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2348B1 - 알루미늄 형상 압출물을 이용한 조립식 보관함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알루미늄 형상 압출물을 이용한 조립식 보관함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2348B1
KR102522348B1 KR1020210148202A KR20210148202A KR102522348B1 KR 102522348 B1 KR102522348 B1 KR 102522348B1 KR 1020210148202 A KR1020210148202 A KR 1020210148202A KR 20210148202 A KR20210148202 A KR 20210148202A KR 102522348 B1 KR102522348 B1 KR 102522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box
panel
corner
joint structur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8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9919A (ko
Inventor
김창민
Original Assignee
(주)에스엠인포메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엠인포메이션 filed Critical (주)에스엠인포메이션
Publication of KR20220059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9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2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2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2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made of metal onl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3/00Cabinets or racks having several sections one behind the oth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5/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having essential features of rigid construction

Landscapes

  • Cabinets, Racks, Or The Like Of Rigid Construction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루미늄 형상 압출물을 이용한 조립식 보관함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관함의 측면 및 후방면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측부패널(110); 상기 보관함의 후방측 코너에 위치하며, 결합부재가 체결되는 체결공(212)과, 연결패널(310)이 삽입되는 제1패널 삽입부(214)와, 상기 측부패널(110)이 결합되는 코너 패널 연결부(216)가 구성되는 제1코너 구조체(210); 상기 다수개의 측부패널(110)을 연결하여 상기 보관함의 측면 및 후방면에 대한 벽면을 형성하고, 연결패널(310)이 삽입되는 제2패널 삽입부(224)가 형성되는 측면 이음 구조체(220); 상기 보관함의 전방측 코너에 위치하며, 상기 결합부재가 체결되는 체결공(232)과, 전방측 선단부와 이 전방측 선단부로부터 직교를 이루는 일측에 각각 형성되며 연결패널(310)이 삽입되는 제3패널 삽입부(234)가 구성되는 제2코너 구조체(230); 상기 제2코너 구조체(230)의 전방측 선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 프레임(150); 상기 제1 및 제2코너 구조체(210, 230)와 상기 측면 이음 구조체(220)의 상부 및 하부에 상기 결합부재를 통해 결합되는 덮개 프레임(120) 및 바닥 프레임(130);을 포함하며, 상기 조립식 보관함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되, 압출 성형 방식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알루미늄 형상 압출물을 이용한 조립식 보관함 및 그 제조 방법{Prefabricated storage box using aluminum-shaped extrudat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알루미늄 형상 압출물을 이용한 조립식 보관함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관함의 알루미늄 형상 압출물을 이용하여 보관함을 이루는 벽면 프레임 및 이 벽면 프레임을 연결하는 이음 구조체를 제조하여 조립함으로써, 보관함의 가공 공정을 단순화시켜 보관함의 제작 및 생산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뿐만 아니라, 보관함의 제작 비용 및 필요 재료를 절감할 수 있고, 부분 파손시 해당 부분만을 교체하여 재사용이 가능함에 따라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알루미늄 형상 압출물을 이용한 조립식 보관함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관함은 여러 장소(초/중/고등학교, 대학교, 터미널, 지하철역, 아파트, 관공서, 사우나, 대중목욕탕, 찜질방, 기숙사, 체육관, 학교, 헬스클럽, 수영장, 대형마트)에 다수의 인원이 사용하는 시설에 설치되는 것으로, 사물함, 또는 라커 등의 용어로도 이용되고 있으며, 가방, 책, 옷이나 소지품, 개인용품, 구매 상품, 배달되는 택배 물품 등의 물품을 넣어 보관하는 장치로, 함체가 다수 배열되고, 각각의 함체를 개폐하도록 도어가 설치되며, 함체에 대해 도어조립체의 록킹/언록킹시키는 잠금유닛이 설치된다.
종래의 보관함은 통상적으로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목재, 플라스틱, 철재 등과 같은 원재료를 이용하여 제작되는데, 이는 원재료의 내구성, 내부식성, 내습성과 같은 원재료 각각의 특성과 특질에 따라 선택되므로 제약이 많이 발생한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습기 또는 물에 직접 노출되는 환경에는 플라스틱과 일부 방부 처리된 목재를 주원재료로 활용하며, 철재의 경우 비교적 습기가 적은 곳에 활용 된다.
