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2891Y1 - 베란다 창고용 도어 - Google Patents

베란다 창고용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2891Y1
KR0132891Y1 KR2019950016672U KR19950016672U KR0132891Y1 KR 0132891 Y1 KR0132891 Y1 KR 0132891Y1 KR 2019950016672 U KR2019950016672 U KR 2019950016672U KR 19950016672 U KR19950016672 U KR 19950016672U KR 0132891 Y1 KR0132891 Y1 KR 01328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guides
opening
guid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66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6091U (ko
Inventor
김상성
Original Assignee
김상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성 filed Critical 김상성
Priority to KR20199500166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2891Y1/ko
Publication of KR9700060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0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28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28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47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the connecting piece being part of or otherwise linked to the window or door fittings
    • E06B3/9648Mitre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36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8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 connecting pieces are fixed in or on the frame members
    • E06B3/9687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 connecting pieces are fixed in or on the frame members with screws blocking the connecting piece inside or on the frame member
    • E06B3/9688Mitre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08Lubr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베란다 창고용 도어
나.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고안은 아파트등의 베란다 창고에 설치 사용되는 베란다 창고용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베란다에 설치되는 간이 창고의 도어를 개량하여 설치, 사용상의 잇점을 제공토록 함은 물론 이의 장식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여 최근 수요자의 기호도에 부응하는 혁신적인 제품을 제공코져 한 것이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개폐창(2,2')이 결합되는 가이드(3,3') 및 이 가이드(3,3')가 고정착설되는 고정후레임(5)으로서 도어(1)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개폐창(2,2')은 상, 하단에 끼움조(24) 및 요입조(23)를 형성하고 상기 요입조(23)에는 윤활제(28)를 내설하여 상, 하 및 중앙의 각 가이드(3,3')에 형성된 안내레일(4)에 슬라이드안내될 수 있도록 하며, 후방 조립공(25)에는 한쌍의 연결구(26,26')를 내삽하고 일측 연결구(26)의 나사공(26a)에는 조립볼트(27)를 나사결합하여 각 연결구(26,26')를 긴체시켜 주므로서 각 조립골조(21,21')의 직각부를 상호 연결조립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개폐창(2,2')은 중앙 가이드(3) 및 상, 하 가이드(3')에 의해 상, 하로 분할 구성되게 하며, 상기 고정후레임(5)의 아웃후레임(6)은 장식부(61)가 전방을 향하도록 하여 평활부(62)측에 고정볼트(8)로서 벽면에 고정시켜 줄 수 있도록 하고 이의 후방측에는 보조후레임(7)을 고정볼트(8)로서 결합하여 상기 고정후레임(5)의 요입조(23)에 상,하 개폐창(2,2')이 결합된 가이드(3,3')를 내설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각 아웃후레임(6) 및 보조후레임(7)의 6개폐창(2,2')(71)에는 상호 대응하는 요철면(63)(72)를 형성하여 가이드(3,3')의 폭에 따라 가변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한 것임.
라. 고안의 중용한 용도
베란다등 각종 가정용 간이 창고의 도어 용도.

Description

베란다 창고용 도어
제1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구성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 개폐창의 구성의 도시한 일요부 분해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의 결합 상태를 보인 구성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 고정 골조의 구성을 보인 분리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어 2.2' : 개폐창
3,3' : 가이드 4 : 안내레일
5 : 고정후레임 6 : 아웃후레임
7 : 보조후레임 8 : 고정볼트
9 : 글라스 21,21' : 조립골조
22 : 모헤어공 23 : 요입조
24 : 끼움공 25 : 조립공
26,26' : 연결구 26a : 나사공
27 : 조립볼트 28 : 윤활체
61 : 장식부 62 : 평활부
63 : 요철면 71 : 평활부
72 : 요철면
본 고안은 아파트등의 베란다 창고에 설치, 사용되는 베란다 창고용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베란다에 설치되는 간이 창고의 도어를 개량하여 설치, 사용사의 잇점을 제공토록 함은 물론 이의 장식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여 수요자의 기호도에 부응하는 혁신적인 제품을 제공코져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등의 베란다에 설치, 사용되는 간이 창고는 자주 사용하지 않는 가정용소품들을 보관하는 용도로서 사용하는 바, 이러한 베란다의 간이창고에 설치되는 도어는 통상의 여닫이식 도어와 거의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장식성을 거의 고려치 않는 것이 대부분이었으며, 또한 베란다의 일측단에 설치되는 관계로 시각적 미감을 도모하기에는 난점이 따랐다.
