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2872B1 - 디지탈 주파수복조기 - Google Patents

디지탈 주파수복조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2872B1
KR0132872B1 KR1019930018014A KR930018014A KR0132872B1 KR 0132872 B1 KR0132872 B1 KR 0132872B1 KR 1019930018014 A KR1019930018014 A KR 1019930018014A KR 930018014 A KR930018014 A KR 930018014A KR 0132872 B1 KR0132872 B1 KR 0132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frequency
output
phase
lookup 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8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0443A (ko
Inventor
황덕원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30018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2872B1/ko
Priority to JP6214896A priority patent/JP2914556B2/ja
Priority to US08/302,212 priority patent/US5440269A/en
Publication of KR950010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0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2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28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DDEMODULATION OR 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 H03D3/00Demodulation of angle-, frequency- or phase- modulated oscillations
    • H03D3/006Demodulation of angle-, frequency- or phase- modulated oscillations by sampling the oscillations and further processing the samples, e.g. by computing techniqu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DDEMODULATION OR 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 H03D3/00Demodulation of angle-, frequency- or phase- modulated oscillations
    • H03D3/007Demodulation of angle-, frequency- or phase- modulated oscillations by converting the oscillations into two quadrature related signal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DDEMODULATION OR 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 H03D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demodulation or 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covered by H03D
    • H03D2200/0041Functional aspects of demodulators
    • H03D2200/006Signal sampling
    • H03D2200/0062Computation of input samples, e.g. successive sampl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DDEMODULATION OR 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 H03D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demodulation or 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covered by H03D
    • H03D2200/0041Functional aspects of demodulators
    • H03D2200/0082Quadrature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파수복조시 룩업테이블에 미리 주파수복조될 데이터를 저장하고 위상편이방식에 의하여 룩업테이블의 독출어드레스를 발생시키도록 디지탈 신호처리할때 제로축을 지나지 않는 신호를 포함하는 주파수변조된 신호에 대하여 기울기 정도를 판별하여 위상보정함으로써, 종전의 디지탈신호처리시보다 주파수 복조의 정확도를 향상시킬수 있을 뿐 아니라 룩업테이블에 저장하는 주파수복조데이타를 최소화함으로써 룩업테이블에 사용되는 롬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디지탈 주파수복조기
제1도는 종래의 디지탈 주파수복조기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제2도는 헤드로부터 재생되는 FM신호를 나타낸 파형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주파수복조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제4a, 4b도는 제3도에 있어서 각 부의 파형도이다.
제5도는 제3도에 있어서, 룩업테이블에서 저장된 데이타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6도는 제3도에 있어서, 위상보정기에서 출력되는 데이타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어드레스 발생수단 11 : 지연기
12 : 위상편이기 13,14 : 절대값처리기
15 : 비교 및 선택기 16 : 제산기
20 : 룩업테이블 30,40 : 기울기판별기
50 : 위상보정기 60 : 미분기
70 : 감산기 80 : 곱셈기
90 : 저역필터
본 발명은 주파수복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위상편이 방식을 이용하여 디지탈적으로 주파수복조를 하기 위한 디지탈 주파수복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파수 복조기는 전송시 주파수변조된 신호를 원신호로 복원하기 위하여 복조하는 것으로, 종래에는 아날로그방식으로 구성되어 주파수복조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주파수복조를 종래의 아날로그방식으로 처리하는 경우 아날로그회로의 특성으로 인하여 복조되는 신호의 신호대 잡음비(S/N비)가 저하되고, 시스템의 안정도가 저하될 뿐 아니라 복조된 신호의 선형성(Linearity) 및 감도(Sensitivity)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아날로그방식으로 주파수복조를 수행함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디지탈 주파수 복조기가 제1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1도에 도시된 종래의 디지탈 주파수복조기를 설명하기에 앞서 우선 아날로그 주파수변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주파수변조는 반송주파수를 변조신호 x(t)에 대응해서 변화하는 방식으로서, 반송주파수에 해당하는 고정 데이타와 영상신호에 주파수편이(Deviation)의 정수를 승산한 데이타를 가산해서 순시주파수에 해당하는 데이타를 얻는다. 또한 이 데이타를 적분하면 순시위상을 나타내는 데이타가 된다. 즉, 2π를 한 주기로 해서 정규화하게 되면 1클럭 기간동안에 위상이 어떤 각변화가 되어져서 그 돗수에 일치하는 진폭이 출력신호가 되는데 이 신호가 바로 주파수변조신호이다.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YFM(t) = Asin [ωct + Dω∫x(t)dt + θ] ........ (1)
(1)식을 T를 주기로 하여 샘플링한 경우로 고쳐 쓰면,
n-1
YFM(nT) = Asin [ωcnT + DωΣx(iT)T +θ]
i=0
n-1
=Asin [2π (Σ(foT + DfTX(iT))) ]
i=0
n-1
=Asin [2π (Σ(K2 + K1X(iT))) ] ......(2)
i=0
로 나타내어진다.
