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3369B1 - 적응형 2차원 디지탈 휘도/색신호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적응형 2차원 디지탈 휘도/색신호 분리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3369B1
KR0133369B1 KR1019940028070A KR19940028070A KR0133369B1 KR 0133369 B1 KR0133369 B1 KR 0133369B1 KR 1019940028070 A KR1019940028070 A KR 1019940028070A KR 19940028070 A KR19940028070 A KR 19940028070A KR 0133369 B1 KR0133369 B1 KR 0133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output
color
absolute value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8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훈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40028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33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3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3369B1/ko

Links

Landscapes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응형 2차원 디지탈 휘도/색신호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2차원 휘도/색신호 분리방식의 경우 수평변화 또는 수직변화를 갖는 영상에 대해서 도트-크로울링(dot crawling). 행잉-도트(hanging dot)와 같은 크로스-루미넌스현상과 색신호의 퍼짐과 같은 현상이 나타나고 빠른 변화를 갖는 신호에 대해서는 무지개 무늬의 발생과 같은 클로스-칼라현상이 나타난다. 또한,3차원 휘도/색신호 분리방식의 경우 움직임을 정확히 판단할 경우 좋은 성능을 나타내지만 휘도신호와 색신호가 혼합된 복합영상신호에서는 움직임판단의 정확성이 떨어지고, 정확한 움직임검출을 하더라도 고정된 2차원 휘도/색신호 분리를 수행하면 동영상부에서 부정확한 휘도/색신호분리를 수행하게 되며, 또한 움직임 적응형 휘도/색신호분리방식은 다수의 프레임메모리를 사용해야 하므로 가격이 상승하는 문제점과 하드웨어적인 부담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영상의 수평, 수직, 대각변화를 고려한 적응형 2차원 디지탈 휘도/색신호 분리기를 이용하여 신호처리를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적응형 2차원 디지탈 휘도/색신호 분리장치를 제공하여 고정된 2차원 휘도/색신호 분리기에서 나타나는 크로스-칼라, 크로스-루미넌스현상을 억제하고, 3차원 휘도/색신호분리에서 다수의 프레임메모리를 사용함으로써 발생하는 가격상승문제를 억제하면서 크로스-칼라, 크로스-루미넌스현상을 억제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적응형 2차원 디지탈 휘도/색신호 분리장치
제1도는 종래 2차원영역에서의 휘도/색신호분리기의 블럭구성도.
제2도는 종래 3차원영역에서의 휘도/색신호분리를 움직임에 적응적으로 사용하는 움직임 적응형 3차원 휘도/색신호분리기의 블럭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적응형 2차원 디지탈 휘도/색신호 분리장치에 대한 블럭구성도.
제4도는 제3도에서 사용되는 밴드패스필터의 세부구성도.
제5도는 제3도에서 사용되는 라인콤필터의 세부구성도.
제6도는 제4도 및 제5도에서 사용되는 필터의 주파수진폭 특성도.
제7도는 제3도에서 사용되는 적응형 라인콤필터의 세부구성도.
제8도는 제7도에서 적응형 라인콤필터의 처리과정도.
제9도는 제3도에서 칼라킬러 제어부의 세부구성도.
제10도는 4fsc로 샘플링했을때 복합영상신호의 2차원 데이타 배열도.
제11도는 제3도에서 수평, 수직제어신호 발생부의 구성도.
제12도는 11도에서, 차신호 절대값발생부의 세부구성도.
제13도는 제11도에서, 수직제어신호 발생부의 세부구성도.
제14도는 제11도에서, 수평제어신호 발생부의 세부구성도.
제15도는 제11도에서, 수평제어신호 확장부의 세부구성도.
제16도는 제11도에서 수직제어신호(VCONT)가 하이를 갖는 영역도.
제17도는 제11도에서 수평제어신호 및 수직제어신호의 상태에 따른 영역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22 : 라인메모리, 23∼25 : 밴드패스필터,
26 : 적응형 라인콤필터, 27 : 칼라킬러 제어부,
28 : 라인콤필터, 29 : 수평, 수직제어신호발생부,
30∼33 : 지연기, 34 : 멀티플렉서,
35 : 감산기, OR1, OR2: 오아게이트.
본 발명은 직교변조방식을 사용하는 엔티에스씨(NTSC) 칼라티브이 신호에 적용되는 휘도/색신호(Y/C)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현행 티브이(TV)에서 불완전한 휘도/색신호분리로 인하여 발생하는 크로스-칼라(cross-color), 크로스-루미넌스(cross-luminance)현상과, 휘도신호의 해상도 감소현상을 적응형 2차원 디지탈신호 처리에 의하여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엔티에스씨(NTSC) 티브이신호에 적용되는 적응형 2차원 디지탈 휘도/색신호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직교변조형(Quadrature modulated) 칼라티브이방식(NTSC, PAL)은 효휼적으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기 위하여 휘도신호에 색신호를 간삽(interleave)시키므로 수신단에서 휘도신호와 색신호가 잘못 분리될 경우 도트방해와 같은 크로스-루미넌스현상과 무지개 무늬의 발생과 크로스-칼라현상이 나타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 엔티에스(NTSC) 칼라티브이 신호에서 색신호의 위상이 매라인(line), 매 프레임(frame)마다 반전되는 특성을 이용하는 라이콤필터와 프레임 콤필터가 제안되었고 개선된 방식으로 2차원 영역에서의 휘도/색신호분리방식과 3차원영역에서의 휘도/색신호분리를 움직임 정보에 적응적으로 사용하는 움직인 적용형 휘도/색신호분리방식이 제안되어 왔는데, 이에 대하여 살펴보자.
먼저 종래 2차원영역에서의 휘도/색신호분리기의 구성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되는 복합영상신호(C.V)를 입력받아 수직방향에서 색신호를 추출하여 내는 라인콤필터(1)와, 상기 라인콤필터(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받아 수평방향에서 색신호(C)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밴드패스필터(2)와, 입력되는 복합영상신호(C.V)를 소정시간 동안 지연시키는 지연기(3)와, 상기 지연기(3)릍 통해 지연된 복합영상신호(C.V)에 밴드패드필터(2)를 통한 색신호(C)를 뺌으로써 얻어지는 휘도신호(Y)를 출력시키는 감산기(4)로 구성된다.
그리고 3차원영역에시 휘도/색신호분리를 움직임에 적응적으로 사용하는 움직임 적응형 3차원 휘도/색신호분리기 구성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되는 복합영상신호(C.V)를 받아 2차원영역에서 색신호(C)와 휘도신호(Y)를 분리해내는 2차원 휘도/색신호분리기(5)와, 입력되는 복합영상신호(C.V)를 받아 3차원영역에서 필터링하여 얻어진 색신호(C)와 휘도신호(Y)를 분리해내는 프레임 콤필터(6)와, 휘도/색신호분리를 수행할 영상영역에 대해서 움직임의 유무를 판단하여 이 정보를 출력시키는 움직임 검출부(7)와, 상기 움직임검출부(7)에서 출력되는 움직임 검출신호에 따라 2차원 또는 3차원영역에서 분리된 휘도신호(Y)와 색신호(C)를 선택하여 출력시키는 혼합기(8)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기술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도시한 2차원영역에서의 휘도/색신호분리기에 복합영상신호(C.V)가 입력되면 먼저 라인콤필터(1)가 입력받아 수직항향에서 색신호를 추출하고, 이 추출된 색신호를 다시 밴드패스필터(2)가 입력받아 수평방향에 색신호(C)를 추출하여 출력하는데, 상기 색신호(C)의 중심주파수는 칼라 서브캐리어 주파수인 fsc=358MHz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라인콤필터(1)와 밴드패스필터(2)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분리된 색신호(C)를 출력시킴과 아울러 감산기(4)의 반전단자로 출력시킬때, 지연기(3)는 입력되는 복합영상신호(C.V)를 입력받아 소정시간동안 지연시켜 상기 감산기(4)의 비반전단자로 출력시킨다.
