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1858B1 - 공통선 신호방식 메시지 전달부의 버스 정합장치 - Google Patents

공통선 신호방식 메시지 전달부의 버스 정합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1858B1
KR0131858B1 KR1019940022475A KR19940022475A KR0131858B1 KR 0131858 B1 KR0131858 B1 KR 0131858B1 KR 1019940022475 A KR1019940022475 A KR 1019940022475A KR 19940022475 A KR19940022475 A KR 19940022475A KR 0131858 B1 KR0131858 B1 KR 0131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signal
processor
input
c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2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2823A (ko
Inventor
김도연
이성재
한운영
Original Assignee
조백제
한국전기통신공사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백제, 한국전기통신공사,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조백제
Priority to KR1019940022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1858B1/ko
Publication of KR960012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2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1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18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0Bus structure
    • G06F13/4004Coupling between bu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0016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exchanges
    • H04Q3/0025Provisions for signa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Exchanges (AREA)
  •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Digital Transmiss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Exchange Systems With Centralized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통선 신호방식 메시지전달부의 B-버스 정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메시지 전달부와 공통선 신호처리 시스템의 T-레벨 프로세서 사이에서 망관리 정보 및 사용자부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하여 구성되어 있는 B-버스 회로를 전송거리 1km이상이며 차동신호(differmtial signal) 특성을 갖는 EIA-422 버스인 BA-버스로 변환하는 공통선 신호방식 메시지 전달부의 B-버스 정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통선 신호방식 메시지 전달부의 버스 정합장치
제1도는 종래의 공통선 신호처리 시스템의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통선 신호방식 메시지 전달부의 버스 정합 장치의 블럭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26 : 커넥터 12,13 : 버스송수신부
14,15 : 멀티 바이브레이터 16 : 버스선택부
17 : 프로그램 로직부 18 : 발광 다이오드
19 : 클럭발생부 20,21 : 루프시험부
22,23 : 라인드라이버 24,25 : 라인리시버
본 발명은 공통선 신호방식 메시지 전달부(MTP : Message Transfer Part)의 버스 정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메시지 전달부와 공통선 신호처리 시스템의 티(T)-레벨 프로세서 사이에서 망관리 정보 및 사용자부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하여 구성되어 있는 B-입출력 버스 회로를 전송거리를 연장시킬 수 있으며 양극성의 전기신호 특성을 갖는 EIA-422버스인 B-아답터(Adaptor) 버스로 변환하는 공통선 신호방식 메시지 전달부의 버스 정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통신에 대한 기대는 국제적으로 고도화 다양화되어가고 있으며, 또한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에 부합하기 위하여 종합 정보 통신망 서비스가 필요하게 되었고, 이러한 서비스의 일환으로 IPU-T에서 권고한 국제적인 프로트콜인 No.7 공통선 신호방식중 메시지 전달부 기능이 제1도와 같이 구현되었다.
제1도은 종래의 공통선 신호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종래의 TLP( Trunk Line Processor)에 공통선신호방식의 ISUP(ISDN User Part) 기능을 실장한 DTLP(Digital Trunk Line Processor)(1)와, 메시지전달부의 유지보수 및 서비스 경로를 제공하는 MSP(Maintenance Service Processor)(2)와, 망관리 및 메시지 분배 기능을 담당하는 프로세서 보드인 SPB(System Processor Board)(3)와, 상기 SPB( 3)에 1Maga 바이트 메모리를 제공하는 SMB(System Memory Board)(4)와, 신호단말(Signalling Terminal Board)과의 통신 및 메시지 처리 기능을 담당하는 MHB(Mes sage Handling Board)(5)와, 상기 DTLP(1)와의 B-입출력 버스 통신을 담당하는 BIOB(B-아답터 버스 Input Ouput Board)(6)와, 이중화 보드인 DPB(Dual Process or Board)(7)와, 종래의 전전자 교환기의 B-입출력 버스와 BIOB(6)간의 통신로를 정합시켜주는 BAB(B-아답터 버스 Adaptor Board)(8) 및 전원모듈을 구비하여 메시지 처리흐름은 다음과 같다.