상술한 식들에서 (1)식의 A는 진폭이고, ωc는 반송파주파수이고, Dω는 주파수편이(Deviation) 각속도이며, θ는 초기 위상이고, x(t)는 변조신호 또는 정보신호이다. 그리고 (2)식에서 θ=0이고, K2는 fcT로 반송파주파수를 결정하는 요소이고, K1은 DfT로 주파수편이를 결정하는 요소(Factor)이다.
주파수변조된 신호를 원신호로 복원하기 위한 주파수복조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우선(2)식은 YFM(nT) = Asin[Φ].....(3)
로 나타낼 수 있다.
(3)식에서 Φ는 상기 (2)식의 []내의 식과 같다. 상기 (3)식에서Φ를 구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따라서 (4)식, (5)식 및 (6)식에서 보인 것처럼 주파수변조된 신호를 원래의 신호로 복원하기 위하여, 입력되는 신호가 sin파(이하 사인파라 함) 형태로 인가되는 경우, 우선 위상편이기(12)는 입력되는 신호를 -π/2지연하여 cos파(이하 코사인파라 함)을 출력하게 된다. 제1지연기(11)는 위상편이기(12)에서 처리되는 시간만큼 인가되는 사인파를 지연시킨뒤 위상편이기(12)에서 90도 위상이 편이된 코사인파가 출력됨과 동시에 사인파를 출력한다.
크기판별기(13)는 제1지연기(11)에서 출력된 사인파와 위상편이기(12)에서 출력된 코사인파의 값의 절대값의 크기를 비교하여, 코사인파의 절대값이 사인파의 절대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후술한 제산기(14)의 제산이 탄젠트(tangent)방식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사인파의 절대값이 코사인파의 절대값보다 크면 코탄젠트(co-tangent)방식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한판별기(20)는 제1지연기(11)에서 출력된 신호와 위상편이기(12)에서 출력된 사인파와 코사인파의 부호를 검출하고, 그 부호에 따라 현재 복조될 신호의 상한을 판별한다.
룩업테이블(40)은 제산기(14)에서 출력되는 어드레스신호(addr)에 해당되는 신호를 독출하여 출력한다.
제2지연기(30)는 제산기(14)에서 출력되는 어드레스에 의하여 룩업테이블(40)에서 데이타가 독출되는 시간만큼 상한판별기(20)에서 출력되는 상한판별신호를 지연시킨다.
연산기(50)는 제2지연기(30)에서 출력된 상한판별신호에 따라서 룩업테이블(40)에서 출력된 신호를 연산하여 출력한다.
미분기(60)는 주파수변조시 적분되었던 것을 환원시키기 위하여 연산기(5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미분하여 출력한다.
감산기(70)는 미분기(50)에서 출력된 신호에 대하여 캐리어주파수 K2를 감산하여 미분기(50)에서 출력된 신호중 캐리어주파수 K2를 제거하여 출력한다.
K2성분이 제거된 신호가 감산기(70)에서 출력되면 곱셈기(80)는 주파수편이를 결정하는 성분이 K1에 대한 반비례치인 1/K1 을 인가되는 신호에 승산하여 K1성분을 제거하여 출력시킨다.
