Industr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오일정제 폐기물내의 오일 회수 방법 및 장치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탈수처리 및 디레이드 코오킹(deayed coking)시스템의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문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3,4 : 증발기 탱크 10 : 폐기물 탈수 및 디레이드 코오킹 시스템
14 : 스크린 15 : 분쇄기
16 : 유동탱크 24 : 복합효과 증발기부
30 : 응축기/진공시스템 36 : 물/오일 분리기
20,38a,38b,38c,56,68,84 : 펌프,
40a,40b,40c : 드로틀 밸브 48a,48b,48c,48d : 열교환기
64 : 코우크스 분열기(coker fractionator)
70 : 코우크스로(furnace) 72 : 코우크스 드럼
96, 98, 100 : 제어밸브
본 발명은 폐기물로 부터의 오일회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오일정제 장치들로부터 나오는 유성(oily)폐기물로부터의 오일회수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중탄화수소 부분과 불활성 고체들을 함유하고 있는 유성 폐기물은 개펄처리, 유성의 물처리, 탱크 세척등과 같은 하나의 오일정제 과정내에서 다양한 경로를 통해 얻어진 수성 흐름으로 이르게 된다.
이러한 물질로 부터의 오일의 회수는 그 물질의 흐름들에 함유된 수분으로 인해 특히 어렵다.
부분적으로 수성(aqueous)의 물질에서 물을 증발 시킴으로서 수성의 산업 폐기물들, 하수, 소금기를 가진 물 또는 소금물 및 다른 수성물질을 세척하고 처리하는 방법들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형식의 하나의 방법의 챨스 그린휠드등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4,007,094호에 기술되어 있는 바, 수성 폐기물은 유동오일과 혼합되고, 그 혼합물 내의 수분은 복합효과증발시스템내에서 증발되며, 유동오일이 회수되어 재순환되고, 폐기 고체들은 원심기에 의해 회수된다.
원심 작용으로 얻어진 폐기 고체들은 그래도 아직 약간의 오일을 포함하고 있게 된다.
폐기 고체들로 부터 상기 잔여 오일의 회수가 요구되는 경우, 상기 폐기 고체들내의 잔여 오일을 제거하기 위해 폐기 고체들을 담고 있는 챔버에 증기를 통과시키게 되는 원심 탈수기가 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은 원심 탈수기가 챨스 그린휠드등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제 4,289,578호에 케이크오일 제거기(cake deoiler)로서 서술되어 있다.
진술한 바와 같은 유동오일 복합효과 증발공정은 효과적이지만 건조한 폐기 고체들을 만들어 내게 되고, 이것은 아직 제거시킬 필요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공정은 설비면에서 많은 투자를 요구하고, 따라서 비용을 많이들게 한다.
많은 오일정제 장치들은 디레이드 코오킹(delayed coking)공정에 의해 코우크스를 만드는 현존 설비를 갖추고 있다.
1980년 4월 25일에 출원된 미합중국 특허 출원제 185,617호로서 본 특허 출원의 양수인에게 양도된 출원에서는 디레이드 코오킹 시스템내로 정제되어질 찌꺼기를 공급함으로써 높은 수분과 고체들을 함유하고 있는 정제 찌꺼기를 처리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상기 출원에서 기술되어진 방법에서는 젖은 찌꺼기가 수분제거용의 디레이드 코오킹 시스템의 블오우다운(blowdown)드럼으로 보내진다.
본 발명에 따라서, 유동오일의 첨가를 포함한 복합효과 증발공정이 수성오일 정제 폐기물들의 처리에 사용된다.
또한, 증발공정은 디레이드 코오킹 공정과 결합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오일정제 폐기물들은 종래의 유동오일의 제거공정과 결합되어지는 모든 설비를 필요로 함이 없는 유동오일 복합효과증발공정의 잇점들을 얻게 되고, 동시에 유동오일 제거 공정에 의해 만들어진 건조된 폐기물과 본래의 오일에 대한 처리의 필요가 없어진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는, 유성정제 폐기물의 수성의 흐름들이 유동오일과 혼합되고, 물은 증발되어지게 된다.
이와같은 것은 보통 복합효과증발공정에서 수성의 산업 폐기물들, 하수, 소금끼를 가진 물 또는 소금물등과 함께 처리된다.
따라서, 폐기 고체들과 유동오일의 탈수된 혼합물을 유동오일 복합효과증발시스템내의 별도의 설비로 공급할 필요가 없어진다.
