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1800Y1 - 평면 록 핸들장치 - Google Patents

평면 록 핸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1800Y1
KR0131800Y1 KR2019950038250U KR19950038250U KR0131800Y1 KR 0131800 Y1 KR0131800 Y1 KR 0131800Y1 KR 2019950038250 U KR2019950038250 U KR 2019950038250U KR 19950038250 U KR19950038250 U KR 19950038250U KR 0131800 Y1 KR0131800 Y1 KR 01318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spring receiving
spring
receiving surfac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82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4785U (ko
Inventor
나오유키 스기모토
Original Assignee
다키모토 히데아키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키모토 히데아키,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키모토 히데아키
Publication of KR9600347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478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18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18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00Handles completely let into the surface of the wing
    • E05B5/003Pop-out handles, e.g. sliding outwardly before rot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92Moving otherwise than only rectilinearly or only rotative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 E05C3/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목적]
가압버턴이 가압상태로 정지하여 핸들의 돌출작동이 확실하게 행할수 있게 하기 위하여 조작성이 양호한 평면 록 핸들장치를 제공한다.
[구성]
제1피벗축(3)으로 핸들(4)을 케이스(2)에 원추형 접합하고, 제2피벗축(5)으로 가압버턴(8)을 핸들(4)에 원추형 접합하고, 스프링수단(11)의 정면측 직선부(13)를 핸들(4)의 배면측의 제1스프링 받이면(14)에 맞닿게 하고, 바닥면측 직선부(15)를 케이스(2) 바닥벽부의 제2스프링 받이면(16)에 맞닿게 하며, 바닥면측 직선부(15) 선단에 제2스프링 받이면(16)과의 접촉점(17)으로부터 정면측에 비스듬히 돌출한 연장직선부분(18)을 설정하고, 연장직선부분(18)선단에 가압버턴(8)의 걸어두기 아암(7)의 근원부의 제3스프링 받이면(19)에 접촉가능한 절곡부(20)를 설정하고, 가압버턴(8)의 가압상태에 있어서, 핸들(4)의 정면에 대하여 직각이며 제2피벗축(5)의 중심을 통과하는 기준평면(21)과 제3스프링 받이면(19)과의 교차점(22)에 관하여 절곡부(20)와 제3스프링 받이면(19)의 접점(23)이 제1피벗축(3)과는 반대측에 오도록 설정한다.