일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33527호에는 사물함, 로커, 신발장 용도의 물품 보관함을 신속 견고하게 조립 마감하여 외형을 형성하고, 물품 보관함 개폐도어 표면에 잠금수단, 손잡이 수단, 식별 표시수단의 통합 손잡이 수단을 경제적이고 공간절약적이면서 간편하게 장착하되, 개폐도어 내측면에도 하나로 걸이 및 소품 수납부, 거울의 다기능을 수행하여 소품을 각각 용도별로 수납하게 하는 소품 보관대를 공간절약적으로 구비하여, 물품보관함, 개폐도어, 프레임 보강 부재에 잠금구와 손잡이, 식별 표시구 등 결합 부재 상호간의 보다 견고한 조립 구조로서 결합상태가 견고하여 내구성이 향상되며 도난방지효과와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되어 물품 보관함 용도 특성을 종합적으로 충족시키게 되는 사물함, 로커, 신발장 용도의 다중 보안 기능 조립식 다목적 물품 보관함이 게재된 바 있다.
그러나, 전술한 선행기술문헌에 의하면, 철재 금속으로 제조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주변 환경에 따라 자연산화가 발생하여 부식성에 취약하고, 각 부분별 구성을 제작함에 있어서도 절삭, 절곡, 용접, 샌딩 등 복잡한 과정을 통해 제작이 이루어질 수밖에 없어 판금, 판형, 자체 생산 시설투자비용이 막대하게 발생하고, 생산 업체마다 표준화되지 않은 제조 환경으로 인해 시제품의 규격이 불규칙한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전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33527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에 의해서 안출된 것으로, 보관함의 알루미늄 형상 압출물을 이용하여 보관함을 이루는 벽면 프레임 및 이 벽면 프레임을 연결하는 이음 구조체를 제조하여 조립함으로써, 보관함의 가공 공정을 단순화시켜 보관함의 제작 및 생산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알루미늄 형상 압출물을 이용한 조립식 보관함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관함의 크기를 규격화시켜 각 부분별 구성을 제조함으로써, 보관함의 제조를 위한 시설 투자비를 절감할 수 있고, 보관함의 제작 비용 및 필요 재료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분 파손시 해당 부분만을 교체하여 재사용이 가능함에 따라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알루미늄 형상 압출물을 이용한 조립식 보관함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식성 및 내마모성이 강한 알루미늄을 이용하기 때문에 물기나 습기에 취약한 공간에서도 보관함을 설치, 또는 구축하여 사용이 가능하여 설치 가능 환경에 대한 제약을 최소화할 수 있는 알루미늄 형상 압출물을 이용한 조립식 보관함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객의 요구에 따라 단일층, 또는 다수의 층을 이루는 보관함을 규격화된 각 부분별 구성들을 이용하여 단순 조립에 의해 빠른 시간에 제조할 수 있어 고객의 만족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알루미늄 형상 압출물을 이용한 조립식 보관함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관함의 폐기시 재활용이 가능한 알루미늄 재질을 이용함에 따라 자원의 재활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폐기시 발생하는 폐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알루미늄 형상 압출물을 이용한 조립식 보관함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관함의 측면 및 후방면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측부패널(110); 상기 보관함의 후방측 코너에 위치하며, 결합부재가 체결되는 체결공(212)과, 연결패널(310)이 삽입되는 제1패널 삽입부(214)와, 상기 측부패널(110)이 결합되는 코너 패널 연결부(216)가 구성되는 제1코너 구조체(210); 상기 다수개의 측부패널(110)을 연결하여 상기 보관함의 측면 및 후방면에 대한 벽면을 형성하고, 연결패널(310)이 삽입되는 제2패널 삽입부(224)가 형성되는 측면 이음 구조체(220); 상기 보관함의 전방측 코너에 위치하며, 상기 결합부재가 체결되는 체결공(232)과, 전방측 선단부와 이 전방측 선단부로부터 직교를 이루는 일측에 각각 형성되며 연결패널(310)이 삽입되는 제3패널 삽입부(234)가 구성되는 제2코너 구조체(230); 상기 제2코너 구조체(230)의 전방측 선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 프레임(150); 상기 제1 및 제2코너 구조체(210, 230)와 상기 측면 이음 구조체(220)의 상부 및 하부에 상기 결합부재를 통해 결합되는 덮개 프레임(120) 및 바닥 프레임(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립식 보관함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되, 압출 성형 방식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너 패널 연결부(216)는 상기 보관함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부패널(110)이 결합되는 측부 연결부(216a)와, 후방면을 형성하는 측부패널(110)이 결합되는 후방 연결부(216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관함의 내부 공간을 분할하는 받침 프레임(140); 상기 제1 및 제2코너 구조체(210, 230)와 상기 측면 이음 구조체(220)에 삽입되며, 상기 받침 프레임(140)이 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부재가 삽입되는 연결패널(310); 상기 받침 프레임(140)이 결합되며 결합된 상기 받침 프레임(140)이 고정되도록 양단부가 상기 연결패널(310)에 고정된 결합부재에 결합되는 제1받침 구조체(240); 및 상기 보관함의 개방된 전방부에 위치하며, 일단부가 상기 제1받침 