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2469Y1 - 자동차의 조향장치용 유니버셜조인트의 충격흡수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조향장치용 유니버셜조인트의 충격흡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2469Y1
KR0132469Y1 KR2019960020889U KR19960020889U KR0132469Y1 KR 0132469 Y1 KR0132469 Y1 KR 0132469Y1 KR 2019960020889 U KR2019960020889 U KR 2019960020889U KR 19960020889 U KR19960020889 U KR 19960020889U KR 0132469 Y1 KR0132469 Y1 KR 01324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versal joint
connecting shaft
caulking
molding pin
divi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08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7812U (ko
Inventor
박영문
Original Assignee
오상수
만도기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수, 만도기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상수
Priority to KR20199600208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2469Y1/ko
Publication of KR9800078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78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24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24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9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arrangements, e.g. by being yieldable or collap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02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adapted to specific functions
    • F16D3/12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adapted to specific functions specially adapted for accumulation of energy to absorb shocks or vib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4Frontal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종래 자동차의 조향장치에 적용되어지는 유니버셜조인트의 충격흡수작용을 원형상의 연결축과 이들을 연결하는 몰딩핀에 의해 수행함으로서 나타났던 여러가지 문제점등을 해결 보완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유니버셜조인트의 연결축을 2등분하고, 이들의 분단된 끝단부에 경사돌출부와 경사요홈부를 형성시켜서 이들을 결합한뒤 코킹 또는 몰딩핀에 의해 고정시켜서 된 것으로, 충격이 전달되면 완전하게 연결축이 분리되면서 충격하중을 컬럼샤프트로 전달되지 못하도록 차단할 수 있는 자동차의 조향장치용 유니버셜조인트의 충격흡수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조향장치용 유니버셜조인트의 충격흡수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용 조향장치에 적용되는 유니버셜조인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니버셜조인트의 연결축을 2등분하고, 이들의 분단된 끝단부에 경사돌출부와 경사요홈부를 형성시켜서 이들을 결합한 뒤 코킹 또는 몰딩핀에 의해 고정시켜서 된 것으로, 충격이 전달되면 완전하게 연결축이 분리되면서 충격하중을 컬럼샤프트및 핸들로 전달되지 못하도록 차단할 수 있는 자동차의 조향장치용 유니버셜조인트의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차용 조향장치에 적용되는 유니버셜조인트의 구성은 제6도에 나타내었다. 즉, 유니버셜조인트의 연결축(11)을 결합한뒤 이들의 결합부위에 여러개의 몰딩핀(12)을 성형시킨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전방충돌시에 그 충격력은 조향기구를 통해 유니버셜조인트의 연결축(11)으로 전달 되어진다.따라서, 연결축(11)들을 고정시키고 있는 여러개의 몰딩핀(12)이 파단되면서 충격을 흡수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의 종래 구성은, 몰딩핀이 파단된 후에도 계속 충격력이 컬럼샤프트로부터 전달되기 때문에 운전석의 핸들에까지 그 영향이 미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으며, 상기의 원형상의 연결축 2개를 서로 결합시킨 상태에서 별도의 공정인 몰딩핀 성형작업을 하여야 함으로 공정이 복잡해지고 코스트가 상승되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등을 해결 보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유니버셜조인트의 연결축에 충격하중이 전달되면 연결축이 완전 분리되면서 충격하중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안출된 것으로서, 유니버셜조인트의 연결축을 이등분하고, 상기의 등분된 연결축들의 단부에는 경사돌출부와 경사요홈부를 각각 형성시키며, 이들을 서로 끼워서 결합한뒤 경사요홈부의 좌,우측부를 코킹하여 이 코킹부에 의해 양 연결축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면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연결축 연결부에 코킹부 대신 통공을 형성하여 이에 몰딩핀을 성형시켜도 본 고안의 목적에 부합되어 진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적용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유니버셜조인트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작용을 나타낸 작용도.