Description

평면 록 핸들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1실시예에 관한 평면 록 핸들장치를 장착한 도어의 정면도.
제2도는 평면 록 핸들장치의 자물쇠 고정상태의 정면도.
제3도는 평면 록 핸들장치의 자물쇠 고정상태의 배면도.
제4도는 평면 록 핸들장치의 자물쇠 고정상태의 우측면도.
제5도는 가압버턴이 복귀상태에 있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제6도는 가압버턴이 가압상태에 있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제7도는 제2도의 B-B'단면도.
제8도는 제5도의 가압버턴의 복귀상태에 있어서의 제3스프링 받이면과 절곡부 접점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상세도.
제9도는 제6도의 가압버턴의 가압상태에 있어서의 제3스프링 받이면과 절곡부 접점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상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어 2 : 케이스
3 : 제1피벗 4 : 핸들
5 : 제2피벗 6 : 걸어두기 오목부
7 : 걸어두기 아암 8 : 가압버턴
9 : 고정틀체 10 : 록 아암
11 : 스프링수단 12 : 코일부
13 : 정면측 직선부 14 : 제1스프링 받이면
15 : 바닥면측 직선부 16 : 제2스프링 받이면
17 : 접촉점 18 : 연장직선부분
19 : 제3스프링 받이면 20 : 절곡부
21 : 핸들 정면에 대하여 직각이며 제2피벗축의 중심을 통과하는 기준평면
22 : 기준평면과 제3스프링 받이면과의 교차점
23 : 제3스프링 받이면과 절곡부와의 접점
24 : 0 링 25 : 장착판
26 : 패킹부재 27 : 자물쇠 고정볼트
28 : 6각 너트 29 : 장착용 작은나사
30 : 자물쇠 장착부 31 : 연동축
32 : 축구멍 33 : 가압버턴 정지벽부
34 : 가압버턴의 상단부 35 : 축구멍
36 : 연동축의 소직경 축부 38 : 연동축의 중간축부
39 : 받이구멍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고안은 고정틀체에 피벗지지된 도어를 개폐하며 또한 자물쇠를 고정하기 위한 평면 록 핸들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평면 록 핸들장치는도어를 개폐할때의 록 핸들의 조작이 간단한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버턴의 배면측의 걸어두기 아암을 케이스 바닥면벽의 걸어두기 오목부에 걸어 맞춤시켜서 핸들을 케이스내의 함몰위치에 유지하는 평면 록 핸들장치는 이미 알려져 있으나, 핸들을 돌출시키기 위하여 가압버턴을 눌렀을때, 핸들의 돌출작동과 가압패턴의 복귀작동의 타이밍 관계에 의해, 가압버턴을 떼면 재차 걸어두기 아암의 걸어두기 오목부에 걸어맞춤하여 핸들이 돌출되지 않는 경우가 있어, 조작성이 불량하다. 또, 핸들을 돌출방향으로 회전가압하기 위한 스프링과 가압버턴을 복귀방향으로 회전가압하기 위한 스프링이 2개 필요하여 비경제적이였다.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가압버턴이 가압상태로 정지하여 핸들의 돌출작동이 확실하게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성이 양호한 동시에 부품수의 감소에 의해 경제성이 양호한 평면 록 핸들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이하, 첨부도면중의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의 평면 록 핸들장치는 도어(1)에 고착되는 케이스(2)와, 케이스(2)에 출몰가능하게 수용되고 기단부를 제1피벗축(3)에 의해 케이스(2)에 원추형 접합된 핸들(4)과, 제1피벗축(3)과 평행한 제2피벗축(5)에 의해 핸들(4)에 원추형 접합되고, 케이스(2)의 바닥부의 걸어두기 오목부(6)에 걸거나 벗기는 걸어두기 아암(7)을 배면측에 돌출설치한 가압버턴(8)과 제1피벗축(3)에 연결되어 고정틀체(9)측의 받이부에 걸거나 벗기는 록 아암(10)과 핸들(4)을 돌출방향으로 회전가압하는 동시에, 가압버턴(8)을 복귀방향으로 회전가압하는 스프링수단(11)을 구비한다.
스프링수단(11)을 정면측 직선부(13)가 핸들(4)의 배면측의 제1스프링 받이면(14)에 맞닿고, 바닥면측 직선부(15)가 케이스(2)의 바닥벽부의 제2스프링 받이면(16)에 맞닿는 단일의 비틀림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바닥면측 직선부(15)의 선단에는 제2스프링 받이면(16)과의 접촉점(17)에서 정면측으로 비스듬히 돌출한 연장직선부분(18)을 설정하고, 다시 연장직선부분(18) 선단에는 정면측에 볼록하게 형성되고, 가압버턴(8)의 걸어두기 아암(7) 근원부의 제3스프링 받이면(19)에 접촉가능한 절곡부(20)를 설정한다.