어떠한 원심기나 원심 탈수기도 유동오일과 본래의 오일을 회수하는데 있어 준비될 필요가 없다.
대신에, 유동오일복합효과증발공정의 증발기로 부터의 유성폐기물과 유동오일의 탈수된 혼합물은 디레이드 코오킹시스템으로 넘어간다.
그 혼합물은 코우크스 드럼 또는 드럼들의 입구에 있는 코우크스로의 입구에 있는 디레이드 코오킹 시스템으로 또는 코우크스드럼 또는 드럼들의 상단부로 부터 주입될 수 있다.
디레이드 코오킹 공정에서 유성의 찌꺼기의 중탄화수소부분은 코우크스화 반응을 겪게되고 가벼운 물질과 코우크스로 변화된다.
폐기물 속의 불활성 고체들은 코우크스에 포착되고 그것의 재(ash)성분으로 분배된다.
즉, 상대적으로 가벼운 유동오일은 증발하고 증발공정으로 되돌아가 제 순환하기 전에 회수를 위해 코우크스 분별기로 윗부분을 통해 지나간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과 장치는 처리되어야할 본래의 오일 및 건조된 폐기물들을 만들어내지 않는다.
또한, 디레이드 코오킹 공정은 저온 폐기물에 대해 초과열을 가지고 있고, 그 열은 공정의 증발과정에서 증발열의 공급에 이용된다.
대부분의 출원들에서, 처리되어져야할 유동오일과 오일 폐기물의 혼합물의 양은 전체 디레이드 코우크스 공급량에 대해 미소한 부분이 될 것이고, 이와 같이 코우크스 제품들의 질과 코우크스의 조작에 별로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될 것이다.
첨부도면으로 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묽은 유성정제 폐기물의 수성의 흐름은 입구라인(12)을 통과한 후 본 발명에 따라 폐기물 탈수 및 디레이드 코오킹 시스템(10)으로 공급된다.
폐기물은 스크린(14)을 통하여 공급되고 그후에 분쇄기(15)를 통해 유동탱크(16)로 공급된다.
그곳에서 유동오일은 라인(18)을 통하여 부가되고 폐기물과 섞인다.
유동오일과 수성의 오일 폐기물의 결과적인 혼합물은 유동탱크(16)로부터 공급되어 펌프(20)에 의해 라인(22)를 통하여 복합효과증발기부(24)로 혼합물을 보낸다.
증발기부(24)는 다수의 공정 단계들을 포함하고 있고, 그 각각의 단계는 증발기 탱크, 열교환기, 펌프, 관련된 밸브 및 배관 등을 구성하고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증발기부(24)는 증발기 탱크(1)(2)(3)(4)를 포함하는 제1, 제2, 제3, 제4의 단계들로 구성된다.
라인(22)은 유성의 폐기물과 유동오일의 뒤섞인 혼합물을 후술되는 열교환기, 펌프, 드로틀 밸브를 통하여 제1단계의 증발기 탱크(1)로 보내어진다.
증발기 탱크(1)에서 물은 부압(subatmospheric pressure)하에서 혼합물로 부터 비등하여 빠져 나가며, 그 부압은 일반적으로 약 2-10inch Hg이다.
이 낮은 압력은 혼합물 속의 물의 비등점을 낮추고 물을 증발시키기 위하여 필요로 하는 열량을 감소시킨다.
제1단계에서 혼합물을 처리하는 일반적인 온도는 약80℉내지 130℉이다.
유동오일과 수성을 띤 유성 폐기물의 유입된 혼합물의 부분적인 탈수의 결과로서 형성된 수증기는 응축기/진공 시스템(30)에 의하여 라인(28)을 통하여, 유동오일의 증기들과 함께 증발기 탱크(1)로부터 제거되어지고, 그것은 라인(32)(34)을 통해 물/오일분리기 및 /또는 합체기(36)로 공급된다.
물/오일분리기(36)는 유동오일이 물속에서는 섞이지 않으므로 필수적으로 유동오일이 물로부터 분리되어지는 기회를 가질수 있는 탱크가 될 수 있다.
물은 물/오일분리(36)의 일정 수위에서 빼내어져 배출되고, 반면에 유동오일은 다른 수위에서 빼내어진다.
이 유성오일은 유성탱크(16)로 재 순환되어 질수 있다.