구조체(240)와 연결된 상태의 받침 프레임과 연결되고, 상기 도어 프레임(150)의 내면과 접촉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제2받침 구조체(250);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알루미늄 형상 압출물을 이용한 조립식 보관함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압출 성형 방식으로 알루미늄 재질의 측부패널(110), 덮개 프레임(120), 바닥 프레임(130), 받침 프레임(140), 도어 프레임(150)을 포함하는 벽면 프레임(100)의 외관에 대한 성형과, 제1 및 제2코너 구조체(210, 230), 측면 이음 구조체(220), 제1 및 제2받침 구조체(240, 250)를 포함하는 이음 구조체(200)의 성형과, 연결패널(310)을 성형하여 부분별 구성을 제작하는 부분별 구성 제작 단계; 상기 이음 구조체(200)에 상기 연결패널(310)을 삽입하고, 상기 이음 구조체(200)와 상기 측부패널(110)을 결합하는 이음 구조체 조립단계; 상기 측면 이음 구조체(220)와 연결된 측부패널(110)을 상기 제1코너 구조체(210)에 연결하고, 상기 제2코너 구조체(230)에 연결된 측부패널(110)과 상기 측면 이음 구조체(220)를 연결하는 보관함 측면부 형성단계; 상기 덮개 프레임(120) 및 바닥 프레임(130)을 결합부재를 통해 상기 이음 구조체(200)에 결합하여 보관함의 내부 공간에 대한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보관함 상부 및 바닥부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부분별 구성 제작 단계는 제작이 완료된 상기 부분별 구성의 표면에 도장 작업을 수행하는 도장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음 구조체 조립단계는 상기 제1코너 구조체(210)에 상기 연결패널(310)을 삽입하고, 상기 측부패널(110)이 상기 제1코너 구조체(210)에 직교를 이루도록 결합하는 단계; 상기 제2코너 구조체(230)에 상기 연결패널(310)이 직교를 이루도록 삽입한 후, 상기 도어 프레임(150)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측면 이음 구조체(220)와 상기 측부패널(110)을 연결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관함 측면부 형성단계 이후, 상기 제1받침 구조체(240)를 상기 제1코너 구조체(210) 및 측면 이음 구조체(220)에 삽입된 연결패널(310)과 연결하고, 상기 제1받침 구조체(240)에 상기 받침 프레임(140)을 결합하는 보관함 받침부 형성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보관함의 알루미늄 형상 압출물을 이용하여 보관함을 이루는 벽면 프레임 및 이 벽면 프레임을 연결하는 이음 구조체를 제조하여 조립함으로써, 보관함의 가공 공정을 단순화시켜 보관함의 제작 및 생산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보관함의 크기를 규격화시켜 각 부분별 구성을 제조함으로써, 보관함의 제조를 위한 시설 투자비를 절감할 수 있고, 보관함의 제작 비용 및 필요 재료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분 파손시 해당 부분만을 교체하여 재사용이 가능함에 따라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내부식성 및 내마모성이 강한 알루미늄을 이용하기 때문에 물기나 습기에 취약한 공간에서도 보관함을 설치, 또는 구축하여 사용이 가능하여 설치 가능 환경에 대한 제약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고객의 요구에 따라 단일층, 또는 다수의 층을 이루는 보관함을 규격화된 각 부분별 구성들을 이용하여 단순 조립에 의해 빠른 시간에 제조할 수 있어 고객의 만족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보관함의 폐기시 재활용이 가능한 알루미늄 재질을 이용함에 따라 자원의 재활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폐기시 발생하는 폐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보관함을 나타낸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보관함의 벽면 및 바닥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보관함의 벽면 및 바닥 프레임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보관함의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보관함의 이음 구조체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형상 압출물을 이용한 조립식 보관함의 제작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립식 보관함은, 보관함의 외면을 이루는 벽면 프레임(100)과, 이 벽면 프레임(100)을 연결하는 이음 구조체(200) 및 벽면 프레임(100)과 이음 구조체(200)의 결합을 지지하는 연결패널(31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되, 압출 성형 방식으로 성형된다.
벽면 프레임(100)은 보관함의 측면 및 후방면을 형성하는 측부패널(110)과, 보관함의 상부면을 밀폐시키는 덮개 프레임(120)과, 보관함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 프레임(130)과, 보관함이 형성되는 층 수에 따라 보관함의 내부를 분할하는 받침 프레임(140)과, 보관함의 개방된 전방부를 개폐시키는 도어 프레임(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측부패널(110)은 보관함의 벽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중앙부가 평평한 패널로 형성되며, 양측 단부가 중앙부로부터 수직하게 절곡 형성되어 후술할 이음 구조체(20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이 이루어지는 측부 밀착패널(112) 및 측부 밀착패널(112)에 일체로 구성되며, 돌출되게 형성되는 측면 결합부(114)가 형성된다.
