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3371Y1 - 싱크대의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싱크대의 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3371Y1
KR0133371Y1 KR2019960022375U KR19960022375U KR0133371Y1 KR 0133371 Y1 KR0133371 Y1 KR 0133371Y1 KR 2019960022375 U KR2019960022375 U KR 2019960022375U KR 19960022375 U KR19960022375 U KR 19960022375U KR 0133371 Y1 KR0133371 Y1 KR 01333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k
pipe
water
drainage
od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23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4875U (ko
Inventor
장영걸
Original Assignee
박유재
주식회사 에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유재, 주식회사 에넥스 filed Critical 박유재
Publication of KR9700548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48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33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33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9Odour seals having housing containing dividing wall, e.g. tubula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03C1/182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Abstract

본 고안은 싱크대의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개수통의 하측에 연통배설된 배수관로를 따라 개수통내부의 물이 배수되는 싱크대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로(30)에는 하수도로부터 관로를 타고 상승하는 악취가스를 차단하도록 악취차단용 연결구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배수관로(30)는 싱크대의 내부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도록 싱크대의 내부벽면에 근접되게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와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하수도로부터 관로를 타고 상승하는 악취가스를 차단하고, 싱크대의 내부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싱크대의 배수장치
제1도는 종래 배수장치가 적용된 싱크대의 일부를 절개하여 나타낸 입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수장치가 적용된 싱크대의 내부를 나타내는 입면도.
제3도는 제2도에서 화살표 A-A선에 따른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악취차단용 연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5도는 제2도의 악취차단용 연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수장치가 적용된 싱크대의 내부를 나타내는 입면도.
제7도는 제6도에서 화살표 B-B선에 따른 단면도.
제8도는 제6도의 악취차단용 연결구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개수통 23 : 보조개수통
30,60 : 배수관로 31,61 : 내부관
33,63 : 외부관 35,67 : 악위차단용 연결구
65 : 연결구
본 고안은 싱크대의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수도로부터 관로를 타고 상승하는 악취가스를 차단함과 동시에 싱크대의 내부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게 하는 싱크대의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배수장치가 적용된 싱크대에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척대(1)의 일측에는 주로 식품 또는 주방용품을 세척하도록 대개수통(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대개수통(3)의 저부에는 식품 또는 주방용품을 세척한 물을 거르는 도시하지 않은 거름수단을 구비한 수용통(5)이 배설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통(5)의 저면에는 하수도로 연통되는 배수관(7)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대개수통(3)의 일측에는 상기 대개수통(3)에서 세척된 식품 및 주방용품을 두거나 상기 대개수통(3)의 보조세척용으로 사용되도록 소개수통(9)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소개수통(9)의 접부에는 식품 및 주방용품을 세척한 물을 걸러 상기 수용통(5)으로 빠지게 하도록 도시하지 않은 거름수단을 구비한 수용통(11)이 배설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통(11)의 저면에는 상기 수용통(5)으로 연통되는 연결관(13)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대개수통(3) 및 소개수통(9)의 상부에는 그 내부에 차는 물이 싱크대의 외부로 흘러 넘치지 않고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도록 상기 연결관(13)에 연통되는 유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대개수통(3)의 일측 상부에는 원하는 요리를 하도록 요리판(15)이 배설되어 있고, 상기 요리판(15)의 하측에는 식품, 주방용품등을 보관하도록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간의 개구부에는 다수의 도어(17)가 배설되어 있으며, 싱크대의 하부에는 다수의 다리(19)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싱크대의 대개수통(3) 및 소개수통(9)에서 식기등을 세척한 물은 수용통(5)과 배수관(7)을 순차적으로 통해 도시하지 않은 하수도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소개수통(9)내의 물은 수용통(11)과 상기 연결관913)을 순차적으로 통해 상기 수용통(5)내에 유입한 후, 상기 수용통(5)에 유입한 상기 대개수통(3)내의 물과 함께 배수관(7)을 통해 도시하지 않은 하수도로 유출한다.
