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2134B1 - 디지탈 노래반주 시스템용 플래시 카드 - Google Patents

디지탈 노래반주 시스템용 플래시 카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2134B1
KR0132134B1 KR1019940006116A KR19940006116A KR0132134B1 KR 0132134 B1 KR0132134 B1 KR 0132134B1 KR 1019940006116 A KR1019940006116 A KR 1019940006116A KR 19940006116 A KR19940006116 A KR 19940006116A KR 0132134 B1 KR0132134 B1 KR 0132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ong
storage medium
magnetic storage
flash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6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7814A (ko
Inventor
김해근
Original Assignee
김해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37965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013213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김해근 filed Critical 김해근
Priority to KR1019940006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2134B1/ko
Publication of KR950027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7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2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21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2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탈 노래반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시스템 버스(101), 시스템 버스(101)에 접속된 시스템 메모리(102), 시스템 버스(101)에 접속되어 사용자의 선곡명령을 수신하는 입력장치(103) : 시스템 버스(101)에 접속되어 시스템 메모리(102)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과 사용자의 선곡 명령에 따라 디지탈 노래반주 시스템의 전체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104), 디지탈 노래반주 정보 및 영상정보, 자막 정보를 저장하는 자성저장매체(105), 마이크로프로세서(104)의 제어하에 상기 자성정장매체를(105)를 시스템 버스(101)에 접속하고 제어하는 자성저장매체 제어장치(106), 시스템 버스(101)에 접속되어 마이크로프로세서(104)의 제어하에 디지탈 노래반주 정보가 주어졌을 때 해당 악기음 신호를 발생하는 미디 음원모듈(MIDI sound soure module)(110)과, 시스템 버스(101)에 접속되어 마이크로프로세서(104)의 제어하에 관련 영상 정보 및 자막 정보가 주어졌을 때 해당 배경 영상 신호 및 자막 신호를 발생하는 배경 영상 및 자막 처리 장치(112)를 포함하는 디지탈 노래반주 시스템에 있어서, 자성저장매체(105)에 저장된 노래반주 정보, 영상 정보, 자막정보의 수정 및 신곡에 관련한 노래반주 정보, 영상 정보, 자막 정보의 추가에 필요한 데이타를 저장하는 플레시 메모리(201), 마이크로프로세서(104)로 부터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커맨드를 수신 및 수행하여 플래시 메모리(201)의 일정한 위치에 데이타를 쓰거나, 데이타를 판독하기 위한 제1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203)와, 마이크로커트롤러(203)의 제1제어 신호에 따라 플래시 메모리(201)의 소정 위치에 데이터를 쓰거나,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제2제어 신호 및 어드레스 신호를 출력하는 플래시 메모리 제어 논리(202)와, 마이크로컨트롤러(203)와 시스템 버스(101)를 접속하는 인터페이스 논리(204)를 포함하여 자성저장매체(105)에 저장된 노래 반주 정보와, 영상 정보, 자막 정보를 수정하고 신곡과 관련된 노래반주 정보, 영상 정보, 자막 정보를 자성저장매체(105)에 추가하는 플래시 카드(200)를 더 구비한다.