따라서 상기 감산기(4)는 그의 비반전단자로 입력되는 복합영상신호(C.V)에서 그의 반전단자로 입력되는 색신호(C)를 빼서 얻어지는 휘도신호(Y)를 출력시킨다.
그리고, 상기에서와 같이 동작하는 2차원영역에서의 2차원 휘도/색신호분리기와 3차원영역에서 동작하는 프레임 콤필터를 이용하여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분리하는 것에 대하여 제2도에 의거하여 살펴보면, 먼저 복합영상신호(C.V)가 입력되면 2차원 휘도/색신 분리기(5)에서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휘도신호(Y)와 색신호(C)를 분리하여 혼합기(8)에 출력시킨다.
또한 3차원영역에서의 프레임 콤필터(6)에 복합영상신호(C.V)가 입력되면 그 신호(C.V)를 분리하여 휘도신호(Y)와 색신호(C)를 상기 혼합기(8)에 출력시킨다.
이때 움직임검출부(7)는 휘도/색신호 분리를 수행할 영상영역에서 움직임의 유무를 판단하고, 그 판단한 움직임 검출신호를 상기 혼합기(8)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혼합기(80)는 상기 움직임검출부(7)에서 제공되는 움직임 검출신호가 움직임이 없는 경우에는 3차원영역에서 분리된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최종적인 신호로 하여 출력시키고, 움직임이 있는 경우에는 2차원영역에서 분리된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최종적인 신호로 하여 출력시킨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2차원 휘도/색신호 분리방식의 경우 수평변화 또는 수직변화를 갖는 영상에 대해서 도트-크로울링(dot crawling), 행잉-도트(hanging dot)와 같은 크로스-루미넌스현상과 색신호의 퍼짐과 같은 현상이 나타나고 빠른 변화를 갖는 신호에 대해서는 무지개 무늬의 발생과 같은 크로스-칼라현상이 나타난다.
또한,3차원 휘도/색신호 분리방식의 경우 움직임을 정확히 판단할 경우 좋은 성능을 나타내지만 휘도신호와 색신호가 혼합된 복합영상신호에서는 움직임판단의 정확성이 떨어지고, 정확한 움직임검출을 하더라도 고정된 2차원 휘도/색신호 분리를 수행하면 동영상부에서 부정확한 휘도/색신호분리를 수행하게 되며, 또한 움직임 적응형 휘도/색신호분리방식은 다수의 프레임메모리틀 사용해야 하므로 가격이 상승하는 문제점과 하드웨어에 부담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은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의 수평, 수직, 대각변화를 고려한 적응형 2차형 디지탈 휘도/색신호 분리기를 이용하여 신호저리를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적응형 2차원 디지탈 휘도/색신호 분리장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정된 2차원 휘도/색신호 분리기에서 나타나는 크로스-칼라, 크로스-루미넌스 현상을 억제하고,3차원 휘도/색신호분리에서 다수의 프레임메모리를 사용함으로써 발생하는 가격상승문제를 억제하면서 크로스-칼라, 크로스-루미넌스현상을 억제하는 적응형 2차원디지탈 휘도/색신호 분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적응형 2차원 디지탈 휘도/색신호 분리장치 구성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되는 복합영상 신호(CVl0)를 1라인씩 순차적으로 지연시키고 그 지연된 복합영상신호(C20,CV30)를 각각 출력하는 제1,2라인메모리(21,22)와, 상기 복합영상신호(CV10,CV20,CV30)를 각각 입력받아 칼라 서브캐리어 주파수에 해당하는 주파수성분을 검출항 얻은 필터링신호(B1,B2,B3)를 출력하는 제1내지 제3밴드패스필터(23∼25)와, 상기 제1 내지 제3밴드패스필터(23∼25)에서 출력되는 필터링신호(B1,B2,B3)와 외부로부터의 일정임계치(TH5)(TH6)를 이용하여 색신호(AB2H)를 구하는 적응형 라인콤필터(26)와, 상기 제2밴드패스필터(24)에서 출력되는 필터링신호(B2)가 일정임계치(TH7) 보다 작으면 하이값을 갖는 칼라킬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칼라킬러 제어부(27)와, 상기 복합영상신호(CVl0,CV20,CV30)를 입력받아 수직방향 처리에 의한 색신호(2H)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라인콤필터(28)와, 일정임계치(THl,TH2,TH3,TH4)를 이용하여 상기 복합영상신호(CVl0,CV20,CV30)의 수평 또는 수직변화를 판단하고 그 판단한 수평, 수직판단신호를 출력하는 수평, 수직제어신호 발생부(29)와, 상기 칼라킬러 제어부(27)의 출력을 일측으로 입력받고 상기 수평, 수직제어신호 발생부(29)에서 출력되는 수평, 수직제어신호를 각각 타측으로 입력받아 오아링하는 오아게이트(OR1,OR2)와, 상기 적응형 라인콤필터(26)의 출력(AB2H), 제2밴드패스필터(24)의 출력(B2), 라인 콤필터(28)의 출력(2H)과 제로0값을 각각 입력으로 하고 상기 오아게이트(OR1,OR2)의 출력을 제어신호로 하여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입력 중 어느하나를 선택하여 최종 색신호(C)로 출력하는 멀티플렉서(34)와, 상기 제1라인메모리(21)에서 출력되는 복합영상신호(CV20)에서 상기 멀티플렉서(34)를 통해 선택된 색신호를 감산하여 휘도신호를 얻도록 하는 감산기(35)로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에서 복합영상신호(CV10)가 입력되면 이를 입력받은 제1라인메모리(21)가 1라인만큼 지연시킨 신호(CV20)를 제2라인메모리(22), 제2밴드패스필터(24), 라인 콤필터(28) 및 수평, 수직제어신호 발생부(29)로 각각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제2라인메모리(22)는 상기 제1라인메모리(21)의 출력신호(CV20)를 다시 1라인만큼 더 지연시키고, 그 지연시킨 신호(CV30)를 수평, 수직제어신호 발생부(29)와 제3밴드패스필터(25) 그리고 라인 콤필터(28)로 각각 출력한다.
이때 본래의 복합영상신호(CV10)는 제1밴드패스필터(23)로 입력된다.
상기 제1 내지 제3밴드패스필터(23∼25)는 입력되는 복합영상신호(CV10,CV20,CV30)를 각각 필터링하고, 그 필터링된 신호(B1∼B3)를 적응형 라인콤필터(26)로 출력한다.
여기서, 제1 내지 제3밴드패스필터(23∼25)의 구성은 서로 동일하다.
상기 밴드패스필터의 구성은,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합영상신호(CVl0 또는 CV20,CV30)가 입력되면 그 신호에 대해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출력시 1클럭씩 순차적으로 지연시켜 출력하는 제1 내지 제4레지스터(Rl∼R4)와, 상기 본래의 복합영상신호(CV10)를 입력받아 1/2 증폭하는 제1증폭기(36)와, 상기 제4레지스터(R4)를 통해 4클럭지연된 신호(CV14)에 대해 1/2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2증폭기(37)와, 상기 제2레지스터(R2)를 통해 2클럭 지연된 신호(CV12)를 비반전단자로 입력받아 그 신호로부터 반전단자로 입력받는 상기 제1,2증폭기(36)(37)를 통해 1/2 증폭된 신호를 각각 감산하여 출력하는 감산기(38)와, 상기 감산기(38)의 출력신호에 대해 다시 1/2 증폭하여 얻은 필터링신호(Bl 또는 B2,B3)를 출력하는 제3증폭기(39)로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밴드패스필터의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면, 예를들어 복합영상신호(CV10)가 입력되면 제1 내지 제3증폭기(36,37,39)와 레지스터 및 감산기(38)를 통해 1/2 CV12-1/4(CVl0+CV14)와 같은 연산 처리를 행하게 되고, 이 연산 처리된 신호는 다시 1/2 증폭기(39)를 거쳐 증폭된 즉, 필터링된 신호(Bl)를 출력한다.