망관리 데이터인 경우에 상기 망관리 데이터가 MSP(2)를 통하여 BIOB(6)의 MSP 접속부로 입력되면 이 데이터는 SPB(3)에 있는 망관리 모듈로 옮겨져 처리되고, 사용자부 메시지인 경우에 상기 사용자부 메시지가 DTLP(1)에서 생성되어 BIOB(6)로 입력되면 SPB(3)로 옮겨지고 다시 SPB(3)에서 MHB(5)로 옮겨져 메시지 루팅을 거쳐 STB로 옮겨진다.
여기서, 각 프로세서 보드간의 통신채널을 살펴보면 SPB(3)와 BIOB(6)간, SPB(3)와 MHB(5)간은 양쪽 프로세서가 동시에 엑세스 가능한 이중 포트램이며 MS P(2)와 BAB(8)간은 B-입출력 버스로 구성되며 MGB(5)와 STB간은 직렬 버스인 STG-버스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공통선 신호방식 메시지 전달부의 버스 정합 장치는 버스에 오류가 발생하면 오류가 발생된 버스를 정상적인 버스로 교체하기 위한 많은 시간이 소비되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망관리 데이터와 사용자부 메시지를 메시지전달부에서 T-레벨 프로세서인 유지 서비스 프로세서와 디지탈 중계선 프로세서로 송신하거나 T-레벨 프로세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하여 B-입출력 버스 신호를 전기잡음에 강하고 전송거리를 연장할 수 있는 능력 및 양극성을 갖는 전기신호로 정합하여 버스의 상태를 감시하다가 버스의 상태가 불안한 경우 즉시 안정된 버스로 절체할 수 있는 공통선 신호방식 메시지 전달부의 버스 정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공통선 신호방식 메시지 전달부의 버스 정합장치는, B-레벨 프로세서인 디지탈 중계선 프로세서(DTLP) 또는 유지 서비스 프로세서(MSP)로부터 프레임 동기신호, 통신클럭, 버스 점유신호 및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 및 제2 버스 송수신부와, 상기 버스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통신클럭(BRCLK)과 프레임 동기신호(FRS)의 상태를 감시하는 제1 및 제2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와, 상기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의 감시결과에 따라 상기 버스 송수신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프로그램 로직(PAL)부와, 상기 프로그램 로직(PAL)부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일측 버스 송수신부를 선택하는 버스선택부와, B-아답터 버스 상태를 시험하기 위한 시험 클럭을 발생하는 클럭발생부와, 상기 클럭발생부에서 공급되는 클럭에 따라 상기 버스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버스신호를 루프백(loop back)하는 제1 및 제2 루프시험부와, 디지탈 중계선 프로세서(DTLP) 또는 유지서비스 프로세서(MSP)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EIA-422 전기특성을 갖는 신호로 변환하는 제1 및 제2 라인 드라이버와, B-아답터 버스 입출력부(BIOB)로부터 수신되는 양극성의 전기신호를 B-입출력 버스 신호로 변환하는 제1 및 제2 라인리시버를 포함한다.
이하, 제2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통선 신호방식 메시지 전달부의 버스 정합장치는, B-레벨 프로세서인 디지탈 중계선 프로세서(DTLP) 또는 유지서비스 프로세서(NSP)로부터 프레임 동기신호, 통신클럭, 버스 점유신호 및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 및 제2 버스 송수신부(12,13)와, 상기 버스 송수신부(12,13)를 통해 수신되는 통신클럭(BRLK)과 프레임 동기신호(FRS)의 상태를 감시하는 제1 및 제2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14,15)와, 상기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14,15)의 감시결과에 따라 상기 버스 송수신부(12,13)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프로그램 로직(PAL)(17)부와, 상기 프로그램 로직(PAL)(17)부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일측 버스 송수신부를 선택하는 버스선택부(16)와, B-아답터 버스 상태를 시험하기 위한 클럭을 발생하는 클럭발생부(19)와, 상기 클럭발생부(19)에서 공급되는 클럭에 따라 상기 버스선택부(16)에 의해 선택된 버스신호를 루프백(lppo back)하는 제1 및 제2 루프시험부(20,21)와, 디지탈 중계선 프로세서(DTLP) 또는 유지서비스 프로세서(MSP)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양극성의 전기신호를 B-입출력 버스 신호로 변환하는 제1 및 제2 라인 리시버(24,25)를 구비하고 있다.
