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3445Y1 - 정수기의 호스 고정구 - Google Patents

정수기의 호스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3445Y1
KR0133445Y1 KR2019960005877U KR19960005877U KR0133445Y1 KR 0133445 Y1 KR0133445 Y1 KR 0133445Y1 KR 2019960005877 U KR2019960005877 U KR 2019960005877U KR 19960005877 U KR19960005877 U KR 19960005877U KR 0133445 Y1 KR0133445 Y1 KR 01334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water purifier
connector
water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58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3636U (ko
Inventor
신오철
Original Assignee
이영서
동양매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서, 동양매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영서
Priority to KR20199600058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3445Y1/ko
Publication of KR9700536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36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34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34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수기에 적용된 급수와 배수 및 물넘침배수호스들의 연결작업과정에서 호스연결에 필요한 부품수를 줄여 주고 핏팅부재의 삽입부위를 개량하여 각종 호스에 대한 연결을 보다 합리적으로 실시토록 하므로서 작업이 용이하고 설치상태가 견고하고 안전하며 기술지원 및 고장수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실시토록 된 정수기의 호스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이는, 정수기의 호스 고정구에 있어서, 고정구의 몸체(10) 상부에는 결합돌기(12), 가이드(13)를 갖춘 연결구(30)와 결합돌기(14)만을 가진 연결구(31)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가이드(71), 걸림턱(72)을 갖츤 동일구조의 연결구(70)가 상기 연결구(30)(31)와 연통되게 구비되며, 체결편(11)과 요홈(15)을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수기의 호스 고정구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고정구에 연결부재를 결합시킨 정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고정구와 기기본체의 바닥플레이트 후면커버의 조립관계를 보인 측단면도.
제4도는 종래 고안에 의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11 : 체결편
12 : 결합돌기 13 : 가이드
14 : 결합돌기 15 : 요홈
30,31 : 연결구 70 : 연결구
71 : 가이드 72 : 걸림턱
본 고안은 정수기의 호스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호스연결에 필요한 부품수를 줄여 주고 설치부위(핏팅부재의 삽입부위)를 개선하여 정수기에 채용된 급수, 배수 및 물넘침배수호스를 보다 합리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서 작업의 간편화, 설치상태의 안정화를 기대할 수 있고, 기술지원 내지는 고장수리의 용이화를 기대할 수 있는 정수기의 호스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에는 수도배관라인에 연결되어 원수를 공급하여 주는 급수호스와, 필터수단에서 발생된 농축수를 배수하여 주는 배수호스와, 상온수통의 물넘침을 방지토록 일정수위에서 물을 배수시켜 주는 물넘침 배수호스를 채용하고 있다.
상기 배수호스 및 물넘침배수호스를 계수대에 연결설치하여 물을 계수대를 통해 배수토록 하였던 것이다.
다시 말해서, 정수기 본체에 내장된 상온수통에 연결된 필터수단과 수도배관라인사이를 접속하여 주는 급수호수와, 필터링과정에서 발생된 농축수를 밖으로 배수토록 계수대에 연결된 배수호스와,
상온수통에 연결되어 오버플러워(over flower)된 물을 밖으로 배수하여 주는 물넘침 배수호스가 기본적으로 적용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정수기 본체내로 내장된 구성부품(상온수통, 필터수단 등)과 외부의 수도배관라인, 계수대사이를 상호 연결하는 상기의 호스들은 별도의 호스 고정구를 통해 연결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호스(급수, 배수, 물넘침배수호스)들의 연결구조를 살펴보면, 도면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기의 본체 후면커버(80)에 다수의 연결구(101)가 상하로 형성된 고정구(100)를 체결하여 각각의 연결구(101)에 대해 핏팅부재(20)를 매개로 각각의 해당 급수호스(60), 배수호스(40), 물넘침배수호스(50)가 기능수행토록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호스 고정구조에 있어서는 기본적으로 6개의 핏팅부재(20)가 필요하였기에 부품수 증가에 의한 작업공정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생산성이 떨어짐은 물론 핏팅부재가 끼워지는 연결구(101)가 구조적으로 취약하여 핏팅부재의 끼움작업시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던 것이다.
또, 연결구(101) 주변에 별도의 보강 내지는 보호수단이 구비되어 있질 않아 연결구 또는 핏팅부재가 외부충격 등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결점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은, 정수기에 적용된 급수와 배수 및 물넘침 배수호스들의 연결작업과정에서 호스연결에 필요한 부품수를 줄여 주고 핏팅부재의 삽입부위를 개량하여 각종 호스에 대한 연결을 보다 합리적으로 실시토록 하므로서 작업이 용이하고 설치상태가 견고하고 안전하며 기술지원 및 고장수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실시토록 된 정수기의 호스 고정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 제1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정면과 하면이 개방되고 핏팅부재(21)를 연결시킬 때 이들이 위치토록 내측으로 공간부(S)가 구비되며 양측에 체결편(11)를 가진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상면에는 핏팅부재(22)가 삽입연결되는 결합돌기(12)가 각각 형성되고 결합돌기(12)의 주변에는 가이드(13)가 돌출 형성되어져, 공지의 핏팅부재(22)를 매개로 배수호스(40)와 물넘침배수호스(50)를 연결할 수 있는 한쌍의 상부연결구(30)가 형성되고, 급수호스(60)의 연결을 위한 결합돌기(14)로 된 상부연결구(31)가 구비된다. 상기 상부연결구(30)(31)에는 기기본체에 내장된 구성부품 각각과 연결되는 호스들이 핏팅부재(22)를 통해 연결되어진다.
또한 몸체 내측으로는 핏팅부재(21)의 결합 내지 설치상태에서 파손을 방지토록 가이드(71)와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72)이 형성된 동일 구조의 하부연결구(70)가 하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이들은 각각 상부연결구(30)(31)에 각각 연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연결구(70)에는 수도파이프라인, 계수대측에 연결되는 호스들이 핏팅부재(21)를 통해 결합되어 있다.
한편, 고정구의 몸체(10) 전면에 요홈(15)을 형성하여 정수기 본체에 대해 후면커버(80)를 조립시킬 때, 도면 제3도와 같이 후면커버(80)가 요홈(15)내로 용이하게 조립되고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미설명부호 90은 상기 고정구의 몸체(10)가 체결고정되는 정수기 본체의 바닥플레이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일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정수기 호스고정구의 장착방법을 보면,
정수기의 바닥플레이트(90)에 몸체(10) 양측으로 돌출된 체결편(11)을 바닥플레이트(90)에 돌출된 고정리브에 체결부재 등으로 견고하게 고정시켜 설치하는 것이다.
이때, 고정구의 몸체(10) 전면에 돌출된 부위는 바닥플레이트(90)의 수직부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고정구 몸체(10)의 내외측으로 결합돌기(12)와 가이드(13)를 갖춘 구조의 상부연결구(상부에 2개)(30) 각각에 통상적인 구조를 갖는 핏팅부재(22)를 매개로 길이조정된 해당 호스, 즉 배수호스(40) 및 물넘침배수호스(50)를 연결하고 결합돌기(14)만을 가진 상부연결구(31)에는 급수호스(구성부품(필터수단)과 연결되는 것)(60)를 끼워 호스연결 작업을 완료한다.
또 몸체(10)의 공간부(S)에 위치되도록 하부연결구(70) 각각에 핏팅부재(21)를 매개로 급수, 배수, 물넘침배수호스를 연결한다.
이러한 호스의 연결작업과정에서 핏팅부재(21)가 돌출된 결합돌기(12)(14)에 대해 견고하게 삽입연결되어진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사용중 이탈 내지는 분리되지 아니하며, 또 결합돌기(12)의 주변으로 가이드(13)가 돌설되어 포위하고 있어 핏팅부재(22)나 결합돌기(12)가 외부충격 등으로부터 보호된다. 따라서, 부품들의 파손위험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안전성을 갖춘 것이다.
또한, 하부연결구(70)에 삽입되어진 핏팅부재(21)들은 각각 가이드(71)내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걸림턱(72)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사용중에 핏팅부재(21)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탈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정수기의 해당 기능호스(급수호스, 배수호스, 물넘침배수호스)를 핏팅부재들을 통해 고정구에 형성된 연결구에 대해 연결시킬 때, 연결이 용이하도록 하고 또 연결상태에서 연결구의 결합돌기와 핏팅부재를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하여 파손 및 이탈을 방지토록 하므로서 양호한 조립상태를 가짐은 물론 제품의 품질향상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 부품수를 기존의 것보다 줄일 수 있어 작업이 편리하고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Claims (1)