상기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각각 제2, 제3밴드패스필터(24,25)를 통해 필터링된 신호(B2)(B3)가 모두 적응형 라인콤필터(26)로 입력된다.
그러면 라인 콤필터(28)는 복합영상신호(CVl0,CV20,CV30)를 입력받아 라인 콤필터링하여 출력하는데, 이에 대하여 제5도에 의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래의 복합영상신호(CVlO)는 1/2 증폭기(40)를 거쳐 증폭된 후 감산기(42)의 반전단자(-)로 입력되고, 제1라인메모리(21)에서 출력되는 복합영상신호(CV20)는 상기 감산기(42)의 비반전단자(+)로 입력되고, 제2라인메모리(22)에서 출력되는 복합영상신호(CV30)는 1/2 증폭기(41)를 거쳐 증폭된 후 상기 감산기(42)의 또다른 반전단자(-)로 입력된다.
그러면 상기 감산기(42)는 1/2 CV20-1/4(CV1O+CV30)과 같은 연산처리를 행한 신호를 출력하고, 그 신호는 다시 1/2 증폭기(43)를 거쳐 증폭된 신호, 즉 필터링된 색신호(2H)를 출력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제4도와 제5도에서 도시된 밴드패스필터와 라인콤필터의 주파수 진폭 특성을 제6도에 도시하였는데, 밴드패스필터의 경우는 필터의 중심주파수(fsc)가 fsc=3.58MHz이고 , 라인콤필터의 경우는 라인주파수(fH)는 1/2 fH(fH=15.734KHz)이다.
그리고 , 상기 제1 내지 제3밴드패스필터(23∼25)의 필터량 출력을 각각 입력받는 적응형 라인콤필터(26)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제7도에 의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7도는 적응형 라인콤필터(26)의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링신호(B1,B3,B3)는 각각 반전단자로 입력받고 필터링신호(B2,B2,Bl)를 각각 비반전단자로 입력받아 감산처리를 행하는 제3 내지 제5감산기(71,72,76)와, 상기 제3,4감산기(72,72)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대하여 각각 1/2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7,8증폭기(73,74)와, 상기 제7,8증폭기(73,74)의 출력신호를 각각 더하는 제1가산기(77)와, 상기 필터링신호(B1,B2)(B2, B3)를 각각 입력받아 가산저리를 행하는 제2, 제3가산기(78,79)와, 상기 제1가산기(77)의 및 출력에 대하여 1/2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9증폭기(75)와, 상기 제5감산기(76)와 제2,3가산기(78,79)의 출력신호를 각각 입력받고 그 입력된 값에 대하여 절대값을 취하고 그 취한 절대값(A1,A2,A3)을 발생시키는 제1 내지 제3절대값발생기(ABS1∼ABS3)와, 상기 제l절대값발생기(ABS1)에서 출력되는 절대값(A1)이 일정임계치(TH6) 보다 클때 하이신호를 출력하는 제1비교기(80)와, 상기 제2절대값발생기(ABS2)에서 출력되는 절대값(A2)이 일정임계치(TH5) 보다 작을 때 하이신호를 출력하는 제2비교기(81)와, 상기 제3절대값발생기(ABS3)에서 출력되는 절대값(A3)이 일정임계치(TH5) 보다 작을때 하이신호틀 출력하도록 하는 제3비교기(82)와, 상기 제2절대값발생기(ABS2)에서 출력되는 절대값(A2)이 상기 제3절대값발생기(ABS3)에서 출력되는 졀대값(A3) 보다 작을때 하이신호를 출력하는 제4비교기(83)와, 상기 제1,제2, 제4비교기(80,81,83)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논리곱을 수행하여 얻은 제어신호(ACONT1)를 0출력하는 제1앤드게이트(AD1)와, 상기 제4비교기(83)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반전시켜 출력하는 낫게이트(NT1)와, 제1, 제3비교기(80,82)와 상기 낫게이트(NT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논리곱을 수행하여 얻은 제어신호(ACONT2)를 출력하는 제2앤드게이트(AD2)와, 상기 제1,2앤드게이트(AD1)(AD2)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제7 내지 제9증폭기(73,74,75)와 출력값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멀티플렉서(MUX2)로 구성한다.
상기에서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적응형 라인콤필터(26)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제1 내지 제3밴드패스필터(23∼25)로부터 출력되는 필터링신호(B1,B2,B3) 중 제3감산기(71)는 반전단자(-)로 Bl 신호를 입력받고 비반전단자(+)로 B2 신호를 입력받아 감산한 후 제7증폭기(73)로 출력한다.
그리고, 제4감산기(72)는 B2, B3신호를 각각 비반전단자(+)와 반전단자(-)로 각각 입력받아 감산한 후 제8증폭기(74)로 출력하고, 제5감산기(76)는 B1, B3 신호를 각각 비반전단자(+)와 반전단자(-)로 각각 입력받아 감산한 후 제l절대값발생기(ABSl)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제7증폭기(73)와 제8증폭기(74)는 입력신호에 대하여 각각 1/2 증폭하고, 그 증폭된 신호(AH1,AH2)들 멀티플렉서(MUX2)로 입력단으로 출력한다.
이때 제1가산기(77)는 상기 제7증폭기(73)의 출력(AH1)인 AH1=l/2(B2-B1)과 제8증폭기(74)의 출력(AH2)인 AH2=1/2(B2-B3)을 각각 입력받아 더한 후 제9증폭기(75)로 출력하여 1/2 증폭한 값(B2H)인 B2H=1/2 B2-1/4(B1+B3)를 상기 멀티플렉서(MUX2)로 입력단으로 출력한다.
제1비교기(80)는 상기 제5감산기(76)의 출력인(B1-B3)을 입력받아 절대값을 부여하는 제1절대값발생기(ABS1)의 절대값(A1=| B1-B3 |)이 일정임계치(TH6) 보다 크면 하이신호를 출력한다.
제2비교기(81)는 필터링신호(B1,B2)신호를 입력받아 가산하는 제2가산기(78)의 출력을 입력받아 절대값을 부여하는 제2절대값발생기(ABS2)의 절대값(A2=| B1+B2 |)이 일정임계치(TH5) 보다 작으면 하이신호를 출력한다.
제3비교기(82)는 필터링신호(B2,B3)신호를 입력받아 두 신호를 가산하는 제3가산기(79)의 출력에 대하여 절대값을 부여하는 제3절대값발생기(ABS3)의 절대값(A3=| B2+B3 |)이 일정임계치(TH5) 보다 작으면 하이신호를 출력한다.
제4비교기(83)는 상기 제2절대값발생기(ABS2)의 절대값(A2)이 제3절대값발생기(ABS3)의 절대값(A3) 보다 작을때 하이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제1,제2,제4비교기(80,81,83)에서 출력하는 비교값이 모두 하이이면, 제1앤드게이트(AD1)는 그의 출력인 제어신호(ACONT1)를 하이상태로 하여 출력하고, 제2앤드게이트(AD2)는 제1,3비교기(80,82)의 출력이 하이이고 제4비교기(83)의 출력이 로우상태일때 제어신호(ACONT2)가 하이상태가 되고, 그 입력중 어느 하나가 바뀌면 로우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제1,2앤드게이트(AD1,AD2)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ACONT1,ACONT2)가 (0,0)이면 멀티플렉서(MUX2)는 제9증폭기(75)의 출력(B2H)을 선택하고, 제어신호(ACONT1,AC0NT2)가 (l,0)이면 제7증폭기(73)의 출력(AH1)을 그리고 제어신호(ACONT1,ACONT2)가 (0,1)이면 제8증폭기(74)의 출력(AH2)을 선택하여 출력(AB2H)한다.