Description

디지탈 노래반주 시스템용 플래시 카드
제1도는 본 발명의 플래시 카드와 결합한 자성저장매체를 이용한 디지탈 노래반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플래시 카드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도면.
제3도는 제2도의 플래시 메모리의 논리적인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제4도는 제1도의 시스템이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된 커맨드를 수행함에 따른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디지탈 노래반주 시스템 101 : 시스템 버스
102 : 시스템 메모리 103 : 키입력장치
104 : 마이크로 프로세서 105 :자성저장매체
106 : 자성저장매체 제어장치 107 : 믹서
108 : 스피커 109 : 마이크
110 : 미디 음원모듈 111 : 모니터
112 : 배경 영상 및 자막 처리 장치 113 : 부트 ROM
200 : 플래시 카드 201 : 플래시 메모리
202 : 플래시 메모리 제어논리 203 : 마이크로컨트롤러
204 : 인터페이스논리 301 : 헤더 블럭
302 : 커맨드 블럭
본 발명은 디지탈 노래반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를 내장한 플래시 카드(flash card)를 이용하여 신곡의 추가 및 또는 갱신을 이용하게 한 디지탈 노래반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 출원인에 의해 1994년 1월 18일 자성저장매체를 이용한 디지탈 노래반주 시스템이란 명칭으로 출원된 출원번호 94-737호의 출원발명, 즉, 노래반주 정보 및 관련 영상 정보, 자막 정보의 저장매체로서 자성저장매체, 바람직하게는, 하드 디스크(hard disk)를 이용한 디지탈 노래반주 시스템(일명 노래방 기기)과 결부되어 사용되어진다. 따라서, 상기한 디지탈 노래반주 시스템의 구성과 동작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그 구성은, 시스템 버스, 주 제어프로그램 및 사용자에 의해 선곡된 노래의 노래반주 정보, 영상 정보, 자막 정보 저장하는 시스템 메모리, 사용자의 선곡명령을 수신하는 입력장치, 사용자의 선곡명령에 따라 시작 프로그램, 주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디지탈 노래반주 시스템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주어진 디지탈 노래반주 정보 및 영상 정보, 자막 정보등을 저장하는 자성저장매체, 바람직하게는 하드 디스크, 자성저장매체를 시스템 버스에 접속하고 제어하는 자성저장매체 제어장치, 선곡된 노래의 노래반주 정보에 따라 선곡된 노래의 노래반주를 믹서 및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의 노래와 함께 재생하는 미디 음원모듈, 관련 영상 정보 및 자막 정보에 따라 선곡된 노래의 배경 영상 및 자막을 선곡된 노래의 노래반주 정보와 동기하여 모니터를 통해 재생하는 배경 영상 및 자막처리장치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시스템이 있어, 먼저 시스템에 전원 공급시, 하드 디스크내의 사전결정된 영역에 저장된 주 제어 프로그램이 시스템 메모리로 판독되며, 이 주 제어 프로그램이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어 차후의 전체 시스템 동작을 제어한다. 이때 입력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선곡 명령을 수신하면, 선곡된 노래의 노래반주 정보와 관련 영상 정보, 자막 정보를 하드 디스크로 부터 판독하여, 노래반주 정보는 시스템 메로리의 노래반주 영역에, 영상 정보 및 자막 정보는 시스템 메모리의 배경 영상 정보 및 자막 정보 영역에 각각 적재한다. 이어서, 시스템 메모리에 적재된 선곡된 노래의 노래반주 정보를 미디 음원모듈에 공급하여, 믹서,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의 노래와 함께 재생되도록 하고, 역시 시스템 메모리에 적재된 관련 영상 정보 및 자막 정보를 배경 영상 및 자막 정보 처리 장치에 공급하여 모니터를 통해 재생되도록 한다. 그후, 선곡된 노래에 대한 처리가 완료되면, 사용자가 다음 노래를 선곡할 때까지 대기한다.
본 발명의 플래시 카드는 이와 같은 자성저장매체를 이용한 디지탈 노래반주 시스템에 결합하여, 새로운 곡의 노래반주 정보, 영상 정보, 자막 정보의 추가와 자성저장매체에 저장된 기존의 노래반주 정보, 영상 정보, 자막 정보의 갱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미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프래시 카드에 내장된 플래시 메모리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혹은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수준의 액세스 속도와 판독/기록 특성을 가지면서도, 전원이 없더라도 데이타가 지워지지 않은 특성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플래시 메모리의 