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3265Y1 - 인상용 전화케이블의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인상용 전화케이블의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3265Y1
KR0133265Y1 KR2019950013855U KR19950013855U KR0133265Y1 KR 0133265 Y1 KR0133265 Y1 KR 0133265Y1 KR 2019950013855 U KR2019950013855 U KR 2019950013855U KR 19950013855 U KR19950013855 U KR 19950013855U KR 0133265 Y1 KR0133265 Y1 KR 01332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radius
pole
telephone cabl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38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3381U (ko
Inventor
배달익
Original Assignee
배달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달익 filed Critical 배달익
Priority to KR20199500138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3265Y1/ko
Publication of KR9700033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38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32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32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Landscapes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하에 매설된 전화케이블을 지상(전주)으로 인상시킨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전화선이 훼손되지 않도록 전주와 접속되는 전화케이블을 감싸는 인상용 전화케이블의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좀더 구체적으로는 전주와 접속되게 설치되는 반경관의 접속면적을 증대시켜 반경관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반경관이 전주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한쪽이 개방되고 개방부분의 양측에 날개편(12)과 삽입공(13)이 일체로 형성된 반경관(11)을 전주(3)의 원주면에 밴드(6)로 고정하여 분기함(1)과 파이프(2)를 통해 인상된 전화케이블(4)이 상기 반경관(11) 내에 위치되도록 한 인상용 전화케이블의 보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주의 하단에는 상기 반경관(11)의 반경보다 큰 반경을 가지면서 개방부분 양측에 날개편(16)과 삽입공(17) 및 플랜지(18)가 일체로 형성된 수용관(15)을 밴드로 고정하고 상기 반경관(11)의 하단부를 수용관의 플랜지(18) 부분에 끼워 결합한 것이다.