핸들(4)의 정면에 대하여 직각이며 제2피벗축(5)의 중심을 통과하는 기준평면(21)과 제3스프링 받이면(19)과의 교차점(22)에 관하여 가압버턴(8)의 복귀상태에 있어서는 절곡부(20)와 제3스프링 받이면(19)의 접점이 제1피벗축(3)에 오는 한편, 가압버턴(18)의 가압상태에 있어서는 절곡부(20)와 제3스프링 받이면(19)의 접점이 제1피벗축(3)과는 반대측에 오도록 설정한다.
[작용]
도어(1)가 폐쇄되어서 고정틀체(9)에 대하여 자물쇠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제5도 및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2)의 정면에 대하여 직각이며 제2피벗축(5)의 중심을 통과하는 기준평면(21)과 제3스프링 받이면(19)과의 교차점(22)에 관하여 절곡부(20)와 제3스프링 받이면(19)의 접점이 제1피벗축(3) 측에 있기 때문에, 가압버턴(8)은 복귀방향으로 회전가압되어 있고, 가압버턴(8)의 상단부(34)가 핸들(4)의 정면가장자리부의 정지벽부(33)에 걸어맞춤함으로써, 그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스프링수단(11)의 연장직선부분(18)의 상기 가압에 대항하여 제2피벗축(5)을 중심으로 가압버턴(8)을 가압회전시키면, 연장직선부분(18)이 배면측에 전개신장되어, 가압버턴(8)의 걸어두기 아암(7)이 케이스(2)의 바닥벽부의 걸어두기 오목부(6)로부터 벗겨져, 스프링수단(11)의 정면측 직선부(13)에 가압되어 핸들(4)이 제1피벗축(3)을 중심으로 정면측에 돌출회전된다.
제6도 및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버턴(8)의 가압상태에 있어서는 스프링수단(11)의 연장직선부분(18)이 배면측으로 전개신장되고, 절곡부(20)와 제3스프링 받이면(19)의 접점이, 상기 평면(21)과 제3스프링 받이면의 교차점(22)에 관하여 제1피벗축(3)과는 반대측에 오기 때문에 연장직선부분(18)의 가압방향이 역전하여 가압버턴(8)은 가압상태로 유지된다.
[실시예]
도시의 실시예에서는 케이스(2)는 그릇형상의 단일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제1피벗축(3)은 케이스(2)와 일체로 원통형상으로 성형되고, 핸들(4)의 축구멍(32)에 삽입되어 있다. 폭 아암(10)의 기단부에 횡단방향으로 돌출설치된 연동축(31)은 케이스(2)의 우측벽부의 축구멍(35)에 회전가능하게 끼워 통하게 되고, 제1피벗축(3)의 원통부내에 삽입된 연동축(31)의 소직경축부(36)는 이 원통부의 개구단부(37)내에 있어서 코킹되어 탈락이 저지되어 있다. 스프링수단(11)의 코일부(12)는 이 연동축(31)과 제1피벗축(3)에 끼워져 있다. 제1스프링 받이면(14)은 가압버턴 정지벽부(33)의 배면에 형성되어 있다.
록 아암(10)의 연동축(31)의 단면6각형의 중간축부(38)는 핸들(4)의 6각형 받이구멍(39)에 상대회전 불능으로 끼워져 있고, 록 아암(10)은 핸들 (4)과 일체로 회전하여 선단부의 자물쇠 고정볼트(28)가 고정틀체(9)측의 받이금속부(40)와 걸거나 벗겨진다. 록 아암(10)과 핸들(4)의 연동기구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각종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연동축(31)에는 0링(24)이 끼워져 케이스(2)와 핸들(4)간의 방수처리를 하고 있다.
[고안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평면 록 핸들장치에서 스프링수단(11)은 정면측 직선부(13)가 핸들(4)의 배면측의 제1스프링 받이면(14)에 맞닿고, 바닥면측 직선부(15)가 케이스(2)의 바닥벽부의 제2스프링 받이면(16)에 맞닿음으로써, 핸들(4)을 돌출방향으로 회전가압하는 한편, 바닥면측 직선부(15)의 선단에 제2스프링 받이면(16)과의 접촉점(17)으로부터 정면측으로 비스듬히 돌출한 연장직선부분(18)의 선단의 절곡부(20)가 가압버턴(8)의 걸어두기 아암(7)의 근원부의 제3스프링 받이면(19)에 맞닿음으로써, 가압버턴(8)을 복귀방향으로 회전가압하고 있고, 종래장치와 같이 핸들의 회전가압용과 가압버턴의 복귀가압용의 2개의 스프링을 개별로 장착할 필요가 없으므로 부품수가 감소하여 경제성이 양호하다.
또, 핸들(4)의 정면에 대하여 직각이며 제2핍서축(5)의 중심을 통과하는 기준평면(21)과 제3스프링 받이면(19)과의 교차점(22)에 관하여 가압버턴(7)의 가압상태에 있어서는, 절곡부(20)와 제3스프링 받이면(19)의 접점(23)이 제1피벗축(3)과는 반대측에 오도록 설정되었으므로, 가압버턴(8)은 걸어두기 아암(7)이 걸어두기 오목부(6)에 재걸어맞춤하지 않는 위치에 정확하게 유지되고, 핸들(4)의 돌출작동은 가압버턴(8)으로 저해되지 않고 원할하게 행해져 조작성이 양호하다.