그리고, 급수시, 상기 대개수통(3) 및 소개수통(9)내에 차는 일정한 양 이외의 물은 대개수통(3) 및 소개수통(9)의 상부에 형성된 유출구를 통해 상기 연결관(13), 수용통(5) 및 배수관(7)을 순차적으로 통해 도시하지 않은 하수도로 유출한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싱크대의 배수장치에서는 하수도로 부터 배수관(7)을 타고 상승하는 악취가스가 수용통(5,11)을 거쳐 대개수통(3) 및 소개수통(9)의 외부로 유출됨에 따라 주방공기가 오염되어 주방인을 불쾌하게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개수통(3)에 연결된 배수관(7)이 싱크대내부의 중앙부에서 하측으로 직접 내려오게 배설되어 있으므로, 싱크대의 내부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싱크대의 배수관로에 악취차단용 연결구를 배설하여 하수도로부터 관로를 타고 상승하는 악취가스를 차단하는 싱크대의 배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개수통에 연결된 배수관로를 싱크대의 내부벽면에 근접되게 배설함에 의해 싱크대의 내부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게 하는 싱크대의 배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고안에 의한 싱크대의 배수장치는 개수통의 하측에 연통배설된 배수관로를 따라 개수통내부의 물이 배수되는 싱크대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로에는 하수도로부터 관로를 타고 상승하는 악취가스를 차단하도록 악취차단용 연결구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배수관로는 싱크대의 내부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도록 싱크대의 내부벽면에 근접되게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악취차단용 연결구는 싱크대의 베이스판의 내부면에 배설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악취차단용 연결구는 그 내부에 일정한 공간부가 형성된 몸체의 상면에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에 연통된 돌출관부가 상기 공간부의 내부하측으로 형성되며, 상기 돌출관부의 하단면보다 높은 위치에는 상기 공간부의 유입한 물이 유출하도록 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악취차단용 연결구는 싱크대의 베이스판을 관통하여 상기 유입구가 싱크대의 내부로 돌출하고 상기 유출구가 싱크대의 외부로 돌출되게 배설되고, 상기 유입구에는 하구가 배출되는 보조관이 접속되는 연결구가 접속되는 구조로 될 수도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싱크대의 상판(20)의 일정한 곳에는 식기등을 세척하도록 개수통(21)이 배설되어 있고, 상기 개수통(21)의 일측에는 상기 개수통(21)내에서 세척된 식기등을 헹구도록 보조개수통(2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수통(21)의 저부에는 식품 또는 주방용품을 세척한 물을 거르는 도시하지 않은 거름수단을 구비한 수용통(25)이 배설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통(25)에는 도시하지 않은 하수도에 연통된 배수관로(30)가 배설되어 있다.
상기 보조개수통(23)의 저부에는 식품 및 주방용품을 세척한 물을 걸러 상기 수용통(25)으로 빠지게 하도록 도시하지 않은 거름수단을 구비한 수용통(27)이 배설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통(27)의 저면에는 상기 수용통(25)으로 연통되는 연결관로(40)가 배설되어 있다.
상기 개수통(21) 및 보조개수통(23)의 상부에는 그 내부에 차는 물이 싱크대의 외부로 흘러 넘치지 않고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도록 도시하지 않은 유출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관로(40)에 연통되어 있다.
상기 배수관로(30)는 싱크대의 내부에 배설된 내부관(31)과, 싱크대의 외부에 배설되는 외부관(33)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내부관(31)과 외부관(33)은 하수도로부터 관로를 타고 상승하는 악취가스를 차단하는 악취차단용 연결구(35)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배수관로(30)의 내부관(31)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싱크대의 내부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도록 싱크대의 내부벽면에 근접되게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악취차단용 연결구(35)는 상기 싱크대의 베이스판(29)의 내부면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내부관(31) 및 외부관(33)은 고정구(37)에 의해 상기 악취차단용 연결구(35)에 접속/고정되어 있다.