특성을 이용하여, 예를 들어, 신곡이 발표되었을 때, 디지탈 노래반주 시스템의 사용자가 플래시 카드를 디지탈 노래반주 시스템의 구입장소에 가지고 가서 일정액의 비용을 지불하고, 신곡과 관련된 정보를 플래시 카드에 저장한 후, 자신의 노래반주 시스템에 플래시 카드를 연결하면 신곡과 관련된 정보가 이 디지탈 노래반주 시스템내의 자성저장장치에 자동적으로 저장되도록 한다면, 사용자가 복잡한 하드웨어 구성을 파악하거나, 특단의 기술이 없더라도, 신곡과 관련된 정보의 추가 내지 기존곡과 관련된 정보의 수정을 용이하게 성취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자성저장매체르 이용한 디지탈 노래반주 시스템에 결합하여 신곡의 추가 및 기존곡의 변경을 용이하게 하는 플래시 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스템 버스, 시스템 버스에 접속된 시스템 메모리, 시스템 버스에 접속되어 사용자의 선곡명령을 수신하는 입력장치, 시스템 버스에 접속되어 시스템 메모리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과 사용자의 선곡 명령에 따라 디지탈 노래반주 시스템의 전체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탈 노래반주 정보 및 영상 정보, 자막 정보를 저장하는 자성저장매체,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제어하에 자성저장매체를 시스템 버스에 접속하고 제어하는 자성저장매체 제어장치, 시스템 버스에 접속되어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제어하에 디지탈 노래반주 정보가 주어졌을 때 해당 악기음 신호를 발생하는 미디 음원모듈(MIDI sound source module)과, 시스템 버스에 접속되어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제어하에 관련 영상 정보 및 자막 정보가 주어졌을 때 해당 배경 영상 신호 및 자막 신호를 발생하는 배경 영상 및 자막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디지탈 노래반주 시스템에 있어서, 자성저장매체에 저장된 노래반주 정보, 영상 정보, 자막 정보의 수정 및 신곡에 관련한 노래반주 정보, 영상 정보, 자막 정보의 추가에 필요한 데이타를 저장하는 플래시 메모리,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의 마이크로스로세서 커맨드를 수신 및 수행하여 플래시 메모리의 일정한 위치에 데이타를 쓰거나, 데이타를 판독하기 위한 제1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와, 마이크로커트롤러의 제1제어 신호에 따라 플래시 메모리의 소정 위치에 데이터를 쓰거나,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제2제어 신호 및 어드레스 신호를 출력하는 플래시 메모리 제어 논리와, 마이크로컨트롤러와 시스템 버스를 접속하는 인터페이스 논리를 포함하여 자성저장매체에 저장된 노래반주 정보와, 영상 정보, 자막 정보를 수정하고 신곡과 관련된 노래반부 정보, 영상 정보, 자막 정보를 상기 자성저장매체에 가하는 플래시 카드(200)를 더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자성저장매체를 이용한 디지탈 노래반주 시스템의 구성
제1도는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함께 계류중인 출원번호 제93-737호가 명세서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는 자성저장매체를 이용한 디지탈 노래반주 시스템(1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자성저장매체를 이용하는 디지탈 노래반주 시스템은 어드레스 버스, 데이타 버스 및 제어 버스를 구비하여 노래반주 시스템(100)의 각 구성 요소를 유기적으로 결합하는 시스템 버스(101)와, 전원이 공급되어 작동이 개시될 때의 디지탈 노래반주 시스템(100)의 초기 동작 흐름을 명시한 시작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부트(boot) ROM(113)과, 작동 개시 이후 디지탈 노래반주 시스템(100)의 동작흐름을 명시한 주제어 프로그램 및, 사용자에 의해 선곡된 노래의 노래반주정보(예를 들어, 미디 데이타), 영상 정보, 자막 정보를 저장하는 시스템 메모리(102)와, 사용자의 선곡 명령을 수신하는 키입력장치(key input unit)(103)와, 시작프로그램 및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디지탈 노래반주 시스템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104), 노래반주 정보 및 영상 정보, 자막 정보등을 저장하는 자성저장매체, 바람직하게는 하드 디스크 장치(105)와, 자성저장매체(105)를 시스템 버스(101)에 접속하고 제어하는 자성저장매체 제어장치(106)와, 선곡된 노래의 노래반주 정보에 따라 선곡된 노래의 노래반주를 믹서(107) 및 스피커(108)를 통해 사용자의 노래(109)와 함께 재생하는 미디 음원모듈(110)과, 선곡된 노래의 영상 정보 및 자막 정보에 따라 선곡된 노래의 배경 영상 및 자막을 선곡된 노래의 노래반주와 동기하여 모니터(111)를 통해 재생하는 배경 영상 및 자막 처리장치(112)등을 포함한다.
