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1675Y1 - 파워스티어링시스템 보호 경고장치 - Google Patents

파워스티어링시스템 보호 경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1675Y1
KR0131675Y1 KR2019950052605U KR19950052605U KR0131675Y1 KR 0131675 Y1 KR0131675 Y1 KR 0131675Y1 KR 2019950052605 U KR2019950052605 U KR 2019950052605U KR 19950052605 U KR19950052605 U KR 19950052605U KR 0131675 Y1 KR0131675 Y1 KR 01316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teering
control unit
electronic control
steering system
gear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526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6874U (ko
Inventor
배찬권
Original Assignee
김재복
주식회사기아기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복, 주식회사기아기공 filed Critical 김재복
Priority to KR20199500526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1675Y1/ko
Publication of KR9700368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68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16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16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30Safety devices, e.g. alternate emergency power supply or transmission means to ensure steering upon failure of the primary steer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11Noise generation, e.g. drive noise to warn pedestrians that an electric vehicle is approa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워스티어링 시스템 보호 경고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이 채택된 차량의 운전자가 핸들을 좌, 우 어느 극단까지 완전히 회전시킨 상태에서 이를 조속히 원상복귀하지 않고 소정시간 핸들의 회전상태를 유지시 운전자에게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고장우려 등을 인지시킬 수 있으므로 그에 따라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파워스티어링의 기어박스, 상기 기어박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유압을 공급받아 좌, 우 진퇴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의 양단부 및 상기 기어박스의 양측 내벽에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감지센서, 상기 감지센서와 전기접속되며 상기 감지된 신호를 전달받아 판단하며 구동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니트, 상기 전자제어유니트와 전기접속되어 상기 전자제어유니트에 의해 구동하며 운전자에게 핸들이 좌, 우 어느 극단까지 회전한 상태에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됨을 인지시키는 인지수단으로 구비되어 구성된다.

Description

파워스티어링 시스템 보호 경고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일반적인 파워스티어링 기어의 내부구성을 보인 단면 구성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파워스티어링 시스템 보호 경고장치를 보인 대략적인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스티어링 기어 90 : 감지센서
100 : 전자제어유니트 110 : 인지수단
111 : 스피커 112 : 경음기
113 : 점등램프
본 고안은 파워스티어링 시스템 보호 경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이 채택된 차량의 운전자가 핸들을 좌, 우 어느 극단까지 완전히 회전시킨 상태에서 이를 조속히 원상복귀하지 않고 소정시간 핸들의 회전상태를 유지시 운전자에게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고장우려 등을 인지시킬 수 있으므로 그에 따라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파워스티어링 시스템 보호 경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파워스티어링의 시스템은 제1도 내지 제2도와 같은 것이다.
즉 이의 구성을 살펴보면 핸들(10)에 의해 제어 동작되는 제어밸브(20)가 내설된 파워스티어링 기어(30)와 엔진(40)의 구동력을 부여받아 구동되는 오일펌프(50) 및 오일탱크(60) 오일을 소정의 라인을 통해 안내하는 연결파이프(70) 그리고 차륜과 연결되는 피트먼 암(80)으로 대별(大別)된다.
상기 파워스티어링 기어(30)의 내측에는 공급된 오일의 유압에 의해 진퇴하는 피스톤(31)과 이 피스톤(31)의 진퇴동작에 의해 회전하며 피트먼 암(80)을 통해 차륜을 조향시키는 섹터 샤프트(32)가 설치된다.
따라서 주행중 엔진(40)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하며 상기 오일펌프(50)에서 발생된 고압의 오일이 운전자의 핸들(10) 조작에 의한 제어밸브(20)의 기능에 따라 좌, 우 방향이, 핸들의 조작속도에 따라 유량이 그리고 조타부하에 따라 유압이 결정되어 액튜에이터의 기능을 수행하는 파워스티어링 기어(30)에 유도되어 상기 피스톤(31)을 밀게 되므로 이 힘을 부여받아 상기 섹터샤프트(32)가 회전하며 상기 피트먼암(80)을 통해 차륜을 조향시킴으로써 손쉬운 조타가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일반적인 파워스티어링 기어내에 언로딩 밸브 또는 체크밸브 등 별도의 보호장치를 갖추지 않을 경우 운전자가 주행중 핸들을 좌 또는 우극단까지 완전히 돌린상태에서 장시간 유지하면 파워스티어링 시스템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고 원활한 유압의 흐름에 악영향을 주게 된다.
그러나 일부 운전미숙자들이 핸들을 좌, 우 어느 극단까지 완전히 돌린 상태에서 장시간 유지하므로서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이 고장나는 현상이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이 간직하고 있는 근본적인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이 채택된 차량의 운전자가 핸들을 좌, 우 어느 극단까지 완전히 회전시킨 상태에서 이를 조속히 원상복귀하지 않고 소정시간 핸들의 회전상태를 유지시 운전자에게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고장우려 등을 인지시킬 수 있는 파워스티어링 시스템 보호 경고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파워스티어링의 기어박스, 상기 기어박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유압을 공급받아 좌, 우 진퇴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의 양단부 및 상기 기어박스의 양측 내벽에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감지센서, 상기 감지센서와 전기접속되며 상기 감지된 신호를 전달받아 판단하며 구동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니트, 상기 전자제어유니트와 전기접속되어 상기 전자제어유니트에 의해 구동하며 운전자에게 핸들이 좌, 우 어느 극단까지 회전한 상태에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됨을 인지시키는 인지수단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스티어링 시스템 보호 경고장치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일반적인 파워스티어링 기어박스의 내부구성을 보인 단면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워스티어링의 기어박스(30)의 내부에는 유압을 공급받아 좌, 우 진퇴하는 피스톤(31)이 설치된다.
상기 피스톤의 양단부 및 상기 기어박스의 양측 내벽에는 선택적으로 제3도와 같이 감지수단의 기능을 수행하는 감지센서(9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감지센서(90)는 감지된 신호를 전달받아 판단하며 구동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니트(100)와 전기접속된다.
상기 전자제어유니트(100)는 상기 감지센서(90)의 신호를 전달받아 구동하며 운전자에게 핸들이 좌, 우 어느 극단까지 회전한 상태에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됨을 인지수단(110)으로 전달하여 인지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지수단(110)은 스피커(111)나 경음기(112)로 구성하므로서 음성 및육성에 의해 운전자에게 경고음을 제공할 수 있고 또는 별도의 점등램프(113)를 점등시켜 운전자에게 경고를 환기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인지수단을 점등램프(113)로 채택할 경우에는 운전자의 식별이 용이한 차내의 전방 또는 계기판넬 등에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기본동작은 일반적인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고안에서의 특징부는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이 채택된 차량의 운전자가 핸들을 좌, 우 어느 극단까지 완전히 회전시킨 상태에서 이를 조속히 원상복귀하지 않고 소정시간 핸들의 회전상태를 유지할 때 이를 감시센서가 감지하여 전자제어유니트로 전달하면 상기 전자제어유니트가 미리 셋팅된 소정의 시간동안 핸들의 좌, 우 극단 조타상태를 확인 후 이를 스피커나 경음기 또는 별도의 점등램프를 점등시켜 운전자에게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고장우려 등을 인지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일부 운전미숙자들이 핸들을 좌, 우 어느 극단까지 완전히 돌린 상태에서 장시간 유지하게 되어 그에 따라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이 고장나던 종래의 문제점은 적극적으로 해결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이 채택된 차량의 운전자가 핸들을 좌, 우 어느 극단까지 완전히 회전시킨 상태에서 이를 조속히 원상복귀하지 않고 소정시간 핸들의 회전상태를 유지시 운전자에게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고장우려 등을 인지시킬 수 있으므로 그에 따라 제품의 신뢰성이 가일층 향상되는 등의 특징이 있다.

