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2201Y1 - 마그네트론의 출력부 조립용지그 - Google Patents

마그네트론의 출력부 조립용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2201Y1
KR0132201Y1 KR2019950030014U KR19950030014U KR0132201Y1 KR 0132201 Y1 KR0132201 Y1 KR 0132201Y1 KR 2019950030014 U KR2019950030014 U KR 2019950030014U KR 19950030014 U KR19950030014 U KR 19950030014U KR 0132201 Y1 KR0132201 Y1 KR 01322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guide rod
magnetron
brazing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00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0037U (ko
Inventor
홍순건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500300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2201Y1/ko
Publication of KR9700200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00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22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22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01J9/26Sealing together parts of vess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5/00Transit-time tubes, e.g. klystrons, travelling-wave tubes, magnetrons
    • H01J25/50Magnetrons, i.e. tubes with a magnet system producing an H-field crossing the E-fie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wave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주파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의 출력부를 조립하는 조립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써, 좀더 구체적으로는 조립작업에 따른 브레이징작업시 부품과 지그 사이에서 발생되는 압력의 변화를 최소화하여 출력부의 정밀한 조립작업이 가능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베이스(7)상에 가이드봉(6)을 다단으로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봉에 출력부의 부품(9a∼9g)과 브레이징재(10a∼10f)를 차례로 적층하도록 된 것에 있어서, 가이드봉(6)의 외주면에 중심축과 동일한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1개 이상의 절결홈(6a)을 형성하여 상기 절결홈을 통해 브레이징재의 가열시 팽창되는 공기가 외부로 빠져 나가도록 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마그네트론의 출력부 조립용지그
제1도는 일반적인 마그네트론의 몸체부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2도는 종래의 조립용지그에 출력부가 조립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결합상태 종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요부인 조립용지그를 나타낸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조립용지그에 출력부가 조립된 상태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 가이드봉 6a : 절결홈
7 : 베이스 9a∼9g : 출력부의 부품
10a∼10f : 브레이징재
본 고안은 고주파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의 출력부를 조립하는 조립용지그에 관한 것으로써, 좀더 구체적으로는 조립작업에 따른 브레이징작업시 부품과 지그 사이에서 발생되는 압력의 변화를 최소화하여 출력부의 정밀한 조립작업이 가능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이크로파를 생성하여 캐비티의 내부로 송출하는 마그네트론은 제1도와 같이 중심의 축방향으로 직렬형 필라멘트(1)가 설치되고, 그 주변에는 양극구 조물인 원통형의 애노드(2)가 설치된 일종의 2극 진공관으로써, 전자레인지의 전장부에 설치되어 식품류의 해동 및 가열에 이용되는 핵심부품이다.
상기한 마그네트론은 몸체부와 외장부로 구성된다.
첨부도면 제1도는 일반적인 마그네트론의 몸체부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써, 몸체부는 크게 출력부(4)와 양극부(3) 그리고 음극부(5)의 3개로 구성된다.
상기한 각 부분은 별도의 공정에서 각각 조립된 후, 양극부(3)를 중심으로 상부에 출력부(4)가 고정되고, 하부에는 음극부(5)가 용접 고정된다.
이들 각 부분의 부품조립은 각각 별도의 전용지그를 이용하여 조립되는 부품의 형상에 맞게 실시하게 된다.
상기한 부품의 조립과정을 살펴보면, 각각의 부품간에는 브레이징재를 삽입한 후 고온의 수소브레이징로(蘆)를 통과시키면 각각의 부품 사이에 삽입된 브레이징재가 녹아 부품을 일체화시키게 되므로 부품의 조립작업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각 부분의 조립작업이 완료되면 양극부(3)를 중심으로 출력부(4)와 음극부(5)가 제1도와 같이 용접되어 몸체부를 이루는데, 상기 몸체부의 조립에 따른 치수의 정밀도는 마그네트론의 전기적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각 조립용 지그의 치수정밀도 및 형상의 관리상태와, 조립전 각 부품의 가공정밀도, 브레이징재의 성분, 그리고 수소브레이징로의 조건 등이 마그네트론의 정밀생산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로 작용된다.
