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2224Y1 - 표면 실장기의 전자 부품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표면 실장기의 전자 부품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2224Y1
KR0132224Y1 KR2019960006287U KR19960006287U KR0132224Y1 KR 0132224 Y1 KR0132224 Y1 KR 0132224Y1 KR 2019960006287 U KR2019960006287 U KR 2019960006287U KR 19960006287 U KR19960006287 U KR 19960006287U KR 0132224 Y1 KR0132224 Y1 KR 01322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rotatably coupled
surface mounter
arm
compon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62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6405U (ko
Inventor
이준식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20199600062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2224Y1/ko
Publication of KR9700564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640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22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22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17Feeding with belts or tapes
    • H05K13/0419Feeding with belts or tapes tape fee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02Web delivery apparatus, the web serving as support for articles, material or another web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04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 H05K13/0408Incorporating a pick-up tool
    • H05K13/0409Suc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표면 실장기에 설치되는 헤드부의 노즐이 정확하고 용이하게 부품을 흡착시킬 수 있도록 동작을 원활하게 하면서 동시에 부품의 정렬을 최대한 안정된 상태로 유지시켜 부품 실장시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고, 부품의 이송 거리를 확대하여 다양한 부품에 신축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므로 인해 기기의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킨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테이프 이송부(1)에 폴 플레이트(2) 일단의 아암(3)이 제1링크(4)의 일단과 회동간으하게 결합되고, 제1링크(4)의 타단과 제2링크(5)의 일단이 전동부(6)에 전동 링크(7)의 일단과 함께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링크(5)의 타단과 제3링크(8)의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제3링크(8)의 타단에는 구동력을 주기 위한 공압 실린더(9)와 직접 접촉하는 로울러(1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표면 실장기의 전자 부품 공급장치이다.

Description

표면 실장기의 전자 부품 공급장치
제1도는 종래 표면 실장기의 전자 부품 공급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을 나타낸 정면도.
제3도의 (a),(b),(c)는 제2도의 요부 동작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테이프 이송부 2 : 폴 플레이트
3 : 아암 4 : 제1링크
5 : 제2링크 6 : 전동부
7 : 전동 링크 8 : 제3링크
9 : 공압 실린더 10 : 로울러
본 고안은 표면 실장기의 전자 부품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표면 실장기에 설치되는 헤드부의 노즐이 정확하고 용이하게 부품을 흡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최근 전자 산업의 발달에 따라 인쇄회로기판의 실장 기술도 날로 발전되고 있는데, 특히 전자 기술의 발전에 따라 전자 부품은 더욱 소형, 경박화되고 있으며, 고정밀도의 부품 실장이 요구됨에 따라 인쇄회로기판의 부품 실장 기술도 인쇄회로기판의 표면에 직접, 고밀도의 부품을 실장하는 표면 실장 기술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은 표면 실장 기술은 전자 부품이 대부분 테이프 롤 타입(Tape Roll Type)으로 되어 있는 점으로 보아 전자 부품 공급장치의 다양화와 안정화 및 신뢰성이 강력이 요구되고 있다.
종래 표면 실장기의 전자 부품 공급장치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드부(11a)의 푸셔(20)에 의해 연동되는 테이프 이송부(1a)와, 전자 부품을 안정된 상태로 이송시킴과 동시에 헤드부(11a)의 부품 흡착 장치인 노즐(12)에 의해 흡착할 수 있도록 보호하는 테이프 안내부(21)와, 부품의 테이프 상면에 접착되어 부품의 이탈을 방지하는 비닐을 회수하기 위한 비닐 회수부(22)와, 전자 부품이 롤 타입으로 권취되어 있는 부품을 지지하기 위한 테이프 권취부(23)와, 상기 테이프 이송부(1a)와 비닐 회수부(22)를 연동시키는 전동부(6a)로 크게 구성된다.
따라서, 헤드부(11a)의 푸셔(20)가 하강함과 동시에 푸쉬 로드(24)를 누르면서 노즐(12)로 전자 부품을 흡착시키게 되는데, 푸쉬 로드(24)의 수직 변위만큼 폴 플레이트(2a) 일단의 아암(3a)에서 회동되는 진행 폴(16)은 래칫(17)은 치(이빨)를 스치면서 회동됨과 동시에 노즐(12)이 부품을 흡착하여 푸셔(20)가 상승하게 되면 푸쉬 로드(24)도 동반하여 상승하게 된다.