자성저장매체를 이용한 디지탈 노래반주 시스템의 동작
이 시스템(100)은 전원 공급시 부트 롬(113)내의 시작 프로그램이 마이크로프로세서(104)에 의해 수행되어, 하드 디스크(105)내의 사전결정된 영역에 저장된 주 제어 프로그램이 시스템 메모리(102)로 판독되며, 이 주제어 프로그램이 마이크로프로세서(104)에 의해 수행되어 전체 디지탈 노래반주 시스템(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때 키입력장치(103)를 통해 사용자의 선곡명령(예를들어, 곡번호)을 수신하면 선곡된 노래의 정보와 관련 영상 정보, 자막 정보를 하드 디스크(105)로부터 판독하여, 노래반주 정보는 시스템 메모리(102)의 노래반주 영역에, 관련영상 정보 및 자막 정보는 시스템 메모리의 배경 영상 정보 및 자막 정보 영역에 각각 적재한다.
이 과정을 좀더 상세히 살펴보면, 먼저, 하드 디스크(105)의 시스템 정보 블럭에 접근하여, 화일 할당 테이블(하나의 노래에 관련된 노래반주 정보, 영상 정보 혹은 자막 정보는 하나의 화일로 저장된다) 및 클러스터 할당 테이블(클러스터는 정보 저장 기본단위로, 하나의 화일은 통상 이들 클러스터의 링크로 구성된다)의 위치를 파악한다. 그 후, 화일 할당 테이블내에서 선곡된 노래의 노래반주 정보에 대응하는 화일의 화일 엔트리에 접근하여 그 화일의 시작 클러스터 포인터에 접근한다. 그후, 시작 클러스터 포인터와 이에 대응하는 클러스터 할당 테이블내의 다음 클러스터 포인터들을 이용하여, 선곡된 노래의 노래반주 정보에 접근하여 이를 시스템 메모리(102)의 노래반주 영역에 적재한다. 또한, 선곡된 노래의 영상 정보 및 자막 정보도 유사한 과정을 통해 시스템 메모리(102)의 배경 영상 정보 및 자막 정보 영역에 적재한다. 그 후, 마이크로프로세서(104)는 시스템 메모리(102)에 적재된 선곡된 노래의 노래반주 정보를 미디 음원 모듈(110)에 공급하여, 선곡된 노래의 노래반주가 믹서(107) 및 스피커(108)를 통해 사용자의 노래와 함께 제생되도록 하고, 또한 시스템 메모리(102)에 적재된 관련 영상 정보 및 자막 정보를 배경 영상 및 자막 정보 처리 장치(112)에 공급하여 선곡된 배경 영상 및 자막이 모니터(111)를 통해 재생되도록 한다. 그 후, 선곡된 노래에 대한 처리가 완료되면 사용자가 다음 노래를 선곡할 때까지 대기한다.
플래시 카드의 구성
본 발명의 기존곡 갱신 및 신곡 추가용 플래시 카드(200)는 상기 시스템 버스(101)를 통해 이와 같은 디지탈 노래반주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제2도에 보다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곡의 갱신 및 신곡의 추가에 필요한 데이타(노래반주 정보, 관련 영상정보, 자막 정보, 플래시 메모리 커맨드등)를 저장하는 플래시 메모리(201)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마이크로컨트롤러(203)와 협력하여(제1제어 신호에 따라), 플래시 메모리(201)를 제어하기 위하여 필요한 제2제어 신호(control signal), 어드레스 신호(address signal)를 플래시 메모리(201)에 인가하는 플래시 메모리 제어 논리(202)와, 플래시 카드(200)내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며, 마이크로프로세서(104)로 부터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커맨드를 수신 및 수행하여 플래시 메모리(201)의 일정한 데이타를 기록하거나 판독하여 전달하는마이크로컨트롤러(203)와, 마이크로컨트롤러(203)와 시스템 버스(101)를 접속하는 인터페이스 논리(interface logic)(204)로 구성되어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104)로부터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커맨드에는 판독 마이크로 프로세서 커맨드(플래시 메모리(201)내에서 한 바이트의 정보를 판독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104)측에 전달하는 커맨드), 기록 마이크로프로세서 커맨드(마이크로프로세서(104)측으로부터의 하 바이트의 정보를 플래시 메모리(201)내에 기록하라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커맨드), 소거 마이크로프로세서 커맨드(플래시 메모리(201)내에 현존하는 전체 내용을 소거하라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커맨드)등이 있다.
플래시 메모리의 논리적인 내부구성
플래시 메모리(201)내에는 신곡의 추가 혹은 기존곡의 갱신에 필요한 정보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더 블럭(310), 커맨드 블럭(320)의 형식으로 저장된다.
헤더 블럭(310)은 플래시 카드(200) 자체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즉, 플래시 카드 ID(311)는 각 플래시 카드마다 고유한 값을 가지며, 이 플래시 카드(200)가 탑재되어 사용되는 디지탈 노래반주 시스템(100)의 자성저장매체, 즉 하드디스크(105)의 고유 일련 번호와 1대 1 대응되도록 설정된다.