미설명 부호 11은 디지털 중계선 프로세서(DTLP) 또는 유지서비스 프로세서(MSP)와 본 발명을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이고, 26은 B-입출력 버스 입출력부(BIOB)와 본 발명을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공통선 신호방식 메시지 전달부와 버스 정합장치의 동작 및 효과를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T-레벨 프로세서인 디지탈 중계선 프로세서(DTLP) 또는 유지서비스 프로세서(MSP)로부터 입력되는 프레임 동기신호, 통신클럭, 버스 점유신호 및 수신데이터 신호는 커넥터(11)를 통해 제1 및 제2 버스 송수신부(12,13)로 입력된다. 이에 따라, 제1 버스 송수신부(12)는 B-입출력 버스 케이블중 A측 신호를 송수신하며 제2 버스 송수신부(13)은 B측 신호를 송수신한다.
입력된 프레임 동기신호(A,B), 통신클럭(A,B)은 제1 및 제2 멀티 바이브레이터(14,15)에 의해 감시되고 그 결과는 프로그램 로직부(17)로 입력된다.
프로그램 로직부(17)는 감시 결과가 모두 정상이거나 프레임 동기신호(B) 또는 통신클럭(B)에 오류가 검출되면 제1 버스 송수신부(12)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선택하고, 프레임 동기신호(A) 또는 통신클럭(A)에 오류가 검출되면 제2 버스 송수신부(13)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선택하도록 로직이 구성되어 있으며, 프로그램 로직부(17)의 출력을 버스선택부(16)의 채널 선택단자에 입력하여 B-입출력 버스 신호중 A측 신호 또는 B측 신호를 선택한다.
발광 다이오드(18)는 프레임 동기신호(A) 또는 프레임 동기신호(B), 통신클럭(A) 또는 통신클럭(B)에서 오류가 발생하면 발광되며 B-아답터 버스 입출력부(BIOB: B-Adaptor Bus Input Output Board)로부터 B-아답터 버스 케이블 시험요구 신호(LPREQ)가 제1 라인리시버(24) 또는 제2 라인리시버(25)를 통하여 입력되었을 때 발광된다.
버스선택부(16)에 의하여 선택된 B-입출력 버스 신호는 제1 및 제2 루프시험부(20,21)을 통해 루프백(LOOP BACK)된 후, 1km 이상까지 전송가능한 EIA-422 전기특성을 갖는 제1 및 제2 라인 드라이버(22,23)에 입력되어 차동신호로 변환되어 B-아답터 버스를 통하여 B-아답터 버스 입출력부(BIOB)로 전송된다. 이때 제1 라인드라이브(22)는 B-아답터 버스 A측 신호전송에 이용되며 제2 라인 드라이브(23)은 B측 신호전송에 이용된다.
한편, B-아답터 버스 입출력부(BIOB)에서 디지탈 중계선 프로세서(DTLP) 또는 유지서비스 프로세서(MSP)로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에 필요한 신호는 송신 점유(TXAST) 신호와 송신 데이터(TXD)가 있으며 송신 점유 신호는 송신할 차례를 부여받은 B-아답터 버스 입출력부(BIOB)가 데이터를 송신하고 있으니, B-아답터 버스와 B -입출력 버스와 연결되어 있는 다른 보드는 버스 점유를 위한 카운트를 중지하라는 신호이다.
한편, 프로그램 로직부(17)는 제1 라인리시버(24) 또는 제2 라인리시버(25)로부터 입력되는 송신 점유신호와 송신 데이터를 조합하여 그 출력신호를 B-입출력 버스 송수신부(12,13)에 입력한다. 이에 따라 입력된 신호는 B-입출력 버스 케이블을 통하여 T-레벨 프로세서인 디지탈 중계선 프로세서(DTLP) 또는 유지 서비스 프로세서(MSP)로 전송된다.