저역필터(90)는 원래의 신호로 복원된 신호에 섞여 있는 고주파성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저역필터링하여 주파수복조된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나, 종래의 디지탈 주파수복조기는 제2도에서와 같이 헤드로부터 재생된 FM신호로서, 고주파의 FM신호가 완전히 재생되지 못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신호가 입력신호로서 인가되어 복조하게 되면 화면상에서는 흑백반전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로축을 지나지 않는 신호를 포함하는 주파수변조된 신호에 대하여 소정 위상만큼 위상편이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룩업테이블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주파수복조데이타를 출력하여 신호의 기울기 정도를 판별하여 위상보정하기 위한 디지탈 주파수복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록 혹은 전송하고자 주파수복변조된 신호를 원래의 신호로 복원하기 위한 디지탈 주파수복조기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변조된 신호의 변화에 따라 위상이 변화된 값을 주파수 복조된 값으로 출력하기 위한 주파수복조데이타를 저장하고 있는 룩업테이블; 상기 주파수변조된 신호를 소정의 각도만큼 위상편이하고, 상기 위상편이에 의하여 출력된 신호와 상기 주파수변조된 신호의 절대치 크기를 비교하여 상기 룩업테이블로부터 독출될 정보에 대한 어드레스를 발생하기 위한 어드레스발생수단; 상기 위상편이에 의하여 출력된 신호와 상기 주파수변조된 신호의 기울기를 판별하기 위한 기울기판별기; 상기 기울기판별기의 기울기판별신호 및 상기 어드레스발생수단에서의 상기 위상편이에 의하여 출력된 신호와 상기 주파수변조된 신호의 절대치 크기를 비교한 결과에 따라서 상기 룩업테이블에서 출력된 위상값에 소정의 위상값을 연산하여 상기 룩업테이블에서 출력되는 위상값의 범위를 확장하기 위한 위상보정기; 상기 위상보정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미분하기 위한 미분기; 상기 미분기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대하여 상기 주파수복조기가 적용되는 시스템 규격 및 상기 룩업테이블의 크기에 의하여 결정되는 캐리어주파수를 결정하는 성분을 감산하여 상기 미분기에서 출력되는 신호 중 상기 캐리어주파수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감산기; 및 상기 감산기에서 출력된 신호에 대하여 상기 캐리어주파수성분과 같은 조건으로 결정되는 주파수편이를 결정하는 성분을 반비례한 값을 곱하여 상기 감산기에서 출력되는 신호 중 상기 주파수편이를 결정하는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곱셈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주파수복조기에 대한 구성도로서, 일반적인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시스템 및 통신기기, 방송용기기 등 주파수복조를 필요로 하는 시스템에 적용이 가능하다.
제3도의 구성은, 주파수변조된 신호의 변화에 따라 위상이 변화된 값을 주파수 복조된 값으로 출력하기 위한 주파수복조데이타를 저장하고 있는 룩업테이블(20)과, 주파수변조된 신호를 소정의 각도만큼 위상편이하고, 위상편이에 의하여 출력된 신호와 주파수변조된 신호의 절대치 크기를 비교하여 룩업테이블(20)로부터 독출될 정보에 대한 어드레스를 발생하기 위한 어드레스발생수단(10)과, 위상편이에 의하여 출력된 신호와 주파수변조된 신호의 기울기를 판별하기 위한 기울기판별기(30, 40)과, 기울기판별기(30, 40)의 기울기판별신호와, 비교 및 선택기(15)의 비교결과신호에 따라서 룩업테이블(20)에서 출력된 위상값에 소정의 위상값을 연산하여 룩업테이블(20)에서 출력되는 위상값의 범위를 확장하기 위한 위상보정기(50)와, 위상보정기(5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미분하기 위한 미분기(60)와, 미분기(6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대하여 주파수복조기가 적용되는 시스템 규격 및 상기 룩업테이블의 크기에 의하여 결정되는 캐리어주파수를 결정하는 성분을 감산하여 미분기(60)에서 출력되는 신호 중 캐리어주파수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감산기(70)와, 감산기(70)에서 출력된 신호에 대하여 캐리어주파수성분과 같은 조건으로 결정되는 주파수편이를 결정하는 성분을 반비례한 값을 곱하여 감산기(70)에서 출력되는 신호 중 주파수편이를 결정하는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곱셈기(80)로 이루어진다.
어드레스발생수단(10)은 입력되는 주파수변조된 신호를 소정의 위상차만큼 편이하기 위한 위상편이기(12)와, 위상편이기(12)에서 처리되는 시간만큼 입력신호를 지연하기 위한 지연기(11)와, 위상편이기(12)와 지연기(11)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대하여 각각 절대값을 취하기 위한 제1, 2절대값처리기(13, 14)와, 제1, 2절대값처리기(13, 14)의 출력신호를 각각 비교하여 선택하기 위한 비교 및 선택기(15)와, 비교 및 선택기(15)의 출력에 따라 제1지연기(11) 및 위상편이기(12)에서 출력되는 성분을 제산하기 위한 제산기(16)로 이루어진다.