Claims (2)

  1. 파워스티어링의 기어박스, 상기 기어박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유압을 공급받아 좌, 우 진퇴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의 양단부 및 상기 기어박스의 양측 내벽에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감지센서, 상기 감지센서와 전기접속되며 상기 감지된 신호를 전달받아 판단하며 구동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니트, 상기 전자제어유니트와 전기접속되어 상기 전자제어유니트에 의해 구동하며 운전자에게 핸들이 좌, 우 어느 극단까지 회전한 상태에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됨을 인지시키는 인지수단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스티어링 시스템 보호 경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수단은 경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스티어링 시스템 보호 경고장치.
KR2019950052605U 1995-12-29 1995-12-29 파워스티어링시스템 보호 경고장치 KR01316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2605U KR0131675Y1 (ko) 1995-12-29 1995-12-29 파워스티어링시스템 보호 경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2605U KR0131675Y1 (ko) 1995-12-29 1995-12-29 파워스티어링시스템 보호 경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6874U KR970036874U (ko) 1997-07-26
KR0131675Y1 true KR0131675Y1 (ko) 1998-12-15

Family

ID=19441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52605U KR0131675Y1 (ko) 1995-12-29 1995-12-29 파워스티어링시스템 보호 경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167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6874U (ko) 199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50757A (en) Power steering devices
KR100192381B1 (ko) 자동차의 동력조향장치
KR0131675Y1 (ko) 파워스티어링시스템 보호 경고장치
SE8802957D0 (sv) Hydrualisk styranordning for eldrivna fordon
JP3612091B2 (ja) 車両用停止維持装置
KR100412388B1 (ko) 안전주행제어장치
KR0168381B1 (ko) 자동차의 충돌발생 가능시 자동 조향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S59120572A (ja) パワ−ステアリングの異常検出装置
KR100259530B1 (ko) 스티어링 장치의 소음 방지 장치
KR980001602A (ko) 자동차의 브레이크오일 이상경고장치
KR100198836B1 (ko) 차량 운전자 상태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240673B1 (ko) 차량 추락 방지 시스템
JPH0810070Y2 (ja) 非常油圧源の作動制御装置
KR19980058678A (ko) 파워스티어링 스위치 고장 경고장치 및 고장판단 방법
KR19980061343A (ko) 타이어 이상구동 경보장치
KR100384527B1 (ko) 대형 차량용 주차 보조 브레이크 장치
KR19980034926A (ko) 에어 탱크 에어압 저압시의 리타더 작동 장치
KR100251373B1 (ko) 자동차의 안전운전장치
KR200148308Y1 (ko) 유압펌프용 구동벨트의 절손시 차속 제한장치
KR970026644A (ko) 비상 브레이크 장치
KR19980074744A (ko) 배기브레이크를 이용한 차량의 안전거리 유지장치
KR20010063135A (ko) 능동 조향 장치와 능동 조향 방법
KR970040603A (ko) 앤티록제동시스템의 솔레노이드밸브고장검출수단
KR19980016342U (ko) 차량의 본네트 열림 경보장치
JPS6397465A (ja) パワ−ステアリ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