B-아답터 버스 케이블상태 시험을 위하여 B-아답터 버스 입출력부(BIOB)에서 B-아답터 버스 케이블 시험요구 신호(LPREQ)(A)가 루프시험부(20)로 입력되면 루프시험부(20)는 B-입출력 버스로부터 수신되는 클럭을 사용하지 않고 클럭발생부(19)에서 공급되는 클럭을 이용하여, B-아답터 버스 케이블상태 시험 준비신호(LPRDY)와 B-아답터 버스 입출력부(BIOB)로 되돌려 준다. 루프시험부(21)는 B-아답터 버스 케이블 B측을 시험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버스의 상태를 항상 감지하여 통신 오류가 감지되면, 언제나 양호한 버스로 절체되는 시스템의 이중화 기능을 갖춤으로써, 공통선 신호방식 메시지 전달부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꼭 필요한 디지탈 중계선 프로세서와 메시지 전달 프로세서를 고품질의 전기적 신호로 정합하여 시스템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티(T)-레벨 프로세서인 디지탈 중계선 프로세서 또는 유지서비스 프로세서로부터 프레임 동기신호, 통신클럭, 버스 점유신호 및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 및 제2 버스 송수신부; 상기 제1 및 제2 버스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통신클럭과 프레임 동기 신호의 상태를 감시하는 제1 및 제2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 상기 제1 및 제2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의 감시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버스 송수신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프로그램 로직부; 상기 프로그램 로직부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버스 송수신부중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버스선택부; B-아답터 버스 상태를 시험하기 위한 시험 클럭을 발생하는 클럭발생부; 상기 클럭발생부에서 공급되는 클럭에 따라 상기 버스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버스 신호를 루프백하는 제1 및 제2 루프시험부; 디지탈 중계선 프로세서 또는 유지서비스 프로세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전송 거리를 연장할 수 있는 양극성을 갖는 전기신호를 변환하기 위한 제1 및 제2 라인 드라이버; 비(B)-아답터 버스 입출력부로부터 수신되는 양극성의 전기신호를 비(B)-입출력 버스신호로 변환하는 제1 및 제2 라인 리시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선 신호방식 메시지전달부의 버스 정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프레임 동기신호, 통신클럭에 오류가 발생하였음을 알리거나 상기 비(B)-아답터 버스 케이블 시험요구 입력상태를 외부로 알리기 위해 프로그램 로직부에 연결된 상태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선 신호방식 메시지전달부 버스 정합장치.
KR1019940022475A 1994-09-07 1994-09-07 공통선 신호방식 메시지 전달부의 버스 정합장치 KR01318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2475A KR0131858B1 (ko) 1994-09-07 1994-09-07 공통선 신호방식 메시지 전달부의 버스 정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2475A KR0131858B1 (ko) 1994-09-07 1994-09-07 공통선 신호방식 메시지 전달부의 버스 정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2823A KR960012823A (ko) 1996-04-20
KR0131858B1 true KR0131858B1 (ko) 1998-04-21

Family

ID=19392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2475A KR0131858B1 (ko) 1994-09-07 1994-09-07 공통선 신호방식 메시지 전달부의 버스 정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185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2823A (ko) 1996-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83007C (fi) Digitalt dataoeverfoeringssystem.
EP0266151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upling computer work stations
EP0588423B1 (en) Control bus for multi-component consumer electronics system
CN100574241C (zh) 具有冗余特性的局域网及用于这种网络的耦合设备
JPS63153938A (ja) ル−プバック制御装置
US5099480A (en) Method of testing bit errors in isdn circuits
JPH1041898A (ja) 光送受信器およびその光送受信器を用いたネットワーク
HU214427B (hu) Adatátviteli rendszer
KR0131858B1 (ko) 공통선 신호방식 메시지 전달부의 버스 정합장치
US554871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ISDN communication system using active and stand-by ISDN communication adaptors to maintain operation when trouble occurs
US7639655B2 (en) Ethernet switch interface for use in optical nodes
Cisco BNI (Trunk) Cards
Cisco BNI (Trunk) Cards
KR20030066498A (ko) 네트워크 카메라 시스템의 전원 공급 방법 및 장치
Cisco BNI (Trunk) Cards
JPH08251216A (ja) データ伝送装置
JPH04152733A (ja) 不定形通信網の網管理装置及び網監視装置
JP2002051105A (ja) 通信装置
KR200326673Y1 (ko) 네트워크 카메라 시스템의 전원 공급 장치
KR0175454B1 (ko) 시스템 경보상태 파악을 위한 경보처리 보고 시스템
JPH1188391A (ja) ネットワーク管理システム
KR100229434B1 (ko) 이중화 데이터 통신 제어 장치
KR200326671Y1 (ko) 네트워크 카메라
KR0145927B1 (ko) 에스에스넘버세븐 망접속이 가능한 프리엠이버스 인터페이스카드
US5126730A (en) Multipoint TBOS interface including backup response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