또한, 헤더 블럭(301)은, 필요한 경우, 플래시 메모리(201)내에 기록된 전체 데이타의 크기를 바이트 단위로 나타내는 데이타 크기 필드(312)와, 차후에 상세히 기술될 플래시 메모리 커맨드의 전체 갯수를 나타내는 커맨드 갯수 필드(313), 추후헤더 블럭의 확장을 위한 예비 공간(314)등을 포함하여 디지탈 노래반주 시스템(100)측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각각의 커맨드 블럭은 제3도에 도시된 바오 같이 디지탈 노래반주 시스템(100)의 마이크로프로세서(104)에 의해 수행되는 플래시 메모리 커맨드(321)와, 커맨드 블럭의 크기를 바이트 단위로 나타내는 커맨드 블럭 크기 필드(322)와, 커맨드 블럭내에 저장된 데이타의 에러 검출 혹은 정정을 위한 첵섬(checksum) 필드(323)와, 주어진 플래시 메모리 커맨드(321)의 수행에 관련된 정보 필드(325)등으로 구성된다.
플래시 메모리 커맨드의 종류
각 커맨드 블럭에 각각 존재하며 디지탈 노래반주 시스템(100)의 마이크로프로세서(104)에 의해 수행되는 플래시 메모리 커맨드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포함한다.
· NOP-디지탈 노래반주 시스템(100)의 마이크로프로세서(104)는 이러한 NOP 커맨드에 대해 아무 동작을 하지 않는다. 따라서, 해당 커맨드 블럭은 이 플래시 메모리 커맨드와 연관된 인수 필드 혹은 데이타 필드를 갖지 않는다.
· ADD-SONG(ADD SONG) - 디지탈 노래반주 시스템(100)의 하드 디스크(105)내에 신곡을 추가하는 것에 관련된 플래시 메모리 커맨드이다. 인수(324)로는 신곡의 곡번호가 주어지고, 정보(235)로는 신곡의 노래반주 정보, 영상정보, 자막정보가 주어진다. ADD-SONG 플래시 메모리 커맨드가 수행되기 위해서는 현 플래시 카드의 플래시 카드 ID와 이 플래시 메모리가 접속되는 디지탈 노래반주 시스템(100)의 하드 디스크(105)의 고유 일련 번호가 일치하여야 한다. 즉, 디지탈 노래반주 정보 시스템(100)의 마이크로프로세서(104)는 ADD-SONG 플래시 메모리 커맨드를 수행하기에 앞서 이들 ID의 일치 여부를 검사하고 , 이들 ID가 일치할 때만 이 ADD-SONG 플래시 메모리 커맨드를 수행한다. 이는 신곡에 관련된 노래반주 정보, 영상 정보, 자막 정보가 의도된 디지탈 노래반주 시스템외의 제3의 디지탈 노래반주 시스템에서 도용되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 MOD-CLUST(MODIFY CLUSTER) - 디지탈 노래반주 시스템(100)의 하드디스크(105)내에 저장된 특정 클러스터를 변경하는 것과 관련괸 플래시 메모리 커맨드이다. 인수(324)로는 변경할 시작 클러스터의 번호가 주어지고, 변경할 클러스터의 갯수가 주어지며, 정보(325)로는 이에 상응하는 크기의 변경 정보(변경할 섹터의 갯수 X 4K 바이트)가 주어진다.
· MOD-BYTE(MODIFY BYTE) - 디지탈 노래반주 시스템(100)의 하드 디스크(105)내에 저장된 특정 클러스터의 특정 바이트를 변경하는 것에 관련된 플래시 메모리 커맨드이다. 인수(324)로는 변경할 클러스터 번호, 변경할 바이트의 시작 오프셋, 변경할 바이트의 갯수가 주어지며, 정보(325)로는 이에 상응하는 크기의 변경 정보가 주어진다.
상술한 MOD-CLUST, MOD-BYTE 커맨드들을 적절히 조합하여 이용하면 기존곡에 관련된 정보들이 효과적으로 수정, 보완 및 또는 변경될 수 있다.
· DEL-SONG(DELETE SONG) - 특정한 기존곡을 삭제하는 것과 관련된 플래시 메모리 커맨드이다. 인수(324)로는 삭제할 곡번호가 주어지고, 정보(325)는 필요치 않다.
· EOD(END OF DATA) - 현 플래시 메모리에는 더이상의 플래시 메모리 커맨드가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인수(324) 혹은 데이타(325) 모두 필요치 않다.
플래시 카드 및 플래시 카드장차에 따른 디지탈 노래반주시스템의 동작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1도의 시스템(100)에서 신곡의 추가 및 또는 기존곡의 갱신에 따른 플래시 카드(200) 및 시스템(200)의 동작을 제1도 및 제4도를 주로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시스템(100)에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마이크로프로세서(104)는 주 제어 프로그램을 수행하며, 단계(401)에서 먼저 플래시 카드(200)가 시스템 버스(101)에 접속되어 있나 확인한다.(만일 플래시 카드(200)가 시스템 버스(101)에 접속되어 있지 않다면,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함께 계류중인 출원번호 제993-737호의 명세서에 상세히 설명된 통상의 절차, 즉, 사용자의 선곡명령에 따른 노래반주 절차를 바로 수행할 것이다(단계(413)).