여기서, 측면 결합부(114)는 측부 밀착패널(112)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114a)와 이 연장부(114a)의 단부에 형성되고, 이음 구조체(200)와 끼움 결합 방식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끼움 돌기부(114b)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측부패널(110)은 다수개로 구성되며, 이 다수개의 측부패널(110)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측부 밀착패널(112)은 측부패널(110)이 형성되는 위치에 따라 이음 구조체(200)의 제1코너 구조체(210), 측면 이음 구조체(220), 제2코너 구조체(230)에 각각 밀착되게 구성된다.
즉, 측부패널(110)이 보관함의 후방면을 형성하는 경우, 일단부에 형성된 측부 밀착패널(112)은 제1코너 구조체(210)의 측면에 밀착되고, 타단부에 형성되는 측부 밀착패널(112)은 측면 이음 구조체(220)의 일단부에 밀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보관함의 후방면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측부패널(110)은 보관함의 크기에 따라 다수개의 측면 이음 구조체(220)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즉, 양단부가 제1코너 구조체(210) 및 측면 이음 구조체(220)에 연결된 측부패널(110)과, 양단부가 측면 이음 구조체(220)와 연결되는 측부패널(110)로 구성되는 것이다.
아울러, 측부패널(110)이 보관함의 양측면을 형성하는 경우, 일단부에 형성된 측부 밀착패널(112)은 제1코너 구조체(210)의 전방면에 밀착되고, 타단부에 형성되는 측부 밀착패널(112)은 측면 이음 구조체(220)의 일단부에 밀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보관함의 양측면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측부패널(110)은 보관함의 크기에 따라 다수개의 측면 이음 구조체(220)와 연결되고, 그 선단부(보관함의 개방되는 전방부)에는 이음 구조체(200)의 제2코너 구조체(230)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즉, 양단부가 제1코너 구조체(210) 및 측면 이음 구조체(220)에 연결된 측부패널(110)과, 양단부가 측면 이음 구조체(220)와 연결되는 측부패널(110)과, 일단부가 측면 이음 구조체(220)와 연결되고, 타단부가 제2코너 구조체(230)와 연결되는 측부패널(110)로 구성되는 것이다.
덮개 프레임(120)은 측부패널(110)과 이음 구조체(200) 간의 이음(결합 또는 연결)이 완료된 상태에서 측부패널(110)의 상부면에 안착되며, 측부패널(110)과 이음 결합된 이음 구조체(200)와 고정볼트, 스크류, 리벳 등과 같은 결합부재를 통해 결합되어 보관함의 최상층부에 대한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덮개 프레임(120)은 이음 구조체(200)와 결합되도록 결합부재가 결합되는 결합홀(122)이 구성된다.
바닥 프레임(130)은 보관함의 하단부를 이루며, 덮개 프레임(12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덮개 프레임(120)과 마찬가지로 이음 구조체(200)와 결합부재를 통해 결합되며, 측부패널(110) 및 이음 구조체(200)의 하단부가 안착되도록 구성된다.
받침 프레임(140)은 보관함이 다수의 층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경우, 이 보관함의 내부 공간을 분할하는 것으로, 양측 단부에 각각 제1 및 제2받침 구조체(240, 250)에 끼움 결합 방식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 플랜지(142)가 구성된다.
이때, 결합 플랜지(142)는 제1 및 제2받침 구조체(240, 250)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끼움 결합홈(244, 254)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통상의 결합돌기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어 프레임(150)은 측부패널(110)에 의해 양측면 및 후방부 벽면을 형성한 보관함의 개방된 전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보관함을 개폐시키는 것으로, 측부패널(110)의 전방측 선단부에 결합되는 제2코너 구조체(23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제2코너 구조체(230)에는 도어 프레임(150)에 구성되는 개폐 브라켓(152)이 결합되도록 연결패널(310)이 삽입되어, 도어 프레임(150)이 개폐 브라켓(152)에 구성되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한편, 힌지축은 상단부 및 하단부가 각각 덮개 프레임(120)과 바닥 프레임(130)에 결합되어 개폐 브라켓(152)이 힌지축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음 구조체(200)는 보관함의 후방측 코너에 위치하며, 측부패널(110)이 직교를 이루도록 결합되는 제1코너 구조체(210), 제1코너 구조체(210)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개로 구성되고, 보관함의 측면을 이루도록 측부패널(110)이 결합되는 측면 이음 구조체(220), 보관함의 전방측 코너에 위치하며, 측부패널(110)의 선단부가 결합되는 제2코너 구조체(230), 받침 프레임(140)이 결합되는 제1받침 구조체(240) 및 받침 프레임(140)의 선단부가 결합되는 제2받침 구조체(250)로 구성된다.