제4a, 4b도는 제3도에 있어서 각부의 파형도로서, 제4a도는 주파수변조되어 인가되는 입력신호이고, 제4b도는 제1지연기(11) 및 위상편이기(12)에서 각각 출력되는 파형을 나타낸 것이다.
제5도는 제3도에 있어서, 룩업테이블(20)에 저장된 데이타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0∼(1/4)π까지의 아크탄젠트 데이타가 저장되어 있다.
제6도는 제3도에 있어서, 위상보정기(50)에서 출력되는 데이타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아크탄젠트(Arc-Tangent)로만 나타낸 것으로, 이를 위하여 비교 및 선택기(15) 및 기울기판별기(30, 40)의 동작관계를 도시하였다. 여기서 룩업테이블(20)의 출력이 k비트이고, 위상보정기(50)의 출력이 n비트인 경우이다.
그러면 제3도의 동작을 제4도 및 제6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4)식, (5)식 및 (6)식에서 보인 것처럼 주파수변조된 신호를 원래의 신호로 복원하기 위하여, 입력되는 신호가 제4a4a와 같은 사인파 형태로 인가되는 경우, 우선 위상편이기(12)는 제1도에서와 마찬가지로 입력되는 신호를 -π/2지연하여 코사인파를 출력하게 된다. 위상편이기(12)는 일반적인 힐버트 변환(Hilbert Transform)과 같이 크기는 그대로 출력하고 위상만 지연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지연기(11)는 위상편이기(12)에서 처리되는 시간만큼 인가되는 사인파를 지연시킨 뒤 위상편이기(12)에서 90도 위상이 편이된 코사인파가 출력됨과 동시에 사인파를 출력한다. 이들의 출력은 제4b4b에 나타낸 바와 같다.
지연기(11) 및 위상편이기(12)에서 출력된 신호는 제1,2절대값처리기(13, 14) 및 제1, 2기울기판별기(30, 40)로 각각 출력된다.
제1,2절대값처리기(13, 14)는 각각 지연기(11)에서 출력된 사인파와 위상편이기(12)에서 출력된 코사인파의 값의 절대값의 크기를 구하여 비교 및 선택기(15)로 입력한다.
비교 및 선택기(15)는 제1,2절대값처리기(13, 14)에서 각각 출력된 사인파와 코사인파의 절대값의 크기를 비교하여, 비교결과를 위상보정기(50)에 입력하고, 후술할 제산기(16)의 제산이 작은 값을 큰 값으로 나눌수 있도록 그 출력을 선택한다.
제산기(16)는 비교 및 선택기(1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산을 하여 그결과값을 후술할 룩업테이블(20)의 어드레스(Addr)로 출력한다. 또한 제산과정을 통해 재1,2절대값처리기(13, 14)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포함된 AM 성분이 제거된다.
기울기판별기(30, 40)는 지연기(11)에서 출력된 사인파와 위상편이기(12)에서 출력된 코사인파의 기울기상태, 즉 출력신호의 증감상태를 판단하여 그 결과를 위상보정기(50)에 입력한다.
룩업테이블(20)은 제산기(16)에서 출력되는 어드레스신호에 해당되는 신호를 독출하여 출력한다. 룩업테이블(20)은 일반적인 롬(ROM)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룩업테이블(20)에 저장된 테이타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0∼π/4범위에 해당하는 아크탄젠트값이다. 룩업테이블(20)에 저장되는 주파수복조데이타에 따라서 후술할 위상보정기(50)의 연산관계가 달라지게 되고, 룩업테이블(20)에 사용되는 롬의 크기가 달라지게 된다. 만약에 룩업테이블(20)에 저장되는 주파수복조데이타가 0∼π/2범위까지의 위상값인 경우에는 롬의 크기가 8비트가 되고, 룩업테이블(20)에 저장되는 주파수복조데이타가 0∼π/4범위까지의 위상값인 경우에는 롬의 크기가 7비트가 된다. 룩업테이블(20)의 출력신호는 입력신호의 크기에 대한 위상성분으로서, 위상보정기(50)에 입력된다.