플래시 카드(200)가 접속되었음이 확인되면, 단계(420)에서, 플래시 메모리(201)내에 저장된 커맨드 블럭(320)내의 플래시 메모리 커맨드(321)를 검색하여, 플래시 카드(200)의 ID와 하드 디스크 ID의 일치를 요구하는 플래시 메모리 커맨드, 예를 들면, ADD-SONG 플래시 메모리 커맨드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이러한 또한 하기하는 플래시 메모리(200)내의 데이타에 대한 판독 혹은 검색은 마이크로프로세서(104)가 상술한 판독 마이크로 프로세서 커맨드를 마이크로컨트롤러(203)에 전달하여 수행된다.) 그러한 플래시 메모리 커맨드가 존재한다면, 단계(403)로 진입하여 플래시 카드 ID와 하드 디스크(105)의 ID가 일치하는 지를 더욱 판단한다. 일치하지 않는다면, 플래시 카드(200)내의, 예를 들어, 신곡에 관련된 정보가 원래 의도된 디지탈 노래반주 시스템외의 제3의 디지탈 노래반주 시스템에서 도용될 가능성이 있는 것이므로, 단계(404)에서 사용자에게 잘못된 플래시 카드가 삽입되었음을 모니(111)를 통해 프롬프트(prompt)하고 정지한다.
이와 달리, 단계(402)에서 플래시 메모리(201)에 저장된 플래시 메모리 커맨드가 플래시 카드 ID와 하드 디스크 ID의 일치여부에 무관한(주로 디지탈 노래반주 시스템의 사후 관리서비스 차원의) 플래시 메모리 커맨드로만 구성되었거나 혹은, 단계(403)에서 플래시카드 ID가 일치할 경우, 첫번째 플래시 메모리 커맨드(321)로 부터 차례로 수행한다. 각 플래시 커맨드에 대한 동작은 다음과 같다.
· NOP(단계(405)) - 마이크로프로세서(104)는 이 NOP 플래시 메모리 커맨드에 대해 아무런 동작을 취하지 않는다. 이 플래시 메모리 커맨드는 단지 플래시 커맨드 세트의 완전성(completeness)을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 ADD-SONG(단계(406)) - 마이크로프로세서(104)는 이 ADD-SONG 플래시 메모리 커맨드에 대해, 먼저 커맨드 블럭(320)내의 인수 필드(324), 즉, 신곡의 곡번호를 판독한다. 그 후, 하드 디스크(105)내의 판독된 신곡의 곡번호와 일치하는 기존곡이 있는지를 판단한다.(이러한 또한 하기하는 하드디스크(105)내의 정보의 판독 혹은 검색 및 기록, 삭제는 상술한 본 출원인의 출원번호 제93-737호가 부여된 출원발명의 명세서에 상세히 기술된 바와 같이 시스템 정보블럭, 화일 할당 테이블, 클러스터 할당 테이블등의 접금을 통해 성취된다.)
신곡의 곡번호와 일치하는 기존곡이 있다면, 하드 디스크(105)에 기존곡의 정보를 대체하여 신곡의 정보(325)를 저장한다. 이때, 신곡 정보(325)의 크기가 하드디스크(105)내의 연속적인 영역에 저장된 기존곡 정보의 크기보다 커서 기존곡의 단순 대체가 불가능하다면, 기존곡 정보를 삭제하고 신곡 데이타(325)를 하드 디스크(105)의 빈 공간에 저장한 후, 이에 따라, 하드 디스크(105)의 화일 할당 테이블, 클러스터 할당 테이블을 갱신한다.
신곡의 곡번호와 일치하는 기존곡이 없다면, 신곡 정보(325)를 하드 디스크(105)의 빈 공간에 저장한 후, 이에 따라, 하드 디스크(105)의 화일 할당 테이블, 클러스터 할당 테이블을 갱신한다.
· MOD-CLUST(단계(407)) - 마이크로프로세서(104)는 이 MOD-CLUST 플래시 메모리 커맨드에 대해, 해당 커맨드 블럭(320)으로 부터 인수 필드(324)를 판독하여, 하드 디스크(105)내에서 변경할 클러스터의 번호와 변경할 클러스터의 갯수를 확인할 후, 정보 필드(325)내의 정보를 하드 디스크(105)내의 기존 정보에 대체하여 저장한다.
· MOD-BYET(단계(408)) - 마이크로프로세서(104)는 이 MOD-BYTE 플래세 메모리 커맨드에 대해, 해당 커맨드 블럭(320)으로부터 인수 필드(324)를 판독하여, 하드 디스크(105)내에서 변경할 바이트를 포함하고 있는 클러스터의 번호와 변경할 바이트의 시작 오프섹과 변경할 바이트의 갯수를 확인한 후, 정보필드(325)내의 정보를 하드 디스크(105)내의 기존 정보에 대체하여 저장한다.
· DEL-SONG(단계(409)) - 마이크로프로세서(104)는 이 DEL-SONG 플래시 메모리 커맨드에 대해, 해당 커맨드(320)으로 부터 인수 필드(324)를 판독하여, 삭제할 기존곡의 곡번호를 판독한 후, 하드 디스크(105)상에서 해당 곡을 삭제한 후, 이에 따라 하드 디스크(105)의 화일 할당 테이블, 클러스터 할당 테이블을 갱신한다.
· EOD(단계(410)) - 마이크로프로세서(104)는 이 EOD 플래시 메모리 커맨드를 만나면, 플래시 메모리 커맨드에 대한 처리를 종료하고, 단계(411)로 진입한다.
단계(411)에서는 플래시 메모리 커맨드중 플레시 카드 ID와 하드 디스크 ID를 요구하는 플래시 메모리 커맨드가 존재하는지 다시한번 판단하고, 만일 존재한다면, 단계(412)으로 진입하여 플래시 메모리(201)내에 수록된 모든 내용을 삭제하라는 소거 마이크로프로세서 커맨드를 플래시 카드(200)의 마이크로컨트롤러(203)에 전달하여, 예를 들어, 신곡에 관련된 정부가 차후에 의도되지 않은 제3의 디지탈 노래 반주 시스템에서 도용될 가능성을 미연에 방지한다.
그 후, 단계(413)로 진입하여, 통상의 절차, 즉, 사용자의 선곡명령에 따른 노래반주 절차를 수행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신곡 추가 및 기존곡 수정용 플래시 카드는 자성저장매체를 사용한 디지탈 노래반주 시스템에 접속시 사용자가 용이하게 신곡의 추가 및 기존곡의 수정을 가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도시되고 기술되었으나, 특허청구 범위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진정한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 변형이 있을 수 있음을 본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Claims (6)