한편, 베란다의 협소한 일측 공간부에 개폐문을 설치하게 되므로서 이의 설치 작업이 까다로움은 물론 베란다 외벽 형성과 동시에 개폐문 설치를 위한 골조의 고정 작업을 동시에 시행해야 하였으므로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각 베란다마다 폭이 일정치 않은 경우 도어를 개별적 규격으로 일일이 제작하여야 하였으므로 이의 설치 작업은 사실상 상당히 난해한 것이었다.
특히, 상기와 같은 개폐문의 보수나 교체작업에 있어서는 개폐문을 베란다 벽면측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데에 난점이 따르게 되므로서 개폐문 전체의 부수, 교체작업시에 베란다 벽면을 손상시키지 않고서는 작업이 거의 불가능하였다.
그리고 사용상에 있어서도 여닫이 문이 한정된 공간에 설치되어 이의 회동반경이 제한되므로서 베란다에 각종 물품이 산재해 있을 경우 창고문의 개폐가 용이치 않은 단점이 따르므로 이러한 여닫이식 개폐문의 설치는 사용상 불편하였고 미닫이식 개폐문의 적용은 베란다의 폭이 제한적인 관계로 인하여 실제 설치 작업에 어려움이 많았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매우 간단한 구성으로 개폐문을 제공하여 일신된 장식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문의 개폐시에 이의 개폐에 따른 공간이 전혀 필요치 않게 하므로서 베란다에 여러 물품이 산재해 있더라도 개폐문을 개폐하여 창고 내부의 물품을 인출하는데 하등의 문제가 없게 하여 사용상의 잇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각 베란다의 규격이 일정치 않는 경우에 있어서도 설치작업시 베란다의 각 특성에 맞도록 도어의 규경을 개별적으로 설정하여 손쉽게 설치할 수 있는 신규한 개념의 베란다 창고용 도어를 제공코저 하는 것으로서, 이하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한 조립상태 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설치상태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 개폐창(2,2')의 조립구성을 보인 일요부 분해사시도로서 본 고안은 대분하여 상, 하 개폐창(2,2') 및 가이드(3,3') 그리고 공정후레임(5)으로 구성된다.
먼저 상, 하 개폐창(2,2')의 조립구성을 설명하면, 개폐창(2,2')의 조립골조(21,21')는 통상의 창문틀용 골조와 같이 후측방에 모헤어공(22)이 형성되며 일단에 안내레일(4)에 끼움결합되어 좌우로 슬라이드 될 수 있는 요입조(23)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글라스(9)등의 판상재가 끼움고정되는 끼움조(24)가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모헤어공(22)이 형성되는 조립골조(21,21') 후방측에 조립공(25)을 형성하고 이 조립공(25)측에 대략 ( 」) 형으로된 한쌍의 연결구(26,26')를 끼움하여 조립볼트(27)로서 개폐창(2,2')골격을 이루는 상,하, 좌, 우 조립골조(21,21')를 상호 조립구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직각부를 이루는 조립골조(21,21') 각 후방측의 조립공(25)에 한쌍의 연결구(26,26')를 끼움결합한 다음 나사공(26a)이 형성된 일측 연결구(26)에 조립볼트(27)로서 조여주게 되면 한쌍의 연결구(26,26')는 서로 대향으로 벌어지게 되어 좌우 직각부를 이루는 조립골조(21,21')의 조립공(25)내에서 긴체되어 각 조립골조(21,21')를 상호 연결결합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구성으로 된 개폐창(2,2')은 중앙의 가이드(3)와 상,하 가이드(3')의 안내레일(4)에 각각 안내되어 좌우로 개폐될 수 있게 되는 바, 여기서 각 안내레일(4)에 끼움결합되는 개폐창(2,2')조립골조(21,21')의 요입조(23)에는 일반적인 호차를 대신하여 좌우로 원만한 왕복슬라이드 운동이 될 수 있도록 합성수지제등의 윤활제(28)가 내설된다.