제1코너 구조체(2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함의 측면 및 후방면이 형성될 수 있도록 지지하고, 그 상부로 덮개 프레임(120)이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덮개 프레임(120)과 결합되도록 결합부재가 체결되는 체결공(212)이 형성되며, 보관함에 받침 프레임(140)이 설치되는 경우, 이 받침 프레임(140)과의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연결패널(310)이 삽입되는 제1패널 삽입부(214)와, 후방면을 형성하는 측부패널(110)이 결합되는 코너 패널 연결부(2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코너 패널 연결부(216)는 보관함의 측면 및 후방면에 측부패널(110)이 직교를 이루도록 결합되며, 바람하게는 측면을 형성하는 측부패널(110)의 측면 결합부(114)가 결합되는 측부 연결부(216a)와, 후방면을 형성하는 측부패널(110)의 측면 결합부(114)가 결합되는 후방 연결부(216b)로 구성된다.
아울러, 제1코너 구조체(210)에 형성되는 체결공(212)은 후방 연결부(216b)의 후방측, 그리고 제1패널 삽입부(214)의 후방측에 각각 구성된다.
또한, 제1코너 구조체(210)에 형성되는 제1패널 삽입부(214)는 연결패널(310)의 두께와 대응되는 두께를 형성하는 홈의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되며, 그 선단부가 연결패널(310)의 양측부 전,후방면과 각각 밀착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제1코너 구조체(21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 프레임(140)의 설치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하나의 체결공(212)과 직교를 이루는 위치에 각각 구성되는 코너 패널 연결부(216)로만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1코너 구조체(210)는 받침 프레임(140)의 설치 여부에 따라 덮개 프레임(120)이 결합되는 체결공(212)과, 이 체결공(212)의 축 중심으로부터 직교를 이루는 위치에 각각 측부 연결부(216a) 및 후방 연결부(216b)로 구성되는 코너 패널 연결부(216)로 구성되거나, 측면부가 연장 형성되면서 2개의 체결공(212)이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그 선단부에 측부 연결부(216a)가 형성되며, 연결패널(310)이 측부 연결부(216a)로부터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되, 직교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제1패널 삽입부(214)에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보관함의 측면 및 후방면의 형성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측면 이음 구조체(2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로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어 덮개 프레임(120)과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체결공(222)이 형성되고, 양측부로 측부패널(110)에 형성된 측면 결합부(114)가 끼움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는 제1측면 패널 연결부(226)가 구성된다.
이러한 측면 이음 구조체(220)는 보관함의 크기에 따라 다수개로 구성되며, 그 전방으로 연결패널(310)이 삽입되어 받침패널(140)의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제2패널 삽입부(224)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2패널 삽입부(224)는 전술한 제1패널 삽입부(214)와 마찬가지로 연결패널(310)의 두께와 대응되는 두께를 형성하는 홈의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되며, 그 선단부가 연결패널(310)의 양측부 전,후방면과 각각 밀착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2패널 삽입부(224)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패널(310)의 양측부 전,후방면과 각각 밀착되는 선단부측 패널이 모두 제거되어 통상의 홈의 형태로만 구성되거나, 연결패널(310)의 양측부 전,후방면과 각각 밀착되는 선단부측 패널이 연결패널(310)의 일측부 전,후방면에 대해서만 밀착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측면 이음 구조체(220)는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부패널(110)과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측부패널(110)은 도 11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가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마련되는 복수의 패널로 구성되고, 양측 단부에 형성되는 측부 밀착패널(112)이 상기 복수의 패널을 연결하여 내부 공간을 밀폐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2코너 구조체(23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함의 개방된 전방측 코너 부분에 위치하여 측부패널(110)과 도어 프레임(150)이 연결되는 것으로, 그 중앙부에 상부면으로 덮개 프레임(120)이 결합되고, 하부면으로 바닥 프레임(130)과 결합되는 체결공(232)이 형성된다.
또한, 제2코너 구조체(230)는 일측으로 측면 이음 구조체(220)와 일단부가 연결되는 측부패널(110)의 타단부가 결합되고, 이에 대향하는 타측, 다시말해 개방되는 전방부에는 도어 프레임(150)과 연결되는 개폐 브라켓(152)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연결패널(310)이 삽입되는 제3패널 삽입부(234)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3패널 삽입부(234)는 제1코너 구조체(210)와 마찬가지로 제2코너 구조체(230)의 개방된 전방측과 이와 직교를 이루는 일측부에 각각 구성되어 연결패널(310)의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제1받침 구조체(240)는 보관함의 내부 공간을 분할하거나, 또는 보관함이 다수개의 층을 이루는 경우, 각 층 별 보관함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받침 프레임(140)을 연결하고, 연결된 받침 프레임(140)을 측면 이음 구조체(220)에 삽입된 연결패널(310)과 연결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제1받침 구조체(240)는 양측 단부에 받침 프레임(140)의 양단부에 구성되는 결합 플랜지(142)가 끼움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는 제1끼움 결함홈(244)이 형성된다.