  1. 시스템 버스(101), 상기 시스템 버스(101)에 접속된 시스템 메모리(102), 상기 시스템 버스(101)에 접속되어 사용자의 선곡명령을 수신하는 입력장치(103), 상기 시스템 버스(101)에 접속되어 상기 시스템 메모리(102)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과 상기 사용자의 선곡 명령에 따라 상기 디지탈 노래반부 시스템의 전체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104), 디지탈 노래반주 정보 및 영상 정보, 자막 정보를 저장하는 자성저장매체(105),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4)의 제어하에 상기 자성저장매체(105)를 상기 시스템 버스(101)에 접속하고 제어하는 자성저장매체 제어장치(106), 상기 시스템 버스(10)에 접속되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4)의 제어하에 상기 디지탈 노래반주 정보가 주어졌을 때 해당 악기음 신호를 발생하는 미디 음원모듈(MIDI sound source module)(110)과, 상기 시스템 버스(101)에 접속되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4)의 제어하에 상기 관련 영상 정보 및 자막 정보가 주어졌을 때 해당 배경 영상 신호 및 자막 신호를 발생하는 배경 영상 및 자막 처리 장치(112)를 포함하는 디지탈 노래반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자성저장매체(105)에 저장된 상기 노래반주 정보, 영상 정보, 자막 정보의 수정 및 신곡에 관련한 상기 노래반주 정보, 영상 정보, 자막 정보의 추가에 필요한 데이타를 저장하는 플래시 메모리(201),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4)로부터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커맨드를 수신 및 수행하여 상기 플래시 메모리(201)의 일정한 위치에 데이타를 쓰거나, 데이타를 판독하기 위한 제1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203)와,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203)의 제1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플래시 메모리(201)의 소정 위치에 데이터를 쓰거나,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제2제어 신호 및 어드레스 신호를 출력하는 플래시 메모리 제어 논리(202)와,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203)와 상기 시스템 버스(101)를 접속하는 인터페이스 논리(204)를 포함하여 상기 자성저장매체(105)에 저장된 상기 노래 반주 정보와, 영상 정보, 자막 정보를 수정하고 신곡과 관련된 노래반주 정보, 영상 정보, 자막 정보를 상기 자성저장매체(105)에 추가하는 플래시 카드(200)를 더 구비하는 디지탈 노래반주 시스템용 플래시 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메모리(201)에 저장된 상기 데이타는, 상기 노래반주 정보, 영상 정보, 자막 정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4)에 의해 수행되어 상기 자성저장매체(105)에 저장된 상기 노래반주 정보, 영상 정보, 자막 정보를 상기 저장된 상기 노래반주 정보, 영상 정보, 자막 정보로 대체하여 상기 자성저장매체(105)에 저장하는 제1플래시 메모리 커맨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4)에 의해 행되어 상기 노래반주 정보, 영상 정보, 자막 정보를 상기 자성저장매체(105)에 저장하는 제2플래시 메모리 커맨드를 포함하는 디지탈 노래반주 시스템용 플래시 카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는 상기 자성저장매체(105)에 저장된 상기 노래반주 정보, 영상 정보, 자막 정보를 삭제하는 제3플래시 메모리 커맨드를 포함하는 디지탈 노래반주 시스템용 플래시 카드.
  4. 제1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저장매체(105)와 상기 플래시 카드(200)는 제각기 고유 ID(Denitification) 번호를 갖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4)는 상기 자성저장매체(105)의 상기 고유 ID 번호와 상기 플래시 카드(200)의 상기 고유 ID 번호가 일치할 때만 상기 제2플래시 메모리 커맨드를 수행하는 디지탈 노래반주 시스템용 플래시 카드.
  5. 제1 내지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저장매체(105)가 하드디스크인 디지탈 노래반주 시스템용 플래시 카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저장매체(105)가 하드디스크인 디지탈 노래반주 시스템용 플래시 카드.
KR1019940006116A 1994-03-26 1994-03-26 디지탈 노래반주 시스템용 플래시 카드 KR0132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6116A KR0132134B1 (ko) 1994-03-26 1994-03-26 디지탈 노래반주 시스템용 플래시 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6116A KR0132134B1 (ko) 1994-03-26 1994-03-26 디지탈 노래반주 시스템용 플래시 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7814A KR950027814A (ko) 1995-10-18
KR0132134B1 true KR0132134B1 (ko) 1998-04-18