상기 악취차단용 연결구(35)는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일정한 공간부(S)가 형성된 몸체(35a)의 상면에는 유입구(35b)가 외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유입구(35b)에 연통된 돌출관부(35c)가 상기 공간부(S)의 내부하측으로 형성되며, 상기 돌출관부(35c)의 하단면보다 높은 위치에는 상기 공간부(S)에 유입한 물이 유출하도록 유출구(35d)가 외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유입구(35b)의 일측에는 세탁기 및 정수기에서 배출되는 하수가 상기 공간부(S)에 유입하여 상기 유출구(35d)를 통해 하수도로 배출되도록 보조관이 접속되는 다수의 보조유입구(35e)가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연결관로(40)는 연결관(41)의 양단이 고정구(43)에 의해 수용통(25, 27)에 각각 접속/고정된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싱크대의 하부앞측에는 도시하지 않은 다수의 도어가 배설되어 있으며, 싱크대의 하부에는 다수의 다리(51)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싱크대의 배수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다음에 설명한다.
싱크대의 개수통(21) 및 보조개수통(23)에서 식기등을 세척한 물은 수용통(25)과 배수관로(30)을 순차적으로 통해 도시하지 않은 하수도로 배출되는데, 상기 보조개수통(23)내의 물은 수용통(27)과 상기 연결관로(40)을 순차적으로 통해 상기 수용통(25)내에 유입한 후, 상기 수용통(25)에 유입한 상기 개수통(21)내의 물과 함께 배수관로(30)을 통해 도시하지 않은 하수도로 유출한다.
이때, 제5도에서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관로(30)의 내부관(31)를 통해 악취차단용 연결구(35)의 내부에 유입하는 물은 상기 돌출관부(35c)를 통과하여 공간부(S)의 저면에서 차츰 올라와서 상기 유출구(35d)를 통해 외부관(33)으로 유출하므로, 상기 공간부(S)의 하부에는 상기 유출구(35d)의 레벨까지 항상 물(W)이 차있게 된다.
따라서, 배수되지 않을 시에, 하수도로부터 올라오는 악취가스는 상기 물(W)에 의해 차단되므로, 개수통(21) 또는 보조개수통(23)으로 나오지 못하게 되어 주방이 쾌적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조유입구(35e)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캡으로 밀폐시킨다.
그리고, 배수관로(30)의 내부관(31)은 싱크대의 내부벽면에 근접되게 배설되어 있으므로 싱크대의 내부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제6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수 장치가 적용된 싱크대의 내부를 나타내는 입면도로서, 제6도에서는 배수관로에 결합된 악취차단용 연결구는 싱크대의 외면에 배설되고, 싱크대의 내부에는 세탁기 및 정수기의 하수가 흐르는 보조관(도시하지 않음)이 접속되는 연결구가 배설된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수용통(25)에 접속된 배수관로(60)는 싱크대의 내부에 배설된 내부관(61)과 싱크대의 외부에 배설되는 외부관(63)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내부관(61)에는 세탁기 및 정수기의 하수가 배출되는 보조관이 접속되는 연결구(65)가 싱크대의 내부에 위치하여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관(63)에는 하수도로부터 관로를 타고 상승하는 악취가스를 차단하는 악취차단용 연결구(67)가 싱크대의 베이스판을 관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이때, 상기 배수관로(60)의 내부관(61)은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싱크대의 내부공간을 효츌적으로 활용하도록 싱크대의 내부벽면에 근접되게 배설되어 있다.