증발기부(24)의 단계들내의 압력은 결정적인 것은 아니지만 마지막 단계 또는 단계들에서의 압력이 대기압에 가깝거나 더 높도록 각 단계와 함께 증가한다.
압력들과 온도들은 요구되는 증발률을 주기 위하여 제어된다.
다음 단계들에서의 처리온도는 예를 들어 제2의 단계에서는 약 130℉내지 170℉, 제3단계에서는 약 150℉ 내지 200℉, 제4단계에서는 약 190℉내지 230℉정도일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4개의 단계들이 포함되어 있지만 그보다 더 적거나 많은 단계들이 본 발명과 관련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유동오일과 폐기물의 혼합물은 펌프(38a)(38b)와 (38c)에 의해 증발부분의 연속하는 단계들로 밀어 올려진다.
혼합물의 소정의 수준(level)은 각각, 펌프(38a),(38b)와 (38c)의 직상류 혼합물 라인들(22)(42)와 (44)에 장착된 드로틀 밸브(40a)(40b)와 (40c)에 의해 증발탱크(1-3)의 배수조들(sumps)에서 유지된다.
드로틀 밸브(40a-40c)는 각각 탱크(1-3)의 배수조들속에 장착된 수준 감지기들에 의해 제어된다.
예를 들어, 탱크(2)의 배수조에서의 혼합물의 수준이 떨어질 때, 수준 감지기는 상류 드로틀 밸브, 밸브(40b)의 개방도를 더 크게 하는 원인이 되어, 탱크(2)의 배수조로 혼합물의 흐름을 증가시킨다.
만일 폐수조 안의 혼합물의 수준이 소정의 수준이상으로 올라가기 시작하면, 관련된 드로틀 밸브는 폐수조로의 흐름이 감소되도록 좀 더 폐쇄되어 진다.
드로틀 밸브(40b)의 존재는 라인(42)으로부터의 혼합물 부분을 라인(46a)을 통하도록 전환시키고 제1단계의 증발탱크(1)로 들어 가기전에 열교환기(48a)에서 열을 받도록 하며, 그곳에서 유동오일과 물의 일부가 증발한다.
열교환기(48a)에서 유동오일과 수성폐기물의 혼합물은 라인(52b)을 통하여 제2단계의 탱크(2)를 떠난 뒤 열교환기(48a)를 통과하면서 유동오일증기들과 수증기에 의해 가열된다.
열을 발산한 후, 수증기와 오일증기는 열교환기(48a)를 떠나 라인(52b)를 통과하면서 유성 응축액이 되어 라인(34)과 물/오일분리기(36)로 유도된다.
유사한 열교환기들 (48b),(48c),(48d)과 라인들(46b)-(46d)은 각각 제2-제4단계들과 관계가 있으며, 라인들(50c),(50d)를 통하여 제3, 제4단계들의 탱크들(3),(4)로부터 흐르는 수증기 및 오일증기들은 각각 열교환기들 (48b),(48c)에 들어가는 폐기물 및 유동오일의 혼합물을 위한 증발열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유동오일과 폐기물의 혼합물은 증발기부(24)를 통하여 한방향으로 흐르고, 혼합물로부터 물의 증발을 위하여 열을 제공하는 뜨거운 유체들은 역류 장치속에서 반대방향으로 증발기부(24)를 통하여 흐른다.
유성 응축액은 열교환기들(48b),(48c)를 떠나 라인(52c),(52d)를 통하여 라인(34)로 유도된다.
각 단계를 거친 후의 물의 감소량은 유동오일과 폐기물의 혼합물속에 남지만, 유동오일의 증가량은 폐기물의 설비를 태우고 더럽히지 않도록 한다.
추가의 유동오일은 탱크들(1-3)의 배수구들 내에서 유동오일과 폐기물의 혼합물로부터 얻어진다.
혼합물은 라인들(54a-54c)을 통해서 배수구로부터 빼내지고, 다음 단계로 진행하는 혼합물에 추가된다.
유동오일과 폐기물의 혼합물 속의 물의 양은 탱크(4)에 이르기까지, 각각의 폐수조속에서 점차 적어지고, 탱크(4)에는 남아있는 물이 거의 없으며, 유동오일과 폐기물의 탈수된 혼합물은 펌프(56)에 의해 라인(54d)를 통하여 빼내지고, 디레이드 코오킹부(60)로 라인(58)을 통해 공급된다.