Family

ID=19379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6116A KR0132134B1 (ko) 1994-03-26 1994-03-26 디지탈 노래반주 시스템용 플래시 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21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4707A (ko) * 1996-06-29 1998-03-30 김광호 씨디-롬 드라이브
KR20010002804A (ko) * 1999-06-17 2001-01-15 윤재환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를 구비하는 노래반주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7814A (ko) 1995-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5501B1 (ko) 기록매체, 기록장치, 기록방법, 편집장치 및 편집방법
KR100718620B1 (ko) 기록 재생 장치
TW486913B (en) Reproducing apparatus and reproducing method
KR100595800B1 (ko) 기록 매체, 기록 장치 및 기록/재생 시스템
US6907184B1 (en) Recording medium editing apparatus based on content supply source
RU2263954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дактирования, способ редактирования и носитель записи
JP2000347696A (ja) 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
US5587546A (en) Karaoke apparatus having extendible and fixed libraries of song data files
US6534701B2 (en) Memory card with music performance function
KR0132134B1 (ko) 디지탈 노래반주 시스템용 플래시 카드
JPH08235051A (ja) データ蓄積装置
US20020038598A1 (en) Karaoke apparatus,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method of managing music piece data for karaoke apparatus, and method of managing content data for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KR0124967B1 (ko) 자성 저장 매체를 이용한 디지탈 노래 반주 시스템
JP2001142495A (ja) 編集装置、編集方法および不揮発性メモリ
KR0124612B1 (ko) 가라오케 시스템의 자막 및 반주음 처리장치 및 방법
KR100726905B1 (ko) 데이터 기억 장치 및 방법
KR100283800B1 (ko) 컴퓨터 가요반주 시스템의 신곡연습 제어 방법
AU2007202015B2 (en) Recording medium editing apparatus based on content supply source
JP2006065505A (ja) メモリーカード及び再生装置
JPH1195762A (ja) カラオケ利用者の所有する携帯型記録媒体に記録されたカラオケ関連情報の更新方法に特徴を有するカラオケ装置
KR20080016200A (ko) 데이터 갱신이 가능한 스토리지의 이력 재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19980922

Effective date: 19990630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IN ENTIRETY REQUESTED 19980922

Effective date: 19991102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IN ENTIRETY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19991108

Effective date: 20000527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00701

Effective date: 20010615

J221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ree format text: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10713

Effective date: 20010905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IN ENTIRETY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IN ENTIRETY REQUESTED 19991203

Effective date: 20010615

J221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ree format text: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OR INVALIDATION IN ENTIRETY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IN ENTIRETY REQUESTED 20010920

Effective date: 2001103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