Description

인상용 전화케이블의 보호장치
제1도는 종래의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이 설치된 상태의 종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B-B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파이프 3 : 전주
4 : 전화케이블 11 : 반경관
12, 16 : 날개편 12a, 16a : 곡면
12b, 16b : 라운딩부 13, 17 : 삽입공
14 : 돌기 15 : 수용관
18 : 플랜지
본 고안은 지하에 매설된 전화케이블을 지상(전주)으로 인상시킨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전화선이 훼손되지 않도록 전주와 접속되는 전화케이블을 감싸는 인상용 전화케이블의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좀더 구체적으로는 전주와 접속되게 설치되는 반경관의 접속면적을 증대시켜 반경관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반경관이 전주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화국에서 부터 가정의 전화기까지 연결되는 전화케이블은 제1도와 같이 지하로 매설되어 분기함(1)과 연결된 합성수지재의 파이프(2)를 통해 전주(3)와 근접된 지표면으로 인출되어 주거 밀집지역의 전주로 인상된 다음 분기접속함을 통해 분기되어 각 가정의 전화기와 연결된다.
이와 같이 지하에서 전주로 인상되는 전화케이블(4)을 외력으로 부터 보호하기 위해 종래에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하로 부터 전화케이블(4)을 전주(3)로 인상시킨 다음 전주(3)의 하방(전주의 약 1/2지점까지)에 전화케이블(4)을 감싸도록 금속재의 반경관(5)을 위치시키고 상기 반경관의 상ㆍ하부를 밴드(6)로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금속재의 반경관(5)은 압출 성형되거나, 판재로 된 소재를 절곡 성형한 다음 필요에 따라 적절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게 되므로 반경관(5)의 절단면과 전주(3)와의 접속면이 날카롭게 된다.
이에 따라 주거 밀집지역에서 후진 주차시 뒷범퍼가 부주의로 반경관(5)과 부딪히면 전주(3)와의 접촉면적이 적은 상태로 상ㆍ하부에만 밴드(6)로 고정된 반경관(5)이 제1도의 일점쇄선과 같이 일측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반경관(5)이 일측으로 기울어지면 전주(3)는 원통형으로 되어 있고 전주와 접속되는 반경관(5)의 면은 직선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전주(3)와 접속되는 반경관(5)의 면이 전화케이블(4)의 표면으로 얹혀지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다른 자동차가 반경관(5)을 받으면 전화케이블(4)의 심선이 전주(3)와 접속되는 반경관(5)의 날카로운 면에 눌려 절단되므로 전화가 불통되는 고장이 발생되었다.
한편, 회선의 증설로 복수개의 전화케이블(4)이 전주(3)로 인상될 경우에는 지표면으로 또 다른 합성수지재의 파이프(2)가 인출되는데, 이 경우에는 이미 설치된 반경관(3)이 나중에 가설되는 파이프를 수용하지 못하게 되므로 반드시 전주(3)의 다른 일측면에 별도의 반경관을 고정시켜야만 증설된 전화케이블을 외력에 의해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표면으로 노출된 파이프(2)는 반경관(5)이 감싸지 못하게 되므로 파이프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상기 파이프(2)가 쉽게 파손되었고, 이에따라 파손된 파이프를 자주 교체해 주어야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반경관과 전주의 접촉면적이 증대되도록 반경관의 구조를 개선함과 동시에 회선의 증설로 인해 전주와 근접된 지표면으로 복수개의 파이프가 노출되더라도 반경관과 연결되는 수용관을 구비하여 이를 동시에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인상용 전화케이블의 보호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분기함과 연결된 파이프를 통해 전주로 인상되는 전화케이블의 외주면에 반경관을 감싸 밴드로 고정하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반경관의 일측면으로 전주의 곡률과 같은 곡면을 갖는 날개편을 형성하여 전주와의 접속면적이 증대되도록 하고 상기 날개편에는 밴드가 삽입되는 삽입공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상용 전화케이블의 보호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면 제3도 내지 제5도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3도는 본 고안의 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제4도는 본 고안이 설치된 상태의 종단면도이며 제5도는 제4도의 B-B선 단면도로써, 본 고안은 한쪽이 개방된 반경관(11)의 개방부분 양측에 전주(3)의 곡률과 같은 곡면(12a)을 갖는 날개편(1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날개편에는 밴드(6)를 삽입하여 상기 반경관(11)을 전주(3)에 고정시키기 위한 삽입공(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날개편(12)에 전주(3)와 같은 곡면(12a)을 형성하는 이유는 전주(3)와의 접속면적을 증대시켜 반경관(11)에 외력이 작용되더라도 반경관이 전주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날개편(12)에 형성된 곡면(12a)의 끝부분, 즉 삽입공(13)이 형성된 부위에는 비교적 곡률반경이 큰 라운딩부(12b)가 형성되어 있다.
이는 반경관(11)의 날개편(12)을 전주(3)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삽입공(13)에 반경관을 전주에 고정시키기 위한 밴드(6)를 삽입할 때 삽입공(13)의 배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밴드(6)로 반경관(11)을 전주(3)에 결속시에도 전주와의 밀착력이 저하되지 않도록 하므로써, 반경관(11)의 체결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반경관(11)의 외면을 평탄면으로 형성하여도 무방하지만, 반경관(11)의 강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반경관의 외주면으로 부착되는 불법 광고물의 부착력을 저하시키도록 수직방향의 돌기(14)를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반경관(11)의 하부에 결합되도록 수용관(15)을 구비하여 상기 수용관이 지표면으로 인출된 파이프(2)를 감싸 파이프가 외력에 의해 파손되는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수용관(15)은 반경관과 같이 한쪽이 개방된 형태로 되어 있고 하부는 반경관(11)보다 큰 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측으로 갈수록 반경이 작아져 그 상단부는 반경관(11)의 내경과 같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용관의 개방부분 양측에 반경관과 같이 전주(3)의 곡률과 같은 곡면(16a)을 갖는 날개편(1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날개편에는 밴드(6)를 삽입하여 상기 수용관(15)을 전주(3)에 고정시키기 위한 삽입공(17)이 형성되어 있으며 날개편(16)에 형성된 곡면(16a)의 끝부분에는 비교적 곡률 반경이 큰 라운딩부(16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용관(15)의 상단에는 반경관(11)의 하단부를 끼워 결합할 수 있는 형상의 플랜지(1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의 반경관(11)은 FRP와 같은 합성수지재로 사출성형 또는 압출성형되고, 수용관(15)은 사출성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표면으로 노출된 파이프(2)가 수용되도록 수용관(15)의 날개편(16)을 전주(3)의 하부에 밀착시키면 상기 수용관의 날개편(16)에 형성된 곡면(16a)이 전주(3)의 곡률과 같이 되어 있으므로 날개편(16)이 전주에 긴밀히 접속된다.
이와 같이 수용관(15)을 전주(3)에 밀착시킨 다음 상기 날개편에 형성된 삽입공(17)의 내부로 금속재의 밴드(6)를 끼워 상기 수용관(15)을 전주(3)에 결속하면 날개편(16)에 의해 전주(3)와의 접속면적이 증대되어 외력이 작용되더라도 상기 수용관이 전주에서 거의 유동되지 않게 되므로 외력에 약한 파이프(2)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 후, 상기 수용관(15)의 상단에 형성된 플랜지(18)에 반경관(11)의 하부를 끼우고 날개편(12)을 전주(3)에 밀착시키면 수용관(15)과 동일하게 날개편의 곡면(12a)이 전주와 긴밀히 접속됨과 동시에 삽입공(13)이 날개편의 양측으로 노출되므로 금속재의 밴드(6)를 삽입공(13)에 삽입하여 결속하므로써 반경관이 전주에 고정된다.
한편, 회선의 증설로 전주(3)와 인접된 지표면으로 제5도와 같이 2개의 파이프(2)가 인출될 경우에는 반경관(11)보다 확관된 수용관(15)의 하부를 이용하여 2개의 파이프를 동시에 수용한 다음 각 파이프(2)를 통해 인출된 복수의 전화케이블(4)이 반경관(11) 내에 동시에 감싸여지도록 함으로서 1개의 수용관(15)과 반경관(11)으로 2개의 전화케이블(4)을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반경관(11)과 수용관(15)을 이용하여 제4도와 같이 적어도 1개 이상의 전화케이블(4)을 감싼 상태에서 주차시 부주의로 자동차가 반경관(11)을 받을 경우에도 상기 반경관(11)의 양측면에는 전주(3)와의 접촉면적이 증대되도록 날개편(1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반경관(11)이 전주에서 삐툴어지지 않게 됨은 물론 FRP와 같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반경관(11)이 충격을 흡수하게 되므로 전화케이블(4)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반경관(11)의 외주면에는 수직방향으로 다수개의 돌기(14)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동일두께의 반경관인 경우 반경관의 강도가 증대되고, 반경관의 외주면으로 형성되는 돌기(14)로 인해 불법 광고물의 부착력을 저하시키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게 된다.
첫째, 반경관(11)과 수용관(15)에 형성된 날개편(12)(16)에 의해 전주(3)와의 접촉면적이 증대되어 반경관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반경관이 삐툴어지지 않게 되므로 감싸여진 전화케이블(4)이 반경관에 의해 눌릴 염려가 없게 되고, 이에따라 전화케이블이 반경관에 의해 눌려 단선될 염려가 없게 된다.
둘째, 반경관(11)의 외주면에 수직방향의 돌기(14)가 형성되므로 인해 반경관의 강도를 증대시킴은 물론 불법 광고물의 접착력을 저하시키게 되므로 반경관의 외주면에 불법 광고물을 부착시키더라도 쉽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셋째, 반경관(11)의 하부에 파이프(2)를 감싸도록 수용관(15)이 설치되므로 파손되기 쉬운 파이프(2)를 외력으로 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되고, 이에따라 파이프의 파손에 따른 교체작업을 할 필요가 없게 된다.
넷째, 회선의 증설로 전주(3)와 근접된 지표면으로 2개의 파이프(2)가 노출되더라도 1개의 수용관(15)으로 파이프를 감쌀 수 있게 되므로 2개의 반경관(11)이 필요치 않게 되고, 이에따라 부품의 절약으로 설비비를 절감시키게 된다.