폐기물의 성질에 따라, 유동오일과 폐기물의 탈수된 혼합물의 일부를 고온의 재순환 유동오일과 희석된 유성폐기물 공급 재료의 양호한 현탁액이 되도록 라인(61)을 통하여 유동탱크로 되돌려 재순환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재순환의 이러한 방법의 사용은 애드 백(add back)으로 알려져 있고, 챨스 그린휠드등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4,276,115호의 폐기 고체 농축물 탈수방법으로서 기술되어져 있다.
디레이드 코오킹부(60)는 라인(62)을 통해 정제기로 부터 코우크스 분별기(64)로 통상적으로 코우크스 공급을 받는다.
코우크스 공급분은 분별기내에서 증발되지만, 무거운 바닥부분은 라인(66)을 통해서 분별기(64)의 바닥으로부터 다른 무거운 탄화수소들과 함께 배출되며, 중탄화수소 물질을 어느 온도까지 가열하는 코우크스로(70)로 라인(69)을 통해 펌프(68)에 의해 공급되고, 그 가열온도는 보통 900℉내지 1,000℉이며, 그 온도는 코우크스 드럼(72)에서 코우크스를 형성하기에 충분하며, 그 가열된 공급재료는 라인(74)을 통하여 공급된다.
도면에는 하나의 코우크스 드럼에 도시되어 있지만, 두 개의 코우크스 드럼을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으며 세 번째 코우크스 드럼의 사용도 제안되고 있다.
디레이드 코오킹 공정에서 사용될 수 있는 코우크스 드럼들의 수가 몇 개라도 본 발명에 따른 회수공정에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다.
코우크스 드럼(72)에서 무거운 바닥물질들속에 남아 있는 약간의 가벼운 탄화수소 물질이 증발하고, 라인(76)에서 코우크스 드럼(72)의 상부로 빼내어 코우크스 분별기(64)로 공급된다.
남은 더 무거운 부분들은 코우크스를 형성한다.
분별기(64)에서는 여러 가지 생성물 흐름들이 배출된다.
즉, 가벼운 코우크스 가스오일 흐름은 라인(78)을 통하여, 무거운 코우크스 가스오일흐름은 라인(80)을 통하여 배출된다.
가벼운 코우크스 가스오일은 보통 350℉내지 450℉의 범위에서 최초 비등점을 가지고 있고, 무거운 코우크스 가스오일은 보통 650℉내지 700℉의 범위에서 최초 비등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수공정에 있어서, 라인(80)에서 무거운 코우크스 가스오일부분은 라인(82)를 경유하여 무거운 오일 냉각기(83)로 전환되며, 그 다음 시스템의 증발기부(24)용의 유동오일을 포함하고 있는 유동탱크(16)으로 보낸다.
그 열이 다른 방법으로 소비되며, 초과 열 펌프어라운드(pump around)라고 할 수 있는 물질의 또 하나의 뜨거운 흐름은 코우크스 분별기(64)로부터 빼내지고, 증발기부(24)에서 유동오일과 폐기물의 혼합물로부터 물의 증발용 초열을 제공하는 열교환기(48d)로 라인(86)을 통하여 펌프(84)에 의하여 공급된다.
냉각된 펌프어라운드 흐름은 라인(88)을 통하여 코우크스 분별기(64)로 되돌아 온다.
디레이드 코오킹부(60)로 유동오일과 폐기물의 탈수된 혼합물을 보내는 라인(58)은 디레이드 코우크스 처리 시스템(60)의 다른 점들로 유도하는 3개의 밸브로 된 분지라인(90),(92) 및 (94)에 연결된다.
분지라인(90)은 유동오일과 유성 폐기물의 혼합물을 코우크스 드럼(72)의 꼭대기 부분으로 유도한다.
분지라인(92)은 그 혼합물을 코우크스로(70)의 상류로 통상의 코우크스 공급을 포함하는 라인(69)으로 유도하며, 그것은 그 혼합물이 통상의 코우크스 공급 재료와 함께 가열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분지라인(94)은 그 혼합물을 코우크스로(70)의 하류(downstream) 즉, 코우크스드럼(72)의 상류(upstream)인, 통상 코우크스를 공급하는 라인(74)으로 유도한다.
제어 밸브(96)(98) 및 (100)는 분지라인들(90)(92) 및 (94)의 어느 하나 또는 분지라인들 모두를 통해서 유동오일과 유성폐기물의 혼합물의 흐름을 가능케 한다.