이때, 진행 폴(16)의 차가 래칫(17)의 치와 접속되면서 원래의 위치대로 복귀, 회동하게 된다.
푸쉬 로드(24)의 수직 변위를 받는 부분은 테이프 이송부(1a)에 폴 플레이트(2a) 일단의 아암(3a)과 전동부(6a)에 전동 링크(7a) 일단의 아암과의 연결 부분인데, 전동부(6a)에 전동 링크(7a)의 중앙에 설치된 축(14a)을 중심으로 전동 링크(7a)의 타단이 비닐회수부(22)에 링크 레버(15a)의 타단에 회동 변위를 주어 테이프 안내부(21)에서 분리된 비닐을 일정한 장력을 주면서 회수하게 됨에 따라 상기의 과정을 반복하면서 부품을 일정한 간격으로 흡착시키므로 비닐을 회수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장치는 헤드부(11a)의 푸셔(20)가 하강하여 푸쉬 로드(24)를 누르게 되면 푸쉬 로드(24)와 연동되는 폴 플레이트(2a), 래칫(17), 진행 폴(16), 역전 방지폴(19), 폴 스프링(18), 전동부(6a)와 연동되는 비닐 회수부(22)의 스프링(25)과의 역학 관계에서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즉, 푸쉬 로드(24)는 폴 플레이트(2a) 일단의 아암(3a)과 전동부(6a)에 전동 링크(7a) 일단의 아암과의 연결부가 일체로 되어 있지 않고, 분리된 상태에서 접촉되어 있음에 따라 여기서 발생되는 진동이 부품의 이송시 부품을 테이프의 밖으로 튀어 올라오게 하거나, 부품의 정렬 상태를 흐뜨려 놓아 흡착시의 효율을 저하시키게 되며, 진행 폴(16)의 회동 거리에 제한이 따르게 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표면 실장기에 설치되는 헤드부의 노즐이 정확하고 용이하게 부품을 흡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품의 정렬을 최대한 안정된 상태로 유지시켜 부품 실장시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표면 실장기의 전자 부품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테이프 이송부에 폴 플레이트 일단의 아암이 제1링크의 일단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링크의 타단과 제2링크의 일단이 전동부에 전동 링크의 일단과 함께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링크의 타단과 제3링크의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제3링크의 타단에는 구동력을 주기 위한 공압 실린더와 직접 접촉하는 로울러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표면 실장기의 전자 부품 공급장치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을 나타낸 정면도익, 제3도의 (a),(b),(c)는 제2도의 요부 동작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표면 실장기에 설치되는 테이프 이송부(1)에 폴 플레이트(2) 일단의 아암(3)이 제1링크(4)의 일단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링크(4)의 타단과 제2링크(5)의 일단이 전동부(6)에 전동 링크(7)의 일단과 함께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링크(5)의 타단과 제3링크(8)의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제3링크(8)의 타단에는 구동력을 주기 위한 공압 실린더(9)와 직접 접촉하는 로울러(1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제2도 및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 실장기가 동작되고, 헤드부(11)의 노즐(12)이 전자 부품 공급장치의 부품 흡착 위치에 오게 되면 별도의 전자 부품 공급장치의 구동 장치로서 테이프 이송부(1)에 제3링크(8) 타단의 로울러(10)와 직접 접촉하도록 설치된 공압 실린더(9)가 동작하게 되는데, 제3도의 (a)와 같이 공압 실린더(9)가 동작되기 직전의 상태에서 공압 실린더(9)가 수직(상하) 방향으로 동작하면 공압 실린더(9)의 상단이 상기 제3링크(8)의 타단에 설치된 로울러(10)의 하단부를 일정한 높이만큼 밀어 올리게 된다.