또한, 제1받침 구조체(240)는 그 중앙으로 연결패널(310)과 연결될 수 있도록 결합부재가 체결되는 체결공(242)이 형성된다.
제2받침 구조체(250)는 일단부가 제1받침 구조체(240)와 연결된 상태의 받침 프레임(140)과 연결되고, 보관함의 개방된 전방부에 위치하며, 도어 프레임(150)의 폐쇄 작동시 이 도어 프레임(150)의 내면과 접촉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제1받침 구조체(240)와 같이 받침 프레임(140)과 결합되는 제2끼움 결합홈(254)과 연결패널(310)에 결합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체결공(252)이 형성된다.
연결패널(310)은 받침 프레임(140)을 측면 이음 구조체(220), 제1 및 제2코너 구조체(210, 230)에 각각 연결시켜 이 받침 프레임(140)이 보관함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것으로, 이 연결패널(310)이 삽입되는 이음 구조체(220)와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되도록 지지하는 체결공(312)과, 체골공(312)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결합부재의 머리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관통부(314)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조립식 보관함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 원료를 압출기에 공급하고, 이후 보관함의 각 부분별 구성에 대응하는 금형으로 주입시켜 본 발명의 보관함의 구성요소들을 제작하는 부분별 구성 제작 단계(S110)가 수행된다.
이때, 부분별 구성 제작 단계(S110)는 벽면 프레임(100)의 측부패널(110), 덮개 프레임(120), 바닥 프레임(130), 받침 프레임(140) 및 개폐 브라켓(152)을 제외한 도어 프레임(150)의 외관에 대한 성형과, 벽면 프레임(100)이 연결 및 고정되는 제1 및 제2코너 구조체(210, 230), 측면 이음 구조체(220), 제1 및 제2받침 구조체(240, 250)의 성형과, 연결패널(310)의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덮개 프레임(120), 바닥 프레임(130) 및 도어 프레임(150)은 보관함의 크기에 따라 절곡이 가능한 형태로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한편, 부분별 구성 제작 단계(S110)는 제작이 완료된 부분별 구성의 표면이 다양한 색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부분별 구성이 외부 환경으로부터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내구성 및 내부식성을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도장 작업이 이루어지는 도장단계가 더 수행될 수 있다.
이때, 도장 작업으로는 분체도장, 아노다이징, 피막아노다이징, 도금성 아노다이징, 불소도장, 발색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후, 제작이 완료된 부분별 구성 중 이음 구조체(200)에 연결패널(310)을 삽입하고, 이음 구조체(200)와 측부패널(110)을 결합하는 이음 구조체 조립단계(S120)를 수행한다.
여기서, 이음 구조체 조립단계(S120)는 먼저, 제1코너 구조체(210)에 연결패널(310)을 삽입하고, 측부패널(110)이 제1코너 구조체(210)에 직교를 이루도록 결합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또한, 이음 구조체 조립단계(S120)는 제2코너 구조체(230)에 연결패널(310)이 직교를 이루도록 삽입한 후, 도어 프레임(150)을 연결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또한, 이음 구조체 조립단계(S120)는 보관함의 크기에 맞추어 측면 이음 구조체(220)와 측부패널(110)을 연결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측면 이음 구조체(220)와 연결된 측부패널(110)을 제1코너 구조체(210)에 연결하여 보관함의 양측면 및 후방면을 형성하고, 보관함의 개방된 전방부에는 제2코너 구조체(230)에 연결된 측부패널(110)과 측면 이음 구조체(220)를 연결하는 보관함 측면부 형성단계(S130)를 수행한다.
이때, 제2코너 구조체(230)의 연결시 도어 프레임(150)이 함께 연결됨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보관함의 내부 공간을 분할하거나,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보관함의 각 층 별 바닥의 형성이 이루어지도록 제1받침 구조체(240)를 제1코너 구조체(210) 및 측면 이음 구조체(220)에 삽입된 연결패널(310)과 연결하고, 이후 상기 제1받침 구조체(240)에 받침 프레임(140)을 끼움 결합 방식으로 결합하여 보관함의 받침부를 형성하는 보관함 받침부 형성단계(S140)를 수행한다.