상기 제9증폭기(75)의 출력신호(B2H)가 처리될때까지의 과정은 제8도의 (라)에 도시한 바와 같고, 제7,8증폭기(73)(74)의 출력신호(AH1)(AH2)가 나오기까지의 과정은 (마)(바)에 도시한 바와 같으며, 여기서 (라)(마)(바)의 경우는 필터링신호(B2)와 차이를 갖는데 이 차이가 분리된 휘도신호와 색신호에서 나타나는 크로스-칼라, 크로스-루미넌스의 원인이 된다.
그리고 제1,2앤드게이트(AD1)(AD2)의 출력인 제어신호(ACONT1)(AC0NT2)는 제8도의 (사)(아)와 같은 파형이 되고, 결국 적응형 라인콤필터(26)의 출력은 (나)에 도시한 B2의 파형이 된다.
이때 제3도의 칼라킬러 제어부(27)는 제2앤드패스필터(24)의 출력값이 일정임계치(TH7) 이하인 경우 하이값을 갖는 제어신호를 지연기(30)로 출력하는데, 이에 대하여 제9도에 의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9도는 칼라킬러 제어부(27)의 구성도로서 ,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밴드패스필터(24)에서 출력되는 필터링신호(B2)의 값에 절대값을 취하고 그에따른 값(A4)을 출력하는 제4절대값발생기(ABS4)와, 상기 제4절대값발생기(ABS4)에서 출력되는 절대값(A4)이 일정임계치(TH7) 보다 작으면 하이신호를 출력하는 제5비교기(91)와, 상기 제5비교기(91)의 출력을 순차적으로 지연시키는 제1 내지 제3지연기(FFl∼FF3)와, 상기 제5비교기(91)와 상기 지연기(FF1∼FF3) 각각의 출력을 입력받아 앤드조합하여 얻은 논리신호를 출력하는 앤드게이트(AD3)와, 상기 앤드게이트(AD3)의 출력신호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지연시키는 제4 내지 제6지연기(FF4∼FF6)와, 상기 앤드게이트(AD3)와 상기 지연기(FF6)의 출력신호에 대하여 논리합을 행하여 얻은 클럭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오아게이트(OR3)로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칼라킬러 제어부(27)의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면, 제2밴드패스필터(24)에서 출력되는 필터링신호(B2)를 제4절대값발생기(ABS4)가 입력받고 그 입력받은 신호에 대하여 절대값을 부여한 값(A4)을 출력한다.
그러면 제5비교기(91)는 제4절대값발생기(ABS4)에서 출력되는 절대값(A4)이 일정임계치(TH7) 보다 작으면, 상기 제5비교기(91)는 하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5비교기(91)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제1 내지 제3지연기(FFl∼FF3)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지연되고, 그 각각 지연된 신호들은 앤드게이트(AD3)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 상기 앤드게이트(AD3)는 제5비교기(91)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상기 제1 내지 제3지연기((FF1∼FF3)를 각각 통과해 지연된 신호를 입력받아 논리곱을 행하여 출력한다.
상기 앤드게이트(AD3)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제4 내기 제6지연기(FF4∼FF6)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3클럭 지연된 후 오아게이트(OR3)에 입력된다.
그러면 상기 오아게이트(OR3)는 상기 제4 내지 제6지연기(FF4∼FF6)를 통해 3클럭만큼 지연된 신호와 앤드게이트(AD3)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오아링하고, 그 오아링한 칼라킬러 제어신호(C.K control)를 출력한다.
이때 제6지연기(FF6)에서 출력되는 3클럭 지연된 값과 앤드게이트(AD3)의 값이 하이상태이면 오아게이트(OR3)를 통한 칼라킬러 제어신호(C.K control)값은 하이가 되어 최종색신호(Cout)는 제로(zero)가 된다.
즉, 밴드패스필터를 통해 처리된 신호가 매우작으면 입력 복합영상신호는 휘도신호이므로 색신호로 제로값을 출력하도록 하는 것으로 구성상 특징은 휘도/색신호분리를 수향할 화소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연속한 4개의 화소의 색신호의 에너지가 매우작은 경우 칼라킬러신호는 하이값을 출력하는 것이다.
이때 제3도의 수평, 수직제어신호 발생부(29)는 지연되지 않은 복합영상신호(CV10)와 제1,제2라인메모리(21,22)를 거쳐 1라인씩 지연된 복합영상신호(CV20,CV30)를 외부에서 입력되는 일정임계치(THl∼TH4)를 각각 이용하여 복합영상신호의 수평 또는 수직변환을 판단하고, 그 판단한 수평, 수직판단신호를 출력하는 데, 이에 대하여 제11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1도는 수평, 수직제어신호 발생부(29)의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래의 복합영상신호(CV10)와 제1,제2라인메모리(21)(22)를 통해 1라인씩 지연된 복합영상신호(CV20)(CV30)를 입력받아 차신호의 절대값을 발생시키는 차신호 절대값발생부(110)와, 상기 차신호 절대값발생부(110)의 출력중 일부를 입력받고 그 입력된 영상신호의 수평변화가 없을때 하이상태의 수평제어신호(HC0NT)를 출력하는 수평제어신호 발생부(111)와, 상기 차신호 절대값발생부(110)의 출력중 일부를 입력받고 그 입력된 영상신호의 수직변화는 없고 수평변화만 있을때 하이상태의 수직제어신호(VCONT)를 출력하는 수직제어신호발생부(112)와, 상기 수평, 수직제어신호 발생부(111,112)에서 출력되는 수평제어신호(HC0NT), 수직제어신호(VCONT)를 입력으로 하여 수평제어신호가 하이인 영역이 확장된 제어신호인 수평판단신호(H control)와 수직판단신호(V control)를 출력하는 수평제어신호 확장부(113)로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수평, 수직제어신호 발생부(29)의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면, 제10도에서 휘도/색신호분리를 수행할 픽셀이 CV24라고 할때 본래의 영상신호(CV10)와 1,2라인씩 지연된 영상신호(CV20)(CV30)를 입력받은 차신호 절대값발생부(110)는 (CVl0-CV22)의 절대값인 DA1022,(CV20-CV12)의 절대값인 DA2012,(CV20-CV32)의 절대값인 DA2032,(CV30-CV22)의 절대값인 DA3022,(CV10-CV14)의 절대값인 DA1014,(CV20-CV24)의 절대값인 DA2024,(CV30-CV34)의 절대값인 DA3034,(CVl0-CV30)의 절대값인 DA1030을 출력한다.
여기서 제10도는 앤티에스씨(NTSC)방식에서 칼라티브이신호를 4fsc인 샘플링틀로 샘플링했을때 나타나는 2차원 데이타 배열로써 색신호의 위상은 매 라인마다 그리고 수평방향으로 2샘플마다 반전됨을 알 수 있다.
그러면 수평제어신호발생부(111)는 상기 차신호 절대값발생부(110)의 절대값출력중 DA1022, DA2012, DA2032, DA3022, DA1O14, DA2024, DA3034를 입력으로 하여 그 영상신호가 수평방향으로 변화가 없을때 하이상태의 수평제어신호(HCONT)를 출력하고, 수직제어신호발생부(112)는 상기 차신호 절대값발생부(110)의 절대값출력중 DA1022, DA2012, DA2032, DA3022와 DA1030을 입력으로 하여 그 영상신호가 수직변화는 없고 수평변화만 있을때 하이상태의 수직제어신호(VCONT)를 출력한다.