  1. 정수기의 호스 고정구에 있어서, 고정구의 몸체(10) 상부에는 결합돌기(12), 가이드(13)를 갖춘 연결구(30)와 결합돌기(14)만을 가진 연결구(31)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가이드(71), 걸림턱(72)을 갖춘 동일구조의 연결구(70)가 상기 연결구(30)(31)와 연통되게 구비되며, 체결편(11)과 요홈(15)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호스 고정구.
KR2019960005877U 1996-03-26 1996-03-26 정수기의 호스 고정구 KR01334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5877U KR0133445Y1 (ko) 1996-03-26 1996-03-26 정수기의 호스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5877U KR0133445Y1 (ko) 1996-03-26 1996-03-26 정수기의 호스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3636U KR970053636U (ko) 1997-10-13
KR0133445Y1 true KR0133445Y1 (ko) 1999-01-15

Family

ID=19452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5877U KR0133445Y1 (ko) 1996-03-26 1996-03-26 정수기의 호스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344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1900B1 (ko) * 2011-07-08 2013-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1900B1 (ko) * 2011-07-08 2013-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3636U (ko) 199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77698B2 (en) Securing device for electrical connectors and application thereof
KR0133445Y1 (ko) 정수기의 호스 고정구
KR101628520B1 (ko) 차량의 어시스트 핸들 고정장치
KR0133444Y1 (ko) 정수기의 필터고정장치
KR100556031B1 (ko) 엘씨디 모듈의 구조
CN219969835U (zh) 导流罩组件及车辆
KR200275905Y1 (ko) 교량 상판의 신축이음용 연결구
KR0174614B1 (ko) 통신기기 단말기의 벽면 고정용 장치
KR102576081B1 (ko) 차량 도어용 그로멧
KR900009668Y1 (ko) 도어 클로우져의 장착장치
JPH0565008U (ja) 車輌用灯具
KR200195916Y1 (ko) 차량용 안개등 고정어셈블리
JPH09253425A (ja) 浴槽用給湯循環接続具のフィルターキャップ
JP2574797Y2 (ja) 防曇ヒータ付き鏡の取付構造
KR200145109Y1 (ko) 시트벨트 트림카바
KR19990021014A (ko) 컨넥터
JP2502814Y2 (ja) 掃除流し
KR19990012720U (ko) 세탁기의 배수펌프 보호장치
JPS6013905Y2 (ja) オ−バ−フロ−装置
KR200168685Y1 (ko) 벽체의 전원스위치 결합구조
KR19990034309U (ko) 전등갓의 체결장치
JPH019709Y2 (ko)
KR19980026622U (ko) 식기세척기의 배수호스 연결장치
KR0130789Y1 (ko) 온실프레임의 연결구
KR19990002063U (ko) 차량용 헤드 램프의 디플렉터 결합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1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