위상보정기(50)는 제1, 2기울기판별기(30, 40)의 기울기 판단결과와, 비교 및 선택기(15)에서의 제1, 2절대값처리기(13, 14)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절대값 비교결과와, 룩업테이블(20)의 출력값을 이용하여 입력신호의 크기에 따른 위상을 보정하여 출력한다. 이는 룩업테이블(20)에서 출력되는 데이타는 0∼π/4범위까지이므로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를 0∼2π까지 확장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룩업테이블(20)로부터 출력되는 위상값이 tan-1(X/Y)일 때 제1, 2기울기판별기(30, 40)로부터 X0이고 Y0이라고 판별되면, 그 위상값이 1상한 중 0∼π/4 사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위상보정기(50)는 0+tan-1(X/Y)을 연산하여 출력하고, X0이고 Y0이면, 그 위상값이 2상한 중 3π/4∼π 사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위상보정기(50)는 π-tan-1(X/Y)을 연산하여 출력하고, X0이고 Y0이면, 그 위상값이 3상한 중 π∼5π/4 사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위상보정기(50)는 π+tan-1(X/Y)을 연산하여 출력하고, X0이고 Y0이면, 그 위상값이 4상한 중 7π/4∼2π 사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위상보정기(50)는 2π-tan-1(X/Y)을 연산하여 출력한다.
이와는 반대로, 룩업테이블(20)로부터 출력되는 위상값이 tan-1(Y/X)일때, 제1, 2기울기판별기(30, 40)로부터 X0이고 Y0이라고 판별되면, 그 위상값이 1상한 중 π/4∼π/2 사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위상보정기(50)는 π/2-tan-1(Y/X)을 연산하여 출력하고, X0이고 Y0이면, 그 위상값이 2상한 중 π/2∼3π/4 사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위상보정기(50)는 π/2+tan-1(Y/X)을 연산하여 출력하고, X0이고 Y0이면, 그 위상값이 3상한 중 5π/4∼3π/2 사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위상보정기(50)는 3π/2-tan-1(Y/X)을 연산하여 출력하고, X0이고 Y0이면, 그 위상값이 4상한 중 3π/2∼7π/4 사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위상보정기(50)는 3π/2+tan-1(Y/X)을 연산하여 출력한다.
미분기(60)는 주파수변조시 적분되었던 것을 환원시키기 위하여 위상보정기(5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미분하여 출력한다.
감산기(70)는 미분기(50)에서 출력된 신호에 대하여 캐리어주파수 K2를 감산하여 미분기(50)에서 출력된 신호중 캐리어주파수 K2를 제거하여 출력한다. 캐리어주파수 K2는 후술할 주파수편이 결정 성분인 K1과 같이 적용되는 시스템의 사양이나 룩업테이블(20)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 주파수변조시 사용한 값과 동일하며 다음과 같이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의한 주파수복조기가 VHS 포맷의 VTR부분에 적용된 경우, 캐리어주파수가 싱크팁(sync tip)에서 화이트 레벨(white level)이 100%인 4.2MHz∼5.4MHz 사이에 해당하고, 시스템의 샘플링 클럭이 27MHz, 룩업테이블의 어드레스 데이타가 8비트, 룩업테이블의 출력 데이타가 10비트라고 하면, 최대 편차는 (5.4/27)×1024 = 204.8이 되고, 최소 편차는 (4.2/27)×1024 = 159.29가 된다.
따라서 (6)식에서
K2 + K1x(iT) = 204.8 (x(iT)=127일때).....(9)
K2 + K1x(iT) + 159.29(x(iT)=-127일때).....(10)
와 같은 등식이 성립한다. 이 등식에 의하여 변수인 K1, K2를 구할 수 있다.
K2성분이 제거된 신호가 감산기(70)에서 출력되면 곱셈기(80)는 주파수편이를 결정하는 성분인 K1에 대한 반비례치인 1/K1을 인가되는 신호에 승산하여 K1성분을 제거하여 출력시킨다.