상기 연결구(65)에는 세탁기 및 정수기에서 나오는 하수가 유입하도록 보조관이 접속되는 다수의 유입구(65a)가 외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악취차단용 연결구(67)는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일정한 공간부(S)가 형성된 몸체(67a)의 상면에는 유입구(67b)가 외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유입구(67b)에 연통된 돌출관부(67c)가 상기 공간부(S)의 내부하측으로 형성되며, 상기 돌출관부(67c)의 하단면보다 높은 위치에는 상기 공간부(S)에 유입한 물이 유출하도록 유출구(67d)가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악취차단용 연결구(67)는 싱크대의 베이스판(29)을 관통하여 상기 유입구(67b)가 싱크대의 내부로 돌출하고 상기 유출구(67d)가 싱크대의 외부로 돌출되게 배설되고, 상기 유입구(67b)에는 하수가 배출되는 도시하지 않은 보조관이 접속되는 상기 연결구(65)의 일단이 접속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내부관(61) 및 외부관(63)은 고정구(69)에 의해 연결구(65) 및 상기 악취차단용 연결구(67)에 각각 접속/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싱크대의 배수장치는 악취차단용 연결구(67)의 유출구(67d)가 싱크대의 외부에 노출되게 배설되어 있으므로, 외부관(63)의 조립이 편리하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싱크대의 배수장치는 싱크대의 배수관로에 악취차단용 연결구를 배설하여 하수도로부터 관로를 타고 상승하는 악취가스를 차단하고, 개수통에 연결된 배수관로을 싱크대의 내부벽면에 근접되게 배설함에 의해 싱크대의 내부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게 한다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4)

  1. 개수통의 하측에 연통배설된 배수관로를 따라 개수통내부의 물이 배수되는 싱크대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로(30)에는 하수도로부터 관로를 타고 상승하는 악취가스를 차단하도록 악취차단용 연결구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배수관로(30)는 싱크대의 내부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도록 싱크대의 내부벽면에 근접되게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의 배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차단용 연결구는 싱크대의 베이스판(29)의 내부면에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의 배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차단용 연결구는 그 내부에 일정한 공간부(S)가 형성된 몸체(35a)의 상면에는 유입구(35b)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35b)에 연통된 돌출관부(35c)가 상기 공간부(S)의 내부하측으로 형성되며, 상기 돌출관부(35c)의 하단면보다 높은 위치에는 상기 공간부(2)에 유입한 물이 유출하도록 유출구(35d)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의 배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차단용 연결구는 싱크대의 베이스판을 관통하여 유입구(67b)가 싱크대의 내부로 돌출하고 유출구(67d)가 싱크대의 외부로 돌출되게 배설되어 있고, 상기 유입구(67b)에는 하수가 배출되는 보조관이 접속되는 연결구(65)가 접속되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의 배수장치.
KR2019960022375U 1996-03-22 1996-07-27 싱크대의 배수장치 KR013337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6-5671 1996-03-22
KR19960005671 1996-03-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4875U KR970054875U (ko) 1997-10-13
KR0133371Y1 true KR0133371Y1 (ko) 1999-02-18

Family

ID=26631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2375U KR0133371Y1 (ko) 1996-03-22 1996-07-27 싱크대의 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337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4875U (ko) 199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2898B1 (ko) 막힘 방지기능을 겸비한 방취 배수트랩
KR0133371Y1 (ko) 싱크대의 배수장치
KR20170003867U (ko) 트랩형 멀티연결기구
JP7361293B2 (ja) シンクの排水構造及び調理台
KR200435116Y1 (ko) 싱크대의 배수구조
KR19990021784A (ko)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
KR200383592Y1 (ko) 방취수단이 구비된 오수받이
KR101629916B1 (ko) 가구의 사이펀 및 아이템
CN212972886U (zh) 一种方便排污的洗碗机
JPS6323499Y2 (ko)
KR100367229B1 (ko) 수세식 변기의 보조 급수조
CN220236827U (zh) 洗碗机及其呼吸器
KR200240714Y1 (ko) 생활오.폐수 배수조
JPS6227572Y2 (ko)
KR100218648B1 (ko) 수세식 변기
RU184700U1 (ru) Септик
KR200395201Y1 (ko) 악취제거용 배관 연결장치
CN210597495U (zh) 一种洗碗机下水器管道系统
KR100223419B1 (ko)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
KR200200797Y1 (ko) 집수판
KR200172008Y1 (ko) 생활용수의 재활용장치
EP0637651B1 (en) Unit with sanitary appliance, such as sink, wash basin or bidet, and relative discharge means
KR0123831Y1 (ko) 세척대 배수구의 연결장치
KR20170100180A (ko) 트랩형 멀티연결기구
SU1721142A1 (ru) Стиральна машин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08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