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2318Y1 - 콤바인 및 트랙터 겸용 곡물용기 - Google Patents

콤바인 및 트랙터 겸용 곡물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2318Y1
KR0132318Y1 KR2019950033353U KR19950033353U KR0132318Y1 KR 0132318 Y1 KR0132318 Y1 KR 0132318Y1 KR 2019950033353 U KR2019950033353 U KR 2019950033353U KR 19950033353 U KR19950033353 U KR 19950033353U KR 0132318 Y1 KR0132318 Y1 KR 01323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grain
combine
tractor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33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0367U (ko
Inventor
김완수
Original Assignee
김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완수 filed Critical 김완수
Priority to KR20199500333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2318Y1/ko
Publication of KR9700203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03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23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23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08Tanks for grain or chaff
    • A01D41/1217Unload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4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 A01B59/042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having pulling means arranged on the rear part of the tract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90/00Vehicles for carrying harvested crops with means for selfloading or unloading
    • A01D90/02Loading mea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콤바인으로 수학한 곡물을 수거하여 이를 트랙터로 운반하고 용기내의 곡물은 배출장치를 통하여 사일로 또는 곡물건조기 등에 직접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곡물용기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경우처럼 콤바인으로 수확한 곡물을 포대로 담아 운반하고 이를 건조기 등에 투입하였을 때 오는 인력과 노동력의 낭비를 제거할 목적으로 안출된 것이다.
본 고안은 곡물을 수용하는 장방형 용기(1)와 수용된 곡물을 수평이송스크류 및 수직이송스크류를 포함하는 배출장치(2)로 구성되고, 용기전면에는 트랙터결착구(13)가 형성되어 콤바인으로 채취한 곡물을 수용하여 트랙터로 이송한 후 배출장치를 통하여 사일로 또는 곡물건조기에 서서히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및 트랙터 겸용 곡물 용기를 새로이 제시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콤바인으로 수확한 곡물을 용기에 저장하고 용기는 트랙터로 직접운반하며, 운반후에는 사일로 또는 건조기 등에 직접투입할 수 있어 인력을 감소시키고 노동생산성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콤바인 및 트랙터 겸용 곡물용기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성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측단면 구성도.
제3도는 제2도의 A부 확대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평면상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도.
제6도는 본 고안을 콤바인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상태도.
제7도는 본 고안을 트랙터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용기 11 : 바닥면
12 : 수평이송통로 13 : 트랙터결착구
2 : 배출장치 22 : 수평이송스크류
23 : 수직이송관 24 : 수평이송스크류 축
25 : 결합기어 26 : 수직이송스크류
27 : 배출슈트
본 고안은 콤바인으로 거두어 들인 곡물을 담는 곡물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상세히는 콤바인으로 수확한 곡물을 수거하여 이를 트랙터로 운반하고 용기내의 곡물은 배출장치를 통하여 사일로 또는 곡물건조기 등에 직접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곡물용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경우 콤바인으로 수확한 곡물은 포대에 담아 경운기나 트랙터로 운반하도록 되어있어 콤바인을 조작하는 사람과 곡물배출기를 통해 쏟아지는 곡물을 포대에 담는 사람 및 이를 트랙터등으로 운반하는 사람을 필요로하여 수확작업에 드는 인원이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포대에 담은 곡물은 운반후 다시 풀어 건조기 등에 투입하여야 함으로 힘이 많이 들고 노동효율성이 매우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콤바인으로 채취한 곡물이 용기에 그대로 채워지도록 하고 곡물을 채운 용기는 트랙터로 들어 사일로 또는 곡물건조기 등에 운반하여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의 곡물용기를 제시함으로서 곡물의 수확 및 운반에 드는 인력 및 노동력을 감소시키고 곡물의 수확 및 운반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노동 효율성을 개선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내지 제3도는 본 고안의 기본 구성을 보인 것으로 본 고안이 곡물을 수용하는 장방형 용기(1)와 수용된 곡물을 배출시키는 배출장치(2)로 구성됨을 보인 것이다.