저역필터(90)는 원래의 신호로 복원된 신호에 섞여 있는 고주파성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저역필터링하여 주파수복조된 신호를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주파수복조시 룩업테이블에 미리 주파수복조될 데이타를 저장하고 위상편이방식에 의하여 룩업테이블의 독출어드레스를 발생시키도록 디지탈 신호처리할 때 제로축을 지나지 않는 신호를 포함하는 주파수변조된 신호에 대하여 기울기 정도를 판별하여 위상보정함으로써, 종전의 디지탈신호처리시보다 주파수 복조의 정확도를 향상시킬수 있을 뿐 아니라 룩업테이블에 저장하는 주파수복조데이타를 최소화함으로써 룩업테이블에 사용되는 롬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기록 혹은 전송하고자 주파수변조된 신호를 원래의 신호로 복원하기 위한 디지탈 주파수복조기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변조된 신호의 변화에 따라 위상이 변화된 값을 주파수 복조된 값으로 출력하기 위한 주파수복조데이타를 저장하고 있는 룩업테이블;
    상기 주파수변조된 신호를 소정의 각도만큼 위상편이하고, 상기 위상편이에 의하여 출력된 신호와 상기 주파수변조된 신호의 절대치 크기를 비교하여 상기 룩업테이블로부터 독출될 정보에 대한 어드레스를 발생하기 위한 어드레스발생수단;
    상기 위상편이에 의하여 출력된 신호와 상기 주파수변조된 신호의 기울기를 판별하기 위한 기울기판별기;
    상기 기울기판별기의 기울기판별신호 및 상기 어드레스발생수단에서의 상기 위상편이에 의하여 출력된 신호와 상기 주파수변조된 신호의 절대치 크기를 비교한 결과에 따라서 상기 룩업테이블에서 출력된 위상값에 소정의 위상값을 연산하여 상기 룩업테이블에서 출력되는 위상값의 범위를 확장하기 위한 위상보정기;
    상기 위상보정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미분하기 위한 미분기;
    상기 미분기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대하여 상기 주파수복조기가 적용되는 시스템 규격 및 상기 룩업테이블의 크기에 의하여 결정되는 캐리어주파수를 결정하는 성분을 감산하여 상기 미분기에서 출력되는 신호 중 상기 캐리어주파수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감산기; 및
    상기 감산기에서 출력된 신호에 대하여 상기 캐리어주파수성분과 같은 조건으로 결정되는 주파수편이를 결정하는 성분을 반비례한 값을 곱하여 상기 감산기에서 출력되는 신호 중 상기 주파수편이를 결정하는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곱셈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주파수복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룩업테이블에 저장되는 주파수복조데이타는 π/4구간만큼의 아크탄젠트성분이 나타내는 위상값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주파수복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발생수단은 상기 주파수변조된 신호가 입력되면 위상만을 -90도 편이하여 출력하기 위한 위상편이기;
    상기 주파수변조된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위상편이기간동안 지연시키기 위한 지연기;
    상기 위상편이기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상기 지연기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절대값을 취하기 위한 절대값처기기;
    상기 절대값처리기의 출력신호를 비교하여 두 값중 큰값을 선택하기위한 비교 및 선택기; 및
    상기 비교 및 선택기의 결과에 따라 제어되어 상기 지연기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상기 위상편이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제산하기 위한 제산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주파수복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및 선택기는 상기 지연기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절대값이 상기 위상편이기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절대값보다 크면 상기 제산기가 상기 위상편이기의 출력신호를 상기 지연기의 출력신호로 제산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지연기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절대값이 상기 위상편이기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절대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제산기가 상기 지연기의 출력신호를 상기 위상편이기의 출력신호로 제산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주파수복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룩업테이블은 상기 지연기의 출력신호를 상기 위상편이기의 출력신호로 제산한 신호 또는 상기 위상편이기의 출력신호를 상기 지연기의 출력신호로 제산한 신호가 어드레스로 입력되면 상기 어드레스에 대하여 아크탄젠트를 수행한 값을 상기 위상보정기로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주파수복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판별기는 상기 주파수변조된 신호는 (+)이고 상기 위상편이에 의하여 출력된 신호가 (-)로 판별되면 1상한으로 판별하고, 상기 주파수변조된 신호와 상기 위상편이에 의하여 출력된 신호가 모두 (-)로 판별되면 2상한으로 판별하고, 상기 주파수변조된 신호는 (-)이고 상기 위상편이에 의하여 출력된 신호가 (+)인 경우에는 3상한으로 판별하고, 상기 주파수변조된 신호와 상기 위상편이에 의하여 출력된 신호가 모두 (+)로 판별되면 4상한으로 판별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주파수복조기.