코우크스 드럼(72)에서 유성 폐기물의 중탄화수소 부분은 코우크스화 반응을 겪고, 코우크스와 코우크스 드럼의 윗부분으로 배출되는 가벼운 물질로 변한다.
유성 폐기물 속의 활성 없는 고체들은 코우크스에 포착되고 그것의 재성분으로 된다.
상대적으로 가벼운 유동오일은 증발하고, 다른 가벼운 물질과 함께 라인(76)을 통하여 코우크스 분별기(64)로 윗부분을 통해 간다.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본 출원서 내용중에 기술되었다 하더라도 본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Claims (22)

  1. 혼합물의 형태로 폐기물을 유동오일과 혼합시키는 단계: 혼합물의 탈수를 위해 혼합물로부터 물을 증발시키는 단계: 및 종래의 코우크스 공급 재료를 함유하고 있는 코우크스 드럼안으로 탈수된 혼합물을 유도하는 공정과 코우크스 드럼 속의 탈수된 혼합물을 코우크스화 조건에 두는 공정을 구비한 디레이드 코오킹공정에 탈수된 혼합물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그것에 의해서 중탄화수소 부분을 코우크스와 가벼운 탄화수소 물질로 변화시키고, 불활성 고체들을 코우크스속에 포착되게 하며, 유동오일이 증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수분, 증탄화수소 부분과 불활성 고체들을 가진 유성 폐기물로부터의 오일의 회수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디레이드 코오킹 공정내에서 분별기로부터 유동오일을 빼내는 공정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탈수된 혼합물이 코우크스 드럼의 상단 부분으로부터 공급 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탈수된 혼합물이 코우크스 드럼의 바닥 부분으로부터 공급 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탈수된 혼합물이 디레이드 코오킹 공정내의 코우크스 가열기를 통하여 공급되고, 그 후에 코우크스 드럼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증발 단계용 열이 디레이드 코오킹 공정내의 코우크스 분별기로부터 얻어진 유체 흐름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혼합물로부터 증발된 물이 약간의 유동오일을 함유하고 있고, 그 물이 코우월레사(coalescer)내에서 유동오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코우월레사내의 유동오일이 오일 폐기물과 혼합된 유동오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혼합단계용 유동오일이 디레이드 코오킹 공정내의 분별기로부터 빼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증발단계가 증발기 탱크, 열교환기, 펌프, 밸브 및 배관을 각각 포함하는 1개 이상의 증발기부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혼합물을 형성하기 위하여 유동오일과 폐기물을 혼합하기 위한 수단 : 폐기물과 유동오일의 혼합물을 탈수된 상태로 하기 위해 혼합물로부터 물을 증발시키는 수단 바닥에 입구를 가진 코우크스 드럼, 입구를 가진 코우크스 가열기, 코우크스 분별기, 코우크스 가열기를 통해 코우크스 드럼으로 통상적으로 코우크스재료 공급을 하기 위한 수단, 및 코우크스 드럼에서 코우크스 분별기로 가벼운 물질을 보내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디레이드 코오킹법에 의해 코우크스를 만드는 수단 및 상기의 증발수단으로부터 상기의 코우크스를 만드는 수단으로 유동오일과 폐기물의 탈수된 혼합물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여, 이것에 의하여 탈수된 혼합물의 중탕화수소 부분이 코우크스와 가벼운 탄화수소 물질로 변하고, 불활성 고체들은 코우크스속으로 포착되고, 유동오일이 증발되는 것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수분과, 중탄화수소 물질 및 불활성 고체들을 가진 유성 폐기물의 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한 공급수단이 코우크스 드럼의 상단부로 탈수된 혼합물을 운반하기 위한 유로(conduit)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수단이 탈수된 혼합물을 코우크스 가열기의 입구로 운반하기 위한 유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수단이 탈수된 혼합물을 코우크스 드럼의 입구로 운반하기 위한 유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수단이 증발수단으로부터 코우크스 드럼의 꼭대기로 이어지는 첫 번째 유로와 증발수단으로부터 코우크스 가열기의 입구로 이어지는 두 번째 유로, 증발수단으로부터 코우크스 드럼의 입구로 이어지는 세 번째 유로 및 상기한 유로들의 각각의 설치된 제어밸브로 구성되고, 탈수된 혼합물이 코우크스 드럼 꼭대기의 한부분, 코우크스 가열기의 입구와 코우크스 드럼의 입구 및 이러한 장소들의 결합에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코우크스 분별기가 고온 탄화수소 유동체들을 포함하며, 상기 고온의 탄화수소 유동체들의 흐름을 유동오일과 폐기물의 혼합물에서 물을 증발하기 위하여 열을 제공하는 상기 증발수단으로 인도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증발수단은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폐기물과 유동오일의 혼합물은 상기 열교환기를 통해 흐르며, 상기 인도수단은 코우크스 분별기로부터 상기 열교환기까지 연장되어, 이것에 의하여 고온 탄화수소 유동체들의 흐름이 혼합물에 열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열교횐기로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코우크스 분별기는 탄화수소 유동체들을 포함하고, 탄화수소 유동체를 상기 혼합수단으로 안내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여, 상기 유동오일은 상기 탄화수소 유동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탄화수소 유동체가 무거운 코우크스 가스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11항에 있어서, 증발수단은 수분과 유동오일의 혼합물을 만들고, 또한 혼합물 속의 수분으로부터 유동오일을 분리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분리수단으로부터 분리된 유동오일을 상기 혼합수단으로 복귀시키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수단이 1개 이상의 증발기 탱크들 및 폐기물과 유동오일의 혼합물 부분을 상기 각각의 증발기 탱크를 통해서 공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890016883A 1988-11-23 1989-11-21 오일정제 폐기물내의 오일 회수 방법 및 장치 KR01335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275,259 US4994169A (en) 1988-11-23 1988-11-23 Oil recovery process and apparatus for oil refinery waste