이에 상기 수평제어신호(HCONT)와 수직제어신호(VCONT)를 입력받은 수평제어신호확장부(113)는 수평제어신호(HCONT)가 하이인 영역이 확장된 제어신호인 수평, 수직 판단신호(H,V control)를 출력한다.
상기에서 차신호 절대값발생부(11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제12도에 의거하여 알아보면, 본래의 복합영상신호(CV10)와,1,2라인씩 지연된 신호(CV20)(CV30)를 레지스터들(R)이 순차적으로 지연시키고, 이 지연된 신호들증 두 값을 감하여 차신호를 구하며, 이 차신호는 절대값발생기(ABS)에 의하여 절대값을 갖는다.
그들의 동작은 먼저 본래의 복합영상신호(CV10)가 입력되면 레지스터(R)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지연된 신호들(CV11,CV12,CV13,CV14)가 발생하고, 1라인 지연된 영상신호(CV20)와 2라인 지연된 영상신호(CV30)들도 마찬가지로 레지스터들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지연된 신호(CV21∼CV34, CV31∼CV34)를 발생시킨다.
여기서 각 레지스터(R)에 공급되는 클럭의 주파수는 4fsc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지연된 신호들은 감산기에 의하여 차신호가 구해지고, 이 차신호는 절대값발생기(ABS)에 의하여 절대값을 갖는 차신호로 변환된다.
그 차신호의 절대값에 대하여 제10도에 참조하여 보면 절대값(DA1022, DA2012, DA2032, DA3022)는 대각방향에 존재하는 복합영상신호 사이에 존재하는 차신호의 절대값이고, DA1014, DA2024, DA3034는 수평방향으로 4샘플 떨어진 성분사이의 차신호의 절대값이며, DA1O30은 수직 방향으로 2라인 떨어진 성분사이의 차신호의 절대값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수직방향으로만 변화를 갖는 신호에 대해서는 DA1014, DA2024, DA3034는 매우 작은 값을 갖고, DA1030은 큰 값을 갖게되며, 3라인에서 연속적인 변화를 갖지않는 경우는 DA1022, DA2012 또는 DA2032, DA3022 중 하나는 매우 작은 값을 갖는다.
한편, 수평변화만을 갖는 경우는 DA1014, DA2924, DA3034는 큰 값을 갖고 DA1030은 매우 작은 값을 갖는다.
그리고, 제11도에서 수직제어신호발생부(111)는,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신호의 절대값출력중 대각방향에 대한 차신호의 절대값(DA1022, DA2012, DA2032, DA3022)이 일정임계치(TH1) 보다 작으면 하이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131∼134)와, 상기 비교기(131∼134)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앤드링하는 앤드게이트(AD5)와, 차신호의 절대값출력중 수직방향에 대한 차신호의 절대값(DA1030)이 일정임계치(TH2) 보다 작으면 하이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135)와, 상기 앤드게이트(AD5)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순차적으로 지연시키는 제7 내지 제12지연기(FF7∼FF12)와, 상기 비교기(135)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순차적으로 지연시키는 제13내지 제19지연기(FF13∼FF19)와, 상기 제7 내지 제12지연기(FF7∼FF12)와 제13 내지 제19지연기(FF13∼FF19)의 출력신호를 논리조합하여 수평제어신호(VCONT)를 발생하는 논리연산부(136)로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수직제어신호 발생부(112)의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면, 차신호 절대값발생부(110)에서 차신호에 대한 절대값을 발생하면 그 출력 중 대각선항향에 대한 차신호의 절대값(DA1022,DA2012,DA2032,DA3022)을 입력받은 비교기(131∼134)는 일정임계치(TH1)와 비교하여 상기 절대값이 임계치(TH1) 보다 작으면 모두 하이상태의 신호를 앤드게이트(AD5)로 출력한다.
이때 비교기(135)는 상기 차신호 절대값발생부(110)에서 발생한 출력중 수직방향에 대한 차신호의 절대값(DA1030)이 일정임계치(TH2) 보다 작으면 하이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앤드게이트(AD5)의 출력은 제7 내지 제12지연기(FF7∼FF12)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지연되고, 상기 앤드게이트(AD5)의 출력과 낫게이트(NT2)를 통해 발전된 제8지연기(FF9)의 출력은 앤드게이트(AD6)에 의하여 논리곱되어 처리되며, 낫게이트(NT2)를 통한 상기 제9지연기(FF9)의 출력과 마지막 제12지연기(FF12)의 출력도 앤드게이트(AD8)에 의하여 논리곱되어 처리된다.
또한 상기 비교기(135)의 출력도 제13 내지 제19지연기(FF13∼FF19)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지연되고, 상기 제13 내지 제16지연기(FF13∼FF16)의 출력과 제16 내지 제19지연기(FF16∼FF19)의 출력들은 각각 앤드게이트(AD10)(AD11)에 의하여 논리곱처리되어 그 출력을 앤드게이트(AD7)(AD9)로 출력하면 그의 타측입력으로 앤드게이트(AD6)(AD8)의 출력과 함께 논리곱하여 오아게이트(OR4)로 출력한다.
결국, 상기 오아게이트(OR4)는 상기 지연기와 논리게이트들을 통해 입력된 신호를 논리합을 행하여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수직제어신호(VCONT)를 출력하는 것이다.
다시말하면, 상기 처리과정의 의미를 제10도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영상신호(CV24)에 대해서 휘도/색신호분리를 수행한다고 가정하면, 앤드게이트(AD5)의 출력이 하이(즉,(CV10-CV22)의 절대값과 (CV20-CV12)의 절대값,(CV20-CV32)의 절대값,(CV30-CV33)의 절대값이 일정임계치(TH1) 보다 모두 작은 경우)이고, 제9지연기(FF9)의 출력이 로우(즉,(CV13-CV25)의 절대값,(CV23-CV15)의 절대값,(CV23-CV35)의 절대값,(CV33-CV25)의 절대값들 중 일정임계치(TH1) 보다 큰 값이 존재하는 경우)이며, 앤드게이트(AD10)의 출력이 하이(즉,(CV11-CV31)의 절대값,(CV12-CV32)의 절대값,(CV13-CV33)의 절대값, (CV14-CV34)의 절대값이 모두 일정임계치(TH2) 보다 작은경우)인 경우 수직제어신호(VCONT)는 하이값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제12지연기(FF12)의 출력이 하이(즉, (CV16-CV28), (CV26-CV18), (CV26-CV38), (CV36-CV28)의 절대값이 모두 TH1 보다 작은경우이고, 제9지연기(FF9)의 출력이 로우이고, 앤드게이트(AD11)의 출력이 하이(즉, (CV14-CV34), (CV15-CV35), (CV16-CV36), (CV17-CV37)의 절대값이 모두 일정임계치(TH2) 보다 작은 경우)인 경우에 수직제어신호(VCONT)는 하이값을 갖는다.
결국, 수직제어신호(VCONT)가 하이를 갖는 영역은 제16도에서와 같이 b를 경계로 하여 영상신호가 변할 경우 수직제어신호(vcont)가 하이값을 갖는 영역은 a∼c 사이이고, 이외의 경우는 로우값을 갖는다.