KR1019930018014A 1993-09-08 1993-09-08 디지탈 주파수복조기 KR0132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8014A KR0132872B1 (ko) 1993-09-08 1993-09-08 디지탈 주파수복조기
JP6214896A JP2914556B2 (ja) 1993-09-08 1994-09-08 デジタル周波数復調器
US08/302,212 US5440269A (en) 1993-09-08 1994-09-08 Digital FM demodulator having an address circuit for a lookup t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8014A KR0132872B1 (ko) 1993-09-08 1993-09-08 디지탈 주파수복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0443A KR950010443A (ko) 1995-04-28
KR0132872B1 true KR0132872B1 (ko) 1998-04-21

Family

ID=19363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8014A KR0132872B1 (ko) 1993-09-08 1993-09-08 디지탈 주파수복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440269A (ko)
JP (1) JP2914556B2 (ko)
KR (1) KR01328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2607A (en) * 1996-02-01 1998-09-2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wideband data in a digital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JPH1117755A (ja) * 1997-06-25 1999-01-22 Futaba Corp 位相判定回路
JP3958513B2 (ja) * 2000-10-05 2007-08-15 三菱電機株式会社 ディジタルfm復調器、映像信号処理装置、及びディジタルfm復調方法
US6943847B2 (en) * 2001-08-31 2005-09-1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FM demodulator for SECAM decoder
US7006806B2 (en) * 2002-02-26 2006-02-28 Broadcom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AP FM demodulation
US7079657B2 (en) * 2002-02-26 2006-07-18 Broadcom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performing digital multi-channel audio signal decoding
KR20050115236A (ko) * 2003-02-14 2005-12-07 포커스 인핸스먼츠, 인코포레이티드 주파수 분할 다중화 장치 및 방법
US20050027771A1 (en) * 2003-07-30 2005-02-03 Broadcom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pproximating division
US7489362B2 (en) 2003-03-04 2009-02-10 Broadcom Corporation Television functionality on a chip
US8943118B2 (en) 2012-07-31 2015-01-27 Arm Limited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the size of a lookup table
DE102015219458A1 (de) * 2015-10-08 2017-04-13 Albert-Ludwigs-Universität Freiburg Schaltungsanordnung und verfahren zur digitalen korrektur von modulationseffekten bei elektromechanischen delta-sigma-modulatoren
US20200037181A1 (en) * 2018-07-30 2020-01-30 Rohde & Schwarz Gmbh & Co. Kg Radio frequency test system, measurement setup as well as method for testing a device under test
KR102615596B1 (ko) 2018-11-08 2023-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086512A (ko) * 2019-01-09 2020-07-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패턴 기반 복조 방식의 백스캐터 통신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48504A (en) * 1987-08-18 1989-02-23 Mitsubishi Electric Corp Fm demodulator
JPH01296704A (ja) * 1988-05-24 1989-11-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Fm復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440269A (en) 1995-08-08
KR950010443A (ko) 1995-04-28
JPH07170126A (ja) 1995-07-04
JP2914556B2 (ja)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2872B1 (ko) 디지탈 주파수복조기
US4317210A (en) Coherent receiver for angle-modulated data signals
US5465071A (en) Informatio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US5861773A (en) Circuit for detecting the locked condition of PSK or QAM
US5517689A (en) Phase detecting method and phase detector and FM receiver using phase detecting method
US4862098A (en) Continuous-wave-modulation detectors using prediction methods
US4608540A (en) Phase-shift keying demodulator
US4929905A (en) Synchronous demodulation circuit for a carrier-modulated television signal
EP0343892B1 (en) Digital FM demodulating apparatus
EP0484914B1 (en) Demodulator and method for demodulating digital signals modulated by a minimum shift keying
KR930011837B1 (ko) 클럭발생장치
JP2931454B2 (ja) ディジタル位相変調信号復調回路
KR0155732B1 (ko) 디지탈 주파수복조기
US601855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carrier
JP3568284B2 (ja) 復調方法および復調装置
KR970007881B1 (ko) 디지탈 주파수복조기
JPH0258826B2 (ko)
EP0599597B1 (en) Colour burst signal detection
KR19980021021A (ko) 디지탈 록 검출회로
US4638349A (en) Method of and circuit for digitally demodulating an amplitude-modulated signal produced by suppressed-carrier amplitude modulation of two carriers of the same frequencies in a phase-quadrature relationship
KR950004103B1 (ko) 복조 위상 에라 감쇄 회로
JP3088893B2 (ja) データ受信装置
JPH04207802A (ja) デジタル型fm信号復調装置
KR940011021B1 (ko) 디지탈 주파수복조방법 및 그 장치
JP2665375B2 (ja) 反転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