Claims (1)

  1. 도어(1)에 고착되는 케이스(2)와, 케이스(2)에 출몰가능하게 수용되고, 기단부를 제1피벗축(3)에 의해 케이스(2)에 원추형 접합된 핸들(4)과, 제1피벗축(3)과 평행한 제2피벗축(5)에 의해 핸들(4)에 원추형 접합되고, 케이스(2)의 바닥벽부의 걸어두기 오목부(6)에 걸거나 벗기는 걸어두기 아암(7)을 배면측에 돌출설치한 가압버턴(8)과, 핸들(4)에 연결되어 고정틀체(9)측의 받이부에 걸거나 벗기는 록 아암(10)과, 핸들(4)을 돌출방향으로 회전가압하는 동시에 가압버턴(8)을 복귀방향으로 회전가압하는 스프링수단(11)을 구비한 평면 록 핸들장치에 있어서, 스프링수단(11)을 정면측 직선부(13)가 핸들(4)의 배면측의 제1스프링 받이면(14)에 맞닿고, 바닥면측 직선부(15)가 케이스(2)의 바닥벽부의 제2스프링 받이면(16)에 맞닿는 단일의 비틀림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바닥면측 직선부(15)의 선단에는 제2스프링 받이면(16)과의 접촉점(17)으로부터 정면측으로 비스듬히 돌출된 연장직선부분(18)을 설정하고, 다시 연장직선부분(18)의 선단에는 정면측에 볼록하게 형성되고, 가압버턴(8)의 걸어두기 아암(7)의 근원부의 제3스프링 받이면(19)에 접촉가능한 절곡부(20)을 설정하고, 핸들(4)의 정면에 대하여 직각이며 제2피벗축(5)의 중심을 통과하는 기준평면(21)과 제3스프링 받이면(19)과의 교차점(22)에 관하여, 가압버턴(8)의 복귀상태에 있어서는, 절곡부(20)와 제3스프링 받이면(19)의 접점(23)이 제1피벗축(3) 측에 오는 한편, 가압버턴(8)의 가압상태에 있어서는 절곡부(20)와 제3스프링 받이면(19)의 접점이 제1피벗축(3)과는 반대측에 오도록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록 핸들장치.
KR2019950038250U 1995-04-17 1995-12-05 평면 록 핸들장치 KR013180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115149 1995-04-17
JP7115149A JPH08284491A (ja) 1995-04-17 1995-04-17 平面ロックハンドル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4785U KR960034785U (ko) 1996-11-21
KR0131800Y1 true KR0131800Y1 (ko) 1999-03-20

Family

ID=14655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8250U KR0131800Y1 (ko) 1995-04-17 1995-12-05 평면 록 핸들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08284491A (ko)
KR (1) KR0131800Y1 (ko)
CN (1) CN114199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00528B (zh) * 2018-03-22 2019-06-14 莱芜职业技术学院 一种电气设备自动化控制柜
KR101966665B1 (ko) * 2018-11-27 2019-04-09 주식회사 미지에너텍 가로등주 시건장치
US11111705B2 (en) * 2018-12-18 2021-09-07 Rohr, Inc. Latch having shear load carrying capability
CN114033250B (zh) * 2021-09-24 2023-03-28 东莞怡合达自动化股份有限公司 一种把手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4785U (ko) 1996-11-21
JPH08284491A (ja) 1996-10-29
CN1141999A (zh) 1997-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47948A (en) Hinge for connecting two relatively movable furniture components
ES2070687A2 (es) Conjunto de espuñadura de puerta.
EP1494894B1 (en) Load carrier foot
EP0889564B1 (fr) Dispositif de commande ou de signalisation électrique.
US6442798B1 (en) Hinge for furniture
KR960005336B1 (ko) 인출회전형 문용 록핸들 장치
JPS5931633B2 (ja) 自動車用ドアハンドル装置
US6138484A (en) Rod locking device designed for snap-fitting
KR0131800Y1 (ko) 평면 록 핸들장치
KR830003326A (ko) 고정 죠오 커플러용 회전식 로크세트 기구
KR100417045B1 (ko) 평면 핸들장치
JP2001057940A (ja) 容器の着脱式取手
FR2597539A1 (fr) Ensemble de verrouillage pourvu d'au moins un pene reglable dans le sens de la longueur
KR0129704Y1 (ko) 수납형 핸들장치
JPS627827Y2 (ko)
JPH0432140Y2 (ko)
JPH052089Y2 (ko)
JPH0417398Y2 (ko)
JP3867240B2 (ja) 扉錠の台座取付装置
JPH0450378Y2 (ko)
JPH0643412Y2 (ja) 位置調整型ファスナー装置
JPH108790A (ja) アウトハンドル装置の連結構造
JPH0354274Y2 (ko)
KR930005031Y1 (ko) 자물쇠
KR200170547Y1 (ko) 사물함의 시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