여기서, 보관함 받침부 형성단계(S140)는 제1받침 구조체(240)와 연결패널(310) 간의 연결시 연결패널(310)에 고정볼트, 스크류, 리벳과 같이 머리부를 형성하는 결합부재를 관통부(314)에 관통시켜 연결패널(310)과 결합부재를 연결한 다음, 제1받침 구조체(240)가 결합부재와 체결에 의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보관함 받침부 형성단계(S140)는 받침 프레임(140)의 선단부, 즉 보관함의 개방된 전방부측에 위치하는 받침 프레임(140)에 제2받침 구조체(250)를 끼움 결합 방식으로 결합하고, 이와 동시에 제2받침 구조체(250)를 제2코너 구조체(230)에 삽입된 연결패널(310)과 연결하여 고정하는 단계를 더 수행한다.
이후, 보관함의 상부 및 하부면에 각각 덮개 프레임(120) 및 바닥 프레임(130)를 결합부재를 통해 이음 구조체(200)에 구성되는 다수개의 체결공들(212, 222, 232, 242, 252)에 결합하여 보관함의 내부 공간에 대한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보관함 상부 및 바닥부 형성단계(S150)를 수행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벽면 프레임 110: 측부패널
120: 덮개 프레임 130: 바닥 프레임
140: 받침 프레임 150: 도어 프레임
200: 이음 구조체 210: 제1코너 구조체
220: 측면 이음 구조체 230: 제2코너 구조체
240: 제1받침 구조체 250: 제2받침 구조체
310; 연결패널

Claims (8)

  1. 보관함의 측면 및 후방면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측부패널(110);
    상기 보관함의 후방측 코너에 위치하며, 결합부재가 체결되는 체결공(212)과, 연결패널(310)이 삽입되는 제1패널 삽입부(214)와, 상기 측부패널(110)이 결합되는 코너 패널 연결부(216)가 구성되는 제1코너 구조체(210);
    상기 다수개의 측부패널(110)을 연결하여 상기 보관함의 측면 및 후방면에 대한 벽면을 형성하고, 연결패널(310)이 삽입되는 제2패널 삽입부(224)가 형성되는 측면 이음 구조체(220);
    상기 보관함의 전방측 코너에 위치하며, 상기 결합부재가 체결되는 체결공(232)과, 전방측 선단부와 이 전방측 선단부로부터 직교를 이루는 일측에 각각 형성되며 연결패널(310)이 삽입되는 제3패널 삽입부(234)가 구성되는 제2코너 구조체(230);
    상기 제2코너 구조체(230)의 전방측 선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 프레임(150);
    상기 제1 및 제2코너 구조체(210, 230)와 상기 측면 이음 구조체(220)의 상부 및 하부에 상기 결합부재를 통해 결합되는 덮개 프레임(120) 및 바닥 프레임(13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형상 압출물을 이용한 조립식 보관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보관함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되, 압출 성형 방식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형상 압출물을 이용한 조립식 보관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 패널 연결부(216)는
    상기 보관함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부패널(110)이 결합되는 측부 연결부(216a)와, 후방면을 형성하는 측부패널(110)이 결합되는 후방 연결부(216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형상 압출물을 이용한 조립식 보관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함의 내부 공간을 분할하는 받침 프레임(140);
    상기 제1 및 제2코너 구조체(210, 230)와 상기 측면 이음 구조체(220)에 삽입되며, 상기 받침 프레임(140)이 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부재가 삽입되는 연결패널(310);
    상기 받침 프레임(140)이 결합되며 결합된 상기 받침 프레임(140)이 고정되도록 양단부가 상기 연결패널(310)에 고정된 결합부재에 결합되는 제1받침 구조체(240); 및
    상기 보관함의 개방된 전방부에 위치하며, 일단부가 상기 제1받침 구조체(240)와 연결된 상태의 받침 프레임과 연결되고, 상기 도어 프레임(150)의 내면과 접촉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제2받침 구조체(250);
    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형상 압출물을 이용한 조립식 보관함.