US275,259 1988-11-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9894A KR910009894A (ko) 1991-06-28
KR0133527B1 true KR0133527B1 (ko) 1998-04-20

Family

ID=23051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6883A KR0133527B1 (ko) 1988-11-23 1989-11-21 오일정제 폐기물내의 오일 회수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994169A (ko)
EP (1) EP0393278B1 (ko)
JP (1) JPH0729118B2 (ko)
KR (1) KR0133527B1 (ko)
CA (1) CA1318633C (ko)
DE (1) DE68904957T2 (ko)
ES (1) ES2039878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3597A (en) * 1991-01-10 1992-09-01 Mobil Oil Corporation Process of used lubricant oil recycling
US5223152A (en) * 1991-10-08 1993-06-29 Atlantic Richfield Company Recovered oil dewatering process and apparatus with water vaporizing in blowdown drum
US5589599A (en) * 1994-06-07 1996-12-31 Mcmullen; Frederick G. Pyrolytic conversion of organic feedstock and waste
US5824194A (en) * 1997-01-07 1998-10-20 Bechtel Corporation Fractionator system for delayed coking process
US6117308A (en) * 1998-07-28 2000-09-12 Ganji; Kazem Foam reduction in petroleum cokers
US6204421B1 (en) * 1998-11-03 2001-03-20 Scaltech Inc. Method of disposing of waste in a coking process
US6764592B1 (en) 2001-09-07 2004-07-20 Kazem Ganji Drum warming in petroleum cokers
US7247220B2 (en) * 2001-11-09 2007-07-24 Foster Wheeler Usa Corporation Coke drum discharge system
US7025822B2 (en) * 2004-04-28 2006-04-11 Sierra Process Systems, Inc. Asphalt mastic utilizing petroleum refinery waste solids
CN100363268C (zh) * 2004-11-15 2008-01-23 华东理工大学 冷焦污水处理方法及装置
US7578345B2 (en) * 2007-02-21 2009-08-25 Hpd, Llc Process for recovering heavy oil using multiple effect evaporation
US7828959B2 (en) * 2007-11-19 2010-11-09 Kazem Ganji Delayed coking process and apparatus
KR101147259B1 (ko) * 2008-09-30 2012-05-21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탄소나노튜브의 연속적인 정제 방법 및 장치
US9662594B2 (en) * 2009-06-22 2017-05-30 Ng Innova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fractionated water
US8409442B2 (en) 2009-08-20 2013-04-02 Ng Innovations, Inc. Water separation method and apparatus
US8470139B2 (en) * 2009-12-11 2013-06-25 Nginnovations, Inc. Systems and method for low temperature recovery of fractionated water
US8512549B1 (en) 2010-10-22 2013-08-20 Kazem Ganji Petroleum coking process and apparatus
CN103084004B (zh) * 2013-01-15 2015-04-08 中国寰球工程公司 冷焦水和切焦水互为组合的净化、循环回用方法
CN103589455A (zh) * 2013-08-13 2014-02-19 湖北爱国石化有限公司 一种废油裂解蒸馏再生生产线
US10589287B2 (en) * 2015-07-10 2020-03-17 NGL Solids Solution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oil field solid waste processing for re-injection
US11911732B2 (en) 2020-04-03 2024-02-27 Nublu Innovations, Llc Oilfield deep well processing and injection facility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7094A (en) * 1971-07-22 1977-02-08 Hanover Research Corporation Process and apparatus for recovering clean water from aqueous wastes
US3876538A (en) * 1972-11-06 1975-04-08 Texaco Inc Process for disposing of aqueous sewage and producing fresh water