Claims (2)

  1. 한쪽이 개방되고 개방부분의 양측에 날개편(12)과 삽입공(13)이 일체로 형성된 반경관(11)을 전주(3)의 원주면에 밴드(6)로 고정하여 분기함(1)과 파이프(2)를 통해 인상된 전화케이블(4)이 상기 반경관(11) 내에 위치되도록 한 인상용 전화케이블의 보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주의 하단에는 상기 반경관(11)의 반경보다 큰 반경을 가지면서 개방부분 양측에 날개편(16)과 삽입공(17) 및 플랜지(18)가 일체로 형성된 수용관(15)을 밴드로 고정하고 상기 반경관(11)의 하단부를 수용관의 플랜지(18) 부분에 끼워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상용 전화케이블의 보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경관(11)의 외주면에 돌기(14)를 형성한 인상용 전화케이블의 보호장치.
KR2019950013855U 1995-06-19 1995-06-19 인상용 전화케이블의 보호장치 KR01332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3855U KR0133265Y1 (ko) 1995-06-19 1995-06-19 인상용 전화케이블의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3855U KR0133265Y1 (ko) 1995-06-19 1995-06-19 인상용 전화케이블의 보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3381U KR970003381U (ko) 1997-01-24
KR0133265Y1 true KR0133265Y1 (ko) 1999-04-15

Family

ID=19415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3855U KR0133265Y1 (ko) 1995-06-19 1995-06-19 인상용 전화케이블의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326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3381U (ko) 199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87144A1 (en) Wire harness fixing structure
US4421945A (en) Junction assembly
RU2165095C2 (ru) Кожух в виде колпака для волоконно-оптических кабелей
US4797512A (en) Branch wire protector
JPH0514497B2 (ko)
WO1999010206A1 (en) Wire harness with integral connector
US6227251B1 (en) Wire protecting structure
CA2094789C (en) Cable connector clamp
WO2000008731A1 (en) Transitional sleeving for coaxial cable
KR0133265Y1 (ko) 인상용 전화케이블의 보호장치
KR200380997Y1 (ko)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광케이블 고정장치
US6864427B2 (en) Enclosing device and method
GB2218168A (en) Grommet for windshield washer hose
EP2375524B1 (en) Cable splice enclosure
KR102101717B1 (ko) 공동주택의 전기 배전선 연결장치
US20200366075A1 (en) Insulator insert for service entrance cap
KR200380998Y1 (ko) 광케이블 접속단자용 트레이의 광섬유 접속부의 고정구조
US425561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losing a cable splice
KR200203499Y1 (ko) 케이블용 관 이음장치
KR200446541Y1 (ko) 배가름형 튜브
JP4226094B2 (ja) 配線用ポール、配線用ポール装置、電線カバー部材、及びボックス取付部材
KR200187599Y1 (ko) 전선 포설용 전선 안내관
KR200329335Y1 (ko)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광케이블 고정장치
KR940003806Y1 (ko) 케이블의 이동방지용 관구플럭
CN210224322U (zh) 一种用于轨道的接线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