종래의 출력부 조립과정을 살펴보면,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단으로 형성된 가이드봉(6)과 베이스(7)로 구성된 출력부 조립용지그(8)에 출력부의 부품(9a∼9g)을 차례로 삽입할 때 상기 부품의 사이에 브레이징재(10a∼10f)를 위치시키면서 적층하게 된다.
이와 같이 조립용지그(8)에 부품과 브레이징재를 차례로 적층시키고 난 다음에는 최상부에 중량체인 웨이트(11)를 얹어 각 부품과 브레이징재가 조립용지그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한다.
그후, 상기 조립된 출력부를 수소 브레이징로에 투입하고 상기 수소 브레이징로의 내부를 가열하여 로내의 온도가 900℃정도 되도록 하면, 각 부품 사이에 위치된 브레이징재가 녹아 액체화되면서 인접된 부품간의 틈새로 스며들게 된다.
이와 같이 브레이징재가 녹아 각 부품사이의 틈새로 스며든 상태에서 냉각시키면 브레이징재가 굳게 되므로 부품간에 기밀이 유지된 상태로 일체화된다.
이때, 통상 인접된 부품간의 틈새가 0.05㎜∼0.125㎜인 경우 가장 양호한 용접 상태를 나타낸다.
만약 틈새가 상기한 범위보다 클 경우에는 액체화된 브레이징재가 틈새를 통해 흘러 내리게 되고, 이와는 반대로 틈새가 상기한 범위보다 작을 경우에는 액체화된 브레이징재가 틈새 사이로 스며들지 못하게 되므로 부품간의 용접상태가 취약해지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조립용지그(8)는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단으로 형성된 원통형의 가이드봉(6)과, 베이스(7)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조립용지그에 부품(9a∼9g)과 브레이징재(10a∼10f)를 차례로 적층하면 부품과 조립용지그 사이에 제3도와 같이 밀폐된 공간부(12)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수소 브레이징로의 내부에서 브레이징재를 녹이기 위해 가열시킬 때 공간부(12)내의 공기압력이 고온에 의해 상승하여 팽창되면서 적층된 부품을 밀어내게 되므로 조립된 부품의 위치가 가변되므로 조립완료된 출력부의 치수정밀도를 저하시케기 된다.
또한, 공간부(12)내의 공기들이 고온에 의해 압력이 상승되어 팽창되면서 부품 사이에 위치된 브레이징재를 외측으로 밀어낼 경우에는 부품간의 용접불량을 야기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제조완료된 마그네트론의 전기적 특성이 현저히 저하되지만, 수소 브레이징로내의 작업이 밀폐된 공간내에서 약 2시간동안 실시되므로 작업자가 불량이 발생됨은 공정중에는 인지하지 못하고, 작업완료후에 알 수 있게 되므로 공간부내의 공기팽창에 따른 불량 발생에 대해 신속하게 대체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조립용지그의 구조를 개선하여 가이드봉과 부품사이의 공기들이 로내의 고온에 의해 팽창될 때 외부로 신속하게 빠져나가도록 하여 공기의 팽창에 따른 부품 및 브레이징재의 위치가 가변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베이스상에 가이드봉을 다단으로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봉에 출력부의 부품과 브레이징재를 차례로 적층하도록 된 것에 있어서, 가이드봉의 외주면에 중심축과 동일한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1개 이상의 절결홈을 형성하여서 된 마그네트론의 출력부 조립용지그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면 제4도 및 제5도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4도는 본 고안의 요부인 조립용지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제5도는 본 고안의 조립용지그에 출력부가 조립된 상태의 종단면도로써, 본 고안은 베이스판(7)의 상부로 돌출형성되는 가이드봉(6)의 외주면에 중심축과 동일한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1개 이상의 절결홈(6a)을 형성하여 상기 절결홈을 통해 브레이징재의 가열시 팽창되는 공기가 외부로 빠져 나가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술한 종래의 설명에서와 같이 조립용지그(8)의 가이드봉(6)에 출력부의 부품(9a∼9g)을 차례로 삽입할 때 상기 부품의 사이에 브레이징재(10a∼10f)를 위치시키면서 적층한 다음에는 최상부에 중량체인 웨이트(11)를 얹어 각 부품과 브레이징재가 조립용지그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한다.
그후, 상기 조립된 출력부를 수소 브레이징로에 투입하여 로내의 온도가 900℃정도가 되게 가열하면, 각 부품 사이에 위치된 브레이징재가 녹아 액체화되면서 인접된 부품간의 틈새로 스며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가열시 가이드봉(6)과 부품사이의 공간부(12)내에 위치된 공기가 팽창될려고 하지만, 가이드봉(6)의 외주면에 중심축과 동일한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절결홈(6a)을 통해 공간부내의 공기가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되므로 가이드봉에서 부품의 위치가 가변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가이드봉의 외주면에 절결홈을 형성하는 간단한 구조 변경으로 부품의 브레이징시 위치가 가변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므로 마그네트론의 원가절감, 생산성향상, 안정적인 품질향상을 꾀하게 된다.