US3917564A (en) * 1974-08-07 1975-11-04 Mobil Oil Corp Disposal of industrial and sanitary wastes
US4153514A (en) * 1975-02-27 1979-05-08 Occidental Petroleum Corporation Pyrolysis process for solid wastes
US4013516A (en) * 1975-03-13 1977-03-22 Hanover Research Corporation Apparatus and process for the pyrolysis of waste solids concentrates
US4289578A (en) * 1976-09-01 1981-09-15 Hanover Research Corporation Process and apparatus for recovering clean water and solids from aqueous solids
US4118281A (en) * 1977-04-15 1978-10-03 Mobil Oil Corporation Conversion of solid wastes to fuel coke and gasoline/light oil
IT1119551B (it) * 1979-01-30 1986-03-10 Metalli Ind Spa Procedimento per il trattamento di una emulsione esausta di olii in acqua utilizzata in una lavorazione industriale ed apparecchiatura atta a realizzare tale procedimento
US4661241A (en) * 1985-04-01 1987-04-28 Mobil Oil Corporation Delayed coking process
US4666585A (en) * 1985-08-12 1987-05-19 Atlantic Richfield Company Disposal of petroleum sludge
US4839021A (en) * 1986-06-19 1989-06-13 Recherche Carbovac Inc. Treatment of petroleum derived organic sludges and oil residues
US4874505A (en) * 1988-02-02 1989-10-17 Mobil Oil Corporation Recycle of oily refinery wast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039878T3 (es) 1993-10-01
JPH02245299A (ja) 1990-10-01
DE68904957T2 (de) 1993-08-26
EP0393278A3 (en) 1990-11-22
JPH0729118B2 (ja) 1995-04-05
CA1318633C (en) 1993-06-01
DE68904957D1 (de) 1993-03-25
EP0393278B1 (en) 1993-02-17
KR910009894A (ko) 1991-06-28
US4994169A (en) 1991-02-19
EP0393278A2 (en) 1990-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3527B1 (ko) 오일정제 폐기물내의 오일 회수 방법 및 장치
US3625881A (en) Crank case oil refining
US7097761B2 (en) Method of removing water and contaminants from crude oil containing same
US4014780A (en) Recovery of oil from refinery sludges by steam distillation
US3692668A (en) Process for recovery of oil from refinery sludges
US543948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fuel composition
EA001513B1 (ru) Способ извлечения высококачественной нефти из эмульсионных отходов нефтепереработки
US6849175B2 (en) Method of removing water and contaminants from crude oil containing same
US4789461A (en) Method for removing water from crude oil containing same
US4985131A (en) Process for treating oil sludge
NO332970B1 (no) Fremgangsmate for a rense en vannrik strom dannet under en Fischer-Tropsch reaksjon
US5962763A (en) Atmospheric distillation of hydrocarbons-containing liquid streams
ES2245519T3 (es) Metodo de eliminacion de residuos en un proceso de coquizacion.
US3084107A (en) Waste disposal method and apparatus
US5987776A (en) Process for drying and solvent-extraction of water wet solids
CN109399888B (zh) 含油污泥的连续脱盐脱水方法和装置
RU2513396C1 (ru) Способ регенерации метанола
CS253701B2 (en) Process for the separation of aqueous and condensable organic components
CA2435344C (en) Method of removing water and contaminants from crude oil containing same
US1842105A (en) Method of making asphalt
KR20100009287U (ko) 폐유 정제 시스템
USRE33999E (en) Method of removing water from crude oil containing same
EP0348707A1 (en) Process for treating oil sludge
RU2759496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стабилизации, отбензинивания и обезвоживания нефти
US1600030A (en) Process of and apparatus for dehydrating crude petroleum o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7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