또한 제11도에서 수평제어신호 발생부(111)의 경우도 상기 수직제어신호발생부(110)의 동작과 같으며, 여기서 그의 저리과정을 제14도와 제10도에 의해 살펴보면 휘도/색신호분리를 수행할 픽셀이 CV24일때 앤드게이트(AD18)의 출력이 하이인 경우는 대각방항 차신호의 절대값인 |CV12-CV24|, |CV22-CV14|,|CV13-CV25|,|CV23-CV15|,|CV14-CV26|,|CV24-CV16|이 모두 일정임계치(TH3) 보다 작고, 수평차신호의 절대값인 | CV12-CV16|,| CV22-CV26| 이 모두 일정임계치(TH4) 보다 작을 때이고, 앤드게이트(AD19)의 출력이 하이인 경우는 대각방향 차신호의 절대값인 |CV22-CV34|, |CV24-CV36|, |CV23-CV35|, |CV33-CV25|, |CV24-CV36|, |CV34-CV26|이 모두 일정임계지(TH3) 보다 작고 수평방향 차신호의 절대값인 |CV22-CV26|, |CV32-CV36| 이 모두 작을때이므로 수평제어신호(HC0NT)가 하이인 경우는 수평변화가 없는 경우(단, 수평변화가 없으나 수직방향으로는 3라인에서 연속적인 변화를 갖는 경우는 제외한다.)이고, 제16도에서와 같이 영역 Ra에서 영역 Rc로 수평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수평제어신호(HCONT)가 로우값을 갖는 영역은 d∼e이다.
제11도의 수평제어신호 발생부(111)에서 출력되는 수평제어신호(HCONT)가 하이인 영역을 확장함으로써 수평, 수직변화를 동시에 갖는 영역에서의 두드러진 화질저하를 억제하는 역할을 하는 수평제어신호 확장부(113)에 대하여 제15도에 의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5도는 수평제어신호 확장부(113)예 대한 상세도로서, 이에 도시한바와 같이, 수직제어신호(VCONT)와 낫게이트(NT3)를 통에 반전된 수평제어신호(HCONT)룰 입력받아 앤드링하고, 수평제어신호(HC0NT)와 낫게이트(NT4)를 통해 반전된 수직제어신호(VOCNT)를 입력받아 앤드링하는 앤드게이트(AD20)(AD21)와, 상기 앤드게이트(AD20)의 출력량을 소정클럭만큼 지연시켜 수평판단신호와 타이밍을 맞추기 위한 지연기(151)와, 상기 앤드게이트(AD21)의 출력신호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지연시키는 제31 내지 제38지연기(FF31∼FF38)와, 상기 제31 내지 제38지연기(FF31∼FF38)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오아게이트와 앤드게이트 및 낫게이트를 이용하여 수평 판단신호를 만들어 출력하는 신호발생부(152)로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수평제어신호 확장부(113)의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면, 수평제어신호발생부(111)의 수평제어신호(HCONT)와 수직제어신호발생부(112)의 수직제어신호(VCONT)를 일측으로 각각 입력받고 낫게이트(NT4)(NT3)을 통해 반전된 수직 및 수평제어신호를 입력받은 앤드게이트(AD21)(AD20)가 논리곱을 수행하여 출력하면, 상기 앤드게이트(AD21)의 출력신호를 제31 내지 제38지연기(FF31∼FF38)에 의해 지연되고 오아게이트(OR6,OR7,OR8)에 의해 수평제어신호가 하이인 영역이 확장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최종적인 수평판단신호(H control)는 오아게이트(OR18)의 출력된 발전된 수직판단신호(V control)를 논리곱한 결과로 H control=((E4E6)+(E7+E8)·(E10+E11)+E9+E12E13)) ·V control로 표현할 수 있다.
한편 최종적인 수직판단신호(V control)은 앤드게이트(AD20)의 출력을 수평판단신호(H control)과 타이밍을 맞추기 위하여 지연매칭시킨 값이 된다.
상기 과정에 대하여 제17도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4개의 영역(RA, RB, RC, RD)로 분할된 영상에서 수평, 수직제어신호 발생부(111)(112)의 동력인 수평제어신호(HCONT)와 수직제어신호(VCONT)는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출력을 갖는데, 여기서 수평제어신호(HCONT)와 수직제어신호(VCONT)가 모두 로우인 영역에서는 밴드패스필터와 적응형 라인콤필터 처리를 동시에 수행하게 되는데, 4개의 영역이 크로스되는 부분에서는 처리과정의 일관성 결여로 인하여 큰 점(dot)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상기 수평제어신호 확장부(113)의 출력인 수평판단신호(H control)와 수직판단신호(V control)의 츨력값은 제17도의 (b)와 같이 되므로 4개의 영역이 교차하는 부분에서 밴드패스필터와 적응형 라이콤필터로 처리되는 영역이 축소피므로 큰 점이 나타나는 화절저하가 억제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잘못된 수평처리에 의하여 나타나는 화질저하가 잘못된 수직처리에 의하여 나타나는 화질저하보다 눈에 덜 띄게되므로 수평제어신호가 하이인 영역을 확장하는 것이 두드러진 화질저하를 억제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제4도 내지 제17도에 의거하여 설명하였는데, 이에 대하여 제3도에 의거하여 다시한번 살펴보면, 본래의 복합영상신호(CV10)와 제1라인메모리(21)를 통해 1라인 지연된 영상신호(CV20) 그리고 제2라인메모리(22)를 통해 2라인 지연된 영상신호(CV30)에 대하여 각각의 제1내지 제3밴드패스필터(23∼25)가 칼라 서브캐리어 주파수(fsc=3.58MHz)에 해당되는 주파수성분을 검출하여 그 검출한 필터링신호(B1)(B2)(B3)를 적응형 라인콤필터(26)는 1/2CV20-1/2(CV10-CV30)를 연산처리하여 얻어지는 색신호(AB2H)를 출력한다.
한편 상기 제2밴드패스필터(24)에서 필터링된 신호(B2)를 입력받는 칼라킬러 제어부(27)는 상기 신호(B2)가 일정임계칭(TH7) 보다 작은 경우에 하이신호를 출력하고, 복합영상신호(CV10,CV20,CV30)를 입력받는 라인콤필터(28)는 수직방향 처리에 의하여 색신호를 검출하여 지연기(33)로 출력하고, 또한 상기 복합영상신호(CV10,CV20,CV30)를 입력받은 수평, 수직제어신호 발생부(29)는 영상의 수평, 수직변화를 판단하여 그 판단된 수평,수직판단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수평, 수직제어신호 발생부(29)로부터 발생된 수평판단신호(H control)와 수직판단신호(V coritrol)는 칼라킬러 제어부(27)와 지연기(30)를 통하 신호와 함께 오아게이트(OR1)(OR2)에서 논리합되어 출력된다.
이렇게 출력된 신호는 멀티플렉서(34)의 제어단자(H,L)로 각각 입력된다.
그러면 상기 멀티플렉서(34)는 적응형 라이콤필터(26)의 출력(AB2H), 지연기(31)를 통해 지연매칭된 제2밴드패스필터(24)의 출력, 그리고 지연기(33)를 통해 지연된 라인콤필터(28)의 출력과 제로(0)값을 각각 입력받아 상기 오아게이트(OR1,OR2)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데, 이 선택된 신호가 최종적으로 출력되는 색신호(Cout)이다.
상기 멀티플렉서(34)에서 출력되는 색신호는 감산기(35)의 반전단자(-)로 입력된다.