Claims (1)

  1. 베이스상에 가이드봉을 다단으로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봉에 출력부의 부품과 브레이징재를 차례로 적층하도록 된 것에 있어서, 가이드봉의 외주면에 중심축과 동일한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1개 이상의 절결홈을 형성하여서 된 마그네트론의 출력부 조립용지그.
KR2019950030014U 1995-10-24 1995-10-24 마그네트론의 출력부 조립용지그 KR01322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0014U KR0132201Y1 (ko) 1995-10-24 1995-10-24 마그네트론의 출력부 조립용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0014U KR0132201Y1 (ko) 1995-10-24 1995-10-24 마그네트론의 출력부 조립용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0037U KR970020037U (ko) 1997-05-26
KR0132201Y1 true KR0132201Y1 (ko) 1998-12-01

Family

ID=19426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0014U KR0132201Y1 (ko) 1995-10-24 1995-10-24 마그네트론의 출력부 조립용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220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0037U (ko) 1997-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52936A (en) Gas laser, particularly ion laser
US4056756A (en) Anode assembly for electron discharge devices
KR0161015B1 (ko) 마그네트론의 음극지지구조체
KR0132201Y1 (ko) 마그네트론의 출력부 조립용지그
US4736379A (en) Conduction cooled ion laser
US3936767A (en) Cold cathode gas lasers
EP1557858B1 (en) Magnetron
US3423632A (en) Electron discharge device construction
US6222319B1 (en) Magnetron apparatus having a segmented anode edges and manufacturing method
US2458802A (en) Magnetron assembly and method
US6670761B1 (en) Magnetron having straps of different materials to enhance structural stability
US3608167A (en) Method for fabricating a "rising sun" magnetron anode
US3032681A (en) Magnetron device
KR20050026596A (ko) 전자레인지용 마그네트론
US2564716A (en) Magnetron and method of manufacture
KR100351790B1 (ko) 전자레인지용마그네트론의아노드구조및아노드제조방법
CA2395263C (en) Magnetron anodes
US3412283A (en) Coaxial magnetron in which the anode is welded to the body
KR940009316B1 (ko) 전자레인지용 마그네트론의 음극체
KR970009774B1 (ko) 마그네트론의 양극부 제조방법 및 애노드
US3541405A (en) Hermetically sealed variable capacitor with optimum movable plate shaft bearing structure
WO1982003950A1 (en) Improved gas laser
KR0122691Y1 (ko) 마그네트론의 음극지지구조체
KR940006446Y1 (ko) 전자렌지용 마그네트론
KR830001012B1 (ko) 기밀봉착용 부재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