  5. 알루미늄 형상 압출물을 이용한 조립식 보관함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압출 성형 방식으로 알루미늄 재질의 측부패널(110), 덮개 프레임(120), 바닥 프레임(130), 받침 프레임(140), 도어 프레임(150)을 포함하는 벽면 프레임(100)의 외관에 대한 성형과, 제1 및 제2코너 구조체(210, 230), 측면 이음 구조체(220), 제1 및 제2받침 구조체(240, 250)를 포함하는 이음 구조체(200)의 성형과, 연결패널(310)을 성형하여 부분별 구성을 제작하는 부분별 구성 제작 단계;
    상기 이음 구조체(200)에 상기 연결패널(310)을 삽입하고, 상기 이음 구조체(200)와 상기 측부패널(110)을 결합하는 이음 구조체 조립단계;
    상기 측면 이음 구조체(220)와 연결된 측부패널(110)을 상기 제1코너 구조체(210)에 연결하고, 상기 제2코너 구조체(230)에 연결된 측부패널(110)과 상기 측면 이음 구조체(220)를 연결하는 보관함 측면부 형성단계;
    상기 덮개 프레임(120) 및 바닥 프레임(130)을 결합부재를 통해 상기 이음 구조체(200)에 결합하여 보관함의 내부 공간에 대한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보관함 상부 및 바닥부 형성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형상 압출물을 이용한 조립식 보관함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별 구성 제작 단계는
    제작이 완료된 상기 부분별 구성의 표면에 도장 작업을 수행하는 도장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형상 압출물을 이용한 조립식 보관함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 구조체 조립단계는
    상기 제1코너 구조체(210)에 상기 연결패널(310)을 삽입하고, 상기 측부패널(110)이 상기 제1코너 구조체(210)에 직교를 이루도록 결합하는 단계;
    상기 제2코너 구조체(230)에 상기 연결패널(310)이 직교를 이루도록 삽입한 후, 상기 도어 프레임(150)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측면 이음 구조체(220)와 상기 측부패널(110)을 연결하는 단계;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형상 압출물을 이용한 조립식 보관함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함 측면부 형성단계 이후,
    상기 제1받침 구조체(240)를 상기 제1코너 구조체(210) 및 측면 이음 구조체(220)에 삽입된 연결패널(310)과 연결하고, 상기 제1받침 구조체(240)에 상기 받침 프레임(140)을 결합하는 보관함 받침부 형성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형상 압출물을 이용한 조립식 보관함 제조 방법.
KR1020210148202A 2020-11-03 2021-11-01 알루미늄 형상 압출물을 이용한 조립식 보관함 및 그 제조 방법 KR1025223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45479 2020-11-03
KR1020200145479 2020-11-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9919A KR20220059919A (ko) 2022-05-10
KR102522348B1 true KR102522348B1 (ko) 2023-04-17

Family

ID=81591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8202A KR102522348B1 (ko) 2020-11-03 2021-11-01 알루미늄 형상 압출물을 이용한 조립식 보관함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234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7491B1 (ko) 2014-10-14 2015-08-26 안용준 조립식 보양재 및 이의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9904Y2 (ja) * 1992-08-31 1998-04-28 昭和アルミニウム株式会社 組立て式温室
KR200225531Y1 (ko) * 1999-01-26 2001-06-01 양경호 진열장
KR20090117243A (ko) * 2008-05-09 2009-11-12 한국호진공업 주식회사 조립식 사물함
KR101123979B1 (ko) 2009-06-12 2012-03-23 정옥교 사물함, 로커, 신발장 용도의 다중 보안 기능 조립식 다목적 물품 보관함
KR101409772B1 (ko) * 2012-05-07 2014-06-24 주식회사 두맥스 조립식 수납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7491B1 (ko) 2014-10-14 2015-08-26 안용준 조립식 보양재 및 이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9919A (ko) 2022-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88063B1 (en) Wood core exterior door with mortise lock
US9238934B2 (en) Door jamb member, door jamb assembly incorporating same and kit therefor
US20110107703A1 (en) Do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US20140102035A1 (en) Brick mold assembly, connector for same and kit for assembly of same
US20130199104A1 (en) Door facing alignment assembly and method of forming a door
KR102522348B1 (ko) 알루미늄 형상 압출물을 이용한 조립식 보관함 및 그 제조 방법
US5810458A (en) Locker door retrofit assembly
US9260897B2 (en) Hidden interlocking hinge assembly
KR101033854B1 (ko) 체결부 은폐 체결구조의 금속재 조립식 안전 사물함
US20070251160A1 (en) Door system for a building
KR200478900Y1 (ko) 현관용 목재 도어
CN112673139A (zh) 形成建筑物的方法
KR101169299B1 (ko) 도어 결합부의 안전성과 보안성이 보강된 체결부 은폐형 목재 사물함
US20040172881A1 (en) Door system opening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KR20090061167A (ko) 마감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레일지지대가 구비된 붙박이장
US20070267155A1 (en) Door for an enclosure
JP4570491B2 (ja) 門柱
KR102400762B1 (ko) 조립식 보관함
KR20090117243A (ko) 조립식 사물함
JPH0240202Y2 (ko)
KR100485959B1 (ko) 조립식 목재수납장
US7409805B1 (en) Locker retrofit assembly
JP2847346B2 (ja) プラスチック製ドア及びフレームとその製造方法
JPH09310479A (ja) 床ハッチの構造
JPH01894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