용기(1)는 그 바닥면(11)이 하방으로 경사지고 바닥면의 기저부에는 용기의 내부 전방에서 시작하여 후면을 관통하는 수평이송통로(12)가 형성되고, 전면에 트랙터 결착구(13)가 형성되며, 용기 후면의 수평이송통로(12) 단부에 용기상면으로 돌출되도록 수직이송관(23)이 설치되고, 수직이송관의 상부에 일정각으로 회동가능하도록 배출슈트(27)가 결합되는 구성을 갖는다.
배출장치(2)는 수평이송통로(12)에 설치한 수평이송스크류(22)와 수직이송관(23)상에 설치되는 수직이송스크류(26)가 결합기어(25)에 의해 상호 결합되고 용기전면으로 노출되는 수평이송스크류축(24)에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수평이송스크류(22) 및 수직이송스크류(26)가 회전함으로서 용기 내의 곡물을 배출슈트(27)를 통하여 배출되게 하는 구성을 갖는다.
제3도는 수평이송스크류와 수직이송스크류를 결합하는 결합기어(25)를 보인 것으로 수평이송스크류(22)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수직이송스크류(26)를 가동하는 구조로 된 것으로 수평이송통로로부터 이송된 곡물은 수직이송스크류에 의해 상승하면서 배출슈트(27)를 통하여 강제배출되는 작용에 의해 용기내부의 곡물을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수직이송관을 높게 형성하는 것은 사일로 또는 건조기 등의 투입구 위치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배출슈트를 수직통로 상단부에 강결하지 않고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유로이 회동하도록 결합함으로서 배출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용기전면에 형성한 트랙터 결착구(13)는 용기전면의 상부에 설치되어 트랙터크레인(51)에 결합되는 결착구와 하부에 설치되어 트랙터의양 견인고리(52)에 결합되는 결착구로 구성되어 트랙터의 크레인 및 견인고리가 용기를 3점에서 지지함으로서 승하강과 이동시 안정된 결착구조를 갖는다.
수평이송스크류에 동력을 전달하는 장치로 수평이송스크류축(24)에 직접연결되는 유압모터(4)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유압모터는 트랙터로 부터 제공되는 유압으로 구동되며 유압의 제어에 의해 속도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제5도는 상기한 동력전달장치로 트랙터의 구동축(PTO축, 57)을 이용할 경우의 구성을 보인 것으로, 용기의 전면 상부에 트랙터의 구동축에 접속하는 풀리(53)를 형설하고 수평이송스크류축(24)에도 풀리(54)를 결착하여 벨트(55)로 연결한 구성한 것을 보인 것이다.
트랙터의 구동축에 연결한 동력전달 방식은 유압장치를 구비하지 못한 트랙터의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제6도는 상기한 구성의 곡물용기를 콤바인(6)에 장착사용하는 것을 보인 것이며, 제8도는 트랙터(7)에 장착하여 운반하고 사일로(8)에 곡물을 배출시키는 상태를 표시한 것이다.
미설명 부호 56은 트랙터구동축과 벨트풀리축을 연결하는 조인트를 표시한 것이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곡물용기는 콤바인의 곡물배출구(61)쪽에 놓은 상태에서 콤바인을 조작하면 채취된 곡물이 자동으로 용기에 채워지고, 용기가 어느정도 채워지면 트랙터에 체결하여 콤바인으로부터 용기를 들어내 사일로 또는 건조기가 있는 곳으로 운반하며, 트랙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용기내부의 곡물을 배출시키고, 여분의 용기를 가지고 있는 경우 이와 같은 조작을 반복함에 의해 콤바인의 작업을 중단없이 진행할 수 있다.