물론, 상,하가이드(3')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 하, 좌, 우 대칭적으로 구성될 것이며 중앙의 가이드(3)는 개폐창(2,2')이 지지안내되어 서로 개폐자재될 수 있도록 상, 하측에 복수조의 안내레일(4)이 설치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개폐창(2,2')이 각 가이드(3,3')에 설치완료되면 상하 개폐창(2,2')이 결합된 가이드(3,3')는 고정후레임(5)에 고정설치되는 바, 이하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각 가이드(3,3')에 결합된 개폐창(2,2')을 고정후레임(5)에 결합해 주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아웃후레임(6)을 창고 전방 적정위치의 벽면측 상,하,좌,우에 고정설치하게 되는 바, 이때는 장식부(61)가 외향을 향하도록 하여 평활부(62)측에 고정볼트(8)로서 벽면측에 이를 고정시켜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아웃후레임(6)을 적정위치에 고정설치한 다음에는 이의 요입부(5a)에 개폐창(2,2')이 결합된 가이드(3,3')를 각각 고정시켜주게 되고 이의 후방측에는 보조후레임(7)을 상기 아웃후레임(6)에 부합하도록 하여 상기 개폐창(2,2')이 결합된 가이드(3,3')를 요입부(5a)에 적정한 밀착력을 갖도록 설치한 다음, 전기 아웃후레임(6)의 고정방법과 동일하게 고정볼트(8)로서 벽면측에 고정시켜주게 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후레임(5)을 구성하는 아웃후레임(6) 및 보조후레임(7)의 하측 즉, 벽면측이나 바닥면등에 접지되어 고정볼트(8)로서 고정설치되는 각 평활부(62)(71)에는 상호 부합하는 요철면(63)(72)을 형성하여 개폐창(2,2')이 결합되는 가이드(3,3')의 폭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설치상의 편이성을 도모토록 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3a 는 중앙 가이드(3)의 전방에 형성되는 장식부를 도시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된 본 고안은 베란다의 창고용 도어(1)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이하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설치 방법을 살펴보면 개폐창(2,2')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직각부를 이루는 각 조립골조(21,21') 요입조(23)에 한쌍의 연결구(26,26')를 끼움결합한 다음 나사공(26a) 이 형성된 일측의 연결구(26)에 조립볼트(27)를 나사결합하여 조여주게 되면 연결구(26,26')가 요입조(23)내에서 전후로 조립볼트(27)의 조임력에 의해 전후로 긴체되면서 요입조(23)내에서 빡빡하게 고정되어 직각부를 이루는 각 조립골조(21,21')를 상호조립결합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조립된 개폐창(2,2')은 중앙 및 상, 하 가이드(3,3')에 각각 결합되어 고정후레임(5)에 고정설치된다.
즉, 고정후레임(5)의 아웃후레임(6)을 창고전방 적정위치에 설치하게 되는 바, 이때는 평활부(62)가 각 좌우 및 상, 하 측벽에 위치토록 하여 고정볼트(8)로서 고정하여 주게 되고 개폐창(2,2')이 결합완료된 각 가이드(3,3')는 창고 내측 즉, 아웃후레임(6)의 후방으로부터 요입부(5a)에 밀어넣어 고정시켜 주게 되고 다시 이의 후방으로부터는 보조후레임(7)을 아웃후레임(6)측으로 밀어서 가이드(3,3')가 보조후레임(7)과 아웃후레임(6)간의 요입부(5a)에 긴밀히 고정될 수 있도록 평활부(62)(71)의 요철면(63)(72)를 상호 끼움결합시키고 보조후레임(7)은 고정볼트(8)로서 벽면측에 고정시켜 이의 설치작업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조립골조(21,21')로부터 조립완성되는 개폐창(2,2')의 규격과 이와 결합되어 벽면측에 고정되는 가이드(3,3') 및 이 가이드(3,3')가 고정되는 고정후레임(5)이 각각 간단한 조립식으로 구성되어 베란다의 규격에 따라 도어(1)의 크기를 간단히 변경설정하여 설치코져 하는 베란다의 특성에 따라 적정위치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며, 이의 교체나 보수시에도 고정볼트(8)만을 해리하여 아웃후레임(6)을 벽면으로부터 분리시켜 주게 되면 도어(1)전체의 교체나 보수시에도 많은 인력을 필요로 하지 않고 벽면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내에서 이의 작업을 간편히 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설치가 완료된 도어(1)는 상, 하 개폐창(2,2')을 좌우로 슬라이드 개폐케 되므로서 베란다에 여러 물품이 산재해 있더라도 창고내부의 선반에 안치된 각종 물품을 손쉽게 인출할 수 있게 되고 창고내부의 물품은 비교적 자주 사용되지 않는 소품들로서 도어(1)를 자주 개폐하여야 하는 필요성이 없으므로 이러한 상기 개폐창(2,2')을 이용한 도어(1)의 개폐와 물품의 수납, 인출에는 아무런 불편함이 없는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도어(1)를 일반적인 창문이나 창틀 등과 같은 압출성형제품으로 구성할 수 있게 되므로서 폭 넓은 디자인으로 선택제작이 가능하여 이의 장식성이 크게 일신됨과 동시에 가공이 쉽고 설치가 간단하여 비교적 저렴가로서 다양한 장식성을 갖는 고급제품을 널리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서 특히 베란다의 완성후에도 벽면의 요철부등에 따른 상하 또는 좌우 규격변화에 맞도록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하여 조립, 설치할 수 있는 등 가변적인 각 베란다의 규격에 대응하여 현장에서 즉시 설치가 가능하며 이의 교체나 보수시에도 베란다의 외벽 등 벽면측을 손상시키지 않고서 간단하게 이의 작업을 행할 수가 있고 다양한 장식성을 갖는 폭 넓은 디자인의 고급제품을 염가도 공급할 수 있게 되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극히 우수한 것이다.