이때, 제3링크(8)의 중심축(13)을 회전 중심으로 제3도의 (b)와 같이 제3링크(8)의 일단이 하방으로 향해 회동하게 됨과 동시에 계속해서 제3링크(8)의 일단은 제2링크(5)의 타단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제3링크(8) 일단의 궤적을 같이 수반하게 되고, 제2링크(5)의 일단은 전동부(6)에 전동 링크(7)의 일단 및 제1링크(4)의 타단과 함께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데, 이때의 회동력이 전동부(6)의 타단에 전달된다.
또한, 전동부(6)에 전동 링크(7)의 일단은 중심축(14)을 회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는데, 전동부(6)의 타단은 링크 레버(15)의 일단을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킴과 동시에 제1링크(4)의 타단은 제3도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강하게 되며, 폴 플레이트(2) 일단의 아암(3)과 궤적을 같이하고, 폴 플레이트(2) 타단의 아암에서 회동하는 진행 폴(16)이 적정 변위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전자 부품의 이송을 래칫(17)의 1 내지 2 이상 클릭씩의 회동에 해당하는 이송을 시키게 된다.
여기서, 공압 실린더(9)의 수직 방향 행정은 폴 플레이트(2)의 회동 거리에 비례하게 된다.
즉, 공압 실린더(9)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면 폴 플레이트(2) 타단의 아암에 설치된 폴 스프링(18)이 복원력이 회복되고, 역전 방지폴(19)의 복원력도 회복되어 제3도(a)의 최초 상태를 유지하면서 동작을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표면 실장기에 설치되는 헤드부(11)의 노즐(12)이 정확하고 용이하게 부품을 흡착시킬 수 있도록 동작을 원활하게 하면서 동시에 부품의 정렬을 최대한 안정된 상태로 유지시켜 부품 실장시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고, 부품의 이송거리를 확대하여 다양한 부품에 신축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므로 인해 기기의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킨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테이프 이송부에 폴 플레이트 일단의 아암이 제1링크의 일단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링크의 타단과 제2링크의 일단이 전동부에 전동 링크의 일단과 함께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링크의 타단과 제3링크의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제3링크의 타단에는 구동력을 주기 위한 공압 실린더와 직접 접촉하는 로울러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실장기의 전자 부품 공급장치.
KR2019960006287U 1996-03-28 1996-03-28 표면 실장기의 전자 부품 공급장치 KR01322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6287U KR0132224Y1 (ko) 1996-03-28 1996-03-28 표면 실장기의 전자 부품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6287U KR0132224Y1 (ko) 1996-03-28 1996-03-28 표면 실장기의 전자 부품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6405U KR970056405U (ko) 1997-10-13
KR0132224Y1 true KR0132224Y1 (ko) 1999-04-15

Family

ID=19452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6287U KR0132224Y1 (ko) 1996-03-28 1996-03-28 표면 실장기의 전자 부품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222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6405U (ko) 199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114319B2 (ja) チップ形電子部品の供給装置
JPS6314518B2 (ko)
EP0889688B1 (en)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device
CN1231110C (zh) 零件供应装置
KR0132224Y1 (ko) 표면 실장기의 전자 부품 공급장치
KR100298630B1 (ko) 표면실장기의테이프릴비닐회수장치
KR0152878B1 (ko) 표면실장기의 전자부품공급장치
KR100254251B1 (ko) 칩마운터테이프의피더
KR960004359Y1 (ko) 표면실장기의 전자부품 공급장치
JP3039007B2 (ja) 電子部品供給装置
JP3123188B2 (ja) 部品供給装置および部品実装機
JP2803097B2 (ja) チップ電子部品供給装置
JP2629277B2 (ja) 部品供給装置
KR101070896B1 (ko) 캐리어테이프 피더
JP3959287B2 (ja) 電子部品実装装置
KR0121157B1 (ko) 표면실장기의 전자부품 공급장치
JPS63178593A (ja) 電子部品供給装置
JPH05160599A (ja) チップ電子部品供給装置
KR0132420B1 (ko) 프린터의 낱장 자동 급지장치
JPH0521987A (ja) チツプ電子部品供給装置
JPS6118627A (ja) 電子部品供給装置
KR100364964B1 (ko) 칩 마운터용 테이프 피더
KR200145259Y1 (ko) 반도체칩 테이프의 덮개비닐 분리장치
JPH07115294A (ja) 基板搬送装置
JPS60152100A (ja) 電子部品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