제4도는 본 고안 제3도의 A-A선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제6도는 종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유니버셜조인트 2 : 연결축
3 : 경사돌출부 4 : 경사요홈부
7 : 몰딩핀
먼저, 제1도는 본 고안의 적용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 유니버셜조인트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로서, 핸들(8)과 연결된 컬럼샤프트(7)와 조향기구(6)를 연결하고 있는 유니버셜조인트(1)에 있어서, 상기 유니버셜조인트(1)의 연결축(2)을 2등분하고, 이등분된 연결축(2)의 단부에는 경사돌출부(3)와 경사요홈부(4)를 각각 형성시킨뒤, 이들을 서로 끼워서 결합하고, 상기 연결축(2)의 경사요홈부(4) 외측면에 코킹을 하여 코킹부(5)가 형성되도록된 구성이다. 또한, 상기의 연결부인 경사돌출부(3)와 경사요홈부(4)에 통공(6)을 형성시킨뒤 이에 몰딩핀(7)을 성형시켜도 본 고안의 목적에 어긋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차량의 정면충돌에 의해 조향기구(6)가 밀리면서 본 고안의 유니버셜조인트(1)로 충격하중이 전달되어오면 연결축(2)들의 연결부인 경사돌출부(3)와 경사요홈부(4)의 코킹부(5)가 이탈되면서 충격하중을 흡수하는 상태가 되고, 곧이어서, 상기의 코킹부(5)가 이탈되는 형상에 의해 경사요홈부(4)가 경사돌출부(3)로 부터 제3도의 가상선으로 표시한 것과 같이 미끄러지면서 엇갈리는 분리작용을 하기 때문에 충격하중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컬럼샤프트(7)와 핸들(8)로 절달되는 충격하중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5도와 같이 연결축(2)들의 경사돌출부(3)와 경사요홈부(4)에 코킹부(5) 대신에 통공(7)들을 형성시켜서 몰딩핀(7)을 성형한 구조에도, 상기한 바와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된다. 다만, 몰딩핀(7)이 파단되면서 충격을 흡수하는 것이다를 뿐이며, 코킹부(5)를 설치하는 것보다 공정이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을 뿐이다.
본 고안은, 2개로 분단된 유니버셜조인트의 연결축이 충격하중을 받았을때 서로 엇갈리는 이동을 하면서 분리되어지는 구성이므로 충격하중의 차단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원형상의 연결축에 몰딩핀을 성형하였던 종래의 구조보다 간단한 구조이므로 제작상의 간편함을 얻을 수 있게 되고, 코스트의 다운 효과도 얻을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유니버셜조인트(1)의 연결축(2)을 이등분하고, 상기의 등분된 연결축(2)들의 단부에는 경사돌출부(3)와 경사요홈부(4)를 각각 형성시키며, 이들을 서로 끼워서 결합한뒤 경사요홈부(4)의 좌,우측부를 코킹하여 이 코킹부(5)에 의해 양 연결축(2)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장치용 유니버셜조인트의 충격흡수장치.
  2. 상기 연결축(2)의 연결부에 코킹부(5) 대신 통공(6)들을 형성하여 이에 몰딩핀(7)을 성형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장치용 유니버셜조인트의 충격흡수장치.
KR2019960020889U 1996-07-15 1996-07-15 자동차의 조향장치용 유니버셜조인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324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0889U KR0132469Y1 (ko) 1996-07-15 1996-07-15 자동차의 조향장치용 유니버셜조인트의 충격흡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0889U KR0132469Y1 (ko) 1996-07-15 1996-07-15 자동차의 조향장치용 유니버셜조인트의 충격흡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7812U KR980007812U (ko) 1998-04-30
KR0132469Y1 true KR0132469Y1 (ko) 1998-12-15

Family

ID=19461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0889U KR0132469Y1 (ko) 1996-07-15 1996-07-15 자동차의 조향장치용 유니버셜조인트의 충격흡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246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7812U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2469Y1 (ko) 자동차의 조향장치용 유니버셜조인트의 충격흡수장치
JP2677545B2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コラム
KR200154278Y1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유니버셜 조인트 충격 하중 흡수 및 차단장치
KR200172332Y1 (ko) 자동차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 구조
KR200162933Y1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유니버셜 조인트 충격 하중 흡수 및 차단장치
KR100205862B1 (ko) 자동차의 조향장치용 유니버셜조인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67433B1 (ko) 자동차의 조향기용 유니버셜조인트의 충격흡수장치
KR200177748Y1 (ko) 꺾임식 유니버설 조인트의 중간 샤프트
KR0136323Y1 (ko) 차량 조향용 유니버샬 조인트의 충격에너지 흡수장치
KR0128038Y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에너지 흡수구조
KR19980049821U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유니버셜 조인트 충격 하중 흡수 및 차단장치
KR100380247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샤프트의 충격흡수장치
KR200154276Y1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유니버셜 조인트 충격 하중 흡수 및 차단장치
KR100458227B1 (ko) 스티어링컬럼의 이탈장치
KR20010097009A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장치
KR970004335Y1 (ko) 자동차용 조향핸들 칼럼의 충격에너지 흡수장치
KR19980055391U (ko)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방진형 중간조향축
KR100263834B1 (ko) 에어백용조향컬럼장착장치
KR19980056488A (ko) 자동차 스티어링 칼럼 샤프트 구조
KR100349254B1 (ko) 스티어링 칼럼 샤프트의 충격흡수 구조
KR100250080B1 (ko) 충격흡수가능의 조향컬럼
KR200150367Y1 (ko)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컬럼샤프트 충격흡수 구조
KR960004529Y1 (ko) 자동차 조향 칼럼의 충격흡수장치
KR19980045233U (ko) 차량범퍼의 충격흡수용 프론트 프레임
KR19990021259A (ko) 자동차의 조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