이하의 부수되는 실용신안 등록청구의 범위에 본 고안에서 특히 보호받고져 하는 기술의 범위가 기재될 것이지만 조립골조등 일부 구성부재의 형상이나 재질을 달리 하는것 등 본 고안으로부터 용이하게 고안할 수 있는 유사실시예 역시 본 고안과 기본적인 문제해결수단을 같이하는 한 본 고안과 동일한 기술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

  1. 베란다 창고용 도어(1)를 구성함에 있어서, 개폐창(2,2')이 결합되는 가이드(3,3') 및 이 가이드(3,3')가 고정착설되는 고정후레임(5)으로서 도어(1)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개폐창(2,2')은 상,하단에 끼움조(24) 및 요입조(23)를 형성하고 상기 요입조(23)에는 윤활제(28)를 내설하여 상,하 및 중앙의 각 가이드(3,3')에 형성된 안내레일(4)에 슬라이드 안내될 수 있도록 하며, 조립공(25)에는 한쌍의 연결구(26,26')를 내삽하고 일측 연결구(26)의 나사공(26a)에는 조립볼트(27)를 나사결합하여 각 연결구(26,26')를 긴체시켜 주므로서 각 조립골조(21,21')의 직각부를 상호 연결조립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개폐창(2,2')은 중앙 가이드(3) 및 상,하 가이드(3')에 의해 상, 하로 분할 구성되게 하며, 상기 고정후레임(5)의 아웃후레임(6)은 장식부(61)가 전방을 향하도록 하여 평활부(62)측에 고정볼트(8)로서 벽면에 고정시켜줄 수 있도록 하고 이의 후방측에는 보조후레임(7)을 고정볼트(8)로서 결합하여 상기 고정후레임(5)의 요입조(23)에 상,하 개폐창(2,2')이 결합된 가이드(3,3')를 내설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각 아웃후레임(6) 및 보조후레임(7)의 평활부(62)(71)에는 상호 대응하는 요철면(63)(72)를 형성하여 가이드(3,3')의 폭에 따라 가변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베란다 창고용 도어.
KR2019950016672U 1995-07-03 1995-07-03 베란다 창고용 도어 KR01328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6672U KR0132891Y1 (ko) 1995-07-03 1995-07-03 베란다 창고용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6672U KR0132891Y1 (ko) 1995-07-03 1995-07-03 베란다 창고용 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6091U KR970006091U (ko) 1997-02-21
KR0132891Y1 true KR0132891Y1 (ko) 1998-12-15

Family

ID=19417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6672U KR0132891Y1 (ko) 1995-07-03 1995-07-03 베란다 창고용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289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6091U (ko) 1997-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03563A (en) Cabinet with removable tambour door
US8051781B1 (en) Shelf for overlying a shower barrier
CN106955049B (zh) 一种淋浴门框架及淋浴门
US10687618B2 (en) Medicine cabinet
US3313065A (en) Cabinet door
KR0132891Y1 (ko) 베란다 창고용 도어
US3063768A (en) Cabinet front unit
CN1717521A (zh) 用于橱柜前门上的手柄结构
US6253393B1 (en) Door for shower enclosure
JP3378985B2 (ja) 建 具
KR200334958Y1 (ko) 장식장 여닫이문장치
WO2019215689A1 (en) A kit for assembling a furniture article framework
CN211776842U (zh) 一种带有隐形拉手的铝合金门框
CN209653719U (zh) 通用双下轨
CN2521342Y (zh) 弧形下滑型材
CN220319398U (zh) 一种具有内嵌式拉手的拼接式门框结构
CN214463517U (zh) 一种窄边轻量化橱柜门框组件
KR950000677Y1 (ko) 제작이 간단한 벽걸이용 진열장
KR20230116546A (ko) 유리도어의 프레임 고정 시스템
CN214943539U (zh) 一种应用于淋浴门上的门外框弧面折板型材结构
CN219281528U (zh) 内推门
KR102522348B1 (ko) 알루미늄 형상 압출물을 이용한 조립식 보관함 및 그 제조 방법
CN210918533U (zh) 一种铝合金窗门窗用传动盒
CN209908291U (zh) 一种折叠门
KR200237257Y1 (ko) 글라스 샤워부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