그러면 상기 감산기(35)는 그의 비반전단자(+)로 입력되는 지연기(32)를 통해 지연매킹된 영상신호(CV20)에서 상기 색신호(Cout)를 뺀 신호 즉, 휘도신호(Yout)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멀티플렉서(34)의 선택신호는 입력 복합영상신호가 수평변화만을 갖으며 최종 색신호(Cout)로 지연매칭된 라인콤필터(28)의 출력이 선택하고, 수직변화만을 갖는 경우는 지연기(32)를 통해 지연매칭된 제2밴드패스필터(24)의 출력이 되도록 하며, 색신호의 에너지가 매우 적은 신호 즉, 휘도신호는 제로값이 되도록 하고, 이외의 경우는 적응형 라인콤필터(26)의 출력이 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정된 2차원 휘도/색신호분리방식에서 나타나는 크로스-칼라, 크로스-루미넌스현상을 억제하고,3차원 휘도/색신호분리에서 다수의 프레임메모리를 사용함으로 써 발생하는 가격상승문제를 억제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입력되는 복합영상신호(CV10)를 1라인씩 순차적으로 지연시키고 그 지연된 복합영상신호(CV20, CV30)를 각각 출력하는 제1,2라인메모리(21,22)와 상기 복합영상신호(CV10, CV20,CV30)를 각각 입력받아 칼라서브캐리어 주파수에 해당하는 주파수성분을 검출하여 얻은 필터링신호(B1,B2,B3)를 출력하는 제1 내지 제3밴드패스필터(23∼25)와, 상기 제1 내지 제3밴드패스필터(23∼25)에서 출력되는 필터링신호(B1,B2,B3)와외부로부터의 일정임계치(TH5)(TH6)를 이용하여 연산처리하여 색신호(AB2H)를 구하는 적응형 라인콤필터(26)와, 상기 제2밴드패스필터(24)에서 출력되는 신호(B2)가 일정임계치(TH7) 보다 작으면 하이값을 갖는 칼라킬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칼라킬러 제어부(27)와, 상기 복합영상신호(CV10, CV20,CV30)를 입력받아 수직방향 처리에 의한 색신호(2H)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라인콤필터(28)와, 일정임계치(TH1,TH2,TH3,TH4)를 이용하여 상기 복합영상신호(CV10, CV20,CV30)의 수평 또는 수직변화를 판단하고 그 판단한 수평,수직판단신호를 출력하는 수평, 수직제어신호 발생부(29)와, 상기 칼라킬러 제어부(27)의 출력을 일측으로입력받고 상기 수평, 수직 제어신호 발생부(29)에서 출력되는 수평, 수직제어신호를 각각 타측으로 입력받아 오아링하는 오아게이트(OR1,OR2)와, 상기 적응형 라인콤필터(26)의 출력(AB2H), 제2밴드패스필터(24)의출력(2H), 라인 콤필터(28)의 출력과 제로0값을 각각 입력으로 하고 상기 오아게이트(OR1,OR2)의 출력을제어신호로 하여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입력중 어느하나를 선택하여 최종 색신호(C)로 출력하는 멀티플렉서(34)와, 상기 제1라인메모리(21)에서 출력되는 복합영상신호(CV20)에서 상기 멀티플렉서(34)를 통해 선택된 색신호를 감산하여 휘도신호를 얻도록 하는 감산기(3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2차원 디지탈 휘도/색신호 분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1 내지 제3밴드패스필터는 입력되는 복합영상신호를 1클럭씩 순차적으로 지연시켜 출력하는 제1 내지 제4레지스터(Rl∼R4)와, 상기 복합영상신호를 입력받아 1/2 증폭하는 제1증폭기(36)와, 상기 제4레지스터(R4)를 통해 지연된 신호에 대해 1/2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2증폭기(37)와, 상기 제2레지스터(R2)를 통해 2클럭 지연된 복합영상신호에서 상기 제1,2증폭기(36,37)를 통해 증폭된 신호를 감산하여 출력하는 감산기(38)와, 상기 감산기(38)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대해 다시 1/2 증폭하여 얻은 필터링신호를 출력하는 제3증폭기(39)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2차원 디지탈 휘도/색신호 분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라인콤필터(28)는 본래의 복합영상신호(CV10)를 입력받아 1/2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4증폭기(40)와, 상기 복합영상신호(CV10)를 2라인 지연시킨 신호(CV30)에 대하여 1/2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5증폭기(41)와, 상기 복합영상신호(CV10)에 대하여 1라인 지연시킨 신호(CV20)에서 상기 제4,5증폭기의 출력값을 감산하고 그 감산한 값을 출력하는 감산기(42)와, 상기 감산기(42)의 출력에 대하여 다시 1/2 증폭하여 얻은 색신호(2H)를 출력하는 제6증폭기(4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2차원 디지탈 휘도/색신호 분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적응형 라인콤필터(26)는 필터링신호(B1,B3,B3)는 반전단자로 각각 입력받고 필터링신호(B2,B2,B1)는 비반전단자로 각각 입력받아 감산처리를 행하는 제3 내지 제5감산기(71,72,76)와, 상기 제3,4감산기(71,72)에서 출력되는 신호 대하여 각각 1/2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7,8증폭기(73,74)와, 상기 제7,8증폭기(73,74)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더하는 제1가산기(77)와, 상기 필터링신호(B1,B2)(B2,B3)를 각각 입력받아 더하는 제2,제3가산기(78,79)와, 상기 제1가산기(77)의 출력에 대하여 1/2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9증폭기(75)와, 상기 제5감산기(76)와 제2,3가산기(78,79)의 출력신호에 대하여 절대값을 취하고 그에따른 값(A1,A2,A3)을 출력하는 제1 내지 제3절대값발생기(ABS1∼ABS3)와, 상기 제l절대값발생기(ABS1)의 절대값(A1)이 일정임계치(TH6) 보다 클때 하이신호를 출력하는 제1비교기(80)와, 제2,3절대값발생기(ABS2)(ABS3)의 절대값(A2)(A3)이 일정임계치(TH5) 보다 작을때 하이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제2,3비교기(81,85)와, 상기 제2절대값발생기(ABS2)의 절대값(A2)이 제3절대값발생기(ABS3)의 절대값(A3) 보다 작을때 하이신호를 출력하는 제4비교기(83)와, 상기 제1,제2,제4비교기(80,81,83)의 출력값을 입력받아 논리곱을 수행하여 제어값(ACONT1)을 출력하는 제l앤드게이트(AD1)와, 상기 제4비교기(83)의 출력값을 반전시켜 출력하는 낫게이트(NT1)와, 상기 낫게이트(NT1)와 제1, 제3비교기(80,82)의 출력을 입력받아 논리곱을 행하여 제어값(ACONT2)을 출력하는 제2앤드게이트(AD2)와, 상기 제7 내지 제9증폭기(73∼75)의 출력값을 입력으로 하고 상기 제1,2앤드게이트(AD2)와, 상기 제7 내지 제9증폭기(73∼75)의 출력값을 입력으로 하고 상기 제1,2앤드게이트(AD1)(AD2)의 출력을 제어신호로 하여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입력중 어느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멀티플렉서(MUX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2차원 디지탈 휘도/색신호 분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칼라킬러 제어부(27)는 제2밴드패스필터(25)에서 출력되는 필터링신호(B2)의 값에 절대값을취하고 그에따른 값(A4)을 출력하는 제4절대값발생기(ABS4)와, 상기 제4절대값발생기(ABS4)에서 출력되는 절대값(A4)이 일정임계치(TH7) 보다 작으면 하이신호를 출력하는 제5비교기(91)와, 상기 제5비교기(91)의 출력을 순차적으로 지연시키는 제1 내지 제3지연기(FF1∼FF3)와, 상기 제5비교기(91)와 상기 지연기(FF1∼FF3) 각각의 출력을 입력받아 앤드조합하여 얻은 논리신호를 출력하는 앤드게이트(AD3)와, 상기 앤드게이트(AD3)의 출력신호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지연시키는 제4 내지 제6지연기(FF4∼FF6)와, 상기