본 고안은 곡물을 높은 위치로 옮길 때도 매우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이와 같은 사용에 의해 콤바인조작자 및 트랙터 조작자만 있으면 수확에서 운반 및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곡물을 포대에 담아 운반할 필요가 없어 노동력을 획기적으로 절약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곡물을 수용하는 장방형 용기(1)의 바닥면(11)을 하방으로 경사지게 구성하여 그 기저부에 용기의 내부 전방에서 시작하여 후면을 관통하는 수평이송통로(12)를 설치하고, 용기 후면의 수평이송통로(12) 단부에 용기상면으로 돌출되도록 수직이송관(23)을 설치하며, 수직이송관(23)의 상부에 일정각으로 회동가능하도록 배출슈트(27)을 결합하고, 수평이송통로상에 설치되는 수평이송스크류(22)와 수직이송관(23)에 설치되는 수직이송스크류(26)가 결합기어(25)에 의해 상호 결합되고 용기전면으로 노출되는 수평이송스크류축(24)에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수평이송스크류 및 수직이송스크류가 회전됨으로서 용기내의 곡물이 배출슈트(27)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구성의 배출장치(2)를 결합하며, 용기전면에는 트랙터 결착구(13)을 형성함으로서 콤바인으로 수확한 곡물을 용기에 직접수용할 수 있도록 하고 곡물이 채워진 용기는 트랙터로 견인하여 내부의 곡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및 트랙터 겸용 곡물용기.
KR2019950033353U 1995-11-10 1995-11-10 콤바인 및 트랙터 겸용 곡물용기 KR01323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3353U KR0132318Y1 (ko) 1995-11-10 1995-11-10 콤바인 및 트랙터 겸용 곡물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3353U KR0132318Y1 (ko) 1995-11-10 1995-11-10 콤바인 및 트랙터 겸용 곡물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0367U KR970020367U (ko) 1997-06-18
KR0132318Y1 true KR0132318Y1 (ko) 1998-12-01

Family

ID=19428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3353U KR0132318Y1 (ko) 1995-11-10 1995-11-10 콤바인 및 트랙터 겸용 곡물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231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4806A (ko) * 2001-03-27 2001-06-05 강영대 곡물 운송용 적재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5019B1 (ko) * 2019-12-20 2020-06-19 바우컴퍼니주식회사 농작물 수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4806A (ko) * 2001-03-27 2001-06-05 강영대 곡물 운송용 적재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0367U (ko) 1997-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65829A (en) Pallet with hopper and auguer and method for distributing particular material
US4274790A (en) Granular material unloading vehicle with pressure-relief box
US5980189A (en) Portable grain cart
EP1606990B1 (en) Grain cart with intermodal container loader
US4444509A (en) Feed mixing apparatus
US4088272A (en) Bale loader and shredder
US4892259A (en) Apparatus for receiving, transporting, chopping, and dispensing blocks of fodder
US2926477A (en) Self-propelled forage harvester with common conveying means for loading and unloading thereof
WO2000041928A1 (en) Sand hopper for filling bags
CA1105448A (en) Feed mixing apparatus
KR0132318Y1 (ko) 콤바인 및 트랙터 겸용 곡물용기
US6575615B2 (en) Livestock mixer and feeder
US3439819A (en) Device for filling grain drills and the like
JPS60131391A (ja) 鮮魚運搬船の氷の移送装置
CN108834580A (zh) 农牧业多功能一体机
KR200468739Y1 (ko) 가수 장치를 구비한 tmr 배합-운송 차량
US4438885A (en) Manure loader
US4373845A (en) Animal feed transport and self-unloading vehicle
US3391779A (en) Vertical auger with tilting hopper
KR200451630Y1 (ko) 동력 배출장치를 구비한 곡물적재함의 보조 배출장치
EP0826302B1 (en) Material dispensing apparatus
CN219478530U (zh) 一种水肥一体化设备
SU1186127A1 (ru) Способ уборки с пол растительной массы
KR0132320Y1 (ko) 트랙터용 트레일러를 이용한 그레인 호퍼
JP3076074U (ja) 肥料分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