    앤드게이트(AD3)와 상기 지연기(FF6)의 출력신호에 대하여 논리합을 행하여 얻은 클럭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오아게이트(OR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2차원 디지탈 휘도/색신호 분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수평, 수직제어신호 발생부(29)는 본래의 복합영상신호(CV10)와 제1,제2라인메모리(21)(22)를 통해 1라인씩 지연된 복합영상신호(CV20)(CV30)를 입력받아 차신호의 절대값을 발생시키는 차신호 절대값발생부(110)와, 상기 차신호 절대값발생부(110)의 출력중 일부를 입력받고 그 입력된 영상신호의 수평변화가 없을때 하이상태의 수평제어신호(HCONT)를 출력하는 수평제어신호발생부(111)와, 상기 차신호 절대값발생부(110)의 출력중 일부를 입력받고 그 입력된 영상신호의 수직변화는 없고 수평변화만 있을때 하이상태의 수직제어신호(VCONT)를 출력하는 수직제어신호발생부(112)와, 상기 수평, 수직제어신호 발생부(111,112)에서 출력되는 수평제어신호(HCONT), 수직제어신호(VCONT)를 입력으로 하여 수평제어신호가 하이인 영역이 확장된 제어신호인 수평판단신호(H control)와 수직판단신호(V control)를 출력하는 수평제어신호 확장부(11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2차원 디지탈 휘도/색신호 분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차신호 절대값발생부(110)는 본래의 복합영상신호(CV10) 및 1라인씩 지연된 복합영상신호(CV20,CV30)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지연된 신호를 발생하는 레지스터들과, 상기 레지스터들에 의해 발생된 신호들의 두 값에 대하여 감산하여 차신호를 구하는 감산기들과, 상기 감산기의 출력값에 대하여 절대값을 갖도록 하는 절대값 발생기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2차원 디지탈 휘도/색신호분리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수직제어신호 발생부(112)는 차신호의 절대값출력중 대각방향에 대한 차신호의 절대값이 일정임계치(TH1) 보다 작으면 하이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131∼134)와, 상기 비교기(131∼134)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앤드링하는 앤드게이트(AD5)와, 차신호의 절대값출력중 수직방향에 대한 차신호의 절대값이 일정임계치(TH2) 보다 작으면 하이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135)와, 상기 앤드게이트(AD5)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순차적으로 지연시키는 제7 내지 제12지연기(FF7∼FF12)와, 상기 비교기(135)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순차적으로 지연시키는 제13 내지 제19지연기(FF13∼FF19)와, 상기 제7 내지 제12지연기(FF7∼FF12)와 제13 내지 제19지연기(FF13∼FF19)의 출력신호릍 논리조합하여 수평제어신호(VCONT)를 발생하는 논리연산부(13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2차원 디지탈 휘도/색신호 분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논리연산부(136)는 순차적으로 지연된 제9지연기의 출력값을 반전시키는 낫게이트(NT12)와, 순차적으로 지연된 제12지연기의 출력값과 상기 낫게이트(NT12)의 출력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논리곱을 행하는 앤드게이트(AD8)와, 앤드게이트(AD5)의 출력값과 상기 낫게이트(NT12)의 출력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논리곱을 행하는 앤드게이트(AD6)와, 수직방향에 대한 차신호 절대값의 크기를 비교하는 비교기(135)의 출력신호를 순차적으로 지연시키는 4개의 지연기 출력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논리곱을 행하는 앤드게이트(AD10)와, 상기 4개의 지연기중 최종 지연기의 출력을 더 지연시키는 4개의 지연기 출력값을 각각 입력받아 앤드조합하는 앤드게이트(AD11)와, 상기 앤드게이트(AD6,AD10)(AD8.AD11)의 출력값에 대하여 논리곱을 행하는 앤드게이트(AD7)(AD9)의 출력을 논리합하여 만들어진 수직제어신호(VCONT)릍 출력하는 오아게이트(OR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2차원 디지탈 휘도/색신호 분리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수평제어신호 발생부(111)는 대각방향 및 수평방향에 대한 차신호의 절대값과 일정임계치(TH3)(TH4)를 각각 비교하는 비교기(141∼144)(145∼147)와, 상기 비교기의 출력중 임의의 두 출력값을 입력받아 논리곱을 행하는 논리곱 연산부(148)와, 상기 논리곱 연산부(148)의 출력에 대하여 소정클럭만큼 지연시키는 지연부(149)와, 상기 지연부(149)의 출력에 대하여 논리곱 및 논리합을 행하여 수평제어신호(HCONT)를 발생하는 신호발생부(1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2차원 디지탈 휘도/색신호 분리장치.
  11. 제12항에 있어서, 지연부(149)는 2클럭씩 지연시키는 지연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2차원 디지탈 휘도/색신호 분리장치.
  12. 제6항에 있어서, 수평제어신호 확장부(113)는 반전된 수평제어신호(HCONT)와 수직제어신호(VCONT), 그리고 반전된 수직제어신호(VCONT)와 수평제어신호(HCONT)를 각각 입력받아 논리곱을 수행하는 앤드게이트(AD20)(AD21)와, 상기 앤드게이트(AD20)의 출력값을 소정클릭만큼 지연시켜 수평판단신호와 타이밍을 맞추기 위한 지연기(151)와, 상기 앤드게이트(AD21)의 출력신호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지연시키는 지연기(FF31∼FF38)과, 상기 지연거(FF31∼FF38)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오아게이트와 앤드게이트 및 낫게이트를 이용하여 수평 판단신호를 만들어 출력하는 신호발생부(15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2차원 디지탈 휘도/색신호 분리장치.
KR1019940028070A 1994-10-29 1994-10-29 적응형 2차원 디지탈 휘도/색신호 분리장치 KR0133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8070A KR0133369B1 (ko) 1994-10-29 1994-10-29 적응형 2차원 디지탈 휘도/색신호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8070A KR0133369B1 (ko) 1994-10-29 1994-10-29 적응형 2차원 디지탈 휘도/색신호 분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33369B1 true KR0133369B1 (ko) 1998-04-22

Family

ID=19396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8070A KR0133369B1 (ko) 1994-10-29 1994-10-29 적응형 2차원 디지탈 휘도/색신호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3369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4730B1 (ko) 휘도 및 색도신호 분리장치
US5051818A (en)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US6914638B2 (en) Three-dimensional enhancement processing for television broadcasting signals
JP3299810B2 (ja) 輝度信号色信号分離フィルタ
KR0133369B1 (ko) 적응형 2차원 디지탈 휘도/색신호 분리장치
JP2002027493A (ja) 3ライン相関検出装置
US5548342A (en) Luminance/chrominance separating circuit using predetermined separations
KR20060021391A (ko) 휘도 및 컬러 분리
JPH08163583A (ja) 3次元輝度信号色信号分離装置
JP2508899B2 (ja) 輝度信号色信号分離フィルタ
JPH0338991A (ja) 輝度信号/色信号分離回路
JPS6345988A (ja) 輝度信号・色信号分離回路
JP2522433B2 (ja) 映像動き信号検出回路
JPS6057793A (ja) 動き検出回路
KR100408032B1 (ko) 도트 패턴 제거 필터 및 그 방법
JP3464291B2 (ja) 動き適応型輝度信号色信号分離フィルタおよびテレビジョン信号受信回路
KR970010399B1 (ko) 위상적응형 휘도/색신호 분리회로
KR940002613B1 (ko) 적응형 필터를 이용한 휘도 및 색신호 분리회로 및 방법
KR100238801B1 (ko) 휘도 및 색 신호 분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휘도 및 색 신호 분리 회로
KR0157437B1 (ko) 휘도 및 색신호 분리 회로
KR970007809B1 (ko) 동적응을 이용한 휘도 및 색신호 분리 방법
JP2964641B2 (ja) 輝度信号/色信号分離装置
JPH0622332A (ja) 輝度信号/色信号分離回路とテレビジョン受像機または映像信号記録再生装置
JPH04347991A (ja) 動き適応3次元y/c分離回路
JPS6315587A (ja) Pal輝度信号色信号分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1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